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329B1 -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329B1
KR101033329B1 KR1020100119445A KR20100119445A KR101033329B1 KR 101033329 B1 KR101033329 B1 KR 101033329B1 KR 1020100119445 A KR1020100119445 A KR 1020100119445A KR 20100119445 A KR20100119445 A KR 20100119445A KR 101033329 B1 KR101033329 B1 KR 10103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obile terminal
terminal number
serv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열
Original Assignee
김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열 filed Critical 김성열
Priority to KR102010011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이동단말에서 수신이동단말로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텍스트로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해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온(ON)임을 확인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모두 온(ON)인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한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하는 텍스트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MOBILE CALL SYSTEM AND MOBILE CALL METHOD BASED ON TEXT}
본 발명은 모바일 통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와 동일하게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텍스트에 의한 주소화를 통해 지정된 텍스트에 대한 사유화, 그리고 기존의 단말번호를 텍스트인 전화글자로 변환하는 서버를 구축하여 하나의 텍스트에 하나의 단말번호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선점의 효과 및 아이디화를 제공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ocial Network System)은 네티즌끼리 사진, 일기, 각종 메시지, 블로그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사이버 세상의 사교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웹 2.0을 기반으로 UCC(User Created Contents)가 가장 주목받는 서비스가 되면서 기존의 친구라는 개념 자체를 바꾸어 정보화 사회를 이해하는 하나의 코드로 자리 잡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은 웹에서 모바일로 무게 중심을 옮기며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도메인 주소에 고유의 아이디 개념을 결합하여 개인에 대한 반 영구적인 선점 내지는 독점적인 온라인상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반하여, 기존의 단말번호를 아이디(ID) 개념으로 접근하여 현재 사용되는 단말번호로의 통화가 아닌 텍스트(TEXT)를 기반으로 호 연결을 하게끔 만들어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동시에 단말번호로 변환시켜주는 텍스트의 선점으로 현재 사용되는 도메인주소 내지는 소셜 네크워크의 아이디와 같이 텍스트 자체를 일련의 재산으로 만들어 주는 기술은 현재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보다 간편하게 모바일 상에서 숫자 입력이 아닌 간편한 글자인 이름, 예명, 가명, 별명 등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식 편의성 및 간편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텍스트에 대해선 하나의 단말번호만 지정하도록 함으로써 선점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숫자 입력 방식의 호 연결 방식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호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식 편의성 및 간편성을 높이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와 동일하게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텍스트에 의한 주소화 내지 독점을 통해 지정된 텍스트에 대한 사유화를 이루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단말번호를 텍스트인 전화글자로 변환하는 서버인 텍스트서버를 구축하여 하나의 텍스트에 하나의 단말번호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선점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은, 발신이동단말에서 수신이동단말로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텍스트로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해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온(ON)임을 확인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모두 온(ON)인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이용한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하는 텍스트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은, 발신이동단말로부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할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가입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상기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판단에 따라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상기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텍스트화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화서버는,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하며,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화서버는,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를 통해 텍스트 언에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의해 선점되지 않은 제 1 텍스트를 설정될 때까지 다른 제 1 텍스트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은, 발신이동단말에 의한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포함하는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제 2 텍스트, 그리고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 요청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수신이동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텍스트화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이, 상기 제 1 텍스트 및 제 2 텍스트 수신에 따라, 각각 유저인터페이스 상으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화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임의 텍스트화한 상기 제 2 텍스트 대신 상기 성명텍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에 대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상기 수신이동단말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수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상기 수신단말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은, 발신이동단말에 의한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포함하는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 판단 결과 인출 동의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연락처 중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성명텍스트, 그리고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텍스트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이, 상기 제 1 텍스트 및 제 2 텍스트 수신에 따라, 각각 유저인터페이스 상으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은, 발신이동단말이, 서비스서버로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텍스트로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해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모두 온(ON)임을 확인한 뒤,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텍스트로의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호 요청 및 응답을 진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은, 발신이동단말이, 서비스서버로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할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가입한 뒤,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상기 제 1 텍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 요청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상기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 텍스트 언에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텍스트 언데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의해 다른 제 1 텍스트를 설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3 단계를 선점되지 않은 제 1 텍스트를 설정될 때까지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요청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로 각각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유저인터페이스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온(ON)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은, 상기 제 7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성명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에 대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상기 수신이동단말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수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상기 수신단말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은,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하는 제 7 단계;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인출 동의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 연락처 중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성명텍스트를 인출하여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텍스트화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요청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성명텍스트인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인출 동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텍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은,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와 동일하게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텍스트에 의한 주소화를 통해 지정된 텍스트에 대한 사유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은, 숫자 입력 방식의 호 연결 방식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호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식 편의성 및 간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은, 기존의 단말번호를 텍스트인 전화글자로 변환하는 서버인 텍스트서버를 구축하여 하나의 텍스트에 하나의 단말번호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선점의 효과 및 아이디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텍스트화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서비스제공요청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로의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로의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5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로의 등록절차 중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의한 발신이동단말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은 발신이동단말(100), 이동통신망(200), 서비스서버(300), 텍스트화서버(400) 및 수신이동단말(500)을 포함한다.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스마트폰과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발신이동단말(100)은 텍스트화서버(400)에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1 텍스트를 등록한 단말로,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서비스서버(300)로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2 텍스트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이동통신망(200)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동통신망(200)은 발신이동단말(100), 서비스서버(300), 텍스트화서버(400) 및 수신이동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서버(300)는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모두 온(ON) 또는 오프(OFF)임을 저장한다.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을 포함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다수의 이동단말에 대한 단말번호를 대체하는 텍스트를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410)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를 통한 제 2 텍스트를 이용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에 따라, 제 2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한다. 여기서, 텍스트화서버(400)는 제 2 텍스트뿐만 아니라,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500)에게 전송하여 단말번호 기반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호 연결 요청을 구현할 수 있다.
수신이동단말(500)은 텍스트화서버(400)에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를 등록한 단말로,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호 요청을 수신한다.
도 2는 도 1의 텍스트화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텍스트화서버(400)는 분류모듈(401), 서비스제공모듈(402), 텍스트제공모듈(403), 수신측제공모듈(404) 및 발신측제공모듈(405)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분류모듈(401)은,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텍스트화 요청을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서비스제공모듈(402)과 서비스서버(300) 간에 데이터 세션을 설정한다. 한편, 분류모듈(401)은, 서비스서버(300)로부터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제 1 텍스트, 그리고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제 2 텍스트 조회를 요청을 수신한 경우, 텍스트제공모듈(403)과 서비스서버(300) 간에 데이터 세션을 설정한다.
또한, 분류모듈(401)은,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성명텍스트를 수신한 경우, 수신측제공모듈(404)과 서비스서버(300) 간에 데이터 세션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분류모듈(401)은,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를 통한 제 2 텍스트를 이용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 수신에 따라, 발신측제공모듈(405)과 서비스서버(300) 간에 데이터 세션을 설정한다.
서비스제공모듈(402)은,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텍스트화 요청을 수신하면,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410)에서 조회하여 판단한다.
판단에 따라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된 경우, 서비스제공모듈(402)은, 서비스서버(300)로 텍스트 언에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전송한다.
한편, 판단에 따라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제공모듈(402)은,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이후, 서비스제공모듈(402)은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서비스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은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한 뒤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발신이동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다.
서비스제공모듈(402)은, 발신이동단말(1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해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를 데이터베이스(410)에 등록함으로써,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다.
텍스트제공모듈(403)은, 서비스서버(300)을 통해 수신이동단말(500)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에 따른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서버(300)로부터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제 1 텍스트, 그리고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제 2 텍스트 조회를 요청을 수신한다.
한편, 텍스트제공모듈(403)은 판단에 따라 플래그(Flag)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발신이동단말(100)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텍스트제공모듈(403)은 발신이동단말(100) 사용자에 의해 인출이 동의된 경우,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연락처 중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연락처 데이터 상에서 성명텍스트를 수신함과 동시에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
텍스트제공모듈(403)은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성명텍스트인 제 2 텍스트를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로 각각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망(200),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수신이동단말(500)로, 제 1 텍스트와 제 2 텍스트를 각각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단말(500)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을 수행한다.
수신측제공모듈(404)은,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성명텍스트를 수신한 경우,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데이터베이스(410)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측제공모듈(404)은, 성명텍스트에 대해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수신이동단말(500)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500)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이동단말(500)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수신측제공모듈(404)은, 성명텍스트를 수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수신단말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일 실시 예로,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를 통한 제 2 텍스트를 이용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에 따라, 제 2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한다. 여기서, 텍스트화서버(400)는 제 2 텍스트뿐만 아니라,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500)에게 전송하여 단말번호 기반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호 연결 요청을 수신이동단말(500)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현할 수 있다.
발신측제공모듈(405)은,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를 통한 제 2 텍스트를 이용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에 따라, 제 2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서비스제공요청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망(200)을 통해 서비스서버(300)로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이를 대체할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요청을 전송한다(S1).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서비스를 가입한 뒤(S2), 텍스트화서버(400)로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제 1 텍스트를 전송함으로써, 발신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 요청을 전송한다(S3).
텍스트화서버(400)는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410)에서 조회하여 판단한다(S4).
단계(S4)의 판단에 따라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된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서비스서버(300)로 텍스트 언에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전송한다(S5).
단계(S5)에 따라, 서비스서버(300)가 텍스트 언데이블 응답(Text-Unable Response)을 발신이동단말(100)로 전송하면(S6), 발신이동단말(100)은 다른 제 1 텍스트를 설정하여 단계(S1) 내지 단계(S4)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4)의 판단에 따라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S7).
이후, 텍스트화서버(400)는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서비스서버(300)로 전송한다(S8).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한 뒤(S9),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발신이동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S10),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로의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텍스트가 아닌 수신이동단말번호에 의한 호 요청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3의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 발신이동단말(100)은, 수신이동단말(500)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서버(300)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S11).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수신이동단말(500)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서버(400)에 의한 텍스트화 여부를 판단한다(S12).
단계(S12)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가입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서버(300)는, 텍스트화서버(400)로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제 1 텍스트, 그리고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제 2 텍스트 조회를 텍스트화서버(400)로 요청한다(S13).
한편, 단계(S12)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가입 플래그가 오프로 설정되어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서버(300)는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요청한다(S14).
단계(S13) 또는 단계(S14)에 따라,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2 텍스트를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로 각각 전송한다(S15, S16).
이에 따라, 발신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망(200),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수신이동단말(500)로, 제 1 텍스트와 제 2 텍스트를 각각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한다(S17).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로의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발신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텍스트가 아닌 수신이동단말번호에 의한 호 요청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3의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 발신이동단말(100)은, 수신이동단말(500)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서버(300)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S21).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수신이동단말(500)의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서버(400)에 의한 텍스트화 여부를 판단한다(S22).
단계(S22)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가입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서버(300)가, 텍스트화서버(400)로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제 1 텍스트, 그리고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제 2 텍스트 조회를 요청한다(S23).
한편, 단계(S22)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가입 플래그가 오프로 설정되어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서버(300)가, 발신이동단말(100)로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한다(S24).
이에 따라, 발신이동단말(100)은 발신이동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25).
단계(S25)의 판단결과 인출 동의되지 않은 경우, 발신이동단말(100)은 서비스서버(300)로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텍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S26).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텍스트화서버(400)로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요청한다(S27).
단계(S25)의 판단결과 인출 동의된 경우, 발신이동단말(100)은 서비스서버(300)로 연락처 중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연락처 데이터 상에서 성명텍스트를 인출하여 서비스서버(300)로 전송한다(S28).
이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성명텍스트를 텍스트화서버(400)에 전송함과 동시에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요청한다(S29).
단계(S25) 또는 단계(S27)에 따라, 텍스트화서버(400)는 발신이동단말(100)에 대한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성명텍스트인 제 2 텍스트를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로 각각 전송한다(S30, S31).
이에 따라, 발신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망(200),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수신이동단말(500)로, 제 1 텍스트와 제 2 텍스트를 각각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한다(S32).
도 6은 도 5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중 텍스트화서버(400)로의 등록절차 중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단계(S29)에 따라 텍스트화서버(400)가,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성명텍스트를 수신한다(S29a).
단계(S29a) 이후, 텍스트화서버(400)는,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데이터베이스(410)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9b).
단계(S29b)의 판단결과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선점된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도 5의 단계(S30)로 복귀한다.
단계(S29b)의 판단결과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선점되어 있지 않은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성명텍스트에 대해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수신이동단말(500)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500)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한다(S29c).
단계(S29c)에서 수신이동단말(500) 사용자의 동의가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도 5의 단계(S30)로 복귀한다.
단계(S29c)에서 수신이동단말(500)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텍스트화서버(400)는, 성명텍스트를 수신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수신단말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S29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 모두가 도 3과 같은 절차에 의해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한 것을 가정하여 이하 설명한다.
발신이동단말(100)은 서비스서버(300)로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2 텍스트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S40).
서비스서버(300)는 발신이동단말(100) 및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 설정이 모두 온(ON)임을 확인한 뒤(S41), 텍스트화서버(400)로 제 2 텍스트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S42).
텍스트화서버(400)는 제 2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번호로 변환하여 수신이동단말(500)에 대한 호 요청을 진행한다(S43). 여기서, 텍스트화서버(400)는 제 2 텍스트뿐만 아니라,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를 수신이동단말(500)에게 전송하여 단말번호 기반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호 연결 요청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에 의한 발신이동단말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과 같이, 발신이동단말(100) 사용자가 "캘리"라는 수신이동단말(500)의 단말번호를 의미하는 제 2 텍스트를 입력하여, 통화 요청을 한다.
이에 따라, 발신이동단말(100)은 서비스서버(300) 및 텍스트화서버(400)에 의해 변환되어 수신이동단말(500)의 단말번호에 대한 직접적인 입력 없이도 간편하게 본명, 예명, 애칭 등을 통해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8(b)와 같이 발신이동단말(100)의 단말번호를 대체하는 "디블라인"이라는 제 1 텍스트도 발신이동단말(100)의 유저인터페이스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발신이동단말 200: 이동통신망
300: 서비스서버 400: 텍스트화서버
401: 분류모듈 402: 서비스제공모듈
403: 텍스트제공모듈 404: 수신측제공모듈
405: 발신측제공모듈 500: 수신이동단말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발신이동단말에 의한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포함하는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제 2 텍스트, 그리고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 요청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수신이동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텍스트화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이, 상기 제 1 텍스트 및 제 2 텍스트 수신에 따라, 각각 유저인터페이스 상으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화서버는,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임의 텍스트화한 상기 제 2 텍스트 대신 성명텍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에 대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상기 수신이동단말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7. 발신이동단말에 의한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포함하는 호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하는 서비스서버; 및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 판단 결과 인출 동의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연락처 중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성명텍스트, 그리고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텍스트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이, 제 1 텍스트 및 제 2 텍스트 수신에 따라, 각각 유저인터페이스 상으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발신이동단말이, 서비스서버로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할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가입한 뒤,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상기 제 1 텍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 요청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상기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요청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 및 상기 수신이동단말로 각각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과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유저인터페이스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온(ON)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제 1 텍스트와 상기 제 2 텍스트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성명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성명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선점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에 대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상기 수신이동단말로의 전송을 통해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 사용자의 동의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하는 상기 제 2 텍스트로 인식하며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14. 발신이동단말이, 서비스서버로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대체할 제 1 텍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가입한 뒤, 텍스트화서버로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 및 상기 제 1 텍스트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화 요청을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선점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와 동일한 텍스트가 미리 다른 이동단말번호로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상기 제 1 텍스트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텍스트 인에이블 응답(Text-Enable Response)을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제공요청을 완료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수신이동단말의 수신이동단말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서버로 호 요청을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의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 서비스가입 플래그(Flag)의 온(ON)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플래그가 오프(OFF)되어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이동단말로 상기 수신이동단말에 대한 연락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인출을 요청하는 제 7 단계;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인출 동의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 연락처 중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성명텍스트를 인출하여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의해 상기 성명텍스트를 상기 텍스트화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요청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텍스트화서버가, 발신이동단말에 대한 발신이동단말번호를 나타내는 제 1 텍스트와, 상기 성명텍스트인 제 2 텍스트를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 대신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호 요청 및 응답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발신이동단말이, 상기 발신이동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출에 대한 동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인출 동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로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텍스트 생성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수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임의 텍스트화하여 생성된 제 2 텍스트와, 상기 발신이동단말번호에 대한 텍스트 조회를 상기 텍스트화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방법.
KR1020100119445A 2010-11-29 2010-11-29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KR10103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45A KR101033329B1 (ko) 2010-11-29 2010-11-29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45A KR101033329B1 (ko) 2010-11-29 2010-11-29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329B1 true KR101033329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445A KR101033329B1 (ko) 2010-11-29 2010-11-29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053A (ko) * 2001-06-28 2003-01-06 신동화 문자아이디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2312A (ko) * 2007-06-27 2009-01-09 황경진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053A (ko) * 2001-06-28 2003-01-06 신동화 문자아이디를 이용한 통화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2312A (ko) * 2007-06-27 2009-01-09 황경진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4913C (zh) 通过即时通信机器人与移动电话通信的装置和方法
RU2004129631A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й ввод
KR2012004023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00220837A1 (en) System and method to use a mobile number in conjunction with a non-telephony internet connected device
US201101824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nhanced caller information
CN102934419A (zh) 用于管理运营商信息的设备和方法
KR10080300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4064755A (ja) 呼確立シグナリングによりデータ要求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JP2012178799A (ja) データ仲介システム
TWI430648B (zh) 與通訊對象相關之即時可重組電話號碼系統及運用該系統之通訊方法
CN105516933A (zh) 消息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CN104392366A (zh) 数据比对信息获取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70143261A (ko) 지능망 환경에서의 전화 상담 및 채팅 상담 간의 전환을 위한 채팅 서버 및 지능망 서버의 동작 방법, 채팅 서버, 및 지능망 서버
KR101033329B1 (ko) 텍스트 기반의 모바일통화시스템 및 모바일통화방법
US20140295806A1 (en) Encoded identifier based network
AU20093288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telephone book service in IP multi-media sub-system
JP2008028972A (ja) 携帯電話機からU−Send(発信)ボタンを使い、電話番号をダイヤルし、ユーザーのホームページへダイレクトでアクセスを可能にした。
CN101340492B (zh) 一种信息查询方法和装置
KR20100027853A (ko) 메시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20009A (ko) 메시지 그룹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4185A (ko) 가입자정보 갱신 장치, 지인정보 갱신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93424B1 (ko) 간편 접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3096B1 (ko) 피티티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버디 추가 요청 방법
KR100626502B1 (ko) 무선통신번호가 할당된 커뮤니티와 통신채널이 연결된회원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639078B1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