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16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16B1
KR100987716B1 KR1020030039340A KR20030039340A KR100987716B1 KR 100987716 B1 KR100987716 B1 KR 100987716B1 KR 1020030039340 A KR1020030039340 A KR 1020030039340A KR 20030039340 A KR20030039340 A KR 20030039340A KR 100987716 B1 KR100987716 B1 KR 10098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lor filter
pixel
thin film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151A (ko
Inventor
조종환
박원상
박상진
어기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16B1/ko
Priority to US10/805,961 priority patent/US7626575B2/en
Priority to PCT/KR2004/000639 priority patent/WO2004086215A2/en
Priority to TW093108394A priority patent/TW200502917A/zh
Publication of KR2004011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151A/ko
Priority to US12/582,255 priority patent/US2010003940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광 인지 감도 및 제품의 신뢰성 및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화소영역이 구비된 제 1 기판에 구동전압 인가장치 및 화소전극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인가된 광에 의해 구동되어 위치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컬러필터 및 광차단 패턴을 함께 형성하고, 제 2 기판에는 공통전극만 형성한다. 그리고, 레드 파장에 대해 광 인식 감도가 가장 좋은 감지부는 컬러필터 중 레드 컬러필터가 형성될 화소영역에 형성한다.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얼라인 미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소영역의 개구 면적이 증대되어 제품의 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다. 감지소자의 광 인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선택된 지시내용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박형화 시킬 수 있고, 광 특성 향상 및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30039340
액정표시장치, 광 감지부, 레드 컬러필터, 반사전극, 광차단 패턴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감지소자가 형성된 부분을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감지소자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지소자의 광 인지 감도 향상, 디스플레이 품질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는 화면상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이나 물체를 이용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지시 내용에 해당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부피가 큰 입력 장치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표시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사용자가 선택한 지시내용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은 제 1 기판(first substrate), 제 2 기판(second substrate) 및 액정을 포함한다.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액정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 1 기판에는 복수개의 화소영역이 구비되고, 화소영역에는 구동전압 인가장치 및 화소전극들이 배열된다. 제 2 기판은 구동전압 인가장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 패턴, 화소전극들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컬러필터 및 제 2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터치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패널의 표시면 위에 적층 된다. 터치패널은 제1 기판, 제1 기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제2 기판, 제 1 및 제 2 기판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패널에 터치패널을 적층 시키면 액정표시패널과 터치패널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고, 상기 공기로 인해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 치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가격도 상승된다.
또한, 종래의 액정표시패널의 경우 화소전극과 신호선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 캐패시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화소전극과 신호선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형성하기 때문에 화소영역의 개구율이 작아져 액정표시패널의 해상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액정표시패널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부착시킬 때 광차단 패턴과 구동전압 인가장치를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워 얼라인 미스가 많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의 광 인식 효율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시키고, 박형화 시키며 생산 코스트를 절감시킴과 아울러 표시 품위를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투명기판, 각 화소영역에 배치되어 화소전압을 출력하는 화소전압 인가장치, 화소영역의 소정부분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자극에 의해 위치 정보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화소영역에 배치된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의 표면에 배치되어 화소전압을 인가 받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제 1 투명기판과 마주보도록 포개어지는 제 2 투명기판, 제 2 투명기판중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에 화소전압을 출력하는 화소전압 인가장치,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위치 정보 출력하는 감지부, 레드, 그린, 블루 컬러필터 및 화소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선택한 지시내용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광 특성 향상 및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드 컬러필터와 대응되는 부분에 감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감지부의 광 인지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를 제 1 기판에 형성하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얼라인이 용이하며, 화소영역의 개구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초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실시예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400)는 제 1 기판(100), 제 2 기판(200) 및 액정(30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0)은 제 1 투명기판(110), 구동전압 인가장치(120), 컬러필터(130), 광 감지부(140), 화소전극(150) 및 광차단 패턴(160)을 포함한다.
제 1 투명기판(110)은 광투과율이 높은 유리기판으로, 제 1 투명기판(110)은 복수개의 화소영역(pixel area, 도 2 참조;101)을 갖는다. 화소영역(101)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한 단위 영역이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해상도가 1024 ×768 일 경우, 화소영역(101)은 제 1 투명기판(110)에 1024 ×768 ×3 개가 형성된다. 각 화소영역(101)을 통과한 광은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되고, 사용자는 각 화소영역(101)을 통과한 광에 의하여 영상을 인식한다.
각 화소영역(101)에 배치된 구동전압 인가장치(120)는 게이트 라인(122), 데이터 라인(124) 및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를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122)은 제 1 투명기판(110)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화소영역(101)의 안쪽으로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124)은 제 1 투명기판(110)에서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화소영역(101)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액정표시장치(400)의 해상도가 1024 ×768일 때, 게이트 라인(122)은 제 1 투명기판(110)에 768개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124)은 제 1 투명기판(110)에 1024 ×3 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는 제 1 투명기판(110)의 각 화소영역(101)마다 형성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는 게이트 라인(122) 및 데이터 라인(124)이 교차되는 곳에 배치된다.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는 게이트 전극부(G), 채널층(C), 소오스 전극부(S) 및 데이터 전극부(D)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전극부(G)는 게이트 라인(122)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101)으로 연 장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부(G)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 비정질 실리콘 박막(n+ amophous silic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n+ 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부(S)는 각 데이터 라인(124)으로부터 각 화소영역(101)을 향해 1 개씩 연장된다. 각 소오스 전극부(S)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된다.
도 4는 도 1에서 감지소자가 형성된 부분을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광 감지부(140)는 제 1 센서 라인(142), 제 2 센서 라인(144) 및 감지 소자(146,148)로 이루어진다.
제 1 센서 라인(142)은 화소영역(101)의 안쪽에서 제 1 투명기판(110)의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센서 라인(142)은 데이터 라인(124)과 동일 층에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124)과는 소정간격 이격 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 2 센서 라인(144)은 화소영역(101)들 사이에서 제 1 투명기판(10)의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센서 라인(34)은 게이트 라인(22)과 동일 층에 형성되고, 게이트 라인(122)과는 소정간격 이격 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감지 소자(146,148)는 복수개의 화소영역(101)들 중 선택된 일부 화소영역(101)에만 형성되며, 액정표시장치(400)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광에 반응하여 위치 정보를 갖는 신호를 제 1 센서 라인(142)으로 출력한다. 감지소자(146,148)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로 이루어진다.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광에 반응하여 구동된다.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는 게이트 전극부(G), 채널층(C), 소오스 전극부(S) 및 데이터 전극부(D)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전극부(G)는 제 2 센서 라인(144)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101)으로 연장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부(G)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 비정질 실리콘 박막(n+ amophous silic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n+ 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비정질 실리콘 박막 및 n+ 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외부에서 인가된 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를 도통시킨다. 소오스 전극부(S)는 데이터 라인(124)으로부터 화소영역(101)을 향해 연장된다. 각 소오스 전극부(S)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 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며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는 게이트 전극부(G), 채널층(C), 소오스 전극부(S) 및 데이터 전극부(D)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전극부(G)는 게이트 라인(122)으로부터 제 2 방향을 따라 각 화소영역(101)으로 연장된다. 채널층(C)은 게이트 전극부(G)와 절연된 상태로 게이트 전극부(G)의 상면에 배치된다. 채널층(C)은 바람직하게 비정질 실리콘 박막(amophous silicon film)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상면에 배치된 n+ 비정질 실리콘 박막(n+ amophous silic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n+ 비정질 실리콘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표면에 2 개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소오스 전극부(S)는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의 드레인 전극(D)과 연결된다. 소오스 전극부(S)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하나에 접촉된다. 드레인 전극부(D)는 2 개로 나뉘어진 n+ 비정질 실리콘 박막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며 제 1 센서 라인(142)으로부터 제 1 방향을 따라 화소영역(101)으로 연장된다.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에 형성된 채널층(C)은 레드 파장에 대해 광 인식 효율이 가장 좋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광의 인지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후술될 컬러필터(130) 중 레드 컬러필터(132)가 형성될 화소영역(101)들 중 선 택된 화소영역에만 감지소자(146,148)가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컬러필터(130)는 각 화소영역(101)에 배치되며, 각 컬러필터(130)의 에지 부위는 화소영역(101)의 사이에서 상호 오버랩 된다. 컬러필터(130) 중 오버랩 된 부분은 화소영역(101)의 사이로 누설된 광을 차단한다. 따라서, 화소영역(101)의 사이에서 컬러필터(130)들을 상호 오버랩 시킬 경우,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영역(101)의 사이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 패턴(black matrix pattern)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컬러필터(130)는 레드 컬러필터(132), 그린 컬러필터(134) 및 블루 컬러필터(136)를 포함한다. 레드 컬러필터(132)는 레드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레드 컬러필터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린 컬러필터(134)는 그린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그린 컬러필터 물질로 이루어진다. 블루 컬러필터(136)는 블루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블루 컬러필터 물질로 이루어진다. 각 화소영역(101) 중 임의의 n 번째(단, n은 자연수) 화소영역은 레드 컬러필터(132)를 포함하고, n+1 번째 화소영역은 그린 컬러필터(134)를 포함하며, n+2 번째 화소영역은 블루 컬러필터(136)를 포함한다. 컬러필터(130)는 각 화소영역(101)의 전체를 덮는다. 각 컬러필터(130)는 콘택홀(132a,134a,136a)을 포함하며, 콘택홀(132a,134a,136a)은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드레인 전극부(D)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화소 전극(150)은 화소영역(101)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30)의 상면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150)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이하, ITO) 패턴 또는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이하, IZO) 패턴으로 이 루어진다. 화소 전극(150)은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콘택홀(132a,134a,136a)에 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드레인 전극부(D)에 연결된다. 화소전극(150)은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0)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다.
광차단 패턴(160)은 화소 전극(150) 상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30)에 형성된 콘택홀(132a,134a,136a)을 통해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의 드레인 전극(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차단 패턴(160)은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네오디뮴(Al-Nd)으로 이루어진다. 광차단 패턴(160)은 구동전압 인가장치(120), 제 1 센서 라인(142), 제 2 센서 라인(144)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와 대응되는 부분을 커버하여 제 1 기판(100)에서 제 2 기판(20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함과 아울러,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가 외부에서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에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와 화소전극(150)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광차단 패턴(160)을 개구시켜 화소영역(101)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시키고, 사용자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이 제2 박막 트랜지스터(146)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기판(200)은 제 2 투명기판(210) 및 공통전극(220)을 더 포함한다. 공통전극(220)은 제 2 투명기판(210)의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되며,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진다.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200)은 화소 전극(150) 및 공통전극(220)이 상호 마주보도록 어셈블리 된다.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200)을 상호 어셈블리 하기 위해,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200)의 에지에는 띠 형상으로 접착성을 갖는 밀봉 부재(도 1 참조, 115)가 배치된다.
액정(300)은 어셈블리 된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액정(300)은 화소 전극(150) 및 공통전극(220)의 사이에 형성된 전위차에 의하여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소영역(101)을 포함하는 제 1 기판(100)에 구동전압 인가장치(120), 컬러필터(130), 광 감지부(140), 화소전극(150) 및 광차단 패턴(160)이 형성되고, 제 2 기판(200)에는 공통전극(220)만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어셈블리가 용이하여 미스 얼라인에 의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소영역(101)에 형성된 컬러필터(130)로 인해 게이트 라인(122) 및 데이터 라인(124)과 화소전극(150)의 사이가 멀어져 화소영역(101)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서 보다 해상도가 좋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400)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광에 의해 위치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부(140)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방식의 화상표시장치에 비해 광 특성이 향상되고, 두께가 얇아지며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광 감지부(140)가 레드 컬러필터(132)가 덮여지는 화소영역(101)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광 감지부(140)의 광 인지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영역 부분을 절단 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감지소자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에 광차단 패턴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 2 기판(200)은 광차단 패턴(230)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광차단 패턴(230)은 공통전극(220)의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광차단 패턴(230)은 크롬(Cr)과 유사한 광투과율 또는 광차단율을 갖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광차단 박막을 패터닝 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어, 광차단 박막은 크롬과 유시한 광투과율 또는 광차단율을 갖는 블랙 유기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광차단 패턴(230)은 구동전압 인가장치(120), 제 1 센서 라인(142), 제 2 센서 라인(144)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이들을 커버한다. 광차단 패턴(230)은 구동전압 인가장치(120), 제 1 센서 라인(142), 제 2 센서 라인(144)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를 통해 제 1 기판(100)에서 제 2 기판(200) 쪽으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고, 제 1 박막 트랜지스터(123)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148)가 외부에서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에 반응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 박막 트랜지스터(146)와 화소전극(15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된 광차단 패턴(160)의 개구(230a)에 의하여 화소영역(101)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제공되는 광이 제2 박막 트랜지스터(146)에 인가된다.
광차단 패턴(230)은 화소영역(101)과 대응하는 곳에 형성된 개구(230a)에 의하여 화소영역(101)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시키고, 화소영역(101)의 사이로 통과된 광은 차단한다.
광차단 패턴(230)은 오버랩 된 컬러필터(130)를 통과한 광을 완전히 차단하여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킨다.
제 1 기판(100) 및 광차단 패턴(230)이 형성된 제 2 기판(200)의 사이에는 트위스트 네마틱 액정(Twist Nematic Liquid Crystal, TN LC) 또는 수직 배향 모드 액정(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VA LC)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기판 중 공통전극의 표면에 광차단 패턴을 형성하면 화소영역의 사이로부터 누설된 광을 완전히 차단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한층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화소영역이 구비된 제 1 기판에 구동전압 인가장치 및 화소전극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인가된 광에 의해 구동되어 위치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컬러필터 및 광차단 패턴을 함께 형성하고, 제 2 기판에는 공통전극만 형성하여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얼라인 미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소영역의 개구 면적이 증대되어 제품의 고해상도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선택된 지시내용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박형화 시킬 수 있고, 광 특성 향상 및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감지소자의 광 인식 효율을 향상시 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제 1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영역들 내의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들 및 화소전압을 출력하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화소전압 인가장치, 상기 화소영역들 내의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광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감지부,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전압을 인가 받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
    제 1 투명기판과 마주보도록 포개어지는 제 2 투명기판, 상기 제 2 투명기판중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레드 컬러필터, 그린 컬러필터 및 블루 컬러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드 컬러필터, 상기 그린 컬러필터 및 상기 블루 컬러필터의 에지 부위는 상기 화소영역 사이로 누설된 광을 차단하기 위해 상호 오버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소정간격 이격 되어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3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센서 라인; 및
    상기 게이트 라인과 소정간격 이격 되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2 센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3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레드 컬러필터가 위치한 상기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의 표면에 외부에서 인가된 광을 상기 감지부 쪽으로 전달시키고, 상기 화소영역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시키며 상기 화소영역의 사이로 입사된 광은 차단하는 격자 형상의 광차단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공통전극의 표면에 외부에서 인가된 광을 상기 감지부 쪽으로 전달시키고, 상기 화소영역으로 입사된 광은 통과시키며 상기 화소영역의 사이로 입사된 광은 차단하는 격자 형상의 광차단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39340A 2003-03-28 2003-06-18 액정표시장치 KR10098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40A KR100987716B1 (ko) 2003-06-18 2003-06-18 액정표시장치
US10/805,961 US7626575B2 (en) 2003-03-28 2004-03-22 Light pen
PCT/KR2004/000639 WO2004086215A2 (en) 2003-03-28 2004-03-24 Light pen
TW093108394A TW200502917A (en) 2003-03-28 2004-03-26 Light pen, photo det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pen
US12/582,255 US20100039408A1 (en) 2003-03-28 2009-10-20 Light pen, photo det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40A KR100987716B1 (ko) 2003-06-18 2003-06-1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51A KR20040110151A (ko) 2004-12-31
KR100987716B1 true KR100987716B1 (ko) 2010-10-13

Family

ID=3738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340A KR100987716B1 (ko) 2003-03-28 2003-06-1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1562B2 (en) 2011-06-29 2015-01-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68B1 (ko) * 2006-06-10 2013-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62959B1 (ko) * 2007-03-30 2014-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싱기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584A (ja) * 1995-10-23 1997-05-02 Nec Eng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10022A (ko) * 2001-07-25 2003-0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584A (ja) * 1995-10-23 1997-05-02 Nec Eng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10022A (ko) * 2001-07-25 2003-0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1562B2 (en) 2011-06-29 2015-01-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51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8461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5167234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内蔵型液晶表示装置
TWI399582B (zh) 液晶顯示裝置
KR10214284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기판
JP5283451B2 (ja) 液晶表示装置
JP501355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229288B1 (ko)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229479A1 (en) Panel assembly
JP5125222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194704A1 (en) Display device,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I472835B (zh) 液晶顯示裝置
TW200839591A (en) Input-capable display device
US201101876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ing method thereof
US10969887B2 (en) Touch display device
JP2008185785A (ja) 入力機能付表示装置
KR20080111939A (ko) 액정 표시 장치
EP1267198A2 (en) Transflective electro-optical device
EP292774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2135680A (zh) 液晶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0987716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2185513A (ja) 液晶表示装置
US81256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59038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13993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6857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