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89B1 -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89B1
KR100990189B1 KR1020087021339A KR20087021339A KR100990189B1 KR 100990189 B1 KR100990189 B1 KR 100990189B1 KR 1020087021339 A KR1020087021339 A KR 1020087021339A KR 20087021339 A KR20087021339 A KR 20087021339A KR 100990189 B1 KR100990189 B1 KR 10099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smart card
card module
led
transaction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781A (ko
Inventor
테일러 제이. 리밍
로베르 앙뚜안 레디에르
Original Assignee
슐럼버거 테크놀로지즈 오퍼레이팅 엘티디.
에스티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슐럼버거 테크놀로지즈 오퍼레이팅 엘티디., 에스티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슐럼버거 테크놀로지즈 오퍼레이팅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00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further contact interface not conform ISO-78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포트 및 USB 스마트 카드 사이의 성공적인 전달을 검출하고 USB 트랜잭션 활동의 표시를 제공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USB 트랜잭션 활동 신호는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동시킨다. USB 스마트 카드 내의 카운터는 사용자에게 감지될 수 있게끔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스케일링한다. LED를 통한 전류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LED의 밝기는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변한다. LED는 전류 미러 싱크 또는 소오스로부터, 또는 전류 스위치 싱크 또는 소오스로부터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serial bus smart card traffic signall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의 처리에 사용되는 집적회로(IC)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는 전방 측부 또는 후방 측부에 부착되고 카드 전방 측부 상에 배치된 전기 접촉부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회로를 지니는 플라스틱 카드이다. 그 회로는, 전기적 접촉부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리더 디바이스 내로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작동되어 카드로부터 데이타가 접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능동 형태의 전자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스마트 카드 리더 디바이스에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인터페이스를 지니는 스마트 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데이타 흐름 활동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신규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는 일종의 데이타 카드이다. 트랜잭션의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타 카드는 사실상 수동 형태 또는 능동 형태이다. 수동 형태의 데이타 카드는 카드 후방의 마그네틱 스트립에 저장된 데이타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크레디트 카드, 데빗 카드 및 ATM 카드를 포함한다. 수동 형태의 데이타 카드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이 처리될 경우, 일반적으로 전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컴퓨터에 연결된 리더 디바이스를 통한 트랜잭션 검증이 필요하다. 트랜잭션 중에 데이타가 마그네틱 스트립에 기록 및 판독될 수 있다. 능동 형태의 데이타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는 그 카드가 리더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작동되는 카드상에 내장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회로를 사용한다. 스마트 카드는 트랜잭션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지능을 지닐 수 있으므로, 그 트랜잭션은 원격 트랜잭션 검증 시설에 대한 전화 연결에 의지하지 않고 국부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식별번호 및 계정 잔액과 같은 소유자의 계정에 관련된 데이타의 저장에 부가하여, 상기 회로는 또한 보안을 위한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다. 스마트 카드는 글로벌 시스템 이동 통신(GSM) 전화의 가입자 식별 모듈(SIM), TV 위성 수신기, 뱅킹, 건강 관리 프로그램, 주차 및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는 결국에 마그네틱 스트립 타입의 데이타 카드 대신에 더욱 폭넓은 용도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본적인 스마트 카드 표준은 국제 표준 ISO 7816인데, 이는 접촉부와 관련된 IC 카드의 물리적, 전기적, 기계적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한 요건을 제공한다. 특히, 국제 표준 ISO 7816-1 물리적 특성, 국제 표준 7816-2 접촉부의 치수 및 위치, 국제 표준 ISO 7816-3 전자 신호 및 전송 프로토콜, 및 국제 표준 ISO 7816-10 동기 카드용 리셋에 대한 응답 및 전자 신호가 본원에 참조병합된다. 이러한 표준은 스마트 카드에 대한 시리얼 인터페이스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대부분은, 이러한 카드가 컴퓨터에 연결된 리더에 사용된다. ISO 표준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리더는 카드와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는, 카드 리더의 제1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카드 리더 커넥터에 삽입된다. 제2 카드 리더 인터페이스가 시리얼 포트 링크, 패러럴 포트 링크 또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를 통하여 컴퓨터에 연결된다. ISO 표준에 기초한 스마트 카드 리더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전자 부품들이 스마트 카드와 컴퓨터 사이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 이러한 부품들의 일부는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카드 사이의 데이타 흐름의 가시화에 기여한다.
상기 ISO 7816-3 클래스 B 작동 조건은 리셋(RST), 클록(CLK) 및 입력/출력(I/O) 통신 신호를 사용한다. 스마트 카드 리더는 신호(RST,CLK)를 발생시키며, I/O를 통해 반-듀플렉스 통신 링크를 버퍼링(buffering)한다. 신호(VCC,GND,RST,CLK,I/O)가 스마트 카드 모듈 접촉부에 연결된다. 상기 ISO 7816 스마트 카드 리더는 전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한 컴퓨터-기반 고객용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링크에서 I/O 활동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표시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가 확고하게 정착되었으며, 개인용 컴퓨터(PC) 시장에서 폭 넓은 지지를 얻어 왔다. USB는 표준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에 따라 개발되었는데, 상기 표준 인터페이스는 PC 외부의 디바이스에 "플러그 앤드 플레이"의 개념을 확장시키며, 또한 사용자가 PC 케이스를 개방하거나 PC로부터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도 외부의 주변 디바이스들을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USB는 사용하기 쉽고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는 저가의 반-듀플렉스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SB는 또한 상호연결 디바이스에 5볼트에서 500mA 이하의 전류를 공급한다. 현재 USB는, USB 사양을 개발한 회사 그룹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법인인, USB 임프러먼터스 포럼, 아이엔씨.(USB Implementers Forum, Inc.)에 의해 기록 및 통제되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사양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특히, 챕터(chapter) 5 USB 데이타 플로 모델, 챕터 7 전기, 및 챕터 8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사양의 프로토콜 계층이 본원에 참조병합된다. 컴퓨터에서 USB를 점차로 폭넓게 사용한 것이 스마트 카드 리더 제조자로 하여금 기존의 시리얼 및 패러럴 인터페이스를 보완하기 위해 컴퓨터에 자신의 제품을 연결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게 하였다. 그러나, ISO 7816에 의해 정의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USB 사양에 의해 정의된 시리얼 인터페이스 사이의 차이로 인하여, 스마트 카드는 USB 사양과 직접적으로 호환가능하지 않았다. 또한, 다양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표준들 사이의 비호환성 속박으로 인하여 상이한 카드 리더 형태가 요구되어 왔다.
컴퓨터에서 USB를 폭넓게 사용한 것이 스마트 카드와 스마트 카드 리더 제조자가 자신의 제품을 더 개발하여 가격을 더 낮추게 하였다. USB 스마트 카드 리더는 컴퓨터-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또는 플러그 모듈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리더 또는 USB 토큰 리더는 IC를 구비한 스마트 카드 모듈의 4개의 상응하는 접촉 영역과 USB 신호 사이의 상호연결을 위한 접촉부 를 제공한다.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리더는 스마트 카드 모듈 접촉부(C1,C5)와 핀(C4,C8)들을 각각 USB 신호(VBUS,GND,D+,D-)에 연결한다. 링크의 활동이 보고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회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스마트 카드 리더의 복잡성이 컴퓨터 내로 이전되어,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킨다. USB 스마트 카드는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과 커넥터와 드라이버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구조는 전자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며, 결과적으로 데이타 전송 속도 및 전송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용을 감소시킨다. USB 스마트 카드상에는 통신, 연산 및 저장을 수행하기 위한 IC가 단 하나만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전자회로의 개입 없이 스마트 카드가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특정 스마트 카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상의 USB 인터페이스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스마트 카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컴퓨터와 스마트 카드상에 배치된 IC 모듈 사이의 성공적 데이타 전송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특정 스마트 카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상의 USB 인터페이스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와 스마트 카드상에 배치된 IC 모듈 사이의 성공적 데이타 전송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USB 사양에 의해 정의된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USB 포트 및 스마트 카드 사이의 물리적인 링크에 관한 것이다. 더군다나, 본 발명은 또한 어떠한 전자 회로의 개입 없이 간단한 커넥터로 USB 포트에 스마트 카드를 접속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스마트 카드를 전후로 한 데이터 흐름을 가시화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내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와 USB 스마트 카드 엔드포인트사이에는 통신 파이프가 설정된다. USB 스마트 카드 시리얼 엔진은 다운스트림 트래픽을 캡처(capture)하고 이를 스마트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전달한다. USB 스마트 카드 시리얼 엔진은 업스트림 트래픽을 스마트 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컴퓨터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트래픽은 패킷으로 구성된다. 한 패킷 전송이 에러없이 이루어질 때마다, USB 스마트 카드 시리얼 엔진 하드웨어는 인터럽트가 초래되는 정확한 전송(Correct TRansfer;CTR) 플래그를 생성한다. USB 스마트 카드 소프트웨어는 일단 인터럽트가 제공될 경우에 이러한 플래그를 클리어시킨다. CTR 신호는 제1의 10-비트 카운터 스테이지를 구동시킨다. I/O 커넥터 핀에 접속된 I/O 버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이 선택된다. 이러한 핀은 스마트 카드 리더상의 LED에 접속되며, 이러한 LED는 USB 트래픽이 설정된 장소에서 블링킹(blinking)한다. 모든 기능들은 단일 IC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스마트 카드 리더에 필요한 유일한 전자 부품은 데이터 흐름 활동의 가시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LED, 통과 커넥터 및 특정 실시예에서는 LED 내의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기이다. 본 발명은 호스트 컴퓨터와 USB 스마트 카드 사이의 USB 트래픽이 가시화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지니는 방법은 스마트 카드 모듈과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 USB 패킷의 성공적인 전송 및 수신에 따라 스마트 카드 모듈에 의한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전송 단계는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되어 있는 카운터의 입력에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 동작 신호의 전송이 감지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LED를 구동하도록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출력 버퍼에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퍼는 GND 기준 전압에 접속된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퍼는 VBUS 공급 전압에 접속된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퍼는 VBUS 공급 전압에 접속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버퍼는 GND 기준 전압에 접속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SB 포트와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트랜시버의 외부 단자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시리얼 엔진의 입력에 상기 트랜시버의 내부 단자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시리얼 엔진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카운터로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상호접속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카운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카운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되고 있는 디바이스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지니는 LED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LED의 애노드를 접속하는 단계,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LED의 캐소드를 접속하는 단계,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형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접촉부 사이에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에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단계,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 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동작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류를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LED의 캐소드는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LED의 애노드를 접속하는 단계,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LED의 캐소드를 접속하는 단계,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형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I/O 접촉부 및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에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단계,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류를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1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된 LED의 애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LED의 캐소드를 접속하는 단계, LED의 애노드에 저항기의 제1 단자를 접속하는 단계,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저항기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단계, I/O 접촉부 및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접속하는 단계,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 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LED의 애노드를 접속하는 단계, LED의 캐소드에 저항기의 제1 단자를 접속하는 단계,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단계,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접촉부 사이에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단계,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에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SB 포트 및 트랜시버의 외부 단자 사이에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며, 상기 트랜시버는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시리얼 엔진의 입력에 접속된 내부 단자,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제어되는 카운터에 상호접속된 시리얼 엔진의 출력으로부터의 정확한 전송 신호,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배치된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시키는 카운터의 출력, 및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동작되 는 디바이스를 지닌다.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동작되는 디바이스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지니는 LED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접속된 LED의 애노드,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접속된 LED의 캐소드,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형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접촉부 사이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류로서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된 조절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의 캐소드는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부가적으로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접속된 LED의 애노드,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접속된 LED의 캐소드,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형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I/O 접촉부 및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류로서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1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된 조절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의 애노드는 C2, C3, C6 및 C7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부가적으로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접속된 LED의 캐소드, 상기 LED의 애노드에 접속된 저항기의 제1 단자,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접속된 저항기의 제2 단자,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및 I/O 접촉부 사이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로서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된 조절 전압 소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부가적으로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접속된 LED의 애노드, 상기 LED의 캐소드에 접속된 저항기의 제1 단자,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접속된 저항기의 제2 단자,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접촉부 사이에 접속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 및 USB 트랜잭션 활동을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반영함으로써, LED의 조명 강도가 USB 트랜잭션 동작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로서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된 조절 전압 소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C2, C3, C6, 및 C7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접촉부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실시태양, 및 이점들은 이하 실시예의 설명,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회로의 개입 없이 스마트 카드가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특정 스마트 카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상의 USB 인터페이스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스마트 카드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와 스마트 카드상에 배치된 IC 모듈 사이의 성공적 데이타 전송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ISO 7816-2 접촉부의 치수와 위치와 호환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모듈(10)이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기판(11) 상에 배치된 8개의 전기 접촉부(1-8) 및 전기 접촉부(1-8)의 반대편의 기판(11)의 측면에 부착된 IC(100)를 지닌다. 전기 접촉부(1-8)는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IC(100)와 전기 접촉부(1-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본딩 와이어(9)의 사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기판(11)의 양 측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도전성 바이어(conductive via)를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임의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IC(100) 및 본딩 와이어(9)는 대개 기계적 및 환경적 영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캡슐 봉입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비동기 ISO 7816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 호환될 수 있다. C1 접촉부(1)는 공급 전압(VCC)에 할당되고, C2 접촉부(2)는 리셋 신호(RST)에 할당되며, C3 접촉부(3)는 클록 신호(CLK)에 할 당되며, C5 접촉부(5)는 GND 기준 전압에 할당되며, C6 접촉부(6)는 가변 공급 전압(VPP; 6)에 할당되며, C7 접촉부(7)는 데이터 입/출력(I/O)에 할당된다. 동기 ISO 7816-10 애플리케이션에서, C4 접촉부(4)는 기능 코드(FCG)에 할당되며, C8 접촉부(8)는 다른 동기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USB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 호환될 수 있다. USB 스마트 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C1 접촉부(1)는 공급 전압(VBUS)에 할당되며, C4 접촉부(4)는 데이터 라인(D+)에 할당되며, C5 접촉부(5)는 GND 기준 전압에 할당되며, C8 접촉부 (8)는 데이터 라인(D-)에 할당되며, C2, C3, C6 및 C7 접촉부(2,3,6,7)는 다른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기반 애플리케이션 및 USB 스마트 카드 IC(100) 사이에서 USB 활동을 보고하기 위해 C2, C3, C6 및 C7 모듈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ISO 표준 스마트 카드 리더(20)의 블럭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 리더(20)는 컴퓨터(21)에 연결된다. 스마트 카드(200)는 스마트 카드 리더(20)에 삽입된다. 스마트 카드(200)와 스마트 카드 리더(20) 사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ISO7816 표준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컴퓨터(21)에 내장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카드(200)가 스마트 카드 리더(20)에 삽입되면,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통과 커넥터(pass-through connector; 27)를 사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제1 인터페이스(26)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26)는 반-듀플렉스 ISO7816 프로토콜을 통제한다. 스마트 카드 리더(20)는 제2 인터페이스(25)를 통하여 패러럴 포트(22), 시리얼 포트(23) 또는 USB 포트(24)에도 접속된 다. 스마트 카드 리더(20)의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LED(300)는 스마트 카드와 컴퓨터 사이의 임의의 트래픽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지금부터,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USB 트랜시버(transceiver; 36)와 USB 트래픽 신호 전송 회로(31,32)를 지니는 새로운 IC(100)의 블럭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USB 트랜시버(36)는 차등 시리얼 신호(D+,D-)를 수신하고, 시리얼 엔진(35)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시리얼 엔진(35)은 마이크로-컨트롤러(34)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메모리(33)에 저장된다. 연속적으로 USB 패킷이 업스트립 또는 다운스트림으로 전송될 때마다, 시리얼 엔진(35), 마이크로-컨트롤러(34), 컴퓨터(32) 사이에 접속된 정확한 전송(Correct Transfer; CTR) 신호(37)는 시리얼 엔진 하드웨어(35)에 의해 설정된다. 패킷 전송시 어떠한 오류도 검출되지 않으면 전송은 성공적이다. 메모리(3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일단 CTR 인터럽트가 마이크로-컨트롤러(34)에 의해 제공되면 마이크로-컨트롤러(34)가 CTR 신호(37)를 소거하게 한다. 예를 들면, 카운터(32)는 10개의 스테이지를 지닌다. 메모리(3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컨트롤러(34)가 선택 신호(38)를 경유하여 카운터(32)의 적당한 출력을 선택하게 한다. 선택된 카운터(32)의 출력은 I/O 패드(39)에 접속된 LED 드라이버(31)를 작동시킨다.
지금부터,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스마트 카드 리더(40) 및 스마트 카드(200)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 모듈(10)을 구비한다. 스마트 카드(200)는 스마트 카드 리더(40)에 플러그 형태로 삽 입된다. 스마트 카드 리더(40)는 통과 커넥터(27)의 연결 접촉부를 구비하는데, 이는 USB 시리즈 A 플러그(41)에 의해 종단된 USB 케이블에 스마트 카드 모듈 접촉부를 접속한다. USB 시리즈 A 플러그는 호스트 PC(21) 또는 USB 허브상의 USB 허브 포트(24)에 연결된다. LED(300)는 통과 커넥터(27)에 추가하여 USB 카드 리더에 장착된다. USB 스마트 카드 리더에는 다른 어떤 능동 소자도 필요하지 않다.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에 의해 종단된 USB 형태의 스마트 카드 리더(40)에 삽입된 USB 호환 스마트 카드 리더(200)는 USB 스마트 카드 디바이스(43)를 구성한다.
지금부터,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도 4에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트래픽 활동을 표시하기 위한 LED(300)의 구동 및 케이블(42)을 사용한 USB 포트(24) 및 USB 스마트 카드 모듈(10) 사이의 USB 인터페이스 접속이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 리더(40) 내의 8개의 통과 커넥터 핀(50)은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접촉부에 접속된다. 스마트 카드 모듈로부터의 전기적 연결부는 케이블(42)을 경유하여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로 보내진다. USB 호환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에 의해 종단된 USB 케이블(42)을 구비한 USB 형태의 스마트 카드 리더(40)에 삽입된다. 케이블(42)은 플러그 커넥터(41)에 스마트 카드 모듈(10)을 연결하는 4개의 와이어를 사용한다. 커넥터(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즈 A 리셉터클을 구비한 허브의 USB 포트 또는 시리즈 A 리셉터클을 구비한 호스트 PC(21) 루트 허브의 USB 포트(24)에 직접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다. 허브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1 접촉부(1)에 연결된 VBUS 전력 공급부,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5 접촉부(5)에 연결된 GND 기준 전압, C4 접촉 부(4)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D+), 및 C8 접촉부(8)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D-)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드가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스마트 카드 모듈 접촉부(C2,C3,C6)는 할당되지 않는다. LED(300)의 애노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의 C7 접촉부(7)에 연결되고, LED(300)의 캐소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의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다. USB 형태의 카드 리더는 대개 USB 사양에서 정의된 전기 및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카드 모듈에 이러한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C4 접촉부(4)와 C8 접촉부(8)를 사용하지만, 향후의 사용을 위하여 ISO 7816-2 표준은 이러한 2개의 접촉부를 예약한다. ISO 7816-10은 동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코드(FCB)에 C4를 할당한다.
지금부터,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USB 스마트 카드(200)로부터 분리될 준비가 갖춰진 USB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400)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400) 상에 위치된다. 이는 다른 USB 스마트 카드(200)의 형태 인자(form factor)이다.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400)는 스마트 카드(200)로부터 분리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토큰 리더(500) 내부에 삽입된다.
지금부터,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플러그 모듈(400)이 삽입된 토큰 리더(5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모듈 플러그(400)는 GSM 전화용으로 디자인된 SIM 애플리케이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즈 A 리셉터클을 구비한 호스트 PC(21) 루트 허브의 USB 포트(24) 또는 동일한 리셉터클을 구비한 허브의 USB 포트 내부로 직접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다. 토큰 리더(500)의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400) 상에 위치된 스마트 카드 모듈(10)의 전기적 형태는 플러그 커넥터(41)가 케이블(42)보다는 토큰 리더(500)에 부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와 동일하다.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에 의해 종단된 USB 형태의 스마트 카드 리더(500)에 삽입된 USB 호환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400)는 USB 스마트 카드 디바이스(46)를 구성한다.
지금부터,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는 도 7에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트래픽 활동을 표시하기 위한 LED(300)의 구동 및 플러그 커넥터(41)를 사용한 USB 포트(24) 및 토큰 리더(500) 내의 USB 스마트 카드 모듈(10) 사이의 USB 인터페이스 접속이 도시되어 있다. 토큰 리더(500) 내의 8개의 통과 커넥터 핀(50)은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접촉부에 연결된다. 스마트 카드 모듈(10)로부터의 전기적 연결부는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에 연결된다. USB 호환 스마트 카드 모듈(10)은 USB 시리즈 A 플러그 커넥터(41)에 의해 종단된 USB 형태의 토큰 리더(500)에 삽입된다. 커넥터(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리즈 A 리셉터클을 구비한 호스트 PC(21) 루트 허브의 USB 포트(24) 또는 동일한 리셉터클을 구비한 허브의 USB 포트에 직접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다. 허브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1 접촉부(1)에 연결된 VBUS 전원 공급부,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5 접촉부(5)에 연결된 GND 기준 전압,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4 접촉부(4)에 연결된 데이터 신호(D+), 및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의 C8 접촉부(8)에 연결된 데이터 신호(D-)를 제공한다. LED(300)의 애노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의 C7 접촉부에 연결되며, LED의 캐소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의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다. USB 형태의 토큰 리더는 대개 USB 사양에서 정의된 전기 및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카드 모듈에 이러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드 모듈 접촉부(C2,C3,C6)는 할당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4 접촉부(4) 및 C8 접촉부(8)를 사용하지만, ISO 7816-2 표준은 향후의 사용을 고려하여 이러한 2가지 접촉부를 예약한다. ISO 7816-10 은 동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코드(FCB)에 C4를 할당한다.
지금부터,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는 전류 소오스에 의해 C5 접촉부(5)에 바이어스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 LED(300)의 전기 회로(60)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소오스 회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에 장착된 IC(100)의 부품이다. 도 9는 NMOS 트랜지스터(63) 내로의 전류(62)가 LED(300)를 통해 흐르는 NMOS 트랜지스터(64)를 통한 전류에 비례하게끔 LED(300)의 전류가 전류(62)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63) 내에 결정될 수 있게 하는 NMOS 트랜지스터(63, 64)를 구비하는 전류 미러 회로(current mirror circuit; 60)를 보여준다. 전류 미러 회로와 그 작동은 전자 업계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NMOS 트랜지스터(64)는 C7 접촉부(7)와 C5 접촉부(5) 사이에서 연결된다. LED(300)은 공급 전압(VBUS)과 C7 접촉부(7) 사이에서 연결되며, LED(300)의 애노드는 VBUS에 연결되며, LED(300)의 캐소드는 C7 접촉부(7)에 연결된다. 전류(62), 결과적으로는 LED(300)를 통한 전류는 LED(300)의 밝기를 결정하며, USB 트래픽 양의 함수이다.
지금부터,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는 C1 접촉부(1)로부터 전류 소스에 의해 바이어스된 USB 트래픽 신호 LED(300)의 전기 회로(70)가 도시되어 있다. 전류 소오스 회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에 장착된 IC(100)의 부품이다. 도 10은 PMOS 트랜지스터(73) 내에의 전류(72)가 LED(300)를 통해 흐르는 PMOS 트랜지스터(72)를 통한 전류에 비례하게끔 LED(300)의 전류가 전류(72)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73) 내로 결정될 수 있게 하는 PMOS 트랜지스터(73,74)를 포함하는 전류 미러 회로(70)를 보여준다. 전류 미러 회로 및 그의 작동은 전자 업계의 숙련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PMOS 트랜지스터(74)는 I/O 접촉부(7) 및 C1 접촉부(1) 사이에 연결된다. LED(300)는 GND 기준 전압 및 C7 접촉부(7) 사이에 연결되며, LED(300)의 애노드는 C7 접촉부(7)에 연결되며, LED(300)의 캐소드는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다. 전류(72), 결과적으로는 LED(300)을 통한 전류는 LED(300)의 밝기를 결정하며, USB 트래픽 양의 함수이다.
지금부터,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는 C1 접촉부(1)로부터 전류 스위치에 의해 이네이블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 LED(300)의 전기 회로(80)가 도시되어 있다. 전류 스위치 회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에 장착된 IC(100)의 부품이다. 도 11은 C7 접촉부(7)와 C1 접촉부(1)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83)를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80)를 보여준다. LED(300) 및 저항기(11)로 구성된 시리즈 회로는 GND 기준 전압 및 C7 접촉부(7) 사이에 연결되며, LED(300)의 캐소드는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다. 음(-) 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83)의 게이트(82)에 인가되면, PMOS 트랜지스터(83)는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전류가 C7 접촉부(7)로부터 저항기(11)와 LED(300)를 통하여 GND 기준 전압으로 흐르게 된다. 저항기(11)는 LED(300)를 통하는 전류를 제한한다. PMOS 트랜지스터(83)의 게이 트(82)에 걸린 전압의 조절은 USB 트래픽의 함수이고, LED(300)의 밝기 조절은 USB 트래픽 양의 함수이다.
지금부터,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는 전류 스위치에 의해 C5 접촉부(5)로 인에이블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 LED(300)의 전기 회로(90)가 도시되어 있다. 전류 스위치 회로는 스마트 카드 모듈(10) 상에 장착된 IC(100)의 부품이다. 도 12는 C7 접촉부(7)와 C5 접촉부(5) 사이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93)를 포함하는 전압 스위치 회로(90)를 보여준다. LED(300)와 저항기(12)로 이루어진 시리즈 회로는 공급 전압(VBUS)과 C7 접촉부(7) 사이에서 연결되며, LED(300)의 애노드는 VBUS에 연결된다. 양(+) 전압이 NMOS 트랜지스터(93)의 게이트(92)에 인가되면, NMOS 트랜지스터(93)가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전류가 LED(300)와 저항기(12)를 통하여 GND 기준 전압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저항기(12)는 LED(300)를 통하여 전류를 제한한다. NMOS 트랜지스터(93)의 게이트(92)에 걸린 전압의 조절은 USB 트래픽의 함수이며, LED(300)의 밝기 조절은 USB 트래픽 양의 함수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커넥터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포트에 연결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과 상기 USB 포트 사이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과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 b) USB 패킷의 성공적인 송신 및 수신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로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커넥터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배치된 LED를 통해,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 단계는,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카운터의 입력에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b)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에 대한 인식가능한 표시가 제공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LED를 구동하는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출력 버퍼에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력 버퍼가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버퍼가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된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한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출력 버퍼는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한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출력 버퍼는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는, 커넥터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과 USB 포트 사이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트랜시버의 외부 단자와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시리얼 엔진의 입력에 상기 트랜시버의 내부 단자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시리얼 엔진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마이크로-제어기 및 카운터로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상호연결하는 단계; d)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상기 카운터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카운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 된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하는 단계; 및 f)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용 인터페이스 장치로 LED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되는 LED 장치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지니는 LED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a) 상기 LED의 애노드를 VBUS 공급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LED의 캐소드를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하여 조절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GND 기준 전압 접촉부와 I/O 접촉부 사이에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에 연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류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LED의 캐소드가 ISO7816 표준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a) 상기 LED의 애노드를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LED의 캐소드를 GND 기준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하여 조절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VBUS 공급 전압 접촉부와 I/O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에 연결하는 단계; 및 e)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 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류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LED의 애노드가 ISO7816 표준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a) 상기 LED의 캐소드를 GND 기준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 b) 저항기의 제1 단자를 상기 LED의 애노드에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를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I/O 접촉부와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ISO7816 표준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a) 상기 LED의 애노드를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연결하는 단계; b) 저항기의 제1 단자를 상기 LED의 캐소드에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를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I/O 접촉부와 GND 기준 전압 사이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연결하는 단계; 및 e)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 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ISO7816 표준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에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과 USB 포트 사이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a) 트랜시버의 외부 단자와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를 포함하는 USB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하는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트랜시버; b)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시리얼 엔진의 입력에 연결된 내부 단자를 지니는 상기 트랜시버; c) 정확한 전송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시리얼 엔진의 출력으로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마이크로-제어기와 카운터에 상호 연결된 시리얼 엔진의 출력; 및 d)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제어되는 상기 카운터를 포함하며, e) 상기 카운터의 출력은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f) 외부 단자에 연결된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서,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외부 LED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되는 LED 장치는 애노드과 캐소드를 지니는 LED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된 상기 LED의 애노드; b)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상기 LED의 캐소드;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GND 기준 전압 접촉부와 I/O 접촉부 사이에 연 결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 및 d)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e)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된 조절 전류는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한다. 상기 LED의 캐소드는 ISO7816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상기 LED의 애노드; b)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LED의 캐소드;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해 조절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VBUS 공급 전압 접촉부와 I/O 접촉부 사이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 및 d)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e)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된 조절 전류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한다. 상기 LED의 애노드는 ISO7816 표준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상기 LED의 캐소드; b) 상기 LED의 애노드에 연결된 저항기의 제1 단자; c)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 및 d) 상기 I/O 접촉부와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e)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된 조절 전압 소오스가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한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ISO7816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a)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된 상기 LED의 애노드; b) 상기 LED의 캐소드에 연결된 저항기의 제1 단자; c)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 및 d) 상기 I/O 접촉부와 GND 기준 전압 사이에 연결된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e)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제공된 조절 전압 소오스는 상기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한다.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가 ISO7816에 의해 정해진 접촉부(C2, C3, C6,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USB 시리얼 링크에 접속하기 위해 USB 스마트 카드와 호환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ISO 표준 스마트 카드 리더 및 스마트 카드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USB 트랜시버 및 USB 트래픽 신호 전송 회로를 지니는 신규한 IC의 블러 다이어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USB 스마트 카드 리더 및 스마트 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USB 트래픽 활동을 표시하기 위한 LED의 구동 및 케이블을 사용한 USB 포트 및 USB 스마트 카드 모듈 사이의 USB 인터페이스 접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USB 스마트 카드로부터 분리될 준비가 갖춰진 USB 스마트 카드 모듈 플러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이 삽입된 USB형 토큰 리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USB 트래픽 활동을 표시하기 위한 LED의 구동 및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한 USB 포트 및 토크 리더 내의 USB 스마트 카드 모듈 사이의 USB 인터페이스 접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GND 기준 전압에 대하여 전류 싱크에 의해 바이어스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용 LED의 전기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VBUS로부터 전류 소오스에 의해 바이어스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용 LED의 전기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VBUS에 대하여 스위치에 의해 이네이블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용 LED의 전기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GND 기준 전압에 대하여 스위치에 의해 이네이블된 USB 트래픽 신호 전송용 LED의 전기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29)

  1. 삭제
  2.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에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을 상기 USB 포트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4개의 스마트 카드 접촉부들 및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을 상기 USB 포트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접촉부를 지니고,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상의 접촉부들에 대응하는 접촉부들을 갖는 연결부(connector)를 지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USB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
    b) 한 USB 패킷이 성공적으로 송신 및 수신될 때, USB 트래픽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접촉부를 통해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상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을 상기 USB 포트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카드 접촉부에 연결되는 표시기(display)를 통해,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하여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a)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카운터의 입력에 연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는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 및 상기 카운터의 입력이 모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사용자에게 트랜잭션 활동 신호의 전송에 대한 인식가능한 표시가 제공되도록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가능한 표시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상에 위치된 표시기인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는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출력 버퍼에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가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가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되는 전류 소오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는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는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에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트랜시버들의 외부 단자들 및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들을 포함하는 USB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시리얼 엔진의 입력들에 상기 트랜시버들의 내부 단자들을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시리얼 엔진의 출력으로부터, 모두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마이크로-제어기 및 카운터로, 정확한 전송 신호를 상호연결하는 단계;
    d)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상기 카운터를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카운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하여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장치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지니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a) 상기 LED의 애노드를 VBUS 공급 전압에 연결시키는 단계;
    b) 상기 LED의 캐소드를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한 조절 전류 싱크(modulated current sink)를 제공하도록 GND 기준 전압 접촉부 및 상기 I/O 접촉부 사이에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d)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에 연결시키는 단계; 및
    e)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류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캐소드가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a) 상기 LED의 애노드를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시키는 단계;
    b) 상기 LED의 캐소드를 GND 기준 전압에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한 조절 전류 소오스를 제공하도록 VBUS 공급 전압 접촉부와 상기 I/O 접촉부 사이에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d)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에 연결시키는 단계; 및
    e)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류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애노드가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a) 상기 LED와 직렬로 저항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b)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1 단자를 GND 기준 전압에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를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시키는 단계;
    d) 상기 I/O 접촉부 및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e)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과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는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은,
    a) 상기 LED와 직렬로 저항기를 연결시키는 단계;
    b)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1 단자를 VBUS 공급 전압에 연결시키는 단계;
    c)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를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시키는 단계;
    d) 상기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사이에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e)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조절 전압 소오스를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의 제2 단자는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방법.
  2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에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시버들은 상기 트랜시버들의 외부 단자들 및 USB 포트 사이에서 차등 시리얼 신호들을 포함하는 USB 패킷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트랜시버들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시리얼 엔진의 입력에 연결된 내부 단자들을 지니며,
    상기 시리얼 엔진의 출력은 정확한 전송 신호를 제공하며 모두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마이크로-제어기 및 카운터에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는 상기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운터의 출력은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에 위치된 출력 버퍼의 입력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정확한 전송 신호를 기초로 하여 트랜잭션 활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구동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지니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a)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된 LED의 애노드;
    b)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LED의 캐소드;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한 조절 전류 싱크를 제공하도록 GND 기준 전압 접촉부 및 상기 I/O 접촉부 사이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NMOS 트랜지스터; 및
    d)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2 N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되는 조절 전류는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캐소드는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a)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된 LED의 애노드;
    b)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된 LED의 캐소드;
    c) 상기 LED의 조명을 위한 조절 전류 소스를 제공하도록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및 상기 I/O 접촉부 사이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1 PMOS 트랜지스터; 및
    d)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미러 회로의 제2 PMOS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로 제공되는 조절 전류가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애노드는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a) 상기 LED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기;
    b) GND 기준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1 단자;
    c)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 및
    d) 상기 I/O 접촉부 및 VBUS 공급 전압 접촉부 사이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P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가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는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는,
    a) 상기 LED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기;
    b) VBUS 공급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1 단자;
    c)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I/O 접촉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 및
    d) 상기 I/O 접촉부 및 GND 기준 전압 사이에 연결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전류 스위치 회로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 버퍼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내의 NMOS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게이트 단자에 제공되는 조절 전압 소오스는 USB 트랜잭션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상기 LED의 조명 강도가 상기 USB 트랜잭션 활동에 따라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연결된 LED의 제2 단자가 접촉부인 C2, C3, C6 및 C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USB 스마트 카드 모듈의 한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스마트 카드 모듈 및 USB 포트 간의 트랜잭션 활동 신호 전송 장치.
KR1020087021339A 2000-09-14 2001-09-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100990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61,748 US6694399B1 (en) 2000-09-14 2000-09-14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serial bus smart card traffic signaling
US09/661,748 2000-09-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784A Division KR100974572B1 (ko) 2000-09-14 2001-09-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781A KR20090009781A (ko) 2009-01-23
KR100990189B1 true KR100990189B1 (ko) 2010-10-29

Family

ID=246549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339A KR100990189B1 (ko) 2000-09-14 2001-09-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037003784A KR100974572B1 (ko) 2000-09-14 2001-09-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784A KR100974572B1 (ko) 2000-09-14 2001-09-10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694399B1 (ko)
EP (1) EP1317713B1 (ko)
JP (1) JP4948741B2 (ko)
KR (2) KR100990189B1 (ko)
CN (1) CN1249595C (ko)
AT (1) ATE344492T1 (ko)
AU (1) AU2001288990A1 (ko)
BR (1) BR0113908A (ko)
DE (1) DE60124273T2 (ko)
DK (1) DK1317713T3 (ko)
ES (1) ES2277939T3 (ko)
MX (1) MXPA03002250A (ko)
WO (1) WO20020233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3336B1 (fr) * 1998-09-11 2001-10-12 Schlumberger Ind S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carte pour une telle transmission
FR2808608A1 (fr) * 2000-05-03 2001-11-09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destinee a etre introduite dans un dispositif de traitement
US6744634B2 (en) * 2001-11-23 2004-06-01 Power Quotient International Co., Ltd. Low height USB interface connecting device and a memory storage apparatus thereof
JP2005518589A (ja) * 2002-02-22 2005-06-23 レクサー メディア,インク. インジケータライトが一体化されたリムーバブル記憶媒体
EP1535240B1 (en) * 2002-08-26 2009-03-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Sim, ic module and ic card
US20050044385A1 (en) * 2002-09-09 2005-02-24 John Holdsworth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40093496A1 (en) * 2002-11-04 2004-05-13 Colnot Vincent Cedric Method and apparatus to secure online transactions on the internet
FR2849945B1 (fr) * 2003-01-10 2005-03-11 Atmel Corp Moyens pour la communication des cartes a puces usb utilisant des transferts a vitesse maximale ou elevee
US7143224B2 (en) 2003-05-09 2006-11-28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for performing advance operations to enhance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s
US6783078B1 (en) 2003-05-09 2004-08-31 Stmicroelectronics, Inc. Universal serial bus (USB) smart card having read back testing features and related system,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s
US7080789B2 (en) 2003-05-09 2006-07-25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including a JTAG test controller and related methods
US7181649B2 (en) 2003-05-09 2007-02-20 Stmicroelectronics, Inc. Universal serial bus (USB) smart card having enhanced testing features and related system,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s
US7373522B2 (en) 2003-05-09 2008-05-13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with enhanced security features and related system,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s
US7369982B2 (en) 2003-06-04 2008-05-06 Stmicroelectronics, Inc. Multi-mode smart card emulator and related methods
EP1511313A1 (en) * 2003-08-29 2005-03-02 Thomson Licensing S.A. Control device, smart card reading activation device and associated products
ITTO20030716A1 (it) * 2003-09-18 2005-03-19 Eutron Infosecurity Srl Dispositivo multi-funzione portatile per elaboratori elettronici
US7213766B2 (en) * 2003-11-17 2007-05-08 Dpd Patent Trust Ltd Multi-interface compact personal toke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7762470B2 (en) 2003-11-17 2010-07-27 Dpd Patent Trust Ltd. RFID token with multiple interface controller
US7597250B2 (en) 2003-11-17 2009-10-06 Dpd Patent Trust Ltd. RFID reader with multiple interfaces
US7904607B2 (en) 2004-04-21 2011-03-08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with self-reconfigur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8234421B2 (en) * 2004-04-21 2012-07-31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with selectively allocatable data buffers and associated methods
US8046508B2 (en) 2004-04-21 2011-10-25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with self-detachment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7328849B2 (en) 2004-04-21 2008-02-12 Stmicroelectronics, Inc. Smart card providing data mapping for multiple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050263596A1 (en) * 2004-05-12 2005-12-01 Solicore, Inc. Portable charger, including portable sleeve, for an electronically readable card
JP4981271B2 (ja) * 2004-07-05 2012-07-18 三星電子株式会社 モード検出を含むマルチモード集積回路装置及びそれの動作方法
DE102004039201A1 (de) * 2004-08-12 2006-02-23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agbaren Datenträgers
US7685328B2 (en) 2004-09-09 2010-03-23 Stmicroelectronics, Inc. Generic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perable at low and full speed and adapted for use in a smart card device
EP1638264A1 (en) * 2004-09-15 2006-03-22 Axalto S.A. Wireless USB network adapter with smart card
US7748636B2 (en) * 2004-11-16 2010-07-06 Dpd Patent Trust Ltd. Portable identity card reader system for physical and logical access
FR2883653B1 (fr) * 2005-03-22 2007-05-25 Gemplus Sa Module electronique et carte a puce avec indicateur lumineux
DE102005057557A1 (de) * 2005-11-30 2007-05-31 Vodafone Holding Gmbh Chipkarte mit Steuerungsprozessor
JP2008027235A (ja) * 2006-07-21 2008-02-0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80268938A1 (en) * 2007-04-28 2008-10-30 Stephane Pierre Doutriaux Systems and methods for gambling using combinations of gaming devices
US20090159703A1 (en) 2007-12-24 2009-06-25 Dynamics Inc. Credit, security, debit cards and the like with buttons
US8134471B2 (en) * 2009-03-20 2012-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ert protocol for indicating a failure condition in a distributed system
CN102914981A (zh) * 2011-08-05 2013-02-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芯片烧录检测系统
US8649820B2 (en) 2011-11-07 2014-02-11 Blackberry Limit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CN102520272B (zh) * 2011-11-24 2015-07-15 大唐微电子技术有限公司 智能卡掉电保护功能的测试系统及方法
US8936199B2 (en) 2012-04-13 2015-01-20 Blackberry Limited UICC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D703208S1 (en) 2012-04-13 2014-04-22 Blackberry Limited UICC apparatus
USD701864S1 (en) * 2012-04-23 2014-04-01 Blackberry Limited UICC apparatus
US9159149B2 (en) 2013-03-14 2015-10-13 Intern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izing data transfers in distributed file system
DE102013104142B4 (de) * 2013-04-24 2023-06-15 Infineon Technologies Ag Chipkarte
FR3116138B1 (fr) * 2020-11-12 2023-11-24 St Microelectronics Rousset Dispositif pour l'enrôlement d'une carte à micro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940B2 (ja) * 1992-04-30 2000-12-11 松下電工株式会社 通信回線状態表示回路
JPH10302030A (ja) * 1997-02-28 1998-11-13 Toshiba Corp 接続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3134821B2 (ja) * 1997-09-02 2001-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6119194A (en) 1998-03-19 2000-09-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iversal serial bus activity
US6151647A (en) * 1998-03-26 2000-11-21 Gemplus Versatile interface smart card
US6199128B1 (en) * 1998-03-26 2001-03-06 Gemplus, S.C.A. Smart card system for use with peripheral devices
US6581122B1 (en) * 1998-03-26 2003-06-17 Gemplus Smart card which operates with the USB protocol
FR2783336B1 (fr) * 1998-09-11 2001-10-12 Schlumberger Ind S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carte pour une telle transmission
US6168077B1 (en) * 1998-10-21 2001-01-02 Litronic,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dual mode card and reader
EP1001329B1 (en) 1998-11-10 2007-04-18 Aladdin Knowledge Systems Ltd. A user-computer interaction method for use by flexibly connectable computer systems
US7272723B1 (en) 1999-01-15 2007-09-18 Safenet, Inc. USB-compliant personal key with integral input and output devices
US6343364B1 (en) * 2000-07-13 2002-01-29 Schlumberger Malco Inc. Method and device for local clock generation using universal serial bus downstream received signals DP and DM
US6439464B1 (en) * 2000-10-11 2002-08-27 Stmicroelectronics, Inc. Dual mode smart card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88990A1 (en) 2002-03-26
CN1249595C (zh) 2006-04-05
BR0113908A (pt) 2005-04-19
MXPA03002250A (es) 2004-12-03
WO2002023357A2 (en) 2002-03-21
KR20090009781A (ko) 2009-01-23
KR20030051651A (ko) 2003-06-25
CN1484792A (zh) 2004-03-24
DK1317713T3 (da) 2007-03-05
JP2004524597A (ja) 2004-08-12
EP1317713B1 (en) 2006-11-02
DE60124273D1 (de) 2006-12-14
ES2277939T3 (es) 2007-08-01
ATE344492T1 (de) 2006-11-15
DE60124273T2 (de) 2007-05-31
EP1317713A2 (en) 2003-06-11
US6694399B1 (en) 2004-02-17
WO2002023357A3 (en) 2003-04-03
KR100974572B1 (ko) 2010-08-06
JP4948741B2 (ja)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189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스마트 카드 트래픽 신호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US7685328B2 (en) Generic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perable at low and full speed and adapted for use in a smart card device
US6752321B1 (en) Smart card and method that modulates multi-color LED indicative of operational attributes and/or transactions between the smart card and USB port of a USB host
US7413129B2 (en) USB device with secondary USB on-the-go function
US67696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universal serial bus smart card device connected to USB host
EP1473664B1 (en) Smart card device as mass storage device
CN100530068C (zh) 包括模式检测的多模式集成电路器件和使它工作的方法
US6439464B1 (en) Dual mode smart card and associated methods
JP2004520642A (ja) マルチモード・スマートカード・システム及びこれに関連する方法
EP0537287A1 (en) Method and coupler for interfacing a portable data carrier with a host processor
JP2002525720A (ja) データ伝送の方法及びデータ伝送のためのカード
US8453939B2 (en) Smart card support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KR20050098855A (ko) 전속 또는 고속 전송을 이용하여 usb 스마트 카드와통신하는 수단
US6772956B1 (en) Smart card and method that modulates traffic signaling indicative of operational attributes of the smart card and/or transactions between the smart card and USB port of a USB host
JP4981271B2 (ja) モード検出を含むマルチモード集積回路装置及びそれの動作方法
CN202111694U (zh) 集成电路贴片及移动通信装置
KR20070042792A (ko) Usb 데이터 통신 및 비접촉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및 스마트 카드 소켓
WO2014067845A1 (en) Smart card including an integrated usb card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