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39B1 -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 Google Patents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39B1
KR100987239B1 KR1020080072750A KR20080072750A KR100987239B1 KR 100987239 B1 KR100987239 B1 KR 100987239B1 KR 1020080072750 A KR1020080072750 A KR 1020080072750A KR 20080072750 A KR20080072750 A KR 20080072750A KR 100987239 B1 KR100987239 B1 KR 10098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anel
learner
concentration
inhib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01A (ko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장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호 filed Critical 장준호
Priority to KR102008007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를 보조하기 위한 판넬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용 판넬(100)로서, 평판형상의 몸체판넬(10);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 및 시간을 기재하는 학습테스크기재영역(2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 및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학습자의 학습을 저해하는 물건(1)에 부착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들에 대해 부정적이미지를 인식시키고, 학습저해물건을 개념적 및 공간적으로 학습공간 및 시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서 학습자의 집중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집중력 강화, 판넬, 심리, 학습

Description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Panel for helping student increasing his power of concentration}
본 발명은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중력 방해 요소들을 학습자에게 직관적으로 가시화하고 자기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보조 판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날로 커져가는 교육열과 함께 좋은 공부 환경이 화두로 제시되고 있다.
좋은 좋부 환경이란 학습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환경이 제공된 환경을 의미한다. 학습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 중 가장 효과적인 것 중 하나는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소는 외부적인 요소와 내부적인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외부적인 요소는 소음, 탁한 공기, 적절하지 못한 온도, 불쾌한 주위환경 등을 의미하며, 내부적인 요소는 학습자의 심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 사회문화적인 변화등에 의해 외부적인 요소보다 내부 적인 요소가 학습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인터넷, 게임등 미디어의 발달에 더불어 개인이 홀로 사용하고 느낄 수 있는 여러가지 기기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기들은 인터넷을 하는 컴퓨터, 엑스박스등의 게임기, 휴대폰, PDA, MP3플레이어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기들은 학습자가 학습이외에 다른 상황에 몰두하게 함으로써 학습으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킴으로써 다음 학습에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최근 이러한 기기들이 가지는 중독성으로 인해 오히려 학습 혹은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중독에 약하고, 절제력이 크지 않은 청소년들은 이러한 기기들에 중독되거나 최소한 이러한 기기의 존재들로 인해 학습시간 중에 유혹을 받거나 혹은 실제로 많은 학습시간을 뺏기게 된다. 학습을 해야할 시간에 학습을 하지 못한 학습자는 더욱 자신감을 상실하거나 절제력이 감소되고, 결국 반복되는 오류로 인해 학습효과는 더욱 감소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로하여금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를 적절히 절제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용 판넬(100)로서, 평판형상의 몸체판넬(10);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 및 시간을 기재하는 학습테스크기재영역(2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 및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학습자의 학습을 저해하는 물건(1)에 부착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사용금지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금지지시이미지부(34); 및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물건의 사용금지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하는 사용금지시간기재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학습저해물건(1)만을 별도로 구분하여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는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상기 학습저해물건판넬(40)상에만 놓음으로써 상기 학 습저해물건만의 영역을 특정하고 가시화함으로써 상기 학습저해물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탈부착가능한 점착성 재료가 부착된 종이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이미지화한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이 형성되어 있어, 학습자로하여금 컴퓨터와 같이 수집판넬(40)에 올려놓기에는 크기가 큰 물건에 대해서는 상기 그림에 대해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쉽게 뗄 수 없도록 하는 점착성 재료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용 판넬(100)에 의해 학습저해물건을 개념적으로 학습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좀더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금지지시수단(32)에 의해 학습저해물건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학습자에게 다시 한번 인식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한 유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에 의해 학습저해물건을 공간적으로 학습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좀더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아이콘(46)에 의해 크기가 큰 학습저해물건에 대해서는 아이콘(46)에 대해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금지지시수단의 편의성을 높이고, 학습자로하여금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에 올려놓지 못하는 물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10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학습테스크판넬(2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학습저해요소가시화판넬 (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100)은 몸체판넬(10), 학습테스크판넬(20), 학습저해요소 가시화 판넬(30)을 포함한다.
몸체판넬(10)은 평판형상의 판넬로서 상부에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 및 학습저해요소가시화판넬(30)이 설치된다. 몸체판넬(10)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집중력강화를 위해 학습장소에서 집중력강화를 위해 필요한 관념적인 요소들 즉 학습테스크와 학습저해요소에 대한 가시화를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즉 몸체판넬(10)은 이하에서 설명될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과 학습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을 학습자의 학습공간 및 학습공간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학습물건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시키고 가시화시킴으로써 학습장소에서 학습과 직접관련된 요소와 학습장소에 서 그렇지 않은 요소들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집중력강화를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판넬이 학습공간을 산만하게 함으로써 학습에 오히려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은 몸체판넬(10)의 일 영역에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판넬로서,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기재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학습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과 시간을 기재하는 "오늘의 할일리스트" 와 같은 테스크를 학습테스크판넬(20)에 부착하거나 직접 기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 및 학습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은 몸체판넬(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과 학습저해요소가시화판넬(30)은 별도의 영역으로 가시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은 몸체판넬(10)의 또다른 일 영역에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판넬로서,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포함한다.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학습을 저해하는 물건에 부착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부재이다.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사용금지지시이미지부(34) 및 사용금지시간기재부(36)을 포함한다.
사용금지지시이미지부(34)는 해당 학습저해요소가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이어서 사용금지해야한다는 명제를 학습자에게 가시적으로 인식시켜주는 이미지(예를 들면 사용금지를 나타내는 자물쇠 이미지)를 포함한다.
사용금지시간기재부(36)는 상기 학습금지지시이미지부(34)에서 가시화된 사 용금지 명제에 대한 조건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곳으로서 사용금지시간을 기재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학습자는 사용금지시간을 보면서 언제까지 사용하면 안된다는 구체적으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방법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는 학습저해요소라고 생각되는 물건 즉 학습저해물건을 지정하고, 이물건에 사용금지지시수단(32)를 부착하거나 또는 학습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상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해당 물건이 학습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인식하게 된다.
만약 학습자가 학습중 집중력이 떨어져 학습저해물건에 관심이 가게되면, 학습자는 학습저해물건을 쳐다보게 되고, 학습저해물건상에 부착된 사용금지 지시수단을 보게된다. 사용금지지시수단은 사용을 금지한다는 명제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키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학습자는 이에 의해 학습저해물건의 정체성 즉 학습저해물건은 나의 집중력을 방해한다는 개념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고, 이는 에 대한 유혹을 보다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학습저해물건을 사용하게 되는 회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금지지시수단은 학습저해물건의 상부에 부착가능하므로, 학습자는 학습저해물건의 형상을 보지못하고 사용금지이미지를 먼저 보게되므로, 이는 첫째 학습저해물건의 형상르 보지못하므로 학습저해물건의 유혹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둘째 부정적인 개념을 인식시키는 사용금지이미지만을 보게 되므로 사용자는 학습저해물건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게 되어 학습 저해물건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용금지지시수단(32)는 탈부착가능한 점착성재료가 부착된 종이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성재료가 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학습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로부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용이하게 떼어낼수 있고, 종이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형상이 어느정도 변경가능하여 학습저해물건(1)의 표면의 형상에 무관하게 잘 부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200)은 도 1의 실시예의 판넬(100)에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은 몸체판넬(10)의 일 영역에 위치하는 판넬로서, 학습자로하여금 학습저해물건(1)을 별도로 구분하여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은 학습저해물건(1)의 영역을 특정하고 가시화함으로써 학습저해물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은 학습저해물건(1)을 도안화한 그림 이미지 즉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은 핸드폰, 게임기, 개인용컴퓨터등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의 개인용컴퓨터와 같은 물건은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상에 놓기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물건을 직접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에 놓는 대신 에 사용자는 첫째 학습저해물건(1)의 이미지만을 보더라도 상기 물건이 학습저해요소임을 인식하거나 혹은 둘째 학습저해물건(1)에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사용하는 대신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에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부착함으로써, 학습저해물건의 인식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학습자가 학습저해물건(1)을 쉽게 뗄수 없도록 하는 점착성 재료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점착성재료(43)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상에 학습저해물건의 이미지 즉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ㅎ이미지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이 형성된 이미지필름(42)이 판넬(40)상부에 형성되고, 이미지필름(42)의 상부에 점착성재료(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저해물건(1)은 그 하부표면이 점착성재료(43)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에 점착성재료가 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학습저해물건(1)에 대한 유혹을 느끼고 만지거나 떼어낼려고 했을 때 물리적인 힘으로거 거부감을 주기 때문에, 학습자의 심리는 유혹에 대한 경고의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이는 학습자에게 이 물건(1)이 학습에 방해되는 요소임을 다시 한번 인식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학습테스크판넬(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학습저해요소가시화판넬(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6)

  1.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용 판넬(100)로서,
    평판형상의 몸체판넬(10);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 및 시간을 기재하는 학습테스크기재영역(2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 가시화판넬(20);
    상기 몸체판넬상에 부착가능한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학습자의 학습을 저해하는 물건(1)에 부착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포함하는 학습테스크저해요소 가시화판넬(30); 및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학습저해물건(1)만을 별도로 구분하여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사용금지를 직관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금지지시이미지부(34); 및
    상기 학습자로하여금 상기 물건의 사용금지시간을 기재할 수 있게 하는 사용금지시간기재부(36)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쉽게 뗄 수 없도록 하는 점착성 재료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학습자는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상기 학습저해물건판넬(40)상에만 놓음으로써 상기 학습저해물건만의 영역을 특정하고 가시화함으로써 상기 학습저해물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학습저해물건 수집판넬(4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학습저해물건(1)을 이미지화한 학습저해물건 아이콘(46)이 형성되어 있어, 학습자로하여금 컴퓨터와 같이 수집판넬(40)에 올려놓기에는 크기가 큰 물건에 대해서는 상기 그림에 대해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을 이용하고,
    상기 사용금지지시수단(32)은 탈부착가능한 점착성 재료가 부착된 종이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자의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용 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72750A 2008-07-25 2008-07-25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KR10098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50A KR100987239B1 (ko) 2008-07-25 2008-07-25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750A KR100987239B1 (ko) 2008-07-25 2008-07-25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01A KR20100011501A (ko) 2010-02-03
KR100987239B1 true KR100987239B1 (ko) 2010-10-12

Family

ID=4208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750A KR100987239B1 (ko) 2008-07-25 2008-07-25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2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948U (ko) * 1996-11-02 1997-02-21 성운기 학습용 시간표
KR20030004139A (ko) * 2001-07-04 2003-01-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전계 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및제조 장치, 전계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성막 방법 및 성막장치, 전기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전자 기기
KR200304139Y1 (ko) 2002-11-18 2003-02-14 진주원 다용도 화이트보드
JP2006043246A (ja) 2004-08-06 2006-02-16 Nippon Iryoki Kenkyusho:Kk 模造薬物見本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948U (ko) * 1996-11-02 1997-02-21 성운기 학습용 시간표
KR20030004139A (ko) * 2001-07-04 2003-01-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전계 발광 기판의 제조 방법 및제조 장치, 전계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성막 방법 및 성막장치, 전기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전자 기기
KR200304139Y1 (ko) 2002-11-18 2003-02-14 진주원 다용도 화이트보드
JP2006043246A (ja) 2004-08-06 2006-02-16 Nippon Iryoki Kenkyusho:Kk 模造薬物見本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01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221B2 (en) Touch screen cover
McDowell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US8619034B2 (en) Sensor-based display of virtual keyboard image and associated methodology
US20130129958A1 (en) Screen protective film and applications of same
EP2405345A3 (en) Touch event model programming interface
Bergmann Phenomenal conservatism and the dilemma for internalism
JP2012064066A (ja) 携帯端末
KR100987239B1 (ko) 집중력 강화 보조용 판넬
JP4952058B2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Gunn The Religious Right and the Opposition to US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atthen Is Perceptual Experience Normally Multimodal? 1
KR20110061433A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KR10136865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Sasaki Towards a systematic description of narrative ‘point of view’: An examination of Chatman's theory with an analysis of ‘The Blind Man’by DH Lawrence
Leone Remarks for a Semiotics of the Veil
Allison Bishop Berkeley’s petitio
JP2017186121A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Tascón Australia's new other: Shaping compassion for onshore refugees
EP2860616B1 (en) Touch screen cover
Schauer Fish's Five Theories
CN109835784A (zh) 电梯系统
DE112020007543T5 (de) Initiieren eines Computergerät-Interaktionsmodus unter Nutzung der Erkennung von Gesten außerhalb des Bildschirms
JPS5938300Y2 (ja) 安全チエツクメモ
Aihiokhai Rethinking Shared Spaces in an Era of Diversity: Towards an Imagination of the Human as a Holistic Being
JP3845760B2 (ja) 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