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64B1 -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64B1
KR100987264B1 KR1020080044929A KR20080044929A KR100987264B1 KR 100987264 B1 KR100987264 B1 KR 100987264B1 KR 1020080044929 A KR1020080044929 A KR 1020080044929A KR 20080044929 A KR20080044929 A KR 20080044929A KR 100987264 B1 KR100987264 B1 KR 10098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elevator
ceiling
front wal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090A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08004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승객이 화면을 보기 쉽도록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의 화면 전체가 상기 일단부쪽을 향하면서 아래로 기울어지게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조명등(L)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엘리베이터 케이지 천정(2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 밑에서 보이지 않으며; 반사판(R)이 상기 조명등(L) 윗쪽으로 케이지 천정(20)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of the cell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승객이 화면을 보기 쉽도록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이들 빌딩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도 고급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벽면의 장식판을 고급 장식판으로 장식하는 외에도, 천정에도 고급 장식 마감재로 장식을 하는 경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천정을 예컨대 대리석이나 도자기나 조각품 등으로 장식한다거나, 천정면을 아치형태로 구성하려면 대단히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비상시 엘리베이터 천정의 탈출구를 개방해야만 하고 또한 조명등의 교체나 수리를 위해 천정 장식품을 떼어내야만 하는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천정에 고급 장식품을 설치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한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LCD 등의 디스플레이를 부착하는 것은 상당히 용이한 일이고 벽면 TV 설치 기술을 그대로 전용해도 가능하여, 현재 엘리베이터의 벽면에는 LCD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것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과 비상탈출구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특성상, 비상탈출구와 조명등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엘리베이터 천정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예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형편이다. 또,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형인 경우에 한정되고,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공간문제상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설치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2006년 12월 15일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6-128736호에서 "엘리베이터 천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소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 주장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엘리베이터 천정 밑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승객이 화면을 보려면 고개를 상당히 위로 꺾어야만 해 불편감이 상당했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를 엘리베이터 천정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구조가 상당히 복잡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방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승객이 고개를 조금만 들어도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불편함을 덜어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조명등(L)과 반사판(R)을 갖추고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디스플레이 패널(D)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D)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을 향해 아랫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고;
조명등(L)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D)과 엘리베이터 케이지 천정(2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 밑에서 보이지 않으며;
반사판(R)이 상기 조명등(L) 윗쪽으로 케이지 천정(20)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케이지 정면 벽(10)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 일단부에 돌기(12)가 부착되고, 정면 벽(10)에는 돌기(12)에 맞물리는 돌기(14)가 설치되며, 이들 돌기(12,14)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면 벽(10)에 홈(16)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D)의 상기 일단부를 홈(16)에 끼워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D)을 정면 벽(10)에서 분리한 다음 어느 한쪽으로 피봇시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정(20)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지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방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승객이 불편감 없이 쉽게 화면을 볼 수 있으며, 또 벽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단부를 고정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구조가 아주 간단해진다.
또, 승객의 입장에서는 멍청하게 앞사람의 뒷통수만 바라보아야 하거나, 키가 작은 어린이 등의 경우 특히 시선을 둘 곳이 없던 지루함을 탈피하여, 잠깐의 엘리베이터 탑승시간에도 시선을 집중하여 엘리베이터를 타는 자체가 즐거움이 되기도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와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좌측을 정면, 우측을 배면으로 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부, 도면에서 좌측단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도 2 참조). 물론 종래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나 스트링 등으로 디스플레이 패널(D) 자체는 천정에 현수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D)의 화면 전체가 좌측 단부를 향하면서 아래로 기울어지게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형광등, 백열등, LED 등을 포함한 조명등(L)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엘리베이터 케이지 천정(20) 사이에 배치되지만, 가급적 디스플레이 패널(D) 밑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명등(L)의 빛이 승객의 눈에 직접 비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조명등의 빛이 승객의 눈에 직접 비추면 승객의 눈이 피로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D)의 화면도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가급적, 조명등(L)을 디스플레이 패널(D)의 측면 모서리보다 약간 안쪽에 설치하는 것이 공간활용이나 천정(20)에 설치된 탈출문 개폐를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조명효과를 높이기 위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정(20)에 반사판(R)을 설치하는데, 이 반사판은 조명등(L) 윗쪽으로 케이지 천정(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D)을 분리하여 피봇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정면 벽(10)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 일단부에 돌기(12)가 부착된다. 돌기(12)의 갯수는 하나 또는 다수로서,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적정 갯수로 하면 된다. 또, 돌기(12)에 대응되게, 정면 벽(10)에는 돌기(12)에 맞물리는 돌기(14)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D)을 고정할 때는, 이들 돌기(12,14)를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로 조이면 된다. 물론, 체결구를 풀면 디스플레이 패널(D)을 도 3과 같이 피봇시킬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 패널(D)의 안정을 위해 천정에 연결되는 부분도 나사 등의 체결구로 천정(20)에 고정한다. 디스플레이 패널(D)을 수리하거나 천정(20)을 유지보수하는 등 필요한 경우 돌기(12,14)의 결합을 풀고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을 젖히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는 다른 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에 기다란 홈(16)을 수평으로 형성한다. 홈(16)의 길이는 디스플레이 패널(D)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단부를 홈(16)에 끼우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비스듬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D)을 분리하려면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움직여 홈(16)에서 빼낸 다음 피봇시키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 자체는 유지보수를 위해 한쪽으로 회동(피봇)시켜 젖힐 수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뒷쪽으로 젖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하다면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을 옆으로 피봇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반사판(R)도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판형이 아닌 곡면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부를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 윗쪽에 고정하거나 홈에 끼우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패널 일 단부를 정면 벽에서 간격을 두고 띄워놓을 수도 있고, 천정에 매달아 놓을 수도 있다. 단, 어느 경우에도 승객이 화면을 보기 쉽도록 앞으로 가면서 밑으로 기울어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패널(D)을 분리하여 피봇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는 다른 예의 측면도;
도 5는 옆으로 피봇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을 보여주는 배면도.

Claims (5)

  1. 조명등(L)과 반사판(R)을 갖추고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디스플레이 패널(D)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D)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면 벽(10)을 향해 아랫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D)의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정면 벽(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조명등(L)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D)과 엘리베이터 케이지 천정(20)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D) 밑에서 보이지 않으며;
    반사판(R)이 상기 조명등(L) 윗쪽으로 케이지 천정(20)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정면 벽(10)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 일단부에 돌기(12)가 부착되고, 상기 정면 벽(10)에는 돌기(12)에 맞물리는 돌기(14)가 설치되며, 이들 돌기(12,14)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벽(10)에 홈(16)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D)의 상기 일단부를 홈(16)에 끼워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D)을 정면 벽(10)에서 분리한 다음 어느 한쪽으로 피봇시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정(20)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044929A 2008-05-15 2008-05-15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8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29A KR100987264B1 (ko) 2008-05-15 2008-05-15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929A KR100987264B1 (ko) 2008-05-15 2008-05-15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090A KR20090119090A (ko) 2009-11-19
KR100987264B1 true KR100987264B1 (ko) 2010-10-12

Family

ID=4160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929A KR100987264B1 (ko) 2008-05-15 2008-05-15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240B1 (ko) 2020-12-22 2022-02-15 포커스미디어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KR102565870B1 (ko) 2023-06-12 2023-08-11 주식회사 에프앤티홀딩스 엘리베이터 모서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377B1 (ko) * 2015-05-26 2016-12-07 윤일식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모니터 전개장치
CN106006319A (zh) * 2016-07-29 2016-10-12 上海汉神机电股份有限公司 可变角度倾斜机构
CN112707262B (zh) * 2020-12-23 2023-07-2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屏幕安装装置、安装方法及检修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482A (ja) * 1986-07-15 1988-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室の表示装置
JP2003002565A (ja) * 2001-06-22 2003-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2006193276A (ja) 2005-01-13 2006-07-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システム
KR100807951B1 (ko) * 2006-12-15 2008-02-28 윤일식 엘리베이터 천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482A (ja) * 1986-07-15 1988-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室の表示装置
JP2003002565A (ja) * 2001-06-22 2003-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2006193276A (ja) 2005-01-13 2006-07-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システム
KR100807951B1 (ko) * 2006-12-15 2008-02-28 윤일식 엘리베이터 천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240B1 (ko) 2020-12-22 2022-02-15 포커스미디어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디스플레이 거치장치
KR102565870B1 (ko) 2023-06-12 2023-08-11 주식회사 에프앤티홀딩스 엘리베이터 모서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090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64B1 (ko) 엘리베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CA2460111A1 (en) Lighting apparatus for incorporation into walls, panels, ceilings, floors or similar structures
WO2016011901A1 (zh) 一种吊顶天花
CN204187458U (zh) 一种led悬吊灯
CN206361562U (zh) 一种可简易更换多种外形的led灯具
CN206361528U (zh) 一种便于快速安装和整体拆卸的led灯
CN201302099Y (zh) 内光外透装饰灯具
CN209431189U (zh) 具有装饰灯带的挂镜线结构
CN204187457U (zh) 一种led悬吊灯悬吊灯体
KR20100008037U (ko) 가구용 발광 알루미늄 도어 손잡이
CN206145516U (zh) 一种嵌入式异型led线条灯
CN207484797U (zh) 一种具有渐变出光效果的吊顶结构及其转换框
KR102651270B1 (ko) 미디어 파사드 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04719Y1 (ko) 천장에 패널을 장착하는 구조
CN216155266U (zh) 一种电梯内壁的装潢结构
CN116906867B (zh) 十字架型建筑灯具
CN211624976U (zh) 一种亚克力led洗墙灯
CN217181760U (zh) 一种镂空灯光幕墙
CN216787616U (zh) 一种用于天花板的造型发光板
CN201460113U (zh) 一种吊顶面板安装结构
CN204187454U (zh) 一种悬吊灯
CN110720010A (zh) 模块化天花板套件
CN208899636U (zh) 大门构筑物的拱形通道安装结构
JP2006274579A (ja)
CN202546321U (zh) 一种新型led筒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