KR100990963B1 -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963B1
KR100990963B1 KR1020080003042A KR20080003042A KR100990963B1 KR 100990963 B1 KR100990963 B1 KR 100990963B1 KR 1020080003042 A KR1020080003042 A KR 1020080003042A KR 20080003042 A KR20080003042 A KR 20080003042A KR 100990963 B1 KR100990963 B1 KR 10099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control signal
data
radio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208A (ko
Inventor
시게오미 오시바
모토야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paylo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volving special memory structur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시간 다중한 때에, TTI 내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각 신호의 소요 BLER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공.
해결수단
무선 기지국은,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BLER(Block Error Rate)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한다. 이동국은,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PUSCH를 매개하여,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THE UPLINK,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THEREOF}
본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관하고, 제어 신호(Control Signal)가 데이터 신호(Data Signal)에 시간 다중(Time Division Multiplex; 이하 "TDM"이라 함)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에 관한다.
표준화 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으로 불리우는 Work Item을 세우고, 제 3세대 이동체 통신방식인 W-CDMA 및 HSDPA/HSUPA의 후속으로서, 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 전송, 낮은 지연, 패킷 전송으로 특화한 무선 엑세스 방식에 대하여 검토가 시작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참조).
LTE에서 타켓으로 되는 통신속도는 하행 링크에서 100M 내지 1Gbps, 상행 링크에서 50Mbps가 가능으로 되는 방식을 지향하고 있고,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무선 방식으로서는, 하행 링크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행 링크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후보에 거론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에 따른 주파수(영역), 시간축 방향(영역)의 적응적인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SC-FDMA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 이동국의 송신 버퍼 내에서 데이터가 체류한 경우, 이동국은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상행 리소스의 할당을 요구한다. 무선 기지국은 TTI(Transmit Time Interval: 송신 시간 간격) 간격으로 적응적인 스케줄링을 행하고, 이동국에 대하여 해당 TTI에 의해의 송신 허가(Signaling)를 행한다. 송신 허가를 받은 이동국은, 당해 TTI로,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은 Ack/Nack,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Parameter 등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주기적, 또는 정해진 타이밍에서 송신을 행한다.
상기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는, 송신해야할 데이터 신호(Data Signal)가 있는 경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 불리우는 물리 채널 상에 데이터 신호(Data Signal)로 시간 다중된다. 또한, 시간 다중되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로서,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제어용 정보(Data Associated Signal)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표준화 단체에 있어서는 거의 결정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er. 0.3.0(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8))
[비특허문헌 2] 3GPP TS 36.300 ver. 0.1.0(Overall Description Stge 2(Release x))
상기 각 문헌의 모든 기재는 인용으로서 본서에 포함되어 기재된다. 이하의 분석은, 본발명에 의해 주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시간 다중하는 때에, TTI 내에서의 통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을 일정하게 하는 방법에서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수신 품질이 유지되지 않는 케이스가 발생한다.
W-CDMA에서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소요 BLER(Block Error Rate)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TTI 내에서 데이터 신호(Data Signal)와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전력비를 가변으로 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었지만, SC-FDMA에서는, TTI 내에서의 전력비를 변화시키면 피크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eak Ratio; PAPR)가 크게 되어 버리고 만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시간 다중한 때에, 제어용 정보로서 Data Associated Signal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Data Signal)와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복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가 있다.
본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어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시간 다중한 때에, TTI 내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각 신호의 소요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 1 시점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데이터 송신 방법이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발명의 제 2 시점에 의하면,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가 제공된다.
본발명에 의하면, 수신 품질의 악화 또는 PAPR의 증대를 초래하는 것 없이,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시간 다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이유는 TTI 내의 전력을 변화시키는 것 없이, 각 신호의 부호화율을 가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있다.
연이어,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기지국(A101)과, 무선 기지국(A101)과 통신하는 이동국(A102), 이동국(B103)이 보여지고 있다. 무선 기지국(A101)과 통신하는 이동국(A102), 무선 기지국(A101)과 통신하는 이동국(B103) 사이는 각각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매개하여 필요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것과 함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매개하여 상행 방향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무선 기지국, 이동국 사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기지국은, 이동국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행하는 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사용하여 당해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 파라미터를 통지(Signaling)한다.
PDCCH에 의해 송신 파라미터를 수취한 이동국은, 통신해야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시간 다중하여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지시된 TTI로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당해 TTI에 의해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Bit수(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Control Block Size; 이하, "CBS"라 함)가, 미리 정해진 규칙 등에 의해,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에 있어서 기지(旣知)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송신 파라미터로서, BPSK, QPSK, 16QAM 등의 변조 방식(Mod_tx), 대역폭(N_tx),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 측으로의 PUSCH 송신 전력치(P_tx)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을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제로서,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당해 이동국이 송신하고 있는 상행 무선 링크 품질측정용의 Reference Signal의 전력치(P_UE_Ref)가 기지(旣知)이다. 또한, 무선 기지국은 측정된 수신 품질 등을 고려하여, 할당하여 변조 방식(Mod_tx), 대역폭(N_tx)을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은 측정된 수신 품질, 결정한 변조 방식(Mod_tx)으로부터, 데이터 신호의 소요 BLER(BLER_Target_ctrl)을 만족시키는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부호화율(Rctrl)을 산출한다. 이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부호화율(BLER_Target_ctrl)의 산출은, 시뮬레이션을 미리 행하여 얻어진 테이블 등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간략화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기지국은 측정된 수신 품질, 결정한 변조 방식(Mod_tx)으로부터, 제어 신호의 소요 BLER(BLER_Target_ctrl)을 만족시키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ctrl)을 산출한다. 이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BLER_Target_ctrl)의 산출도, 시뮬레이션을 미리 행하여 얻어진 테이블 등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부호화율(Rdat)을 미리 산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은,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정보량은 데이터 신호(Data Signal)에 비해 각별히 작은 것에 의한다.
무선 기지국은, 변조 방식(Mod_tx), 대역폭(N_tx),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 PUSCH 송신 전력치(P_tx)에 더하여, 상기 각 신호의 부호화율(Rdat, Rctrl)을 송신 파라미터로서 이동국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제어 신호의 사이즈(CBS)가 기지이기 때문에, CCBS=CBS/(Rctrl)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제어 신호 의 사이즈(CCBS)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제어 신호의 사이즈(CCBS)가 얻어지면, CDBS=TxBS-CCBS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CDBS)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는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Mod_tx) 및 대역폭(N_tx)을 사용하여 한번에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CDBS)가 얻어지면, DBS=CDBS X (Rdat)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무선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특정되어, 송신 TTI 내의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또한, 각 신호에 적용하는 부호화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각 신호의 소요 BLER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송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당해 TTI에 있어서, Ack/Nack, CQI, MIMO 파라미터 등의 각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송신 Bit수의 총합(CBS; Control Block Size)이 부호화 및 속도 매칭부(201)에 보내져서, 상기한 부호화율(Rctrl)을 적용하여 부호화 및 속도 매칭처리된다(Repetition 또는 Puncturing).
한편,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송신 Bit수의 총합(DBS; Data Block Size)이 부호화 및 속도 매칭부(202)에 보내져서, 상기한 부호화율(Rctrl)을 적용하여 부호화 및 속도 매칭처리된다(Repetition 또는 Puncturing).
상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된 데이터(CCBS 및 CDBS)는 물리채널 매핑부(203)에 의해, 시간 다중된다. 이 때의 데이터 사이즈는 TxBS(Transmit Block Size)이고, TxBS= CCBS+CDBS가 성립된다.
이 후, 시간 다중된 데이터에 대하여, 승산기(204)에 의해 P_tx분의 전력치가 승산되rh, DFT부(205)에 의해 DFT(이산 푸리에변환)을 행하고 주파수축 상으로 변환된다. 이 후, 서브캐리어 매핑부(206)에 의해, 서브캐리어마다의 매핑이 행해지고, IFFT부(207)에 의해, 역고속 푸리에변환을 행하여 다시 시간축 상으로 돌아온 후, CP 삽입부(208)에 의해 CP(Cyclic Prefix)를 소정의 위치로 부쳐, 송신된다.
[제 2 실시형태]
연이어, 송신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저감하기 위해, 상기 무선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에 대신하여,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를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제 2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정보량이 데이터 신호(Data Signal)에 비해 각별히 작고,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와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로부터 구한 잠정 부호화율(DBS/TxBS)이, 실제의 데이터 신호(Data Signal)의 부호화율(DBS/CDBS)에 근사할 수 있는(DBS/TxBS≒DBS/CDBS) 것을 이용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이 각각, 상기 잠정 부호화율(DBS/TxBS)로부터, 한번에 구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ctrl)을 갖는 것에 의해, 각 신호의 부호화율을 송신시키지 않고, 필요한 송신 파라미터를 정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와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로부터 구한 잠정 부호화율(DBS/TxBS)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ctrl)을 구하기 위한 데이블의 예이다. RdatTh_x(x는 n 이상의 자연수)는 잠정 부호화율(DBS/TxBS)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을 결정하기 위한 역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제어 신호 부호화율 Rctrl_x(x는 n 이하의 자연수)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소요 BLER(BLER_target_ctrl)을 만족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CBS/CCBS)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제 1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시뮬레이션을 미리 행하여 얻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Rctrl_1<Rctrl_2<...<Rctrl_n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제 1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는,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변조 방식(Mod_tx) 및 대역폭(N_tx)을 이용하여 한번에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국은, DBS/TxBS로부터 도 4에 예시한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제어 신호 부호화율 Rctrl_x를 결정하고, 다음에, CBS/Rctrl_x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제어 신호의 사이즈(CCBS)를 산출하고, 다음에 TxBS_CCBS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CDBS)를 산출하여, 모든 필요한 송신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또한, 송신 파라미터를 산출할 때, 무선 기지국이, 이동국 측에서의 제어 신호 부호화율 Rctrl_x에 의한 제어정보의 부호화처리(제어정보의 사이즈에 의한 영향)을 고려에 넣어, 상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를 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다 효율이 좋은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연이어, 상기 제 2의 실시형태로 변경을 가하여, 제어 신호 마다 다른 부호화율을 적용가능하도록 한 본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와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로부터 구한 잠정 부호화율(DBS/TxBS)로부터, 각 제어 신호 m 마다의 부호화율(Rctrl_m)을 구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이다. Ack/Nack, CQI, MIMO 파라미터라고 하는 제어 신호마다 도 4와 동등의 테이블이 만들어지고, 각각의 제어 신호의 소요 BLER을 만족시키기 위한 부호화율 Rctrl_m_x가 설정된다.
부호화처리 후의 각 제어 신호의 총합(CCBS)은 CCBS=∑(CBS_m/Rctrl_m)에 의해 산출된다(단, m=1~N: N은 독립한 제어 신호의 총수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 사이에서 각각의 제어정보의 부호화율을 구하는 방식을 정하여 두는 것으로, 이동국은, DBS/TxBS로부터 도 5에 예시한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제어 신호 부호화율 Rctrl_m_x를 결정하고, 다음에, CBS/Rctrl_m_x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후의 제어 신호의 사이즈(CCBS=∑(CBS_m/Rctrl_m_x))를 산출하고, 다음에, TxBS-CCBS로부터,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이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CDBS)를 산출하여, 모든 필요한 송신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의 구성과의 차이점은 각 제어 신호마다 부호화 및 속도 매칭부(201_1~201_3)가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각 제어 신호의 소요 BLER을 만족하도록, 제어 신호의 부호화가 독립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파라미터 정보를 증가시키는 것 없이, 수신 품질의 안정한 데이터 전송이 실현가능하게 된다.
[제 4의 실시형태]
연이어, 송신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무선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 및, 부호화율 및 속도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에 대신하여,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제 4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무선 기지국은, 상기한 제 1, 제 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신호의 소요 BLER(BLER_target_ctrl)을 만족시키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dat)을 산출한다.
다음, 무선 기지국은 도 7에 예시하는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산출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dat)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구하고, 송신 파라미터로서 이동국에 통지한다.
이동국 측에 있어서도, 상기 도 7에 예시하는 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통지된 인덱스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Rdat)을 구하고, 상기한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송신 파라미터 모두를 특정한다.
인덱스의 수는 작은 것으로 충분하고, 이와 같이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의 부호화율을 인덱스로 하여 보내는 것으로, 송신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보다 일층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제 3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테이블의 공유도 불필요로 되어, 보다 유연한 송신 파라미터 결정 알고리즘의 설계도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TTI 마다 상기 인덱스 값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의 소요 BLER을 수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제어 신호(Control Signal)와 데이터 신호(Data Signal)와 송신 전력비를 변경시키는 것 없이, 각각 필요한 수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부호화율을 설정하고, 송신 파라미터로서 송신한다고 하는 본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 2, 제 3의 실시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에서 공유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요 BLER을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에서, 다른 소요 BLER을 실현하는 테이블을 각각 갖고, 송신 파라미터로 참조하는 테이블(소요 BLER)을 지시한다고 하는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수신 품질 파라미터로서, BLER(Block Error Rate)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기타 동등한 수신 품질 파라미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기지국, 이동국 사이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발명에 관한 이동국의 송신 데이터 생성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와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로부터, 제어 신호 부호화율(Rctrl)을 구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이다.
도 5는 부호화 및 속도 매칭 처리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DBS)와 송신 데이터 사이즈(TxBS)로부터, 제어 신호 부호화율(Rctrl)을 구하기 위한 테이블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발명에 관한 이동국의 송신 데이터 생성처리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덱스 값으로부터, 제어 신호 부호화율(Rctrl)을 구하기 위한 테이블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무선 기지국 A
102 이동국 A
103 이동국 B
201, 201_1~201_3, 202 부호화 및 속도 매칭부
203 물리 채널 매핑부
204 승산기
205 DFT부
206 서브캐리어 매핑부
207 IFFT부
208 CP 삽입부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규칙에 따라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송신 데이터 사이즈와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 측에서 지정된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송신 데이터에 가해지는 제어 신호의 사이즈를 어림잡아,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를 산출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규칙에 따라, 송신 데이터 사이즈와,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 측에서 지정된 각각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인덱스 값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고,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규칙에 따라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송신 데이터 사이즈와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 측에서 지정된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송신 데이터에 가해지는 제어 신호의 사이즈를 어림잡아,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를 산출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규칙에 따라, 송신 데이터 사이즈와, 상기 부호화 전의 데이터 신호의 사이즈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 측에서 지정된 각각의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인덱스 값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응하여 스케줄링한 TTI(Transmit Time Interval) 내에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요 수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부호화율을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 측에서, 상기 지정된 TTI에 의해,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한 부호화율을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적용시키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일정 송신 전력에서 시간 다중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 송신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
  12.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 향한 상행 링크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TTI(Transmit Time Interval)로, 상기 송신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마다 지정된 부호화율을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적용하고, 부호화 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시간 다중하여 일정 송신 전력의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KR1020080003042A 2007-02-05 2008-01-10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KR100990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25874 2007-02-05
JP2007025874A JP2008193414A (ja) 2007-02-05 2007-02-05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上り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208A KR20080073208A (ko) 2008-08-08
KR100990963B1 true KR100990963B1 (ko) 2010-10-29

Family

ID=3941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042A KR100990963B1 (ko) 2007-02-05 2008-01-10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45563B2 (ko)
EP (1) EP1953943A3 (ko)
JP (1) JP2008193414A (ko)
KR (1) KR100990963B1 (ko)
CN (1) CN101272370B (ko)
CA (1) CA26193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946A (ko) * 2008-08-11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중 부호어의 전송방법
KR101603338B1 (ko)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19947A (ko)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646249B1 (ko) * 2008-08-11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19948A (ko) *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간 다중화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571566B1 (ko) * 2008-08-11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 방법
KR101597573B1 (ko) * 2008-08-1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MX2011001710A (es) * 2008-08-12 2011-03-30 Lg Electronics Inc Metodo de transmision de datos en un sistema de portadores multiples y transmisor.
WO2010022773A1 (en) * 2008-08-27 2010-03-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ple power control parameter sets for wireless uplink data transmission
CN101729128B (zh) * 2008-10-20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复用系统的上行子帧调度方法
EP3113382B1 (en) 2008-11-14 2017-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56068A2 (ko) 2008-11-14 2010-05-2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259572B2 (en) * 2008-12-02 2012-09-04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8964859B (zh) 2008-12-08 2022-04-01 无线未来科技公司 多输入多输出上行链路传输的方法及执行其的用户终端
KR20100083440A (ko)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WO2010085127A2 (ko) * 2009-01-26 201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송 지점을 포함하는 협력 멀티 포인트(coordinated multi-point: comp)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00091876A (ko) 2009-02-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전송을 위한 단말 동작
US8325846B2 (en) 2009-02-13 2012-12-04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ultiple antenna system
KR101295276B1 (ko) 2009-02-25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977312B2 (en) 2009-02-25 2015-03-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uplink transmission
WO2010096961A1 (zh) * 2009-02-26 2010-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JP5203409B2 (ja) 2009-06-23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PL3247159T3 (pl) 2009-06-26 2019-07-31 Sun Patent Trust Urządzenia radiokomunikacyjne i sposób prowadzenia radiokomunikacji
KR20110009025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40858A1 (en) * 2009-10-02 2011-04-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122979B (zh) * 2010-01-08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方法、设备及系统
CN103098524A (zh) * 2010-04-07 2013-05-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通讯装置和其方法
KR101673906B1 (ko) 2010-04-29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제어 채널 지원을 위한 상향 링크 ack/nack 채널의 맵핑 방법 및 장치
WO2011135719A1 (ja) * 2010-04-30 2011-11-0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移動局および通信方法
US8526383B2 (en) 2010-05-03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transmission resources based on a transmission rank
KR20160050488A (ko) * 2014-10-29 2016-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WO2017051712A1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1277235B2 (en) * 2015-11-23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plexing or cascading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within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JP2016189597A (ja) * 2016-05-31 2016-11-04 ワイアレス フューチャ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ルラー電話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シグナリング
CN110870269B (zh) * 2017-07-10 2022-11-25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20190357150A1 (en) * 2018-05-17 2019-11-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JP6868594B2 (ja) * 2018-07-17 2021-05-12 ワイアレス フューチャ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ルラー電話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シグナリング
CN110971338B (zh) 2018-09-28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确定发射功率的方法和装置
CN111786737B (zh) * 2020-06-30 2022-07-26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数据的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装置
US11930389B2 (en) * 2021-12-17 2024-03-12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BLER change reque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4830A1 (ja) 2005-06-14 2006-12-21 Ntt Docomo, Inc.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送信機及び受信機
WO2006134946A1 (ja) 2005-06-14 2006-12-21 Ntt Docomo, Inc. 移動局、基地局及び方法
US7286540B2 (en) 2001-08-23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llocating HARQ channel number for indicating state information in an HSDP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124B1 (en) 1999-11-03 2003-10-07 Ericss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hybrid TDMA communication systems
CN1287543C (zh) * 2001-08-28 2006-11-29 索尼公司 发送设备和发送控制方法、以及接收设备和接收控制方法
JP4634672B2 (ja) * 2001-09-25 2011-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トダイバーシチ送受信装置
US7385934B2 (en) * 2002-02-07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fer rate decision method
JP3929388B2 (ja) * 2002-11-11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CN1849763A (zh) * 2003-09-30 2006-10-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送装置以及峰值抑制方法
KR100866237B1 (ko) * 2004-01-20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데이터 시스템을 위한 변조 차수 결정 장치 및 방법과 그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EP1793639B1 (en) * 2005-11-30 2012-01-11 NTT DoCoMo, Inc. Call admission control device and call admission control method
JP4642679B2 (ja) * 2006-03-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281917B2 (en) * 2007-01-03 2016-03-08 Nokia Technologies Oy Shared control channel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6540B2 (en) 2001-08-23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llocating HARQ channel number for indicating state information in an HSDPA communication system
WO2006134830A1 (ja) 2005-06-14 2006-12-21 Ntt Docomo, Inc.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送信機及び受信機
WO2006134946A1 (ja) 2005-06-14 2006-12-21 Ntt Docomo, Inc. 移動局、基地局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5563B2 (en) 2013-01-01
EP1953943A3 (en) 2013-09-25
CN101272370A (zh) 2008-09-24
KR20080073208A (ko) 2008-08-08
CA2619320A1 (en) 2008-08-05
EP1953943A2 (en) 2008-08-06
US20080186916A1 (en) 2008-08-07
CN101272370B (zh) 2015-05-13
CA2619320C (en) 2012-04-10
US20130107745A1 (en) 2013-05-02
JP2008193414A (ja) 2008-08-21
US9167566B2 (en)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그의 상행 링크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KR101625861B1 (ko) 상향링크 전송 시, 다중 코드워드 기반 단일 사용자 mimo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phich 할당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
CA2698913C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US9723603B2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185724B2 (en)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user terminal
JP6422129B2 (ja)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DK2351445T3 (en) carrier Aggregation
AU2010241486B2 (en)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96366A1 (en)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with Data in Wireless Networks
JP2014060772A (ja) データチャンネル又は制御チャンネルを通じる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送信
KR20120127439A (ko)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KR2010004481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신호 타입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34671A (ko) 단축된 전송 시간 구간(tti)을 갖는 pusch 상에서의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
JP6442781B2 (ja) 端末装置
JP6028076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30279440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455970B2 (ja) 基地局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2138967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集積回路
JP4749498B2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並びに上りリンクおよび下りリンク送信方法
JP6034940B2 (ja) 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840751B2 (ja) 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3001575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5654701B2 (ja) 移動局装置
AU2013206636A1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