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777B1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777B1
KR100627777B1 KR1020050042374A KR20050042374A KR100627777B1 KR 100627777 B1 KR100627777 B1 KR 100627777B1 KR 1020050042374 A KR1020050042374 A KR 1020050042374A KR 20050042374 A KR20050042374 A KR 20050042374A KR 100627777 B1 KR100627777 B1 KR 10062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terminal
retransmission
called terminal
servi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철
양승찬
김의규
김용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7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는 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 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 감소 및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단문 메시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단문 메시지 재전송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Short Message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발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중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중 SMS 센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신 단말기 110: 착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 121, 124: 무선 접속망
122, 125: 기지국 전송기 123, 126: 기지국 제어기
127: 홈 위치 등록기(HLR) 128: 이동통신 교환국
130: SMS 센터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는 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셀룰러 폰, PCS폰 등)가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통신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중에 무선망(Wireless Network)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과 기술을 말한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률의 비약적인 증가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 경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켰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사업자나 별정통신 사업자는 무선 인터넷의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의 이용을 더욱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전자 메일(E-Mail), 카드, 편지, 게임, 지리/생활 정보, 학습, 만화 등이 있다.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 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제한된 길이의 문자 메시지를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80 Byte(한글 40자, 영문 80자) 내외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는 SMS는 개인적인 용도에서 기업형 용도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최근의 SMS는 단순한 개인 간 메시지 전송의 차원을 넘어, 그룹(Group)간 전송, 예약 전송, 이메일 도착 통보, 개인 정보 관리, 증권 정보 알림, 상품 정보 알림, 금융 정보 알림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초기에는 주로 음성 통화의 보조 수단으로서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용되었지만 저렴한 발송 요금을 기반으로 점차 마케팅과 고객 관리 수단으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일기 예보, 뉴스, 주식 정보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최근에는 신용카드 회사들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전자 결제, 전자 상거래에까지 점차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SMS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핵심 장비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 센터'라 칭함)이다. SMS 센터는 임의의 순간에 수신할 수 없는 착신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해당 가입자가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별도로 저장(Store) 하였다가 수신이 가능한 때에 전달(Forward)하므로, 통화 중인 착신 가입자에게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말한다. SMS 센터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시스템, 휴대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및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 즉, 착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미가입 등과 같은 다양한 단문 메시지 수신 에러 원인에 의해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기에 수신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SMS 센터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국은 무선 접속망을 통해 호출 채널(Paging Channel)로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며, SMS 센터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 에러가 발생한 최초 전송 시점부터 24시간까지 단문 메시지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게 된다. 물론 단문 메시지 재전송 처리 과정 중 착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 수신 신호가 SMS 센터로 전송되면, 단문 메시지 처리 루틴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SMS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트래픽(Traffic) 변화나 CPU 부하율, 총처리 메시지 등과 같은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를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시간 간격을 바탕으로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계속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때문에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트래픽이 과부하 되는 시점(최번시)에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늘려(최적화)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 증가로 단문 메시지의 호 제한(Drop), 단문 메시지 유실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는 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 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와 전송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착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정 시간마다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문 메시지를 SMDPP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SMDPP(Ack)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되, 상 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다는 상기 SMDPP(Ack)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있어서, 호처리 최번시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기능;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수신되지 못하는 에러 원인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간격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발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중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발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0), 착신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SMS 센터(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값 입력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입력한 후, 무선 접속망(121, 124)으로 호 시도(Call Attempt)를 수행하여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20)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발신 단말기(100)는 단문 메시지의 이용이 가능한 기종이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었지만, 웹브라우저(Web Broswer)가 설치되어 웹 상에서 단문 메시지를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120)과 연결되어 착신 단말기(110)와의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의 세션 설정 요청에 따라 자동적으로 세션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이다.
착신 단말기(110)는 SMS 센터(13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며, SMS 센터(130)로부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어 수신되는 경우,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송한다. 또한, 착신 단말기(110)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28) 및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착신 단말기(110)도 발신 단말기(100)와 마찬가지로 SMS의 이용이 가능한 기종이고, SMS에 가입된 단말기이다.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착신 단말기(110)가 발신측의 이동통신 교환국(128)이 관할하는 지역에 있지 않는 경우, SMS 센터(130)는 단문 메시지와 함께 수신된 착신 단말기(110)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최초로 등록된 이동통신 교환국(128)을 판별한다. 여기서, 최초로 등록된 이동통신 교환국(128)이란 가입자가 착신 단말기(110)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최초로 가입자 정보 및 착신 단말기(110)의 정보 등을 등록한 이동통신 교환국(128)을 의미한다.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가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SMS 센터(13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한 WAP 브라우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TP: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I-mod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SK 텔레콤사의 'NAT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신/착신 단말기(100, 1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 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20)은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21, 124),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7),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 이동통신 교환국(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이동통신망(120)은 IS-95B 방식의 이동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 SIP 기반의 동기 방식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SIP 기반의 비동기 방식, IS-95C 방식의 이동통신망, W-CDMA 이동통신망, 휴대 인터넷망 등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를 중개하는 어떠한 이동통신망(120)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무선 접속망(121, 124)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121, 124)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22, 125),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23, 126)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3, 126)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 12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해당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8)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착신 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프(Handoff)할 때,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123, 126)는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 전송기(122, 125)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3, 126)는 기지국 전송기(122, 125)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128)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설명의 편의상 한 개로 설명하였지만 발신측과 착신측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무선 접속망(121, 124)으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SMDPP(Short Message Delivery Point To Point)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SMS 센터(130)로 전송하고, SMS 센터(130)로부터 SMDPP 데이터(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SMDPP 데이터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110)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으로 SMDPP(Ack) 메시지를 전송받아 SMS 센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SMDPP(Ack)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SMDPP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27)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27)에는 통화 대기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100)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110)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 통보를 하며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MS 센터(130)는 이동통신 교환국(128)과 연동하고 있으며, 발신된 단문 메시지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28)을 통해 수신하고, 착신 단말기(110)의 MIN을 이용해 착신 단말기(110)가 있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달할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전환하여 수신측인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SMS 센터(130)는 착신 단말기(110)의 MIN을 이용하여 알아낸 이동통신 교환국(128)의 홈 위치 등록기(127)로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127)는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SMS 센터(130)에게 제공하고, SMS 센터(13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이동통신 교환국(128)을 알아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중 SMS 센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센터는(130)는 프로그램 저장부(200), 메모리부(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이하 'NIC'라 칭함)(240), 데이터베이스 서버(250), 키입력부(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MS 센터(130)는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110)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110)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 감소 및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최번시라는 의미는 하루 중 가장 호가 자주 발생하는 1시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ITU-T 권고 사항에 의하면 평일 중 5 ~ 10일, 경우에 따라서는 15일 동안 15분 단위로 통화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15분에 대한 평균 통화량을 계산하여 하루 중 평균 통화량이 가장 많은 4개의 연속적인 15분으로 구성되는 시간이 최번시가 되는 것이다.
단문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착신 에러에 의해 단문 메시지가 착신 단말기(110)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즉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SMS 센터(130)에 기설정되어 있는 최초 전송 시간, 시간 간격 정보를 바탕으로 최초 전 송 시간부터 최종 종료 시간까지(24시간)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문자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는 프로세서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시스템 운용자가 SMS 센터(130)에서 최초 단문 메시지 전송 시간, 첫 번째 5분, 두 번째 20분, 세 번째 1시간으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간격 정보를 입력, 설정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는 최초 단문 메시지 전송 시간으로부터 5분, 20분, 1시간 간격으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게 되며, 세 번째 단문 메시지 전송 후에는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SMS 센터(13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 변화,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수신 실패에 대한 에러 원인에 상관없이 단문 메시지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처리 루틴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 최번시 등과 같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단문 메시지를 기설정되어 있는 일정 시간마다 재전송하기 때문에 최번시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를 가중시켜 단문 메시지 호 제한(Drop), 단문 메시지 유실 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단문 메시지의 호 처리 최번시 및 메모리 사용률(CPU 부하율, 총처리 메시지)을 고려하여 단문 메시지 시스템 부하가 증가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 루틴에 영향을 미치는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한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단문 메시지 시스템 부하가 정상인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할 수 있도록 문자 메시지 재전송 시간 주기를 늘려(최적화) 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처리 루틴을 의미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00)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 후, 단문 메시지 호처리 최번시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 루틴을 실행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센터의 성능을 개선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은 SMS 센터(130)의 운영 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제어부(22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에 따라 생성되는 단문 메시지 최초 전송 실패 시간, 단문 메시지 재전송을 위한 시간 간격 정보 등과 같은 단문 메시지 재전송에 필요한 환경 데이터와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 후, 착신 단말기(11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SMDPP(ACK) 메시지,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이동통신망(120)을 통해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 등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220)는 SMS 센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프로그램 저장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 호처리 최번시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 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110)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NPR: No Page Response, 전원 오프, 서비스 미가입, 음영 지역 등과 같이 단문 메시지 수신시 에러 원인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주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CPU 부하율과 총처리 메시지를 고려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의 수신시 에러 원인이 전원 오프인 경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6시간마다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한다든가, NPR인 경우 10분, 20분, 1시간 등으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등 에러 코드 즉 에러의 원인에 따라 적합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20)는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의 호처리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110)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230)는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 현황을 SMS 센터(13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Monitor) 형태로 제공되며, 키입력부(260)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네트웍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240)는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12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로서,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는 SMS 센터(13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 한,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26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한 가입자 리스트,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확인, 사용자의 통신 상태 확인 등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가입자 리스트, 상태 정보 등이 변경되는 경우 갱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를 SMS 센터(130)의 내부에 구성 요소로 포함하였지만 이와 별도로 외부에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50)는 예컨대, 오라클(Oracle)사의 "Oracle 9i DB Release 2" 서버 프로그램이나, 마이크로 소프트(Micro Soft)사의 "MS-SQL 서버 2000"의 서버 프로그램 등을 SMS 센터(13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된다.
키입력부(260)는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 서버(250)의 정보 내용을 수동적으로 새로이 추가하거나 갱신할 때 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사용한다. 또한, 키입력부(26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가입자를 등록하거나 프로그램 저장부(200)의 단문 메시지 재전송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경우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문 메시지를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전송한다(S300). 이어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발신 단말기(100)에서 송출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02).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SMDPP(Short Message Delivery Point To Point) 형식으로 인코딩(Encoding)한다(S304).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인코딩된 SMDPP 데이터와 착신 단말기(110)의 MIN을 SMS 센터(130)로 전송한다(S306).
이어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SMS 센터(130)로부터 정상적인 수신 응답신호가 전송되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일정 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타이머(Timer)가 동작하도록 셋팅한다(S308).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단계 S208에서 설정된 소정의 타이머의 작동이 완료되기 전에 SMS 센터(130)로부터 송출한 SMDPP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SMDPP(Ack)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SMS 센터(130)로부터 SMDPP(Ack)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SMDPP(Ack) 메시지를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발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100) 및 무선 접속망(121, 124)에 설정되어 있던 시스템 자원을 해제함으로써 단문 메시지의 발신 서비스에 대한 작업을 종료한다(S31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S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해 SMDPP 데이터를 수신한 SMS 센터(130)는 착신 단말기(110)의 MIN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28)의 홈 위치 등록기(127)에서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한다(S400).
착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SMS 센터(130)는 착신 단말기(110) 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이동통신 교환국(128)으로 SMDPP 데이터를 전송한다(S402).
SMS 센터(130)로부터 SMDPP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MIN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10)를 확인하고,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호출 채널(Paging Channel)로 착신 단말기(110)를 호출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호출 채널을 통해 응답하는 경우, SMDPP 데이터를 착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04).
이어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착신 단말기(110)가 전송된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06). 착신 단말기(110)는 전송된 SMDPP 데이터를 수신하면 SMDPP(Ack) 메시지를 무선 접속망(121, 124) 및 이동통신 교환국(128)을 거쳐 SMS 센터(130)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수신된 SMDPP(Ack)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6에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수신한 SMDPP(Ack)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면, 방문자 위치 등록기의 착신 단말기(110) 상태 정보 중 SMS_Pending flag를 'PENDING'으로 설정하고 SMDPP 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한다(S408).
이어서, SMS 센터(130)는 이동통신 교환국(128)로부터 수신 에러 SMDPP(Ack)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SMS 센터(130)로부터 착신 단말기(110)로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 실패 후 시점부터 최종 종료 시점까지(24시간 동안)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저장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 에러 SMDPP(Ack)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110)에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착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에러 응답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SMS 센터(130)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 변화,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수신 실패에 대한 에러 원인에 상관없이 단문 메시지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처리 루틴을 의미한다.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단문 메시지의 호처리 최번시 및 메모리 사용률(CPU 부하율, 총처리 메시지)을 고려하여 단문 메시지 시스템 부하가 증가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 루틴에 영향을 미치는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한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단문 메시지 시스템 부하가 정상인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할 수 있도록 문자 메시지 재전송 시간 주기를 늘려(최적화) 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처리 루틴을 의미한다.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NPR: No Page Response, 전원 오프, 서비스 미가입, 음영 지역 등과 같이 단문 메시지의 수신시 에러 원인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주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CPU 부하율과 총처리 메시지를 고려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의 수신시 에러 원인이 전원 오프인 경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6시간마다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한다든가, NPR인 경우 10분, 20분, 1시간 등으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등 에러 코드 즉 에러의 원인에 따라 적합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 실패 후 시점부터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의해 일정 시간이 되면, SMS 센터(13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무선 접속망(121, 124)을 통해 호출 채널(Paging Channel)로 착신 단말기(110)를 호출하고, 착신 단말기(110)가 호출 채널에 응답하는지를 판단한다(S410).
착신 단말기(110)가 호출 채널을 통해 응답하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SMDPP 데이터를 착신 단말기(110)로 재전송한다(S412). 단계 S412를 실행한 후, SMS 센터(130)는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주기의 최종 종료 시간 범위(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 실패한 시점부터 24시간이 되는 시점)를 초과하지 않았는지 판단한다(S414). 단계 S414에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주기의 최종 종료 시간 범위 이내인 경우는 단계 S406으로 진행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지 등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단계 S414에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주기의 최종 종료 시간 범위(24시간)를 초과하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SMDPP 데이터를 삭제하고, 발신 단말기(100) 및 무선 접속망(121, 124) 등에 설정되어 있던 시스템 자원을 해제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작업을 종료한다(S416).
한편, 단계 S410에서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 실패 후 시점부터 24시간이 되는 시점까지 착신 단말기(110)가 호출 채널에 응답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저장하고 있던 SMDPP 데이터를 삭제하고, 해당 사실을 SMS 센터(130)로 통보한다(S418).
착신 단말기(110)로 최초의 SMDPP 데이터의 전송이나 한 번 이상의 재전송에 의한 단계 S406에서 이동통신 교환국(128)이 SMDPP(Ack)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기(110)가 SMDPP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고 확인되면, 이동통신 교환국(128)은 해당 사실을 SMS 센터(130)로 통보한다(S420).
SMDPP 데이터의 정상적인 처리 결과를 수신한 SMS 센터(130)는 해당 SMDPP 데이터의 상태를 'SENT'로 설정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SMDPP 데이터를 삭제하는 동시에 발신 단말기(100) 및 무선 접속망(121, 124) 등에 설정되어 있던 시스템 자원을 해제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작업을 종료한다(S42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 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는 호처리 최번시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주기를 최적화하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최번시가 아닌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착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 감소 및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 에러 원인에 따라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간 간격을 다르게 설정하여 재전송 주기를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시스템의 부하 감소 및 단문 메시지의 트래픽을 분산하여 단문 메시지의 호제한으로 인한 미과금을 방지하고 손실액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호처리 최번시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상기 최번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한하고,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를 실행한 후, 상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이 정상적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에 수신되지 못한 시점으로부터 24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 (c)로 진행하고, 상기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삭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지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SMDPP(Ack)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지 못하는 에러 원인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간격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방법.
  7. 단문 메시지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와 전송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착신 단말기와 무선 접속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정 시간마다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및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문 메시지를 SMDPP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 하는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SMDPP(Ack)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다는 상기 SMDPP(Ack)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기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최초 전송을 실패한 후, 호처리 최번시에는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상기 최번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한하고,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지 못하는 에러 원인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간격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
  11. 단문 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신호 처리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있어서,
    호처리 최번시 유동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기능;
    상기 최번시 이외의 시점에는 고정 메시지 재전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수신되지 못하는 에러 원인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재전송 시간 간격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
    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재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KR1020050042374A 2005-05-20 2005-05-2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74A KR100627777B1 (ko) 2005-05-20 2005-05-2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374A KR100627777B1 (ko) 2005-05-20 2005-05-2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777B1 true KR100627777B1 (ko) 2006-09-25

Family

ID=3762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374A KR100627777B1 (ko) 2005-05-20 2005-05-2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58B1 (ko) 2007-01-17 2013-08-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에스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씨디엠에이 서비스지역에서의 인바운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내에서의 위치 등록 및 단문 메시지 착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58B1 (ko) 2007-01-17 2013-08-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에스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씨디엠에이 서비스지역에서의 인바운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내에서의 위치 등록 및 단문 메시지 착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5651B2 (en) Instant messaging to a mobile device
US7069030B2 (en) Server and method for short message service in private wireless network interworking with public land mobile network
EP1560443A1 (en) Messag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2777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단문 메시지재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20040022364A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분할하여 올리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4578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단말기 통화 중 단문메시지의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0700A (ko) 문자 메시지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06924B1 (ko) 특정 가입자에게 호 폭주 시 단문메시지 처리 방법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29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8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착신 품질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20110105524A (ko) Sms를 이용한 실시간 이메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94668B1 (ko) Sms 센터에서 sms 메시지의 미전송 내역을 통보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833290B1 (ko) 메시지 일괄 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03442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7055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35876B1 (ko) Sms 메시지 유실 방지 시스템
KR20070044729A (ko) 발신 메시지 취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98494B1 (ko) 피씨링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28436A (ko)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KR2001005706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방법
CN101909256A (zh) 用户信息的查询方法及多媒体消息中心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