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168B1 -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168B1
KR100650168B1 KR1020040032806A KR20040032806A KR100650168B1 KR 100650168 B1 KR100650168 B1 KR 100650168B1 KR 1020040032806 A KR1020040032806 A KR 1020040032806A KR 20040032806 A KR20040032806 A KR 20040032806A KR 100650168 B1 KR100650168 B1 KR 10065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s
message
service
sm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705A (ko
Inventor
홍세출
Original Assignee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엔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16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MO SMS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MMS망에 존재하는 MMS 부가서비스들을 중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 상기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단계;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MM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상기 MMS 메시지를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중계 및 결과통보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단문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O SMS, MT SMS, MMS 부가서비스

Description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Multimedia messaging service delivery method using mobile-origination short message servic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중 MO SMS를 MT SMS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중 메시지 변환 주제 결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발신 단말기 12 : SMS 게이트웨이
13 : MMS 중계 서버 14 : 단말 정보 서버
15 : SMS 센터(SMSC) 16 : MMS 센터(MMSC)
17 : MMS 서버 18 : 과금 서버
19 : 착신 단말기 20 : 사용자 단말기(WEB,WAP)
본 발명은 단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ed) SMS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MMS망에 존재하는 MMS 부가서비스들을 중계할 수 있는 SMS를 이용한 MMS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일정 정보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처리기기의 실예로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셀룰러폰), 개인휴대단말기(PCS폰),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 방법들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입력 혹은 단축키 등에 따른 해당 기능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지정한 후 소정 요구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거나, 단축키를 선택하면 단축키에 해당되는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구나, 최근에는 각 메뉴를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수행을 요구하는 기능이 있으면 그에 따른 해당 아이콘 선택을 이룬 후 해당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메뉴 선택을 통한 기능 수행 방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특히,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간에는 간단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SMS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SMS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짧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255 바이트 정보의 짧은 문장을 숫자나 기호를 포함하여 한글 또는 영어로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보내면 공중전화망이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문자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때, 문자 정보는 주로 SMS를 이용 하는데, 수신시에는 이동착신(MT : Mobile Termination) SMS를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ion) SMS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수신시 CDMA 이동통신 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시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통화중일 경우에는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하지만, 단문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255 바이트로 제한적이었지만,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10000 글자에 달하기도 하는 등 메시지 편집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MMS 부가서비스란, MMS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종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들이 다양한 부가적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CP들은 별도의 시스템과 툴(TOOL)을 사용하여 특수한 MMS를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보 이용료를 부과하는 사업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MMS 부가서비스들은 주로 웹(WEB)에서 편집 툴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단말기로 가상머신(VM) 툴을 다운로드하여 제공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 규모가 축소되어 제한적인 사용자들만이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나는, WEB 편집 툴을 사용하여 MMS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이러 한 경우, 통상적으로 툴의 사용법을 배워야 하는 시장 장벽이 기본적으로 존재하였고, 또한 이동중에 전송할 수 없으므로 시장 규모에 크게 제한이 있었다.
다른 하나는, 단말기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MMS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반드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야 하고,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야 하는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MMS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도 서비스에 따라서 통화료가 지불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시장 규모에 크게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들은 모두 복잡도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부가적인 통화료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로서, MMS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하지 못했다. 이에, SMS의 간편성을 그대로 활용하여 MMS 부가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MS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MO SMS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MMS망에 존재하는 MMS 부가서비스들을 중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 상기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단계;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MM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상기 MMS 메시지를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중계 및 결과통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SMS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단계;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알리는 M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단계;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결과통보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이동착신(MT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S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결과에 따라서,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에,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기능; 상기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기능;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MM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기능;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상기 MMS 메시지를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중계 및 결과통보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에,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SMS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기능;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기능;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알리는 M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기능;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결과통보 기능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이동착신(MT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S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기능을 더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결과에 따라서,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기능을 더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MO SMS를 통하여 원하는 MMS 부가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MMS 부가서비스 서버들을 관리하면서 이러한 사용자 요청을 중계하여 MMS를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SMS의 간편성을 그대로 활용하여 MMS 부가서비스를 사용하므로 MMS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신자는 SMS를 발신할 때, 착신번호를 MMS 중계 서버로 하여 전송한다. 이때, MO SMS 메시지에는 MMS 부가서비스 종류, 옵션,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MMS 중계 서버는 MO SMS에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MMS 부가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MO SMS 메시지를 MMS 메시지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MMS 메시지는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내용에 따라서 달라지고,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되거나 MMS 중계 서버에서 전송된다. 특히, MMS 중계 서버에서는 착신 단말기가 MMS 단말기가 아닐 경우에는 그대로 SMS로 전송하고 추가적 과금을 하지 않음으로써 어떤 경우에도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한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MO SMS 메시지에 적합한 MMS로 변환하여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너무 관계없는 중립적인 이미지나 멜로디를 지속적으로 추가하거나 중립적인 부가서비스만을 제공할 경우, 서비스 효용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O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변환 주제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MMS 중계 서버는 파악된 주제를 각 MMS 부가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MMS 생성에 반영토록 한다. 이러한 변환 주제는 비록 '서비스옵션'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지만, 이는 서비스 사용 및 확산을 어렵게 하므로, 그리 바람직하지는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MMS 부가서비스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향후 만들어지는 MMS 부가서비스에 대해서도 개발된 규격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의 전체 MMS 부가서비스에 대해서 MO SMS에 의한 서비스 사용을 중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시스템으로의 역할과 사 업을 담당하게 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발착신 단말기(11,19)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이동통신망, 공중전화망(PSTN), 유무선 랜(LAN) 등을 통해 SMS, MMS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셀룰러폰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IMT-2000폰 혹은 CDMA-2000폰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S : Mobile Station)로서, 호 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하며, SMS, MMS 발착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방문자위치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등으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이동통신망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BTS)은 발착신 단말기(MS)(11,19)를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 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CU : Digital Channel Unit),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CU : Timing/Frequency Control Unit), 무선 주파수 장치(RFU : Radio Frequency Unit) 및 광역 측위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BTS)은 발착신 단말기(MS)(11,19)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기(BSC)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는 기지국(BTS)을 교환기(MSC)에 접속시켜 기지국(BTS) 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BTS)과 교환기(MSC) 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교환기(MSC)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HLR), SMS 게이트웨이(12)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기(MSC)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하여 발착신 단말기(MS)(11,19)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방문자위치등록기(VLR)는 발착신 단말기(MS)(11,19)가 방문자위치등록기(VLR)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발착신 단말기(MS)(11,19)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발착신 단말기(MS)(11,19)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HLR)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기(MSC)에 실장된다.
홈위치등록기(HLR)는 교환기(MSC) 및 SMS 게이트웨이(12)에 연결되어 이동전 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여러 교환기(MSC)와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발착신 단말기(MS)(11,19)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방문자위치등록기(HLR)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홈위치등록기(HLR)에는 가입자가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른 트리거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SMS 게이트웨이(12)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망에 있는 다수의 SMS 센터(SMSC)(15)와의 SMS 전송 및 수신을 중계한다.
MMS 중계 서버(13)는 MO SMS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해당 MMS 서버(17-1~17~n)를 통해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말 정보 서버(14)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을 관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준다.
SMS 센터(SMSC)(15)는 MMS 중계 서버(13)에 연결되어 SMS 라우팅 기능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SMS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MMS 센터(MMSC)(16)는 MMS 중계 서버(13)에 연결되어 MMS 라우팅 기능에 핵심을 담당하며, M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MMS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이를 전송한다.
MMS 서버(17-1~17n)는 MMS망을 활용하여 다양한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컨텐츠 제공자(CP)들의 서버이다.
그럼, MO SMS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MMS망에 존재하는 MMS 부가서비스들을 중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1)를 통해 MO SMS(착신번호+서비스+옵션+메시지)를 발신하면(101), 이동통신망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SMS 게이트웨이(12)는 착신번호로서 MMS 중계 서버(13)임을 감지하고 메시지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달한다(102). 이때, 착신번호는 MMS 중계 서버(13)의 접속번호이며,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가 MO SMS에 함께 실려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된다.
이후, MMS 중계 서버(13)는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인지를 단말 정보 서버(14)로 문의한다(103). 이때,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 SMS로 변환하여 SMS 센터(SMSC)(15)를 통해서 착신 단말기(SMS 수신 가능한 단말기)(19-1)로 전송한다.
그리고, MMS 중계 서버(13)는 MO SMS에 포함된 서비스 종류와 옵션을 알아내어, 해당 종류의 MMS 서버(17-1~17-n)로 MMS 생성을 요청한다(104). 이때, '서비스옵션'과 '메시지', '변환주제'를 함께 MMS 서버(17-1~17-n)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MMS 서버(17-1~17-n)는 수신된 서비스 옵션과 메시지를 참조하여 적합한 MMS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MMS 메시지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한다(104). 이때, MMS 서버(17-1~17-n)는 경우에 따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발신자의 가입 정보를 참조하여 변환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MMS 중계 서버(13)는 수신된 MMS 메시지를 MMS 센터(MMSC)(16)를 통해서 착신 단말기(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19-2)로 전송한다(105,106). 이렇게 MMS 센터(MMSC)(16)를 통해서 MMS 메시지가 착신자에 수신된다.
이와 같이 MMS 중계 서버(13)가 MMS 서버(17-1~17-n)로부터 MMS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착신 단말기(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19-2)로 전송할 수 있고(하기의 도 2 참조), 이에 한정되지 않고 MMS 서버(17-1~17-n)가 MMS 메시지를 직접 착신 단말기(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19-2)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하기의 도 3 참조).
이후, MMS 중계 서버(13)에서는 MMS 전송 결과에 따라서 정보 이용료를 과금한다(107). 이때, MMS 중계 서버(13)는 과금 서버(18)를 통해서 과금하고, 추후 MMS 서버(17-1~17-n)와 정산한다.
그리고, MMS 중계 서버(13)는 전송 결과를 발신자에게 통보하기 위해서 SMS 센터(SMSC)(15)로 SMS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여(108), SMS 센터(SMSC)(15)를 통해 전송 결과를 발신 단말기(11)로 통보한다(109).
상기에서, 각 MMS 서버(17-1~17-n)의 MMS 메시지 변환 기능을 MMS 중계 서버(13)에 내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MMS 중계 서버(13)는 일부 서비스의 변환 기능을 내장하고, 일부 서비스의 변환 기능은 외부의 MMS 서버(17-1~17-n)에 의존할 수도 있다. 또한, MMS 중계 서버(13)에 변환 기능을 내장하여, 다수의 MMS 중계 서버(13)로 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MMS 전송을 위해서는 MMS 센터(MMSC)(16)를 직접 통하지 않고 중계 게이트웨이(G/W)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SMS 전송을 위해서 중계 G/W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MMS 전송을 위해서 왑 푸쉬(WAP PUSH)를 MMS처럼 사용하는 망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구현 단말기 지원을 위해서 MMS를 WAP PUSH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망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왑 푸쉬(WAP PUSH)라 함은, PPG(Push Proxy Gateway)나 URL-CALLBACK SMS를 통해서 WAP 방식으로 정보를 푸쉬하는 방식이다.
또한, SMS보다 기능이 다양하고 MMS보다 기능이 작은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를 사용하여, 이러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LMS는 국내 이동통신사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로, SMS보다 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미지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MS는 국제 표준으로서, 이미지를 섞어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SMS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 종류로는 Basic EMS와 Extended EMS가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MO SMS를 MMS 서버(17)로 중계해서 MMS를 전송하되, MMS의 발송을 MMS 중계 서버(13)가 직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1)를 통해 MO SMS를 발신하면, 착신번호에 의해서 해당 메시지(MO SMS)가 MMS 중계 서버(13)로 수신된다(201). 이때, MO SMS에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등이 실린다. 이 과정에서 SMS 게이트웨이(12)는 MO SMS에 실린 착신번호로서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되는 것임을 감지하여 MO SMS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한다.
이후, MMS 중계 서버(13)는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 기인지를 검색한다(202). 이는 단말 정보 서버(14)에 문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검색 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가 아니면, 즉 SMS만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하기의 도 4의 절차를 따른다.
검색 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서비스종류'가 등록된 MMS 부가서비스인지를 검색하고,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MMS 서버(17-1~17-n)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낸다(203). 이러한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정보이다.
즉, MMS 중계 서버(13)는 발신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종류'가 등록이 되어 있고, '접속 정보'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204). 그리고, 수신된 '서비스옵션' 정보가 적합한지를 관리정보의 '지원 서비스 옵션'과 비교한다(204). 모든 것이 적합하지 않으면 하기의 도 4의 절차를 따른다.
그러나, 상기 "204" 단계에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메시지의 주제를 파악한다(하기의 도 5 참조)(205).
그리고, MMS를 MMS 중계 서버(13)가 전송해야 하는지, 혹은 MMS 서비스 서버(17-1~17-n)가 전송해야 하는지를 알아낸다(206).
만약, MMS 서비스 서버(17-1~17-n)가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기의 도 3의 절차를 따른다.
한편, MMS 중계 서버(13)가 전송하는 경우에는, 하기의 [표 1]의 관리 정보의 '접속 정보'에 따라서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 접속하고 '서비스 옵션', '메시지', '변환주제'를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로 전송하여 MMS 생 성을 요청한다(207).
그러면,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서는 먼저 발신자가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의 가입자인지를 검색하여(208),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자가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 설정해 놓은 '개인 서비스 정보'를 MMS 메시지 생성에 활용한다. 그리고,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는 수신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개인 서비스 정보' 등을 활용하여 적합한 MMS 메시지를 생성한 후(209), 생성된 MMS 메시지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한다(210).
이후, MMS 중계 서버(13)는 '착신번호'의 착신 단말기(19-2)로 MMS 메시지를 전송하는데(211), 이때 전송은 통상적으로 MMS 센터(MMSC)(16)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후에, MMS 중계 서버(13)에서는 MMS 전송 결과에 따라서 과금 서버(18)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 정보'의 '과금 정보'에 의해서 과금을 수행한다(212). 이는 '과금 클래스'의 정산 비율에 따라 MMS 중계 서버(13)의 사업주체와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의 사업주체가 분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MMS 중계 서버(13)는 서비스 결과를 발신자에게 SMS로 통보하는데(213), 이때 전송은 통상적으로 SMS 센터(SMSC)(15)를 통해서 발신 단말기(11)로 통보된다.
참고적으로, MMS 중계 서버(13)에서 MMS 서비스 서버(17-1~17-n)로 중계하기 위해서 관리하는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4019615257-pat00001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MO SMS를 MMS 서버(17)로 중계해서 MMS의 발송을 MMS 서버(17)가 직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1)를 통해 MO SMS를 발신하면, 착신번호에 의해서 해당 메시지(MO SMS)가 MMS 중계 서버(13)로 수신된다(301). 이때, MO SMS에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등이 실린다. 이 과정에서 SMS 게이트웨이(12)는 MO SMS에 실린 착신번호로서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되는 것임을 감지하여 MO SMS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한다.
이후, MMS 중계 서버(13)는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인지를 검색한다(302). 이는 단말 정보 서버(14)에 문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검색 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가 아니면, 즉 SMS만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하기의 도 4의 절차를 따른다.
검색 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서비스종류'가 등록된 MMS 부가서비스인지를 검색하고,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MMS 서버(17-1~17-n)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낸다(303). 이러한 정보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이다.
즉, MMS 중계 서버(13)는 발신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종류'가 등록이 되어 있고, '접속 정보'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304). 그리고, 수신된 '서비스옵션' 정보가 적합한지를 관리정보의 '지원 서비스 옵션'과 비교한다(304). 모든 것이 적합하지 않으면 하기의 도 4의 절차를 따른다.
그러나, 상기 "304" 단계에서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메시지의 주제를 파악한다(하기의 도 5 참조)(305).
그리고, MMS를 MMS 중계 서버(13)가 전송해야 하는지, 혹은 MMS 서비스 서버(17-1~17-n)가 전송해야 하는지를 알아낸다(306).
만약, MMS 서비스 서버(17-1~17-n)가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도 2의 절차를 따른다.
한편, MMS 중계 서버(13)가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 1]의 관리 정보의 '접속 정보'에 따라서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 접속하고 '서비스 옵션', '메시지', '변환주제'를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로 전송하여 MMS 생성을 요청한다(307). 이때,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가 직접 MMS를 전송할 것을 통보한다.
그러면,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서는 먼저 발신자가 해당 MMS 서 비스 서버(17-1~17-n)의 가입자인지를 검색하여(308),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자가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 설정해 놓은 '개인 서비스 정보'를 MMS 메시지 생성에 활용한다. 그리고,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는 수신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개인 서비스 정보' 등을 활용하여 적합한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309), 생성된 MMS 메시지를 MMS 센터(MMSC)(16)를 통해서 '착신번호'의 착신 단말기(19-2)로 전송하고(310), 그 결과를 MMS 중계 서버(13)로 통보한다(311).
이후에, MMS 중계 서버(13)에서는 MMS 전송 결과에 따라서 과금 서버(18)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 정보'의 '과금 정보'에 의해서 과금을 수행한다(312). 이는 '과금 클래스'의 정산 비율에 따라 MMS 중계 서버(13)의 사업주체와 해당 MMS 서비스 서버(17-1~17-n)의 사업주체가 분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MMS 중계 서버(13)는 서비스 결과를 SMS 센터(SMSC)(15)를 통해서 발신 단말기(11)로 통보한다(313).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중 MO SMS를 MT SMS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MO SMS를 MMS 서비스 서버(17-1~17n)로 중계할 수 없을 때, 일반 SMS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11)를 통해 MO SMS를 발신하면, 착신번호에 의해서 해당 메시지(MO SMS)가 MMS 중계 서버(13)로 수신된다(401). 이때, MO SMS에 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등이 실린다. 이 과정에서 SMS 게이트웨이(12)는 MO SMS에 실린 착신번호로서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되는 것임을 감지하여 MO SMS를 MMS 중계 서버(13)로 전송한다.
이후, MMS 중계 서버(13)는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인지를 검색한다(402). 이는 단말 정보 서버(14)에 문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검색 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상기의 도 2 혹은 도 3의 절차를 따른다.
검색결과, 착신 단말기(19-1,19-2)가 MMS 수신 가능한 단말기가 아니면, 즉 SMS만 수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일반 SMS로 변환한다(403). 즉, '발신정보'를 MT SMS의 발신번호와 콜백(CALL-BACK) 번호(일반 문자 SMS에서 회신번호, 이는 통상적으로 발신번호가 입력되지만, 별도의 영역으로 관리되어 다른 번호를 넣을 수 있음)로 지정하고, '착신번호'를 MT SMS의 착신번호로 지정한다. 그리고, '메시지'를 MT SMS의 메시지 부분에 지정한다.
그리고, MMS 중계 서버(13)는 SMS 메시지를 SMS 센터(SMSC)(15)를 통해서 착신 단말기(SMS 수신 가능한 단말기)(19-1)로 전송한다(404).
이후에, MMS 중계 서버(13)에서는 SMS 전송 결과에 따라서 과금 서버(18)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게 되는데, SMS 요금체계와 동일하게 과금을 한다.
마지막으로, MMS 중계 서버(13)는 서비스 결과를 SMS 센터(SMSC)(15)를 통해 서 발신 단말기(11)로 통보한다(406).
이와 같이, MMS 중계 서버(13)에서는 MMS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에 MT SMS로 전송하므로 항상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즉, MMS 중계 서버(13)는 예외상황에서도 발신자의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항상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처음 발신한 메시지가 SMS이고 착신된 메시지가 SMS가 되며, SMS와 동일 과금을 실행하므로 발신자는 불만을 가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기존 MMS 서비스 서버(17-1~17n)에서는 이러한 경우 그냥 발신 불가로 표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 중 메시지 변환 주제 결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메시지의 성향을 분석하여 변환할 주제를 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서비스옵션' 중에서 대부분의 MMS 부가서비스에서 대부분 공통적이고 중요한 옵션은 메시지를 어떻게 변환할지 그 '변환 주제'에 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메시지 내용에 적합한 MMS로의 변환은 이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환 주제를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각 변환 모듈들이 이러한 주제에 적합하게 MMS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주제를 발신자로부터 입력받도록 변형할 수 있으나, 이것은 서비스 유용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현재 MMS 메시지 사용 로그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MMS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비교적 명확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목적은 '사랑', '축하', '우정', '격려', '감사', '사과'와 같은 내용이다. 또한, 파악이 불가능한 경 우에는 '날씨', '시간', '계절', '시즌'을 잘 활용함으로써 적절한 MMS 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절차를 통해서 메시지의 주제를 파악한다.
먼저, MMS 메시지 단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규칙기반으로 분석한다(501). 여기서, '규칙기반 분석'이라 함은, '데이터마이닝'의 일반적인 기법으로서, 시료에 대해서 정해진 일련의 규칙을 정형화하여 결과에 따라서 시료가 속할 그룹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통상적인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서, 미리 정해직 논리식을 규칙으로 해서 결과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분석에 의해서 '사랑', '축하', '우정', '격려', '감사', '사과' 등을 구분한다(502,503). 이러한 구분 결과는 통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빈도에 의한 결과이며, 다소 수정은 가능하다.
이후, MMS 메시지를 학습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그룹기반 분석'을 한다(504). 여기서, '그룹기반 분석'이라 함은, '데이터마이닝'의 일반적인 기법으로서, 시료의 집합을 통해서 학습을 실행함으로써, 시료가 속하는 그룹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입력 시료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통상적인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서, 학습에 의해서 메시지를 그룹으로 분석하고, 입력된 메시지가 어떠한 그룹에 속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의 결과는 '사랑', '축하', '우정', '격려', '감사', '사과' 등으로 구분된다(505,503).
그리고, 현재 시간이 특수한 시즌인지를 판정한다(506). MMS에 적합한 이러한 시즌은 '새해', '발렌타인', '바캉스시즌', '크리스마스', '환절기' 등이 있다(507). 이러한 경우, 이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현재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지역이 특수한 날씨 상태인지를 판정하여(508), '눈', '비' 등의 특수한 날씨인 경우, 이것으로 결정한다(509).
다른 한편, 현재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시간이 특수한 시간인지를 판정하여(510), 예를 들면 '아침', '밤' 등의 경우인데, 특히 이른 아침이거나 늦은 밤인 경우, 이것으로 결정한다(511).
또 다른 한편, 현재 '계절', '시간'을 주제로 하거나 '기타'로 처리한다(512). 여기서, '기타'라 함은, 중립적으로 주제로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서버들은 중립적인 이미지나 멜로디를 사용하여 MMS를 생성한다.
상기 "506" 단계 내지 "512" 단계에서는 랜덤 인자가 작용하도록 한다. 즉, 예를 들면 "506" 단계에서 "예"로 결정되더라도 100%의 확률로 "예"로 가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 인자는 하위 노드로 갈수록 적용 확률이 높아진다. 즉, "506" 단계 보다는 "510" 단계가 적용 확률이 높다. 즉, "510" 단계가 "506" 단계 보다는 가치가 낮음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주제'가 일부 수정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판정 노드가 일부 수정 또는 추가될 수 있으며, 순서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제, 본 서비스를 위한 MO SMS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MO SMS는 단말기 기능이나 서비스 현황에 따라서 이들 중의 한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본 서비스 시스템을 위해서 MO SMS에는, 서비스 접속 번호(MMS 중계 서버(13)에 접속하기 위한 착신번호), 서비스종류(MMS 중계 서버(13)가 중계할 MMS 부가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 서비스옵션(MMS 부가서비스가 MMS를 생성할 때, 부가적으로 필요한 정보, 이것은 MMS 부가서비스마다 다를 수 있으며 없을 수도 있음), 착신번호(메시지를 착신할 전화번호), 발신번호(메시지를 발신할 전화번호), 전송할 메시지 내용 정보 등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IS-637 규격을 따르는 일반 문자 SMS 메시지에는, 착신번호(착신자 전화번호), 발신번호(발신자 전화번호), 메시지(전송 메시지), 그리고 콜백번호(회신할 전화 번호, 통상적으로는 발신자 전화번호임)를 가지고 있다.
하기의 [표 2] 내지 [표 4]에서 '서비스옵션'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기의 [표 2]는 착신번호를 통해서 '서비스 접속번호'와 '서비스종류'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착신번호가 다르게 된다. '착신번호'는 콜백(CALL-BACK)번호 부분에 넣는다.
Figure 112004019615257-pat00002
하기의 [표 3]은 상기 [표 2]와 동일하지만, '착신번호'를 메시지의 앞부분에 입력하는 방식이다.
Figure 112004019615257-pat00003
하기의 [표 4]는 착신번호를 통해서 '서비스 접속번호'와 '서비스종류'와 '착신번호'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따라서, '서비스 종류' 및 '착신번호'에 따라서 착신번호가 다르게 된다. '서비스종류'에 따라서 접속(PREFIX)번호를 가지게 되고, 착신번호가 그 뒤에 오게 된다. 예를 들면, '1588+011XXXXXXX'와 같은 방식이다.
Figure 112004019615257-pat00004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신자가 간편하게 MO SMS를 통하여 원하는 MMS 부가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MMS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당 메시지를 분석하여 변환 주제에 맞게 적합한 MMS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
    상기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단계;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MM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상기 MMS 메시지를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중계 및 결과통보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SMS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단계;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알리는 M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단계;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결과통보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이동착신(MT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S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결과에 따라서,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MS 중계 서버에서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는 과정은,
    MMS 메시지 단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규칙기반으로 분석하여 주제를 결정하고, MMS 메시지를 학습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그룹기반으로 분석하여 주제를 결정하며, 그외 랜덤 인자를 작용시켜 시즌, 날씨, 시간을 고려하여 주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7. 프로세서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에,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기능;
    상기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기능;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MMS 메시지 생성 및 전송 기능;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상기 MMS 메시지를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중계 및 결과통보 기능
    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프로세서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시스템에,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발신 단문서비스(MO SMS) 메시지 - 이때, MO SMS 메시지는, 서비스 접속번호, 발신번호, 착신번호, 서비스종류, 서비스옵션, SMS 메시지 내용 정보를 포함함 - 가 구성되어 발신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중계 서버가 착신 단말기의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MMS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 확인 기능;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서비스종류와 옵션을 확인하고 메시지 성향을 분석한 후 변환할 주제를 파악하여, 접속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로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S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는 MMS 메시지 생성 요청 기능;
    상기 해당 MMS 부가서비스 서버가 변환주제, 서비스옵션, 메시지, 발신자 개인 서비스 정보를 참조해 MMS 부가서비스 내용에 따라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상기 MMS 중계 서버로 알리는 M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기능; 및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MMS 메시지 결과통보 기능
    을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MMS 메시지 수신 가능하지 않은 단말기(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인 경우에, 이동착신(MT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SMS 메시지 수신 가능한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전송 결과를 SMS 메시지로 상기 발신 단말기에게 통보하는 SMS 메시지 생성/전송 및 결과통보 기능
    을 더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결과에 따라서, 상기 MMS 중계 서버가 정보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기능
    을 더 구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32806A 2004-05-10 2004-05-10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KR10065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06A KR100650168B1 (ko) 2004-05-10 2004-05-10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06A KR100650168B1 (ko) 2004-05-10 2004-05-10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05A KR20050107705A (ko) 2005-11-15
KR100650168B1 true KR100650168B1 (ko) 2006-11-27

Family

ID=3728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06A KR100650168B1 (ko) 2004-05-10 2004-05-10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76B1 (ko) * 2007-05-16 2008-02-28 (주)티아이스퀘어 음성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용한 mo/mt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902997B1 (ko) * 2007-07-03 2009-06-15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다국어 지원이 가능한 웹 기반 mms 제공 시스템 및 그의동작 방법
KR100973575B1 (ko) * 2007-09-11 2010-08-03 김천기 복합문자정보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05A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195B2 (en) Location based messaging
US8526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ent-controlled short message service
CN101242559B (zh) 短信拦截方法、设备和系统
EP21492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dvertisement content into a text message
KR101434330B1 (ko) 선택적 메시지 서비스 차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74916A1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200802423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ms and text messages
KR100650168B1 (ko)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EP1619907B1 (en) Method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0382611C (zh) 一种多媒体消息前转的方法
KR20070044729A (ko) 발신 메시지 취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KR20080004638A (ko) 엠엠에스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1022535B1 (ko) Sms문자 저장/확인 서비스 방법
KR10101775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연계 방법
KR100604589B1 (ko) 번호 변경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메세지 포워딩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802114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60108403A (ko) 이동통신 단문메시지전용 식별번호 추가서비스 시스템
KR20070043145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4651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