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677B1 -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677B1
KR100989677B1 KR1020080093234A KR20080093234A KR100989677B1 KR 100989677 B1 KR100989677 B1 KR 100989677B1 KR 1020080093234 A KR1020080093234 A KR 1020080093234A KR 20080093234 A KR20080093234 A KR 20080093234A KR 100989677 B1 KR100989677 B1 KR 10098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211A (ko
Inventor
이남경
장대익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677B1/ko
Priority to US12/812,989 priority patent/US20100290459A1/en
Priority to PCT/KR2009/005191 priority patent/WO2010035973A2/en
Publication of KR2010003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수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및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와 동기화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위성 통신망 환경에서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data of variable length, and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위성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 2006-S-020-03, 과제명 : 고속 이동체 인터넷 위성.무선 연동 기술개발]
종래 통신 기술 중 위성망을 통한 고속의 양방향 위성 통신 시스템은 순방향 링크로 TDM(Time Division Multiplexer) 방식의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포맷(DVB-S, Digital Video Broadcasting-Satellite) 방식을 사용하고, 역방향 링크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DVB-RCS(Digital Video Broadcasting with Return Channel via Satellite)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위성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신측의 클록 복원을 위해 중심국(Hub Station)의 기준 클록에 의해 생성된 PCR(Program Clock Reference) 정보를 특정 PID(Program ID)를 갖는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Transport Stream) 패킷에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수신측은 이렇게 전송되는 PCR 값 자체와 수신되는 PCR 주기를 이용하여 중심국의 기본 클록을 복원하여 수신측의 기준 클록으로 사용한다. 이 같이 위성을 통한 역방향 링크의 클록(clock) 및 타이밍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MEPG 규격의 PCR 필드에 삽입되는 값을 NCR(Network Clock Reference)이라 한다.
기존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Digital Vedio Broadcasting) 규격은 MPEG-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Transport Stream)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해왔으나, DVB-S2와 같은 차세대 규격에서는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라고 하는 가변 길이의 패킷 전송 방식을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은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융통성 있는 전송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방송 및 통신을 위해 필요한 송신단과 수신단의 동기화에 대한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송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위성 통신망에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및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와 동기화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수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정보 생성부;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는 동기 정보 삽입부; 및 상기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는 복원부; 및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가 상기 전송 데이터에 오류 발생 여부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을 적용하는 위성 통신망 환경에서, 동기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위성 통신망 환경에서도 양방향 통 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DVB-S 또는 DVB-S2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MPE/MPEG-TS 방식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율(throughput)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러 정정 기능에 따라 전송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는 데이터 송신부(10)와 데이터 수신부(20) 및 데이터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140)는 동기 정보 삽입부(130)에 의해 생성된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부(140)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위성망을 통해 DVB-S2 규격에 맞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40)는 데이터 송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데이터를 외부의 수신 모드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의 송신 모드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20)로 전달한다.
데이터 송신부(10)는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장치가 송신 모드일 때 동작하며, GPS 수신부(100), 클록 생성부(110), 동기 정보 생성부(120) 및 동기 정보 삽입부(130)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100)는 GPS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GPS 수신부(100)는 시각정보, 속도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클록 생성부(110)는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록 생성부(110)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클록 발생기, 혹은 클록 발생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기 정보 생성부(120)는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기 정보는 데이터 수신 장치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해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정보 생성부(120)는 GPS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구비된 클록 생성부(110)로부터 획득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획득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 패킷을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동기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동기 정보를 삽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 데이터 형태로 GSE 방식으로 캡슐화하는 과정에서 그 전송 데이터 일부에 동기 정보를 포함시켜 캡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때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는 MODCOD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은 변조 포맷 정보, 부호율 정보를 포함하는 MODCOD 정보와, 이 MODCOD를 사용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주소 정보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동기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타이머의 계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면,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 즉, Data_MODCOD 정보와, 동기 정보 전송을 위한 변복조 관한 정보인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Data_MODCOD 정보와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면, 전송할 패킷 데이터와 동기 정보를 하나의 기저 대역 프레임 필드 내에 포함되도록 기저 대역 데이터 패킷을 형성함으로써 패킷 캡슐화를 수행한다. 캡슐화는 GSE 프로토콜에 따라 GSE 해더를 부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면, Data_MODCOD 정보와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각각의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에 따라 별도의 기저 대역 데이터 패킷으로 캡슐화를 수행한다.
한편, 동기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로부터 동기 정보 패킷에 대한 Syn_MODCOD 정보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때 가장 낮은 효율성(efficiency)을 갖는 Syn_MODCOD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기 정보에 GSE 헤더를 부가하여, GSE 패킷을 형성함으로써 동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 정보 삽입부(130)가 동기 정보를 패킷 데이터에 삽입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동기 정보 삽입부(130)는 오류 검출을 위한 정보를 더 인코딩하여 전송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 오류 발생을 검출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20)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수신 모드일 경우에 동작하며, 동기화부(150) 및 복원부(160)를 포함한다.
복원부(160)는 데이터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 정보를 파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원부(160) 캡슐화된 전송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하여 동기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그러나 복원부(160)가 동기 정보를 복원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동기화부(150)는 복원부(160)에서 복원된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DVB 신호를 전송한 데이터 송신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동기화된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부(140)를 통해 데이터 송신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는 GPS 수신부(200), 클록 생성부(210), 동기 정보 생성부(220), 동기 정보 삽입부(230),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200)는 GPS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GPS 수신부(200)는 시각정보, 속도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클록 생성부(210)는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록 생성부(210)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클록 발생기, 혹은 클록 발생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기 정보 생성부(220)는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기 정보는 데이터 수신 장치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해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정보 생성부(220)는 GPS 수신부(200)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구비된 클록 생성부(210)로부터 획득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획득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 패킷을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동기 정보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동기 정보를 삽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 데이터 형태로 GSE 방식으로 캡슐화하는 과정에서 그 전송 데이터 일부에 동기 정보를 포함시켜 캡슐화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때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는 MODCOD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은 변조 포맷 정보, 부호율 정보를 포함하는 MODCOD 정보와, 이 MODCOD를 사용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주소 정보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동기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타이머의 계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면,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 즉, Data_MODCOD 정보와, 동기 정보 전송을 위한 변복조 관한 정보인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Data_MODCOD 정보와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면, 전송할 패킷 데이터와 동기 정보를 하나의 기저 대역 프레임 필드 내에 포함되도록 기저 대역 데이터 패킷을 형성함으로써 패킷 캡슐화를 수행한다. 캡슐화는 GSE 프로토콜에 따라 GSE 해더를 부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면, Data_MODCOD 정보와 Syn_MODCOD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각각의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에 따라 별도의 기저 대역 데이터 패킷으로 캡슐화를 수행한다.
한편, 동기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송할 패킷 데이터 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로부터 동기 정보 패킷에 대한 Syn_MODCOD 정보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때 가장 낮은 효율성(efficiency)을 갖는 Syn_MODCOD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기 정보에 GSE 헤더를 부가하여, GSE 패킷을 형성함으로써 동기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 정보 삽입부(230)가 동기 정보를 패킷 데이터에 삽입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동기 정보 삽입부(230)는 오류 검출을 위한 정보를 더 인코딩하여 전송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동기 정보 삽입부(230)에 의해 생성된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240)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위성망을 통해 DVB-S2 규격에 맞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300), 복원부(310) 및 동기화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장치는 통신부(300)를 통해 위성 DVB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300)는 DVB-S2 규격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적 구성일 수 있다.
복원부(310)는 통신부(300)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 정 보를 파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원부(310) 캡슐화된 전송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하여 동기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그러나 복원부(310)가 동기 정보를 복원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동기화부(320)는 복원부(310)에서 복원된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성 DVB 신호를 전송한 데이터 송신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동기화된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부(300)를 통해 데이터 송신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데이터 전송 장치는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때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는 MODCOD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슐화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은 변조 포맷 정보, 부호율 정보를 포함하는 MODCOD 정보와, 이 MODCOD를 사용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주소 정보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동기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타이머의 계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면(S400), 동기 정보를 생성한다(S410).
여기서 동기정보는 데이터 수신 장치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해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획득되는 신호 예를들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구비된 클록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S420), 그 패킷 데이터에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 데이터 포맷으로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다(S430). 본 실시예에 있어서, GSE 프로토콜에 의해 GSE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동기 정보 삽입 주기가 도래하더라도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입력이 없으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다(S425).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송시 오류 발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오류 검출 정보를 더 포함시킨다(S440).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위성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450).
데이터 수신 장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삽입한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460).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송 데이터로부터 동기 정보를 복원한다(S470).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때, 전송 데이터에 포함된 오류 검출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80).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 오류 발생 여부를 즉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악되는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와 동기화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S490).
한편, 전술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7)

  1.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고,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와 동기 정보 전송을 위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면,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방식으로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화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및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와 동기화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클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생성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로 수신되는 지피에스 시간 정보 를 이용하여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전송할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동기 정보 전송 주기가 도래했을 때, 상기 전송 데이터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 1 항 내지 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오류 발생 여부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7. 제 1 항 내지 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8.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장치와 데이터 통신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정보 생성부;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와 동기 정보 전송을 위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면,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방식으로 캡슐화하는 동기 정보 삽입부; 및
    상기 동기 정보가 삽입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클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로 수신되는 지피에스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보 삽입부는 상기 전송 데이터에 오류 발생 여부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2.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방식으로 디캡슐화하여 복원하는 복원부; 및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14.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장치가 동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변 길이 패킷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대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와 동기 정보 전송을 위한 변복조 방식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면, 패킷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 데이터에 상기 생성되는 동기 정보를 삽입하여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방식으로 캡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화된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동기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가 상기 전송 데이터에 오류 발생 여부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전송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동기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80093234A 2008-09-23 2008-09-23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KR10098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4A KR100989677B1 (ko) 2008-09-23 2008-09-23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US12/812,989 US20100290459A1 (en) 2008-09-23 2009-09-11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data of variable length, and receiving apparatus
PCT/KR2009/005191 WO2010035973A2 (en) 2008-09-23 2009-09-11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data of variable length, and rece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4A KR100989677B1 (ko) 2008-09-23 2008-09-23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11A KR20100034211A (ko) 2010-04-01
KR100989677B1 true KR100989677B1 (ko) 2010-10-26

Family

ID=4206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234A KR100989677B1 (ko) 2008-09-23 2008-09-23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90459A1 (ko)
KR (1) KR100989677B1 (ko)
WO (1) WO20100359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305A1 (en) * 2012-04-25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378567B1 (ko) * 2013-08-23 2014-03-27 주식회사 에세텔 무선 백홀 장치에서 동기 신호 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457187B1 (ko) * 2014-02-27 2014-10-31 주식회사 에세텔 무선 백홀 장치에서 동기 신호 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6093537A1 (ko) 2014-12-10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6199603A1 (ja) * 2015-06-11 2016-12-1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617187B (zh) * 2016-08-15 2018-03-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多媒體處理系統與其控制方法
KR101984296B1 (ko) * 2017-10-20 2019-09-03 국방과학연구소 가변 길이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194A (ko) * 1998-12-11 2000-07-05 정선종 비대칭형 멀티미디어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망 동기장치 및 그방법
KR20060121107A (ko) *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디지털 방송용 전송 스트림 패킷의구성방법과 디지털 방송 송신기 및 그의 신호 처리방법
KR100658224B1 (ko) 2005-11-11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01269A (ko) * 2005-01-11 2007-10-16 톰슨 라이센싱 Ip를 통해 mpeg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과, 대응하는디바이스, 수신 방법 및 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793A (en) * 1992-10-26 1998-12-29 Eon Corporation GPS synchronization of CTS transmitters for an interactive network
US5896388A (en) * 1995-02-13 1999-04-20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GPS to reshape isochronous data at the receiving ends of an ATM network
US6859899B2 (en) * 2000-05-15 2005-02-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data packet acquisition using split preamble
JP4134516B2 (ja) * 2001-01-18 2008-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蓄積型ディジタル放送送信装置
US8155157B2 (en) * 2006-09-22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pplications of terminals in communication network
JP5207756B2 (ja) * 2007-03-07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903574B2 (en) * 2007-03-15 2011-03-08 Nokia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mechanism in broadcast tele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194A (ko) * 1998-12-11 2000-07-05 정선종 비대칭형 멀티미디어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망 동기장치 및 그방법
KR20070101269A (ko) * 2005-01-11 2007-10-16 톰슨 라이센싱 Ip를 통해 mpeg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과, 대응하는디바이스, 수신 방법 및 수신기
KR20060121107A (ko) *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디지털 방송용 전송 스트림 패킷의구성방법과 디지털 방송 송신기 및 그의 신호 처리방법
KR100658224B1 (ko) 2005-11-11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5973A3 (en) 2012-12-27
KR20100034211A (ko) 2010-04-01
US20100290459A1 (en) 2010-11-18
WO2010035973A2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77B1 (ko) 가변길이의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RU2461128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программа и приемная система
JP5483081B2 (ja)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US20120099521A1 (en) Center district dual mode network synchroniz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6258006B2 (ja) Ip回線を利用したsfn放送システムおよび放送ts伝送方法
CN111163111B (zh) 发送设备及其信号处理方法
KR100990998B1 (ko) 디지털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의 캡슐화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JP5615749B2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WO2006027969A1 (ja) 送信装置、中継装置、受信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810918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中継装置及び方法
JP2008061150A (ja) 受信機及び情報処理方法
US74155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ierarchically multimedia data TS to prevent jitter of timing information and for recovering the multimedia data TS
JP5476997B2 (ja) 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システム
KR100658224B1 (ko) A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JP2005151462A (ja) ストリームデータ送信機、ストリームデータ送信方法、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機及び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方法並びにストリーム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ストリームデータ送受信方法。
JP5827733B2 (ja) 送信装置
JP2020202475A (ja) 無線装置
KR100753551B1 (ko) Ccm 모드를 순방향링크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망동기를유지하기 위한 중심국의 망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811B1 (ko) 양방향위성통신시스템의 중심국 시스템
JP535992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変換方法
KR100579132B1 (ko) 타이밍정보 지터 방지를 위한 멀티미디어데이터전송스트림의 계층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계층적으로전송된 멀티미디어데이터 전송스트림의 복원 장치 및 그방법
KR100948692B1 (ko) 전송 프레임의 기준 시간 정보 복원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JP7069847B2 (ja) 同期処理装置、信号処理システム、同期処理方法、および同期処理用プログラム
CA3077760C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6121502B2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