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804B1 -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 Google Patents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804B1
KR100989804B1 KR1020090121271A KR20090121271A KR100989804B1 KR 100989804 B1 KR100989804 B1 KR 100989804B1 KR 1020090121271 A KR1020090121271 A KR 1020090121271A KR 20090121271 A KR20090121271 A KR 20090121271A KR 100989804 B1 KR100989804 B1 KR 10098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inforcement
suspension link
front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익
이학주
우창수
김경식
김주성
김기주
김영종
이용헌
박준협
김윤재
명만식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2Shaping by stamping
    • B60G2206/81022Shaping by stamping by fo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대비 인장, 면내굽힘, 면외굽힘 강성이 뛰어난 서스펜셔 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부에 스프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하중 지지 영역을 확보하고, 판상의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이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판상의 내부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여 외력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는 한편,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광역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경량화되는 장점이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링크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 링크, 보강 프레임, 스프링 장착 프레임, 알루미늄, 경량화

Description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An Aluminum Suspensions Link For Vehicle Weight Reduction}
본 발명은 무게 대비 인장, 면내굽힘, 면외굽힘 강성이 뛰어난 서스펜셔 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부에 스프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하중 지지 영역을 확보하고, 판상의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이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판상의 내부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여 외력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는 한편,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광역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경량화되는 장점이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가급등과 차량 경량화의 요구로 인하여 무게가 가벼운 부품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서스펜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링크(1)는 서스펜션(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다.
서스펜션 링크(1)는 차량에 장착되어 다양한 형태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인장, 면내 굽힘, 면외 굽힘 강성 등을 컴퓨터를 이용한 유한 요소해석을 통하여 시 뮬레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인장, 면내 굽힘, 면외 굽힘 강성은 한쪽을 완전히 고정한 채 단위하중을 부여하여 서스펜션 링크(1)에 걸리는 강성 값을 상호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철강재료를 적용한 서스펜션 링크(1)의 경우 무게가 무거워 차량 연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서스펜션의 특성상 0 ~ 100 km/h로 출발 가속 시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의 대체 재료 및 구조에 있어서 기존의 철강재료 부품과의 비교해 볼 때 무게가 가볍고 인장, 굽힘, 비틀림 강성은 뛰어난 링크 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철강재료 부품과의 비교해 볼 때 무게가 가볍고 인장, 면내 굽힘, 면외 굽힘 강성은 뛰어난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부품이 연결되는 서스펜션 링크로서, 중앙부에 스프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하중 지지 영역을 확보하고, 판상의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이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판상의 내부 보강 프레임을 설치하여 외력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는 한편,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에 광역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경량화되는 장점이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링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11) 또는 연결구멍(112)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판상의 전방 프레임(110);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21) 또는 연결구멍(122)이 형성되고,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후방 프레임(120); 완충 작용을 위한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둘레면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중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부(110-1)에 연결 고정되고, 후방 둘레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중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부(120-1)에 연결 고정되는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외부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는 판상의 내부 보강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과 예각을 이루며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호 교차하는 적어도 2개의 평판형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판상의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일측단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의 교차부위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2)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 제4 내부 보강 프레임(144);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 사이에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판형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 일측단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의 교차부위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 제4 내부 보강 프레임(144);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단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 사이 및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일측단과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외측면 중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 사이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측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부착되는 판상의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외측면 중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 사이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측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단이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연결되되,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상기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며 설치되는 판상의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 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에 연결되되,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상기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며 설치되는 판상의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의 하단 중앙부에는 중량 감소를 위한 통공(130-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하여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 사이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 사이에 연결되며 중량 감소를 위하여 통공(160-1)이 형성된 하부 연결면(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는 기존의 철강재료 부품과의 비교해 볼 때 무게가 가볍고 인장, 면내 굽힘에는 다소 약한면이 있으나, 면외 강성은 뛰어난 특징이 있어, 차량의 내구성과 연비 상승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3은 도2의 평면도를,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종래 기술의 물성 실험 데이터의 비교도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방 프레임(110), 후방 프레임(120),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 및 내부 보강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110)은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11) 또는 연결구멍(112)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다. 전방 프레임(110)은 중앙부(110-1)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서, 판 형상일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후방 프레임(120)은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21) 또는 연결구멍(122)이 형성되고, 전방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다. 후방 프레임(120)은 전방 프레임(110)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프레임(120)은 중앙부(120-1)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서, 판 형상일 수 있다.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은 외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각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은 완충 작용을 위한 스프링(도면 미도시)이 안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은 전방 둘레면이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에 연결 고정되고, 후방 둘레면이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에 연결 고정된다.
도3을 참조하면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의 하단 중앙부에는 중량 감소를 위한 통공(13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 및 제4 내부 보강 프레임(144)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하중, 비틀림, 굽힘 등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은 전단이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는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은 전단이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는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과 예각을 이루며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이다.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데, 상호 교차하며 설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은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을 포함하는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설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은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단(좌측단)과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 사이 및 후방 프레임(120)의 일측단(좌측단)과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 사이에 설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은 전단이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는데, 서스펜션 링크(10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판형이다.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은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4 내부 보강 프레임(144)은 일측단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의 교차부위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에 연결되는데, 서스펜션 링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110)의 외측면에는 판상의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이 설치된다.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은 전방 프레임(110)의 외측면 중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우측단) 사이에 설치되는데, 양측단이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후방 프레임(120)의 외측면에는 판상의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이 설치된다.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은 후방 프레임(120)의 외측면 중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우측단) 사이에 설치되는데, 양측단이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부착됨으로써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은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 사이에는 판상의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이 설치된다.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은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수평면에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전단이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에 연결되고 후단이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연결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 사이에는 판상의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이 연결된다.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은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수평면에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전단이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연결되고 후단이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에 연결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전방 프레임(110)의 우측부과 후방 프레임(120)의 우측부 사이에는 하부 연결면(160)이 설치된다. 서스펜션은 한 부품이 아니 여러 가지 부품이 결합해서 만들어지는 장치로서 하부 연결면(160)은 다른 부품과의 연결 을 위한 것이다. 하부 연결면(160)은 전단이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우측단) 사이에 연결되고, 후단이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우측단) 사이에 연결된다. 하부 연결면(160)에는 중량 감소를 위하여 통공(160-1)이 형성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을 판상으로 형성하고,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 사이에 판상의 내부 보강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 사이에 다수개의 공간부(S)가 형성되어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 사이에 내부 보강 프레임 및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전방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 및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이 설치되고, 후방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 및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하중, 비틀림, 굽힘 등이 분산되어 이들 하중, 비틀림, 굽힘 등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일실시예는 무게를 더욱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강성이 증대되도록 액상단조로 제조될 수 있다.
도4의 비교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일실시예와 종래기술의 일측단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타측단에 단위 하중과 단위 비틀림 각도를 주어 인장, 면내 굽힘 및 면외 굽힘 강성을 부여하였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기존의 철강제품을 적용하여 제작된 종래기술의 서스펜션 링크에 비하여 무게는 다소 감소하고 강성은 면외 굽힘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록 상기한 일실시예가 인장 및 면내 굽힘 강성에서 종래기술의 서스펜션 링크 보다 다소 떨어지는 면이 있지만 이는 부과되는 하중에 맞추어 전방 프레임(110) 및 후방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보강 프레임의 위치 및 두께를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서스펜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3은 도2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종래 기술의 물성 실험 데이터의 비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서스펜션 링크
110:전방 프레임 110-1:중앙부
111:연결홈 112:연결구멍
120:후방 프레임 120-1:중앙부
121:연결홈 122:연결구멍
130:스프링 장착 프레임 130-1:관통공
141-1:제1-1 내부 보강 프레임 141-2:제1-2 내부 보강 프레임
142-1, 142-2:제2 내부 보강 프레임
143:제3 내부 보강 프레임
144:제4 내부 보강 프레임
151: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 151-1: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
152: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 152-1: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
160:하부 연결면 160-1:통공

Claims (10)

  1.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100)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링크는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11) 또는 연결구멍(112)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판상의 전방 프레임(110);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홈(121) 또는 연결구멍(122)이 형성되고,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후방에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후방 프레임(120);
    완충 작용을 위한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방 둘레면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중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부(110-1)에 연결 고정되고, 후방 둘레면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중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중앙부(120-1)에 연결 고정되며, 하단 중앙부에는 중량 감소를 위한 통공(130-1)이 형성되는 스프링 장착 프레임(130);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을 포함하는 평판형의 제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141-2)과,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폭방향과 예각을 이루며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호 교차하는 적어도 2개의 평판형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과,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연결되되 상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 사이에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판형 제3 내부 보강 프레임(143), 및
    일측단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내부 보강 프레임(142-1, 142-2)의 교차부위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에 연결되되, 상기 서스펜션 링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 제4 내부 보강 프레임(144)을 포함하는 내부 보강 프레임; 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알루미늄 합금으로 액상단조를 통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내부 보강 프레임(141-1) 및 제1-2 내부 보강 프레임(141-2)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일측단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 사이 및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일측단과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외측면 중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 사이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측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부착되는 판상의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외측면 중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 사이에는,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측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과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7. 제6항에 있어서,
    전단이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에 연결되되, 상기 전방 프레임(110) 외측면과 상기 외부 전방 보강 프레임(1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며 설치되는 판상의 외부 전방 연결 프레임(151-1);
    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에 연결되되, 상기 후방 프레임(120) 외측면과 상기 외부 후방 보강 프레임(1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상하방향으로 차단하며 설치되는 판상의 외부 후방 연결 프레임(15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하여 전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중앙부(110-1)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타측단 사이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중앙부(120-1)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타측단 사이에 연결되며 중량 감소를 위하여 통공(160-1)이 형성된 하부 연결면(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KR1020090121271A 2009-12-08 2009-12-08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KR10098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71A KR100989804B1 (ko) 2009-12-08 2009-12-08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71A KR100989804B1 (ko) 2009-12-08 2009-12-08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804B1 true KR100989804B1 (ko) 2010-10-29

Family

ID=4313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71A KR100989804B1 (ko) 2009-12-08 2009-12-08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628A1 (de) * 2022-08-29 2024-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2890A1 (ja) * 2003-07-03 2005-01-13 Aisin Keikinzoku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2890A1 (ja) * 2003-07-03 2005-01-13 Aisin Keikinzoku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628A1 (de) * 2022-08-29 2024-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3406B (zh) 具有y梁式控制臂的扭转梁悬架
CN100377929C (zh) 具有地板冲击运动限制装置的车辆支撑结构
MX2015001582A (es) Suspension de eje de vehiculo motorizado con muelle de ballesta longitudinal.
US9573436B2 (en) Torsion beam, torsion beam assembly, and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system
JP5049833B2 (ja) 吊りボルト支持具
Agrawal et 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ruck chassis frame
KR100989804B1 (ko) 차량 경량화를 위한 서스펜션 링크
CN205675107U (zh) 悬架横梁及采用该悬架横梁的重型车辆
CN104002633B (zh) 单点悬挂装置
CN203186017U (zh) 一种汽车双横臂独立悬架机构
CN201132476Y (zh) 一种吊耳及使用该吊耳的悬架
US20050179224A1 (en) Leaf spring retaining bracket
JP6082932B1 (ja) 橋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CN102219028B (zh) 包括带垂直开口的两个悬挂臂的用于汽车的后桥
KR20090120650A (ko) 하부 스트럿 바
CN204488953U (zh) 汽车车身后部支撑结构
KR20190086169A (ko) 수제자동차 프레임의 플레이트형 액슬 장착구조
CN203449870U (zh) 一种平衡悬架板簧滑板座
CN104843072A (zh) 一种仿生车架
EP2275290B1 (en) Multifunctional support for a cantilever spring suspension in a vehicle, especially with two axles
CN112238904A (zh) 厢体地板
CN212555721U (zh) 一种新型钢板弹簧结构
KR102238053B1 (ko) 차량용 멀티링크식 리어 서스펜션
CN204095430U (zh) 板簧托板、板簧悬架系统和车辆
CN204846059U (zh) 一种仿生无大梁半挂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