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70B1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70B1
KR100986770B1 KR20070122659A KR20070122659A KR100986770B1 KR 100986770 B1 KR100986770 B1 KR 100986770B1 KR 20070122659 A KR20070122659 A KR 20070122659A KR 20070122659 A KR20070122659 A KR 20070122659A KR 100986770 B1 KR100986770 B1 KR 10098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er
attachment
application
messag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827A (ko
Inventor
박찬민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7012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7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은,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및 상기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각각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식별자 저장부;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생성부에서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이용하여 식별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식별자,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TERMINAL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다양한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등장 이후,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일반화되어, 텍스트 위주의 메시지로는 더 이상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기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간단한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과 달리, 대량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그래픽, 비디오 클립, 사운드 파일, 그리고 문자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는 방법이다.
그런데, 기존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그래픽, 비디오 클립, 사운드 파일 그리고 문자 메시지와 같은 형식의 데이터 만이 전송이 가능했다.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은 동영상, 정지영상, 음성/음향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파일 형식을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이 제공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은,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데이터 각각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는 식별자 저장부;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생성부에서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와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발신 단말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메시지를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이 제공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은,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분석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착신 단말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이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는 "MMS"라 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발신 단말(100), 발신측 기지국(200),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 홈위치등록기(400), MMS 서버(500), 착신측 이동전화교환국(600), 착신측 기지국(700) 및 착신 단말(800)을 포함한다. 도 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MMS 메시지를 생성하고, MMS 메시지의 송신이 가능하다. 발신 단말(100)은 발신자로부터 MMS 서비스 요청, 착신자 정보, 내용 정보 및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발신 단말(100)은 해당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이후, 발신 단말(100)은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신측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그래픽, 비디오 클립, 사운드 파일의 형식뿐만 아니라, 문서, 지도 데이터, 알람 데이터, 게임 세이브 파일 등 다양한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식별자는 각각의 첨부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데이터의 형식에 대한 식별자는 발신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다.
발신측 기지국(20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발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를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으로 전송한다.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은 홈위치등록기(400) 및 MMS 서버(5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은 발신측 기지국(200)을 통해 수신한 MMS 메시지를 MMS 서버(500)로 전송한다.
홈위치등록기(400)는 가입자의 발신, 착신 상태, 부가 서비스 등의 각종 정 보와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MMS 서버(500)는 발신측 이동전화교환국(300)으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 MMS 서버(500)는 수신한 MMS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고, 홈위치등록기(400)의 가입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측 이동전화교환국(600)으로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착신측 이동전화교환국(600)은 MMS 서버(500)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측 기지국(700)으로 전송한다.
착신측 기지국(700)은 착신측 이동전화교환국(600)으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단말(800)로 전송한다.
착신 단말(800)은 착신측 기지국(700)으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착신 단말(800)은 수신한 MMS 메시지의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또한, 착신 단말(800)은 수신한 MMS 메시지에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착신 단말(800)은 착신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첨부파일을 실행시켜 표시한다.
이상에서,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800)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발신측 기지국(200) 및 착신측 기지국(700)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전화교환국의 교환기는 망의 특성에 따라 회선교환기와 패킷교환기가 합쳐지거나 그 중 일부의 기능을 가지는 형태로, 각각은 PCX, IMX. SGSN, GGSN, router 등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발신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발신 단말(100)은 저장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판단부(140), 메시지 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저장부(110)는 데이터 저장부(111) 및 식별자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도 2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20)는 발신자로부터 MMS 메시지 요청, 착신자 정보, 내용 정보 및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는다.
판단부(140)는 발신자로부터 MMS 메시지 요청을 받은 경우, 발신자가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시지 생성부(150)는 발신자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150)는 검색부(151)를 포함한다.
검색부(151)는 발신자가 MMS 메시지를 요청하면서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한 경우, 해당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11)에서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발신자는 전송하고 싶은 첨부파일의 이름을 나타내는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하고, 발신 단말(100)은 첨부파일의 이름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검색부(151)는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식별자 저장부(112)에서 검색한다.
이후, 메시지 생성부(150)는 검색부(151)에서 검색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00)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MMS 메시지는 발신자 필드(①), 착신자 필드(②), 회신번호 필드(③), 본문 필드(④) 및 첨부 파일 필드(⑤)을 포함한다. 이때, MMS 메시지의 각각의 필드는 각 필드를 구분하는 구분자에 의해 나뉘어진다.
발신자 필드(①), 착신자 필드(②) 및 회신번호 필드(③)는 MMS 메시지의 헤더 부분이다.
MMS 메시지의 필드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신자 필드(①)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 도 3에서는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01012340001'이 저장되어 있다.
착신자 필드(②)는 착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 도 3에서는 착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01012340001'이 저장되어 있다.
회신번호 필드(③)는 회신 받고자 하는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 도 3에서는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01012345678'이 저장되어 있다.
본문 필드(④)에는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첨부 파일 필드(⑤)는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 첨부 파일 필드(⑤)는 식별자 필드(ⓐ) 및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자 필드(ⓐ)는 첨부한 첨부파일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필드로, 도 3에서는 첨부파일 식별자의 일례로 'ABC'가 저장되어 있다.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는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첨부파일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첨부 파일 데이터에 대해 각 첨부파일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다.
정리하면, 메시지 생성부(150)는 발신자가 입력한 첨부파일 정보를 기초로,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검색한다. 이후, 메시지 생성부(150)는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식별자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
통신부(130)는 메시지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발신측 기지 국(200)으로 전송한다.
저장부(110)에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및 각각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110)는 데이터 저장부(111) 및 식별자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111)는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가 데이터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달하는 데이터는, 발신 단말(100)과의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이동식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식별자 저장부(112)에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각각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이때, 식별자는 단말기의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 구분자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 형식의 일례로 파일명이 ".doc"와 같이 끝나는 데이터의 경우, 식별자 저장부(112)에는 ".doc"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판단부(140), 메시지 생성부(150), 통신부(130) 및 저장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착신 단말(8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착신 단말(800)은 통신부(810), 표시부(820), 제어부(830), 분석부(840) 및 저장부(850)를 포함하고, 저장부(850)는 식별자 저장부(860)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부(870)를 포함한다. 도 4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810)는 착신측 기지국(700)으로부터 식별자 및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통신부(810)는 수신한 MMS 메시지를 분석부(840)로 전달한다.
분석부(840)는 통신부(8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의 첨부 파일 필드(⑤) 부분을 기초로, 발신자가 MMS 메시지에 파일을 첨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분석부(840)는 발신자가 MMS 메시지에 일정 파일을 첨부한 경우, MMS 메시지의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에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분석부(840)는 검색부(841)를 포함한다. 검색부(841)는 식별자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이후, 분석부(840)는 MMS 메시지의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에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표시부(820)는 착신자에게 발신자 정보, 내용 정보 및 첨부파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표시부(820)는 착신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첨부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실행시켜 표시한다.
저장부(850)에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 타내는 식별자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850)는 식별자 저장부(860)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부(870)를 포함한다.
식별자 저장부(860)에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및 각 데이터 형식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착신 단말의 식별자 저장부(860)는 발신 단말의 식별자 저장부(112)와 동일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저장부(870)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870(1)~870(n))이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어플리케이션(870(1)~870(n))은 데이터 저장부(871(1)~871(n)) 및 실행부(872(1)~872(n))를 포함한다. 또한, 각 저장부는 하나로 통합되어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871(1)~871(n))에는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실행부(872(1)~872(n))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부분으로, 발신자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첨부파일에 대한 데이터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에, 데이터 저장부(871(1)~871(n))에 저장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실행시킨다.
제어부(830)는 통신부(810), 표시부(820) 및 분석부(8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발신 단말(100)은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생성(S101)하고, 생성된 MMS 메시지를 MMS 서버(500)로 전송(S102)한다.
MMS 서버(500)는 수신한 MMS 메시지를 임시 저장(S103)하고, 홈위치등록기(400)의 착신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착신 단말(800)로 MMS 메시지를 전송(S104)한다.
착신 단말(800)은 MMS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의 식별자를 기초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한다(S105). 이후, 착신 단말(800)은 착신자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실행시킨다(S10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발신 단말(100)은 발신자로부터 MMS 메시지 요청을 입력 받고(S201), 착신자 정보 및 내용 정보를 입력 받는다(S202). 이후, 발신 단말(100)은 발신자가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발신 단말(100)은 해당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11)에서 검색(S204)하고, 해당 첨부파일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식별자 저장부(112)에서 검색(S205)한다. 이후,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에는 첨부파일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식별자 필드(ⓐ)에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S206).
반면,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 정보를 입력 받지 않은 경우, 첨부 파일 필드(⑤)를 포함하지 않는 MMS 메시지를 생성한다(S207).
이후, 발신 단말(100)은 생성된 MMS 메시지를 MMS 서버(500)로 전송한다(S208).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8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착신 단말(800)은 MMS 서버(500)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하고(S301), 수신한 MMS 메시지에 첨부 파일 필드(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발신자가 MMS 메시지에 파일을 첨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발신자가 MMS 메시지에 일정 파일을 첨부했다고 판단된 경우, 착신 단말(800)는 식별자 필드(ⓐ) 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S303). 또한, 착신 단말(800)는 MMS 메시지의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에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추출(S304)하고, 추출된 첨부파일의 데이터 부분을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S305)한다.
이후, 착신 단말(800)은 착신자로부터 수신한 MMS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실행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306)하고, 착신자로부터 첨부파일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실행시킨다(S30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발신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00)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를 제공하기 위한 착신 단말(8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80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는 식별자 저장부;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식별자와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메시지에 함께 포함시켜서 상기 착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식별자 저장부 및 상기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 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4. 발신 단말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로부터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
    (c) 획득되는 식별자와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메시지를 착신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는 상기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되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 및 식별자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첨부 파일 데이터 필드에는 상기 (i) 단계에서 검색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자 필드에는 상기 (ii) 단계에서 검색된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구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8.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는 식별자 저장부;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검색하여 획득하고,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저장 영역에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분석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데이터 각각이 실행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실행부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식별자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13. 착신 단말을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첨부파일의 데이터 및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c)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저장 영역에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착신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첨부파일의 데이터가 자신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구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122659A 2007-11-29 2007-11-29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10098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2659A KR100986770B1 (ko) 2007-11-29 2007-11-29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2659A KR100986770B1 (ko) 2007-11-29 2007-11-29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27A KR20090055827A (ko) 2009-06-03
KR100986770B1 true KR100986770B1 (ko) 2010-10-08

Family

ID=4098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2659A KR100986770B1 (ko) 2007-11-29 2007-11-29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976A (ko)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976A (ko)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27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2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US20040185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ad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s with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messages
WO2010130117A1 (zh) 多接入式客服系统及其方法
JP2005136968A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4107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ocation service
KR20160085590A (ko)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090002258A (ko) 모바일 메신저 대화내용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8677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04005642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알엘 변경 및 전송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171377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KR100873804B1 (ko) 모바일 메신저 대화내용 mms 메시지 전송 방법 및시스템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50168B1 (ko)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KR20070071381A (ko) 이동통신 기반의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KR20120002121A (ko)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SoIP 기반의 긴급 호 서비스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0884648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메시지 및 회신 이메일을 전송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878041B1 (ko) 모바일 페이지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767586B1 (ko)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851582B1 (ko) 로밍 중인 단말기로의 장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001145A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8994A (ko) 위치 데이터를 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33329B1 (ko)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KR10101775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연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