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631B1 -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631B1
KR100988631B1 KR1020080104002A KR20080104002A KR100988631B1 KR 100988631 B1 KR100988631 B1 KR 100988631B1 KR 1020080104002 A KR1020080104002 A KR 1020080104002A KR 20080104002 A KR20080104002 A KR 20080104002A KR 100988631 B1 KR100988631 B1 KR 10098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est
test tray
pedest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4992A (en
Inventor
강동호
공근택
정용락
Original Assignee
세크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크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631B1/en
Publication of KR2010004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트레이 지지 유닛은 받침대 및 지지대를 포함한다. 받침대는 일측부에 홈을 갖는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대는 받침대로부터 홈이 형성된 일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홈 위에서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갖는다. 따라서, 테스트 트레이를 선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 그대로 지지할 수 있다.The tray support unit includes a pedestal and a support. The pedestal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test tray having a groove on one side in a vertical state. The support extends along one side of the groove from the pedestal, and has a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while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test tray above the groove. Therefore, the test tray can be supported as it is in the vertical state in order to linearly transfer the test tray.

Description

트레이 지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및 테스트 핸들러{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Tray support unit, tray transporting apparatus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레이 지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및 테스트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는 유닛, 이를 포함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이송하는 장치와 상기 반도체 소자들의 테스트를 핸들하는 테스트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support unit, a tray conveying apparatus and a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unit supporting a test tray on which semiconductor elements for testing are mounted, and an apparatus for conveying the test tray including the same. And a test handler that handles testing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는 칩이 기판 상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 전자 부품 중의 하나이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디램(DRAM), 에스램(SRA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general, a semiconductor device is one of electronic component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chips are connected on a substrate.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a memory device such as a DRAM and an SRAM.

상기 반도체 소자는 실리콘 재질의 얇은 단결정 기판으로 이루어진 웨이퍼(wafer)를 기초로 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웨이퍼 상에 회로 패턴이 패터닝된 다수의 칩들을 형성하는 팹 공정과, 상기 팹 공정에서 형성된 칩들 각각을 기판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본딩 공정, 상기 기판에 연결된 상기 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몰딩 공정 등을 수행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반도체 소자들은 별도의 테스트 공정을 거쳐 그 전기적인 기능을 검사하게 된다. The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based on a wafer made of a thin single crystal substrate made of silicon. In detail,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a fab process for forming a plurality of chips patterned on the wafer, a bonding proces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f the chips formed in the fab process to each of the substrates, and the substrate connected to the substrate. It is manufactured by performing a molding process for protecting the chip from the outside. The semiconductor devices thus manufactured are subjected to a separate test process to test their electrical functions.

이때, 상기 테스트 공정은 실질적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장치와 상기 테스트 장치에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제공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를 통하여 진행된다.In this case, the test process is substantially performed through a test device for performing a test on the semiconductor devices and a test handler for provid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to the test device.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테스트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테스트 챔버 및 상기 테스트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가열 및 냉각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속 챔버를 포함한다. The test handler includes a test chamber providing a space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to the test apparatus while mounted on a test tray, and an inner chamber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to provide a space for heating and cool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It includes.

이때, 상기 속 챔버에 위치하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는 수직인 상태로 전환되어 다수의 실린더들을 통해 외부로부로터 공급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테스트 챔버의 진입부까지 스텝 방식에 따라 이송시킨다.At this time, the test tray located in the inner chamber is converted to a vertical state and transferred from the posi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cylinders to the entrance of the test chamber in a stepwise man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텝 방식은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함에 따라 중간에 정지 타이밍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tep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transfer time of the test tray is relatively long because the stop timing occurs in the middle as the stepwise transfer is carried out with a certain perio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 내에서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test tray in order to shorten the transfer time of the test tray in the cha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트레이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시간을 실질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트레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substantially shortening the conveying time of the test tray including the tray suppor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트레이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handler including the tray transfer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트레이 지지 유닛은 받침대 및 제1 지지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ray support unit according to one feature comprises a pedestal and a first support.

상기 받침대는 일측부에 제1 홈을 갖는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1 홈이 형성된 일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돌기를 갖는다.The pedestal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test tray having a first groove on one side in a vertical state. The first suppor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edestal to one side along which the first groove is formed, and support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on the first groove, and then moves the first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It has a first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지지하면서 사이의 슬릿을 통해 상기 전면과 후면을 그립하기 위한 탄성이 형성되도록 두 개로 분할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upport may be divided into two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test tray, respectively, so that the elastic for grip the front and rear through a slit therebetween.

또한, 상기 받침대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desta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test tray on a plate.

한편, 상기 테스트 트레이는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 제2 홈을 갖는다. 이에, 상기 트레이 지지 유닛은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타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을 통과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를 갖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st tray has a second groove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Accordingly, the tray support unit extends from the pedestal along the other side where the second groove is formed and support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on the second groove, and then the test tray is raised so that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groove. The second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having a second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트레이 이송 장치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feature includes a first conveying portion and a second conveying portion.

상기 제1 이송부는 챔버 내부의 제1 구간에서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선형적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챔버 내부의 제2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킨다.The first transfer unit linearly transfers a test tray on whic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are mounted in a vertical state in a first section of the chamber. The second transfer unit transfers the test tray non-linearly in a second section inside the cha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ction.

이에, 상기 제1 이송부는 가이드 레일, 트레이 지지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홈이 형성된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 으로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us, the first conveying part includes a guide rail, a tray support part, and a driving part. The tray support is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groove on at least one side, and extends along the side where the groove is formed from the pedestal and above the groove. At least one support having a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while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pedestal, and includes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pedestal along the guide rail.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홀딩하는 제1 트레이 홀더,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에 홀딩된 테스트 트레이를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를 구동시키는 다수의 실린더들 및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를 통해 단계적으로 이송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홀딩하는 제2 트레이 홀더를 포함한다.Here, the second transfer unit is a first tray holder hold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the first tray holder connected to the first tray holder and the first tray holder to transfer step by step at a predetermined period with a predetermined period A plurality of cylinders for driving the first tray holder and a second tray hold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holder and holding the test tray transferred step by step through the first tray holder.

한편, 상기 받침대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는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들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pedestal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test tray on a plate. Thus, the first tray hold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to raise the test tray through any one of the cylinders so that the protrusions pass through the grooves.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챔버의 외부에 배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링크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 중심축이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결합하면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상기 제1 연결 로드를 통해 전달 받아 회전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축과 결합되면서 상기 받침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받침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ylinder disposed outside of the chamber,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cylinder, a central axis extending into the chamber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cylinder. A rotating body that is received and rotated through a connecting rod and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in the interior of the chamber is linked to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moves the guide along the guide rail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It can include two connecting rods.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는 속 챔버, 테스트 챔버 및 제1 트레이 이송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test handler according to one feature includes a core chamber, a test chamber and a first tray transfer unit.

상기 속 챔버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가 수직인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가열 및 냉각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The inn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test tray in whic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are mounted in a vertical state, and provides a space for heating and cool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상기 테스트 챔버는 상기 속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의 테스트 장치와 접속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The test chamber is connected to the inner chamber and provides a space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to an external test device while being mounted on the test tray.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속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속 챔버 내부의 제1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속 챔버 내부의 제2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The first tray transfer unit is installed in the inner chamber, and the first transfer unit linearly transfers the test tray in the first interval inside the inner chamber and the second interval inside the inner chamber separated from the first interval. And a second transfer unit for non-linearly transferring the test tray.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가이드 레일, 제1 트레이 지지부 및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 Here, the first transfer part includes a first guide rail, a first tray support part, and a first drive part.

상기 제1 트레이 지지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에 제1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1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1 홈이 형성된 제1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first tray support is a first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first groove on at least one first side while being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first groove from the first pedestal. At least one having a first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first side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bove the first groove and pass the first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And a first support.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받침대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first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pedestal,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irst pedestal along the first guide rail.

한편,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디속 챔버 및 제2 트레이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st handler may further include a desock chamber and a second tray transfer unit.

상기 디속 챔버는 상기 테스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상온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The desorption chamber is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and provides a space for restoring the semiconductor elements mounted in the test tray to room temperature.

상기 제2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디속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속 챔버 내부의 제3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디속 챔버 내부의 제4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한다.The second tray transfer unit is installed in the dichroic chamber, and the third transfer unit linearly transfers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in a third section of the dichroic chamber and the dichroic cha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third section. And a fourth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test tray non-linearly in a fourth section of the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제2 가이드 레일, 제2 트레이 지지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Here, the third transfer part includes a second guide rail, a second tray support part, and a second drive part.

상기 제2 트레이 지지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부에 제2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second tray support portion may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 second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second groove on at least one second side and the second groove from the second pedestal.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formed second side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bove the second groove and pass through the second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And a second support.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받침대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second driving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pedestal,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pedestal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이러한 트레이 지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및 테스트 핸들 러에 따르면, 속 챔버에서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를 제2 구간과 구분되는 제1 구간에서 트레이 지지부를 통해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선형적으로 한번에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속 챔버에서의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tray support unit, a tray transfer apparatus and a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the test tray in which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elements are mounted in the inner chamber is stably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in a first sec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section. By transporting at onc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ransfer time of the test tray in the inner chamber.

이로써,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productivity of a process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mounted on the test tray may be improv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지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및 테스트 핸들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tray support unit, a tray transf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로딩 스택커(100), 로딩부(200), 속 챔버(300), 테스트 챔버(400), 제1 트레이 이송부(500), 디속 챔버(600), 언로딩부(700), 제2 트레이 이송부(800), 소팅 버퍼부(900) 및 언로딩 스택커(9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est handl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ading stacker 100, a loading unit 200, a inner chamber 300, a test chamber 400, and a first tray transfer unit ( 500, the dichroic chamber 600, the unloading unit 700, the second tray transfer unit 800, the sorting buffer unit 900, and the unloading stacker 950.

상기 로딩 스택커(100)에는 다수의 제1 커스터머 트레이(CT1)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커스터머 트레이(CT1)들에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SD)들이 제1 간격으로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은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부품 중 하나로써, 디램(DRAM), 에스램(SRA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ustomer trays CT1 are disposed in the loading stacker 100.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SD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customer trays CT1 at first intervals. Here,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may be one of components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may refer to memory devices such as DRAM and SRAM.

상기 로딩부(200)에는 테스트 트레이(TT)가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에는 상기 제1 커스터머 트레이(CT1)들로부터 이송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로딩되어 제2 간격으로 탑재된다. The test tray TT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loading unit 200. The semiconductor elements SD transferred from the first customer trays CT1 are loaded in the test tray TT and mounted at second intervals.

이에, 상기 테스트 핸들러(1000)는 상기 로딩 스택커(100) 및 상기 로딩부(200) 사이에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상기 제1 간격에서 상기 제2 간격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로딩 픽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st handler 1000 may load the picker 150 to change the semiconductor device SD from the first interval to the second interval between the loading stacker 100 and the loading unit 200.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속 챔버(300)는 상기 로딩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속 챔버(300)에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로딩부(200)로부터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전환되어 로딩된다. 이러한 상기 속 챔버(30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에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일정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The inner chamber 300 is connected to the loading unit 200. The test tray TT is loaded into the inner chamber 300 by being converted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from the loading unit 200. The inner chamber 300 provides a space for heating or cool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mounted on the test tray T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테스트 챔버(400)는 상기 속 챔버(300)와 연결된다. 상기 테스트 챔버(400)는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실질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챔버(400)는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실질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20)와 연결된다. The test chamber 400 is connected to the inner chamber 300. The test chamber 400 provides a space for substantially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Accordingly, the test chamber 400 is connected to a test device 20 for substantially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이에, 상기 테스트 챔버(400)에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에 탑재된 상기 반 도체 소자(SD)들을 상기 테스트 장치(20)에 푸싱하여 접속시키기 위한 푸싱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ushing unit 410 may be installed in the test chamber 400 to push and connect the semiconductor elements SD mounted on the test tray TT to the test apparatus 20.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500)는 상기 속 챔버(30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500)는 상기 로딩부(200)로부터 전달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부까지 이송시킨다.The first tray transfer part 500 is installed in the inner chamber 300. The first tray transfer part 500 transfers the test tray TT transferred from the loading part 200 to the entrance part of the test chamber 400.

이하,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500)는 도 2 및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first tray transfer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핸들러의 속 챔버에 설치된 제1 트레이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tray transfer unit installed in an inner chamber of the test handler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the first tray transfer unit illustrated in FIG. 2 from above.

도 2 및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500)는 제1 이송부(510) 및 제2 이송부(550)를 포함한다.2 and 3, the first tray transporter 500 includes a first transporter 510 and a second transporter 550.

이에, 상기 제1 이송부(510)는 상기 속 챔버(300)의 상기 로딩부(200)와 인접한 제1 구간(S1)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선형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한번에 이송시킨다. Thus, the first transfer unit 510 transfers the test tray TT at once in a linear sliding manner in the first section S1 adjacent to the loading unit 200 of the inner chamber 300.

상기 제1 이송부(510)는 가이드 레일(520), 트레이 지지부(530) 및 구동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520)은 상기 제1 구간(S1)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선형 이송을 위하여 길게 배치된다. 상기 속 챔버(30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520)을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제1 및 제2 레일 브라켓(310, 320)들이 내벽에 고정된다. The first transfer part 510 includes a guide rail 520, a tray support part 530, and a driving part 540. The guide rail 520 is elongated to linearly transfer the test tray TT in the first section S1. In the inner chamber 300, two first and second rail brackets 310 and 320 for fixing the guide rail 520 are fixed to an inner wall thereof.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는 상기 속 챔버(300)로 수직 상태로 로딩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는 받침대(532) 및 제1 지지대(534)를 포함한다, The tray support part 530 supports the test tray TT loaded in the vertical state into the inner chamber 300 so as not to fall. The tray support 530 includes a pedestal 532 and a first support 534,

상기 받침대(532)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받침대(532)는 상기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5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520)은 상기 받침대(532)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532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TT. The pedestal 532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520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520. At this time, the guide rail 520 is preferably made of at least two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532 is made stable.

이에, 상기 제1 지지대(534)는 상기 받침대(532)에 지지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제1 측부(10)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한다.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534 extends along the first side portion 10 of the test tray TT supported by the pedestal 532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TT.

상기 제1 지지대(534)에는 단부에 연장된 방향으로 갈라진 슬릿(53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지지대(534)는 단부가 상기 슬릿(535)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support 534 includes a slit 535 divided in a direction extending to an end portion. That is, the first support 53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is divided into two to form the slit 535.

이에, 상기 제1 지지대(534)는 상기 슬릿(535)을 통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받침대(532)로 용이하게 로딩되도록 하면서 로딩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소정의 힘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한다. Thus, the first support 534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rough the slit 535. This elasticity allows the test tray TT to be easily loaded into the pedestal 532 and to grip the loaded test tray TT with a predetermined force.

이하,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tray support 5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 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tray support of the first tray transport unit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대(534)는 단부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TT)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536)를 포함한다.4 and 5, the first support 534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test tray TT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TT at an end thereof. It includes.

이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제1 측부(10)에는 상기 제1 돌기(536)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제1 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12)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받침대(532)에 지지될 때 상기 제1 돌기(536)보다 아래 부위에 형성된다.Accordingly, the first groove 12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protrusion 536 is formed in the first side portion 10 of the test tray TT. The first groove 12 is formed at a portion below the first protrusion 536 when the test tray TT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532.

이로써,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받침대(532)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대(534)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제1 돌기(536)는 상기 제1 홈(12)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러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는 상기 제1 지지대(534)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Thus, when the test tray TT is raised by the test tray T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534 like the pedestal 532, the first protrusion 536 is the first protrusion. The groove 12 can be pa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test tray TT is released from the first support 534 to be detachable from the tray support 530.

한편, 상기 받침대(532)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531) 상에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533)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돌출부(533)들 사이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이동시킬 수 있는 부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pedestal 532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5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plate 531 to support the test tray TT. That is, a separat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533 to allow insertion of a member capable of moving the test tray TT.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는 상기 로딩부(200)로부터 로딩되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받침대(532)와 상기 제1 지지대(534)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경우에 따라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 으로써, 상기 제1 구간(S1)에서 상기 제1 이송부(510)에 의한 선형적인 이송이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tray support 530 stably supports the test tray TT loaded from the loading unit 200 through the pedestal 532 and the first support 534, and optionally, the test. Since the separation of the tray TT is possible, the linear transfer by the first transfer unit 510 in the first section S1 may be substantially realized.

또한,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상기 제1 지지대(534)와 반대되는 위치에 제2 지지대(5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support 53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538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534 of the test tray TT in order to more stably support the test tray TT. can do.

상기 제2 지지대(538)는 상기 제1 지지대(53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즉 상기 제1 돌기(536)에 대응되는 제2 돌기(5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는 상기 제1 측부(10)와 반대되는 제2 측부(20)에 상기 제2 돌기(539)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제2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538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539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534,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536. In this case, the test tray TT may have a second groove 22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protrusion 539 on the second side portion 20 opposite to the first side portion 10. .

이러한 상기 제2 돌기(539)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승하여 상기 제1 돌기(536)가 상기 제1 홈(12)을 통과할 때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홈(22)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제2 지지대(538)는 상기 제1 지지대(53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protrusion 539 has the test tray TT ascending so that when the first protrusion 536 passes through the first groove 12, the second protrusion 539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figured to pass. Hereinafter, since the second support 538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support 53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구동부(540)는 상기 받침대(532)와 결합한다. 상기 구동부(540)는 상기 받침대(532)를 상기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e driving unit 540 is coupled to the pedestal 532. The driving unit 540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pedestal 532 along the guide rail 520.

이하, 상기 구동부(5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5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 중 제1 이송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the first transfer unit among the first tray transfer units illustrated in FIG. 2.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40)는 제1 실린더(542), 제1 연결 로드(544), 회전 몸체(546) 및 제2 연결 로드(548)를 포함한다.6, the driving unit 540 includes a first cylinder 542, a first connecting rod 544, a rotating body 546, and a second connecting rod 548.

상기 제1 실린더(542)는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속 챔버(3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 로드(544)는 상기 제1 실린더(542)와 링크 연결된다. 상기 회전 몸체(546)는 중심축(CA)이 상기 제1 연결 로드(544)와 결합하여 상기 속 챔버(30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 몸체(546)는 상기 속 챔버(300)에 고정된다. The first cylinder 542 generates a linear driving force and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chamber 300. The first connecting rod 544 is linked with the first cylinder 542. The rotating body 546 has a central axis CA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ion rod 544 and extends into the inner chamber 300. The rotating body 546 is fixed to the inner chamber 300.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542)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 연결 로드(544)는 상기 제1 실린더(542)와는 링크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 몸체(546)의 중심축(C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몸체(546)는 상기 제1 연결 로드(544)를 통하여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In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cylinder 542 is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first connecting rod 544 is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54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546 ( Since it is coupled to CA), the rotating body 546 makes a rotary motion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rod 544.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연결 로드(544)는 상기 제1 실린더(542)의 각도를 가지면서 링크 연결될 필요성이 있으므로, 이에 상기 회전 몸체(546)의 중심축(CA)은 상기 제1 실린더(542)의 직선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간의 연장선(EL)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배치될 필요성이 있다. To this end, since the first connecting rod 544 needs to be linked with the angle of the first cylinder 542, the central axis CA of the rotating body 546 is the first cylinder 542. It is necessary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extension line EL of the section in which the linear driving force of) is generated.

상기 제2 연결 로드(548)는 상기 속 챔버(30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몸체(546)의 중심축(CA)과 결합된다. 상기 제2 연결 로드(548)는 상기 받침대(532)의 플레이트(531)와 링크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 몸체(546)의 회전 운동은 상기 제2 연결 로드(548)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532)를 상기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직선 운동시킨다. The second connecting rod 548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CA of the rotating body 546 in the inner chamber 300. The second connecting rod 548 is linked with the plate 531 of the pedestal 532. As a resul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546 linearly moves the pedestal 532 along the guide rail 5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rod 548.

이때, 상기 제2 연결 로드(548)가 상기 회전 몸체(546)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받침대(532)를 직선 운동시킬 때 상기 회전 몸체(546)가 상기 속 챔버(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532)의 플레이트(531)에는 상기 제2 연결 로드(548)와의 연결 부위가 직선 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레일(5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유동홈(537)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connecting rod 548 linearly moves the pedestal 532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546, the rotating body 546 is fixed to the inner chamber 300, In the plate 531 of the pedestal 532, a flow groove 537 may be form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uide rail 520 whe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cond connection rod 548 moves linearly. have.

이와 달리, 상기 회전 몸체(546)가 고정되는 상기 속 챔버(300)에 상기 가이드 레일(5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유동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flow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ner chamber 300 to which the rotating body 546 is fix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uide rail 520.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540)가 상기 속 챔버(30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실린더(542)의 직선 구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로드(544, 548)들과 상기 회전 몸체(546)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532)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54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riving unit 540 is a linear driving force of the first cylinder 542 disposed outside the inner chamber 30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544, 548) and the rotating body ( By indirectly transmitting to the pedestal 532 through the 546,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drive unit 540.

한편, 상기 구동부(540)는 상기 받침대(532)를 상기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시키면 되므로, 다른 모터와 볼 스크류의 결합 형태 또는 렉 기어와 피니언 기어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540 may move the pedestal 532 along the guide rail 520,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upling form of the other motor and the ball screw or rack gear and pinion gear.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속 챔버(300)의 제1 구간(S1)과 연결되면서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부까지 형성된 제2 구간(S2)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즉 스텝 방식에 따라 이송시킨다. The second transfer part 55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S1 of the inner chamber 300 while non-linearly forming the test tray TT in a second section S2 formed up to an entrance of the test chamber 400. To the enemy. That is, the second transfer unit 550 transfers the test tray TT step by step, that is, with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제2 구간(S2)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홀딩하는 제1 트레이 홀더(560)와,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레일(520)과 평행한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 및 제3 실린더(570, 575)들을 포함한다. The second transfer part 550 transfers the first tray holder 560 holding the test tray TT in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first tray holder 560 step by step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and third cylinders 570 and 575 are driven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parallel to the guide rail 520.

이러한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받침대(532)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 구간(S2)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받침대(532)의 돌출부(533)들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는 상기 제2 실린더(570)의 구동을 통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승시킨다.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s 533 of the pedestal 532 when the test tray TT enters the second section S2 while the test tray TT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532. Is inserted. The first tray holder 560 raises the test tray TT by driving the second cylinder 570.

이로써,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는 상기 제1 및 제2 돌기(536, 539)들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홈(12, 22)들을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변경시킨다. As a result, the first tray holder 560 allow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536 and 539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12 and 22 in a horizontal direction. TT) is changed to a state in which the tray support 530 is detachable.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는 상기 제3 실린더(575)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로부터 분리시킨다.In addition, the first tray holder 560 moves the test tray TT in the entry direction of the test chamber 400 through the third cylinder 575 to separate from the tray support 530.

한편,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속 챔버(300)에 고정되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홀딩하는 제2 트레이 홀더(58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는 일 예로, 상기 제2 레일 브라켓(3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는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50 is fixed to the inner chamber 300 is further disposed a second tray holder 580 for holding the test tray (TT). For example, the second tray holder 580 may be fixed to the second rail bracket 320. The second tray holder 58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holder 560.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홀딩하는 위치가 상 기 받침대(532)에서 이동하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위치와 대략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The second tray holder 580 is disposed such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test tray TT is hel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osition of the test tray TT moving at the pedestal 532.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부(550)가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홀더(560, 580)들을 통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2 구간(S2)으로 상기 제1 트레일 홀더를 통해 진입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제3 실린더(575)를 이용해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Here, if the second transfer unit 550 briefly describes a process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 TT step by step with the first and second tray holders 560 and 580, the first The test tray TT entered through the first trail holder in the second section S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test chamber 400 using the third cylinder 575.

이어,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상기 제2 실린더(570)를 이용해 하강시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에 홀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는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보다 더 하강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로부터 분리된다. Subsequently,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lowered using the second cylinder 570 to hold the test tray TT in the second tray holder 580. In this case,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lowered than the second tray holder 580 to be separated from the test tray TT.

이어, 상기 제2 실린더(570)를 이용해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상기 제1 구간(S1) 방향으로 원 스텝 이동시킨다. 이어, 상기 제3 실린더(575)를 이용해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상승시켜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에 홀딩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다시 홀딩한다.Subsequently,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moved one step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ction S1 by using the second cylinder 570. Subsequently,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raised by using the third cylinder 575 to hold the test tray TT held in the second tray holder 580 again.

이어, 상기 제2 실린더(570)를 이용해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상기 테스트 챔버(400) 진입부 방향으로 원 스텝 이동시킨다. 이어, 상기 제3 실린더(575)를 이용해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하강시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에 다시 홀딩시킨다.Subsequently,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moved one step toward the test chamber 400 by using the second cylinder 570. Subsequently, the first tray holder 560 is lowered using the third cylinder 575 to hold the test tray TT back to the second tray holder 580.

이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상기와 같 이 상기 제2 및 제3 실린더(570, 575)들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second transfer part 550 repeatedly moves the first tray holder 560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cylinders 570 and 575 as described above, thereby moving the test tray TT. It may move to the entrance of the test chamber 40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속 챔버(300)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제2 구간(S2)에서는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반면에 상기 제1 구간(S1)에서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530)를 통해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선형적으로 한번에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속 챔버(300)에서의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이송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st tray TT is gradually transferred in the second chamber S2 step by step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the second chamber S2, while the tray support unit (1) is transferred in the first section S1. By linearly conveying stably while steadily supporting through 530, the transfer time of the test tray TT in the inner chamber 300 may be significantly shortened.

이로써,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에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productivity of a process for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mounted on the test tray TT may be improved.

한편, 상기 제2 이송부(550)는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와 마주하는 상부에 배치된 제3 트레이 홀더(590) 및 상기 제3 트레이 홀더(59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4 실린더(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transfer part 550 may include a third tray holder 590 disposed above the second tray holder 580 and a fourth cylinder for driving the third tray holder 590 in the vertical direction. 595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3 트레이 홀더(59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제2 트레이 홀더(580)에 홀딩될 때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4 실린더(595)를 통해 하강시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홀딩한다.The third tray holder 590 may pass through the fourth cylinder 595 to prevent the test tray TT from falling when the test tray TT is held in the second tray holder 580. The test tray TT is held by lowering.

반대로, 상기 제3 트레이 홀더(590)는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를 통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원 스텝 이동시킬 때 상기 제4 실린더(595)를 통해 상승시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1 트레이 홀더(560)에 의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third tray holder 590 moves the test tray TT one step through the first tray holder 560, the third tray holder 590 moves up through the fourth cylinder 595 to allow the test tray TT. Separation from the first tray holder 56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test tray T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속 챔버(300)의 제1 구간(S1)을 상기 로딩 부(200)와 인접하게 설정하고, 상기 제2 구간(S2)을 상기 테스트 챔버(400)와 인접하게 설정하였지만, 이는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구간(S1, S2)들은 서로 반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효과 또한 동일하게 언급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section S1 of the inner chamber 300 is set adjacent to the loading unit 200, and the second section S2 is set adjacent to the test chamber 400.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may be changed in some case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S1 and S2 may be set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effects thereof may also be mentioned in the same way.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이송부(500)는 상기 제2 이송부(550)에 의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상기 테스트 챔버(400)의 진입부까지 스텝 이송되었을 경우, 상기 이송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테스트 챔버(400)로 공급하기 위한 트레이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est tray TT is stepped to the entry part of the test chamber 400 by the second transfer part 550, the first tray transfer part 500 transfers the transferred test tray TT. ) May further include a tray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the test chamber 400.

상기 디속 챔버(600)는 상기 테스트 챔버(400)와 연결된다. 상기 디속 챔버(600)에는 테스트를 수행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로딩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제공된다. 상기 디속 챔버(600)에서는 상기 속 챔버(30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상온으로 회복시킨다. The dichroic chamber 600 is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400. The desorption chamber 600 is provided with the test tray TT loaded with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under test. In the dichroic chamber 600, the semiconductor elements SD heated or cooled in the genus chamber 300 are restored to room temperature.

상기 언로딩부(700)는 상기 디속 챔버(600)와 연결된다. 상기 언로딩부(700)에는 상기 디속 챔버(600)로부터 상온 상태의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로딩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가 제공된다. The unloading part 700 is connected to the desorption chamber 600. The unloading unit 700 is provided with the test tray TT loaded with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in a room temperature state from the di-speed chamber 600.

이때,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는 다시 수평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언로딩부(700)에서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로부터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분리된다. At this time, the test tray TT is switched to the horizontal state again. In the unloading unit 700,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are separated from the test tray TT.

상기 제2 트레이 이송부(800)는 상기 디속 챔버(60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트레이 이송부(800)는 상기 테스트 챔버(400)로부터 공급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상기 언로딩부(700)의 입구까지 이송시킨다. The second tray transfer unit 800 is installed in the dichroic chamber 600. The second tray transfer part 800 transfers the test tray TT supplied from the test chamber 400 to the inlet of the unloading part 700.

상기 제2 트레이 이송부(800)는 제3 이송부(810) 및 제4 이송부(85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이송부(810)는 상기 디속 챔버(600)의 상기 테스트 챔버(400)와 인접한 제3 구간(S3)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선형적으로 한번에 이송시킨다. The second tray transporter 800 includes a third transporter 810 and a fourth transporter 850. The third transfer part 810 linearly transfers the test tray TT at once in a third section S3 adjacent to the test chamber 400 of the dichroic chamber 600.

상기 제4 이송부(850)는 상기 디속 챔버(600)의 제3 구간(S3)과 연결되면서 상기 언로딩부(700)의 입구까지 형성된 제4 구간(S4)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TT)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킨다.The fourth transfer unit 850 is non-linear to the test tray TT in the fourth section S4 formed to the inlet of the unloading section 70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section S3 of the dichroic chamber 600. To the enemy.

이러한 상기 제3 및 제4 이송부(810, 850)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510, 550)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ach of the third and fourth transfer units 810 and 85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510 and 550, respectively,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소팅 버퍼부(900)는 상기 언로딩부(700)와 연결된다. 상기 소팅 버퍼부(900)에는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상기 테스트 챔버(400)에서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하여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소팅 테이블(910)들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소팅 테이블(910)들에는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상기 제2 간격으로 탑재된다. The sorting buffer unit 900 is connected to the unloading unit 700. The sorting buffer unit 9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rting tables 910 for classifying and classify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f the test chamber 400.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are mounted on the sorting tables 910 at the second intervals.

상기 언로딩 스택커(950)에는 등급별로 구분된 다수의 제2 커스터머 트레이(CT2)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커스터머 트레이(CT2)들에는 상기 소팅 버퍼부(900)로부터 상기 제2 간격으로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이 등급별로 구분되어 상기 제1 간격으로 탑재된다. In the unloading stacker 950, a plurality of second customer trays CT2 divided by grades are disposed.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mounted at the second interval from the sorting buffer unit 900 are classified into grades and mounted at the first interval in the second customer trays CT2.

이에, 상기 테스트 핸들러(1000)는 상기 소팅 버퍼부(900) 및 상기 언로딩 스택커(950) 사이에서 상기 반도체 소자(SD)들을 상기 제2 간격에서 상기 제1 간격 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언로딩 픽커(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st handler 1000 may change an unloading picker between the sorting buffer unit 900 and the unloading stacker 950 to change the semiconductor devices SD from the second interval to the first interval. 960 may be further includ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본 발명은 챔버에서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다수의 테스트 트레이를 제2 구간과 구분되는 제1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안정하게 지지하면서 선형적으로 한번에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챔버에서의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이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테스트 핸들러에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est trays in whic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elements are mounted in a chamber is linearly transported at a time while stably supporting the test tray in a first section separated from a second section, thereby performing the test in the chamber. It can be used in a test handler that can shorten the transport time of the tr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핸들러의 속 챔버에 설치된 제1 트레이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tray transfer unit installed in an inner chamber of the test handle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rom above of the first tray transport uni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의 트레이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 tray supporter of the first tray transporter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트레이 이송부 중 제1 이송부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the first transfer unit among the first tray transfer units illustrated in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SD : 반도체 소자 TT : 테스트 트레이SD: Semiconductor Device TT: Test Tray

100 : 로딩 스텍커 200 : 로딩부100: loading stacker 200: loading unit

300 : 속 챔버 400 : 테스트 챔버300: inner chamber 400: test chamber

500 : 제1 트레이 이송부 510 : 제1 이송부500: first tray transfer unit 510: first transfer unit

520 : 가이드 레일 530 : 트레이 지지부520: guide rail 530: tray support

532 : 받침대 534 : 제1 지지대532: pedestal 534: first support

538 : 제2 지지대 540 : 구동부538: second support 540: drive unit

550 : 제2 이송부 600 : 디속 챔버550: second transfer unit 600: Dichoxy chamber

700 : 언로딩부 800 : 제2 트레이 이송부700: unloading portion 800: second tray transfer portion

810 : 제3 이송부 850 : 제4 이송부810: third transfer unit 850: fourth transfer unit

900 : 소팅 버퍼부 950 : 언로딩 스텍커900: sorting buffer unit 950: unloading stacker

1000 : 테스트 핸들러1000: test handler

Claims (10)

일측부에 홈을 갖는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Pedestal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in a vertical state of the test tray having a groove on one side; And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홈이 형성된 일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트레이 지지 유닛.A tray including a suppo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edestal, the support having a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while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bove the groove;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지지하면서 사이의 슬릿을 통해 상기 전면과 후면을 그립하기 위한 탄성이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지지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지지 유닛.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so a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test tray, respectively, to form an elastic for grip the front and rear through a slit therebetween. Tray suppor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들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지지 유닛.The tray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test tray on a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는 상기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 제2 홈을 갖고, According to claim 1, The test tray has a second groove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타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을 통과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를 갖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지지 유닛.The second groove is extended along the other side formed from the pedestal, and while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test tray on the second groove while the test tray is raised and the projection passes through the gro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having a second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groove. 챔버 내부의 제1 구간에서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A first transfer unit linearly transferring a test tray on whic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elements are mounted in a vertical state in a first section of the chamber; And 상기 제1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챔버 내부의 제2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And a second transfer part for non-linearly transferring the test tray in a second section inside the cha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ction. 상기 제1 이송부는,The first transfer unit, 가이드 레일;Guide rails;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홈이 형성된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트레이 지지부; 및A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groove on at least one side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extending along the side where the groove is formed and extending from the pedestal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 tray support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having a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while being supported; And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a drive unit coupled to the pedestal, the drive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pedestal along the guide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transfer unit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홀딩하는 제1 트레이 홀더; A first tray holder hold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에 홀딩된 테스트 트레이를 일정 주기를 갖고 단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를 구동시키는 다수의 실린더들; 및A plurality of cylinders connected to the first tray holder and driving the first tray holder to transfer the test tray held in the first tray holder step by step with a predetermined period; And 상기 제1 트레이 홀더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를 통해 단계적으로 이송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홀딩하는 제2 트레이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a second tray hold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y holder and holding the test tray transferred step by step through the first tray hol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플레이트 상에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pedestal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test tray on a plate, 상기 제1 트레이 홀더는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the first tray holder is inserted between the protrusions to raise the test tray through one of the cylinders such that the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상기 챔버의 외부에 배치된 실린더;A cylinder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상기 실린더와 링크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A first connecting rod linked with the cylinder; 중심축이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결합하면서 상기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상기 제1 연결 로드를 통해 전달 받아 회전하는 회전 몸체; 및A rotation body having a central axis extending into the chamber while engaging with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rotating by receiving the driving of the cylind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축과 결합되면서 상기 받침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받침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 tray coupled to the pedestal while being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able body in the chamber, the tray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rod for moving the pedestal along the guide rail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able body; Conveying device. 다수의 반도체 소자들이 탑재된 테스트 트레이가 수직인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가열 및 냉각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속 챔버;A test cham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in a vertical state, the inner chamber providing space for heating and cool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상기 속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의 테스트 장치와 접속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테스트 챔버; 및A te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ner chamber and providing a space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s to an external test device while being mounted on the test tray; And 상기 속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속 챔버 내부의 제1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속 챔버 내부의 제2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를 구비한 트레이 이송부를 포함하고, The first tray is installed in the inner chamber, the first transfer unit for linearly transferring the test tray in the first section of the inner chamber and the non-linear test tray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inner chamber separated from the first section. It includes a tray conveying unit having a second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automatically, 상기 제1 이송부는,The first transfer unit, 가이드 레일;Guide rails;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홈이 형성된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트레이 지지부; 및A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groove on at least one side and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extending along the side where the groove is formed and extending from the pedestal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 tray support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having a protrus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while being supported; And 상기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And a drive unit coupled to the pedestal, the drive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pedestal along the guide ra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챔버와 연결되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탑재된 상기 반도체 소자들을 상온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디속 챔버; 및10. The apparatus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dichroic chamber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and providing a space for restoring the semiconductor elements mounted on the test tray to room temperature; And 상기 디속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디속 챔버 내부의 제3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인 상태로 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구간과 구분되는 상기 디속 챔버 내부의 제4 구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비선형적으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를 구비한 제2 트레이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A third transfer part installed in the dichroic chamber and linearly transferr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in a third period inside the dichroic chamber and in a fourth period in the dichroic chamber separated from the third period; A second tray conveying portion having a fourth conveying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non-linearly; 상기 제3 이송부는,The third transfer unit, 제2 가이드 레일;Second guide rail;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부에 제2 홈을 갖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로부터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홈 위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하다가 상기 테스트 트레이가 상승할 경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홈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2 트레이 지지부; 및A second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test tray having a second groove on at least one second side and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 second side having the second groove formed from the second pedestal; At least one second support having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along and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st tray above the second groove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gro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est tray is raised; Second tray support; And 상기 제2 받침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받침대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 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And a second drive unit coupled to the second pedestal, the second drive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pedestal along the second guide rail.
KR1020080104002A 2008-10-23 2008-10-23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KR100988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002A KR100988631B1 (en) 2008-10-23 2008-10-23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002A KR100988631B1 (en) 2008-10-23 2008-10-23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992A KR20100044992A (en) 2010-05-03
KR100988631B1 true KR100988631B1 (en) 2010-10-18

Family

ID=4227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002A KR100988631B1 (en) 2008-10-23 2008-10-23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6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45B1 (en) * 2010-11-24 2011-01-19 주식회사 넥스트솔루션 Apparutus for housing tray-cover for tester-handler
KR20160053157A (en) * 2014-10-31 2016-05-13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est t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8097A (en) 1998-04-03 1999-10-19 Nippon Densan Shinpo Kk Exposure device
KR20000073447A (en) * 1999-05-11 2000-12-05 구본준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039157A (en) 2005-08-01 2007-02-15 Ulvac Japan Ltd Conveying device, vacuum treatment device and convey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8097A (en) 1998-04-03 1999-10-19 Nippon Densan Shinpo Kk Exposure device
KR20000073447A (en) * 1999-05-11 2000-12-05 구본준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039157A (en) 2005-08-01 2007-02-15 Ulvac Japan Ltd Conveying device, vacuum treatment device and convey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45B1 (en) * 2010-11-24 2011-01-19 주식회사 넥스트솔루션 Apparutus for housing tray-cover for tester-handler
KR20160053157A (en) * 2014-10-31 2016-05-13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est tray
KR102231173B1 (en) 2014-10-31 2021-03-25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est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992A (en)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413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JP4744427B2 (en)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KR101334766B1 (en)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JP506873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80836B1 (en) Test Handler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US20080124202A1 (en) Apparatus for rotating a test tray in a handler
US9285420B2 (en) Apparatus for spinning test tray of in-line test handler and in-line test handler
KR100855203B1 (en) Test Tray and Test Handler Device using the same
KR10095756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pitch of buffer tray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buffer tray
JP4515486B2 (en) Handler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
JP2008076398A (en) Handler
US10297481B2 (en) Magnetic annealing apparatus
KR100988631B1 (en) Unit for supporting a tray,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KR2016014632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ray changing
JP2017152641A (en) Transfer unit and prober
KR100785740B1 (en) Rotator for Semiconductor Test Handler
KR20090122646A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tray, transfer apparatus and test handler applying the same
KR101334767B1 (en)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JP6011900B1 (en) Prober
JP542104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99931B1 (en) test tray and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406184B1 (en) A Semiconductor Tranferring Device and Test handler using thereof
KR100763487B1 (en) Transferring method of test trays in side-docking type test handler and operating method of side-docking type test handler
KR102231173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est tray
KR100509269B1 (en) Test tray for hand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