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151B1 -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151B1
KR100902151B1 KR1020070065304A KR20070065304A KR100902151B1 KR 100902151 B1 KR100902151 B1 KR 100902151B1 KR 1020070065304 A KR1020070065304 A KR 1020070065304A KR 20070065304 A KR20070065304 A KR 20070065304A KR 100902151 B1 KR100902151 B1 KR 10090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message
length
called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145A (ko
Inventor
김영석
정찬윤
김종희
김경학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6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1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망에서 그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하고, 경우에 따라 착신 단말이 해당 길이의 문자 메시지를 정상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은, 망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로의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의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MS, LMS, MMS, CDMA, WCDMA, 해외로밍, 메시지 길이, 네트워크 속성

Description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ext Message Transfer Protocol Through Validation of Message Length and Network Property}
도 1은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이 메시지 길이를 초과하여도 다른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 정상 전송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MS 게이트웨이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LMSC: Long Message Service Center(장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MMSC: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망에서 그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하고, 경우에 따라 착신 단말이 해당 길이의 문자 메시지를 정상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늘날 무선 통신망이나 인터넷 등이 통합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말간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들 사이에 서로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WEB)에 연결된 컴퓨터 단말과 휴대 단말간에도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SMS(So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는 일정 바이트의 길이로 제한을 받고 있다. 휴대 단말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는 웹 서버에서 제한 길이를 초과하는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에, 단말이나 서버 내의 전송 에뮬레이터가 해당 메시지를 분할 전송하거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SMS 메시지가 전송되더라도 오늘날 무선 통신망의 속성이나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제한하는 SMS 메시지의 길이가 다른 경우가 있 기 때문에,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로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KTF의 경우에 SMS 메시지의 제한 길이가 WCDMA 망에서는 140 바이트이고, CDMA 망에서는 90 바이트이므로, 발신 단말은 WCDMA 가입 단말이고 착신 단말은 CDMA 가입 단말이라면 같은 사업자 망을 이용하더라도 SMS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착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SKT나 LGT는 SMS 메시지를 80 바이트까지 지원하므로, 그 길이 제한이 다른 타사 망으로의 메시지 발송인 경우에도 SMS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착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SM망과 같이 해외망에서는 SMS 메시지를 160 바이트까지 지원하므로 해외망과 국내망 간에 SMS 메시지를 지원하는 그 길이 제한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외망에서 국내망으로 SMS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에도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착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이 속성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망이나 연동 사업자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발송된 문자 메시지가 그 길이에 상관없이 착신 단말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망에서 그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하여 해당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에서 착신 단말이 지원 가능한 문자 메시 지 전달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지원하는 문자 메시지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착신 단말이 해당 길이의 문자 메시지를 정상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망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로의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의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 방식은 SMS, LMS, 또는 MM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방식을 결정한 후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 보다 메시지 길이가 긴 다른 방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메시지는 국내 또는 해외의 망에서 로밍되어 수신되는 SMS 메시지이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SMSC로 전달하면 상기 SMSC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는 국내 또는 해외의 망에서 로밍되어 수신되는 SMS 메시지이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면 상기 LMSC 또는 MMSC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속성은 가입자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CDMA 또는 WCDMA 중 어느 망을 이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하여 CDMA 또는 WCDMA 망에서 지원되는 SMS 메시지의 길이 보다 큰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CDMA 또는 WCDMA 망에서 LMS 또는 MMS의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의 문자 메시지의 발송 요청을 수신하는 SMSC와 연동하는 SMS 게이트웨이를 포 함하고,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상기 SMSC가 전달하는 상기 발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의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송 요청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를 계산하는 메시지 길이 계산부; 상기 발송 요청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질의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한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응답받는 가입자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메시지 길이 계산부가 계산한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가입자 정보 확인부가 응답받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으로서 SMS, LMS, 또는 MMS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전달 방식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결정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SMSC,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 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코어망(210)에 연결된 기지국(220)을 포함하고, 발신 단말(230)과 착신 단말(240)은 코어망(210)과 기지국(220)의 호처리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코어망(210)은 회선 채널을 연결하는 공중망이나 데이터 채널을 연결하는 인터넷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 인터넷망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망(210)은 SMS 메시지 호처리를 위한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211)와 LMS 메시지 호처리를 위한 LMSC(Long Message Service Center) 및 MMS 메시지 호처리를 위한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212)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코어망(210)에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250)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응용서버(260) 등 이동 통신 서비스와 연동하는 다양한 서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기지국(220)은 CDMA 또는 WCDMA 망 내에서 단말들(230/240)이 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계한다.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220)과 코어망(210) 사이에는 CDMA 망 제어를 위한 BSC(Base Station Controller) 또는 WCDMA 망 제어를 위한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포함될 수 있다. RNC 또는 BSC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고 셀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핸드오프(handoff) 기능 등을 수행하여 단말들(230/240) 간의 통신을 제어하여 서킷 트래픽(curcuit traffic) 또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 트래픽(packet traffic) 등이 해당 위치의 목적지 이동 단말, 유선 전화, 응용서버 등으로 적절히 송수신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외에도 도 2에는 되시되지 않았지만, 코어망(210)에는 2G CDMA 또는 3G WCDMA 망에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 전송 등의 호 처리 시에 가입자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가 존재하며, 단말들(230/240)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가까운 교환기와와 통신을 통하여 코어망(210) 내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할 수 있고, 교환기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는 HLR로부터 받은 가입자 단말의 정보가 관리된다. 이에 따라 단말들(230/240)은 셀간의 이동성을 지원받을 수 있고, 어느 지역에 있더라도 교환기를 통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말(230/240)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의 모든 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코어망(210)에 연결된 SMS 게이트웨이(213)를 포함하여 네트워크의 속성이나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제한하는 문자 메시지(예를 들어, SMS 메시지)의 길이가 다른 경우에도,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로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호 처리를 중계한다.
본 발명에서는 발신 단말(230)이 착신 단말(240)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 요청하면, SMSC(211)는 이를 수신하여 SMS 게이트웨이(213)로 전달하게 된다. 발신 단말(230)의 문자 메시지 발송 요청에는 발신번, 착신번, 문자 메시지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MSC(211)와 연동하는 SMS 게이트웨이(213)는 착신 단말(240)로 해당 문자 메시지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SMSC(211)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길이를 확인하고 또한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한다.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은 가입자 관리 서버(2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CDMA 또는 WCDMA 중 어느 망을 이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240)에서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전달 방식, 예를 들어, SMS, LMS, MMS 등의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SMS의 경우에 이동 통신사에 따라서 80 바이트(한글 40자/영문 80자) 또는 90 바이트(한글 45자/영문 90자)까지 지원하며, LMS와 MMS의 경우에 2000 바이트(한글 1000자/영문 2000자)까지 지원하며, 특히, MMS의 경우는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서비스까지 지원할 수 있다.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발 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로 전송되도록 SMSC(211)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다시 SMSC(211)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국내의 CDMA 또는 WCDMA 망 뿐만 아니라 또는 해외의 GSM 망 등에서 로밍되어 SMSC(211)로 수신되는 SMS 메시지일 수 있고, SMS 게이트웨이(213)가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 그대로 전달할 것으로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경우에, 위와 같이 SMSC(211)로 다시 전달된 SMS 메시지는 SMSC(211)에 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 보다 메시지 길이가 긴 다른 방식으로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로 전송되도록 SMSC(211)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SMS 게이트웨이(213)가 위와 같은 전달 방식 결정에 따라 전송될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LMSC 또는 MMSC(212)가 해당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MS 게이트웨이(213)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MSC 또는 MMSC(21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시자에 따라 본래 의 메시지는 SMS 메시지 이었지만,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메시지로서 SMS 게이트웨이(213)를 통하여 전달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LMSC 또는 MMSC(212)는 해당 SMS 메시지를 LMS, 또는 MMS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230)로부터 발송 요청된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착신 단말(240)에 대하여 CDMA 또는 WCDMA 망에서 지원되는 SMS 메시지의 길이 보다 큰 경우에, 해당 문자 메시지를 CDMA 또는 WCDMA 망에서 LMS 또는 MMS의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230)은 WCDMA 가입 단말로서 SMS 140 바이트(한글 70자/영문 140자)까지 지원되는 단말이지만, 착신 단말(240)은 CDMA 가입 단말로서 SMS 90 바이트(한글 45자/영문 90자)까지만 지원되는 단말인 경우에, 도 3과 같이, 착신 단말(240)로부터 90 바이트를 초과하는 SMS 메시지가 발송되었다면,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고 LMSC 또는 MMSC(212)가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 착신 단말(24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230)이 WCDMA 망을 통하여 90 바이트를 초과하는 SMS 메시지를 전송하여도, 착신 단말(240)이 그러한 길이의 SMS 메시지를 정상처리 하지 못하지만 LMS 또는 MMS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다.
도 3과 같이, 140 바이트까지 지원되는 WCDMA의 SMS 메시지가 90 바이트까지 지원되는 CDMA 단말에서 LMS 또는 MMS로 정상 착신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이 발신/착신 망이 서로 다른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다른 경우나 해외 로밍되어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송된 SMS 메시지가 90 바이트이지만,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이 80 바이트까지 지원한다면,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에서 LMS 또는 MMS로 서비스되도록 중계할 수 있다. 또는, 해외의 GSM망에서 발신 단말(230)로부터 로밍되어 SMSC(211)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160 바이트이지만, 국내의 CDMA 또는 WCDMA망의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이 80 바이트 또는 140 바이트까지 지원한다면, SMS 게이트웨이(213)는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에서 LMS 또는 MMS로 서비스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망에서 그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함에 따라, 발신 단말(230)과 착신 단말(240)이 속성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망이나 연동 사업자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발송된 문자 메시지가 그 길이에 상관없이 착신 단말(240)로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발신 단말(230)과 착신 단말(240) 간에 지원하는 문자 메시지 길이가 다른 경우에 착신 단말(240)이 정상 처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문자 메시지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230) 사용자는 착신 단말(240)의 지원 가능한 메시지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MS 게이트웨이(213)는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MS 게이트웨이(213)는 메시지 길이 계산부(215), 가입자 정보 확인부(216), 전달 방식 결정부(217), 및 메시지 전달부(218)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발신 단말(230)이 착신 단말(240)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 요청하면, SMSC(211)는 이를 수신하여 SMS 게이트웨이(213)로 전달하게 되는데, 메시지 길이 계산부(215)는 위와 같이 전달된 발송 요청에 따라 해당 발송 요청에 포함되어 전달된 해당 문자 메시지의 길이를 계산한다. 현재, 예를 들어, 국내의 CDMA 망을 통하여 발송된 SMS 메시지의 길이는 80 또는 90 바이트를 넘지 않으며, 국내의 WCDMA 망을 통하여 발송된 SMS 메시지의 길이는 140 바이트를 넘지 않으며, 해외의 GSM 망을 통하여 국내망으로 로밍된 SMS 메시지의 길이는 160 바이트를 넘지 않을 것이다.
가입자 정보 확인부(216)는 위와 같이 SMSC(211)로부터 전달된 발송 요청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250)로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질의하고, 이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250)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한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응답받는다. 가입자 관리 서버(250)는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에 대한 성명, 단말번호, 단말 기종, 일련번호, 가입된 CDMA 또는 WCDMA 망 등 가입자 단말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정보, 즉, CDMA 또는 WCDMA 중 어느 망을 이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 정보 확인부(216)로부터의 질의에 대하여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응답한다. 즉,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은 최소한 착신 단말(240)이CDMA 또는 WCDMA 망 중 어느 망에 가입된 단말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 방식 결정부(217)는 메시지 길이 계산부(215)가 계산한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가입자 정보 확인부(216)가 응답받은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착신 단말(240)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SMS, LMS, 또는 MMS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전달 방식 결정부(217)가 SMSC(211)로부터 전달 받은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결정함에 따라, 메시지 전달부(218)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SMSC(211),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할 수 있다.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 전달 방식 결정부(217)는 전달 방식을 SMS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메시지 전달부(218)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로 전송되도록 SMSC(211)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다시 SMSC(211)로 전달할 수 있고, 이후 SMSC(211)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SMS 프로토콜 그대로 착신 단말(24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달 방식 결정부(217)는 전달 방식을 LMS 또는 MMS 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메시지 전달부(218)는 해당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게 되고, 이후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212)는 해당 지시자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LMS 또는 MMS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발신 단말(230)이 착신 단말(240)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요청이 SMSC(211)로 전송된다(S41). 발신 단말(230)의 문자 메시지 발송 요청에는 발신번, 착신번, 문자 메시지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MSC(211)가 이와 같은 문자 메시지의 발송 요청에 대한 호 처리를 바로 수행하지 않고, SMSC(211)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 발송 요청을 SMS 게이트웨이(213)로 전달한다(S42).
이와 같이 SMSC(211)와 연동하는 SMS 게이트웨이(213)는 착신 단말(240)로 해당 문자 메시지의 전달 방식을 결정한다. 즉, SMS 게이트웨이(213)의 메시지 길이 계산부(215)는 SMSC(211)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길이를 확인하고(S43), SMS 게이트웨이(213)의 가입자 정보 확인부(216)는 가입자 관리 서버(250)에 질의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250)로부터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을 응답받는다(S44, S45).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은 적어도 CDMA 또는 WCDMA 중 어느 망을 이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MS 게이트웨이(213)의 전달 방식 결정부(217)는 해당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240)에서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전달 방식, 예를 들어, SMS, LMS, MMS 등의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SMS의 경우에 이동 통신사에 따라서 80 바이트 또는 90 바이트까지 지원하며, LMS와 MMS의 경우에 2000 바이트까지 지원하며, 특히, MMS의 경우는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서비스까지 지원할 수 있다.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S46), SMS 게이트웨이(213)의 메시지 전달부(218)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신 단말(240)로 전송되도록 SMSC(211)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다시 SMSC(211)로 전달하여 요청한다(S47). 예를 들어,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국내의 CDMA 또는 WCDMA 망 뿐만 아니라 또는 해외의 GSM 망 등에서 로밍되어 SMSC(211)로 수신되는 SMS 메시지일 수 있고, SMS 게이트웨이(213)의 전달 방식 결정부(217)가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 그대로 전달할 것으로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경우에, 위와 같이 SMSC(211)로 다시 전달된 SMS 메시지는 SMSC(211)에 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될 수 있다(S48). 이에 착신 단말(240)은 정상 착신 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을 SMSC(211)로 보낼 수 있고(S49), SMSC(211)는 이 응답을 SMS 게이트웨이(213)로 전달할 수 있다(S50). SMS 게이트웨이(213)의 소정 제어수단은 이와 같이 메시지 발송의 호 처리가 완료되면, SMS 등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생성하여 소정 과금 서버에 알리고(S51),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SMSC(211)에 알릴 수 있다(S52).
또한, S46 단계에서 착신 단말(240)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문자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SMS 게이트웨이(213)의 메시지 전달부(218)는 해당 문자 메시지를 발신 단말(23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SMS) 보다 메시지 길이가 긴 다른 방식(LMS/MMS)으로 해당 문자 메시지가 착 신 단말(240)로 전송되도록 SMSC(211)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한다(S53). 이와 같이 SMS 게이트웨이(213)의 메시지 전달부(218)가 위와 같은 전달 방식 결정에 따라 전송될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LMSC 또는 MMSC(212)가 해당 문자 메시지를 LMS 또는 MMS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S54). 이와 같이 SMS 게이트웨이(213)의 메시지 전달부(218)가 전송될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212)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212)는 상기 지시자에 따라 본래의 메시지는 SMS 메시지 이었지만,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메시지로서 SMS 게이트웨이(213)를 통하여 전달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LMSC 또는 MMSC(212)는 해당 SMS 메시지를 LMS, 또는 MMS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착신 단말(240)은 정상 착신 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을 LMSC 또는 MMSC (212)로 보낼 수 있고(S55), LMSC 또는 MMSC(212)는 이 응답을 SMS 게이트웨이(213)로 전달할 수 있다(S53). SMS 게이트웨이(213)의 소정 제어수단은 이와 같이 메시지 발송의 호 처리가 완료되면, SMS 등의 과금 정책에 따라 과금을 생성하여 소정 과금 서버에 알리고(S57),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SMSC(211)에 알릴 수 있다(S58).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송될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착신 단말(240)에 대하여 CDMA 또는 WCDMA 망에서 지원되는 SMS 메시지의 길이 보다 큰 경우에 대하여 도, 해당 문자 메시지를 CDMA 또는 WCDMA 망에서 LMS 또는 MMS의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전송함으로써, 발신측은 착신측의 네트워크 속성을 잘 알지 못하여도 원하는 문자 메시지를 언제 어느때나 편리하게 발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망에서 그 메시지의 길이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여 문자 메시지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이 속성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망이나 연동 사업자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발송된 문자 메시지가 그 길이에 상관없이 착신 단말로 정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지원하는 문자 메시지 길이가 다른 경우에 착신 단말이 정상 처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발신 단말 사용자가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을 미리 파악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문자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발송할 수 있다.

Claims (13)

  1. 문자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망에서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로의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은, 가입자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질의하여 획득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방식은 SMS, LMS, 또는 MM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국내 또는 해외의 망에서 로밍되어 수신되는 SMS 메시지이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SMSC로 전달하면 상기 SMSC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가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방식 보다 메시지 길이가 긴 다른 방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는 국내 또는 해외의 망에서 로밍되어 수신되는 SMS 메시지이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면 상기 LMSC 또는 MMSC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고,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속성은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CDMA 또는 WCDMA 중 어느 망을 이용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하여 CDMA 또는 WCDMA 망에서 지원되는 SMS 메시지의 길이 보다 큰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CDMA 또는 WCDMA 망에서 LMS 또는 MMS의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방법.
  11. 문자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로의 문자 메시지의 발송 요청을 수신하는 SMSC와 연동하는 SMS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상기 SMSC가 전달하는 상기 발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발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확인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른 메시지 처리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의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송 요청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를 계산하는 메시지 길이 계산부;
    상기 발송 요청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질의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한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을 응답받는 가입자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메시지 길이 계산부가 계산한 상기 문자 메시지의 길이와 상기 가입자 정보 확인부가 응답받은 상기 착신 단말의 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의 전달 방식으로서 SMS, LMS, 또는 MMS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전달 방식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MS 게이트웨이는,
    결정된 상기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SMSC,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에 제한 길이 초과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상기 LMSC 또는 MMSC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자에 따라 상기 LMSC 또는 MMS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70065304A 2007-06-29 2007-06-29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90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04A KR100902151B1 (ko) 2007-06-29 2007-06-29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04A KR100902151B1 (ko) 2007-06-29 2007-06-29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45A KR20090001145A (ko) 2009-01-08
KR100902151B1 true KR100902151B1 (ko) 2009-06-10

Family

ID=4048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304A KR100902151B1 (ko) 2007-06-29 2007-06-29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93B1 (ko) * 2011-01-11 2013-05-06 주식회사 오비고 추상화된 메시징 모듈을 사용하여 모바일 상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058B1 (ko) * 2013-07-01 2020-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012A (ko)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용량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KR100718790B1 (ko) * 2006-01-09 2007-05-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012A (ko)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용량을 고려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KR100718790B1 (ko) * 2006-01-09 2007-05-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493B1 (ko) * 2011-01-11 2013-05-06 주식회사 오비고 추상화된 메시징 모듈을 사용하여 모바일 상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45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JP4801649B2 (ja) 無線lan上で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確立するための無線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EP1619907B1 (en) Method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KR100727762B1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sms)를 장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8602A (ko)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07007279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650168B1 (ko)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중계 방법
KR1008868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착신 품질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062777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4729A (ko) 발신 메시지 취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04589B1 (ko) 번호 변경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메세지 포워딩 방법 및그 시스템
CN1985530A (zh) Wlan上建立多媒体信息服务的无线通信方法及系统
KR101016269B1 (ko) 해외 로밍 메시징 서비스에서 주번호와 부번호를 이용하여발신 및 착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21333B1 (ko) 호 단절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83265B1 (ko) 무선 통신망에서 통화 발신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제공하는 시스템
KR101741811B1 (ko) 웹투폰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메시지 게이트웨이 장치
KR100860124B1 (ko) 단문메시지 다중 단말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055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0086963A (ko) 아바타 단문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7115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단말에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56491A (ko)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