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602A -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602A
KR20100078602A KR1020080136904A KR20080136904A KR20100078602A KR 20100078602 A KR20100078602 A KR 20100078602A KR 1020080136904 A KR1020080136904 A KR 1020080136904A KR 20080136904 A KR20080136904 A KR 20080136904A KR 20100078602 A KR20100078602 A KR 2010007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acket
incoming message
gmsc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644B1 (ko
Inventor
신호섭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6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착신 SMS/MMS 메시지의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교환기(SGSN)별로 과부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처리 비율을 설정하여,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로부터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로 메시지 착신시, 패킷 교환기(SGSN)는 메시지 처리 비율을 바탕으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메시지 처리를 거부한다. 이때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패킷 교환기는 GMSC로부터의 착신 메시지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자신의 혼잡 정보(SGSN Congestion)를 실어 GMSC로 전송한다. GMSC에서는, 각 패킷 교환기의 혼잡 정보와, 해당 패킷 교환기별로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MSC)의 혼잡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관리하고 있어,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의 혼잡시, 해당 패킷 교환기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의 혼잡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홀딩(Holding)시킨다. 패킷 교환기의 혼잡 해제시에, GMSC는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패킷 교환기로 재전송한다.
SMS, MMS, 과부하 제어, SGSN, 이동통신망

Description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TED MESSAGE OVER-LOA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메시지(SMS, MMS 등)가 기준 부하 이상 유입되는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분야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사용자의 증가는 이동통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욕구는 증대하였다.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중의 하나가 메시징 서비스이다.
메시징 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간에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간단한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를 이용하여 장문의 문자메시지, 사진, 소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SMS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짧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255 바이트 정보의 짧은 문장을 숫자나 기호를 포함하여 한글 또는 영어로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보내면 공중전화망이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SMS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255 바이트로 제한적이었지만, MMS 메시지의 경우에는 최대 편집량이 10000 글자에 달하기도 하는 등 메시지 편집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SMS나 MMS 메시지는 특정일, 예컨대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크리스마스 이브(12월24일), 연휴, 입시일, 첫눈 오는 날, 한해의 마지막날(12월31일) 등에 트래픽이 특히 많이 발생한다. 메시지 이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에서 처리해야 할 메시지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메시지량이 해당 장치의 처리량을 초과하여 장치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가입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가입자에 대한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패킷 교환기(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는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성능 이상을 요청할 경우, 해당 메시지의 처리를 위해 다른 패킷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다른 패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불가 및 프로세서 부하를 유발하여 과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메시지(SMS, MMS 등)가 기준 부하 이상 유입되는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착신 SMS/MMS 메시지의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 교환기(SGSN)별로 과부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처리 비율을 설정하여,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로부터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로 메시지 착신시, 패킷 교환기(SGSN)는 메시지 처리 비율을 바탕으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메시지 처리를 거부한다. 이때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패킷 교환기는 GMSC로부터의 착신 메시지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자신의 혼잡 정보(SGSN Congestion)를 실어 GMSC로 전송한다. GMSC에서는, 각 패킷 교환기의 혼잡 정보와, 해당 패킷 교환기별로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MSC)의 혼잡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관리하고 있어,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의 혼잡시, 해당 패킷 교환기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의 혼잡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홀딩(Holding)시킨다. 패킷 교환기의 혼잡 해제시에, GMSC는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패킷 교환기로 재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서 SMS/MMS 메시지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많이 발생하는 특정일에 SGSN 시스템의 과부하가 유발되어 이로 인해 다른 패킷 서비스 및 위치 등록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차단함으로써, 이동통신 가입자 및 서비스 업체에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메시지 사용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장비 제공업체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시스템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에게는 안정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착신 단말(UE: User Equipment)(1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망(CDMA) 및 비동기 방식의 이동통신망(W-CDMA), 공중전화망(PSTN), 유무선 랜(LAN),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SMS 또는 MMS 가능한 단말(예컨대, PDA, 핸드헬드 PC, 노트북, 셀룰러폰, IP폰 등)로서, 호 수신시는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하며, SMS 또는 MMS 발착신 가능한 단말기이면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W-CDMA의 경우, 회선망(Circuit Network)과 패킷망(Packet Network)(예컨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망) 간의 상호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1,12)는 회선 방식의 전화 서비스와 패킷 서비스가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회선망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구조로, 기지국 관련 장치(20),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30) 등으로 망이 구성되며, 특히 GPRS 망은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구조로, 기지국 관련 장치(20), 패킷 교환기(SGSN : Servinvg GPRS Support Node)/패킷망 게이트웨이(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40) 등으로 망이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1,12)에 의하여 접근된다.
기지국(BTS or Node-B), 기지국제어기(BSC)/무선망제어기(RNC) 등의 기지국 관련 장치(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12)와 교환기(MSC)(30)간 음성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12)와 패킷 교환기(SGSN)/패킷망 게이트웨이(GGSN)(40)간 패킷 데이터 전송 및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GPRS 망에서 패킷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11,12)에 전송될 때 페이징도 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회선 방식의 전화 서비스와 패킷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 및 트래픽을 회선망 혹은 GPRS 망으로 전달하거나 회선망의 음성 데이터 혹은 GPRS 망의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기지국제어기/무선망제어기는 기존 교환기(MSC) 기능을 그대로 수용하고,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제어 관리하며, 호처리와 관련된 트래픽과 신호방식, 이동성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등을 수행한다.
패킷 교환기(40)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G 통신망에서는 SGSN(Servinv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 2G CDMA 망에서는 PDSN(Packet Data Support Node)이라고 명명하며, 패킷망 게이트웨이(40)는 W-CDMA 방식의 3G 통신망에서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G CDMA 망에서는 PDGN(Packet Data Gateway Node)으로 명명한다. 패킷 교환기(40)는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노드로, 기지국과 패킷망 게이트웨이 사이의 신호 및 트래픽 전달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패킷 교환기(40)에서는 GPRS 가입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가입자에 대한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패킷 교환기는 패킷망 게이트웨이와 GPRS의 터널링 프로토콜인 GTP(GPRS Tunneling Protocol)의 끝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망 게이트웨이(40)는 인터넷(internet)과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패킷망 게이트웨이(40)는 GPRS 망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한다.
IWMSC(InterWorking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5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서버로서, 이동통신망에 있는 메시지 센터(SMS-SC, MMS-SC)(60)와의 SMS/MMS 전송 및 수신을 중계한다. IWMSC는 SMS/MMS 발신 처리에 관여하고, GMSC는 SMS/MMS 착신 처리에 관여한다.
메시지 센터(SMS-SC, MMS-MC)(60)는 IWMSC/GMSC(50)에 연결되어 SMS/MMS 라우팅 기능의 핵심을 담당하며, SMS/M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SMS/MMS 메 시지의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망요소로 전송한다.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70)는 가입자 정보와 IP 우선순위, 내부 도메인(interdomain) 서비스에 대한 자원과 권한 사용유무 등의 정보를 갖는다.
발신 SMS/MMS 메시징 서비스를 위해, 패킷 교환기(SGSN)(40)는 기지국 관련 장치(20)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SMS/MMS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발신 SMS/MMS 메시지를 IWMSC(50)로 전달한다. IWMSC(5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발신 SMS/MMS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60)로 전달한다. 메시지 센터(60)는 발신 SMS/MMS 메시지를 해당 단말(착신 단말(12)이 될 수 있고, 기타 SMS/MMS 착신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도 있음)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착신 SMS/MMS 메시지를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측의 단말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발신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기(11)가 될 수도 있고, 기타 SMS/MMS 발신이 가능한 단말이면 족하다.
착신 SMS/MMS 메시징 서비스를 위해, 메시지 센터(60)는 SMS/MMS 가능한 단말(11 또는 기타 SMS/MMS 가능한 단말)이 요청한 착신 SMS/MMS 메시지를 GMSC(50)로 전달한다. GMSC(50)는 홈위치등록기(70)에게 질의하여 착신 단말(12)이 속한 패킷 교환기(40)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패킷 교환기(40)로 발신 SMS/MMS 메시지를 전달한다. 패킷 교환기(40)는 GMSC(50)로부터 이동통신 가입자의 SMS/MMS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요청받은 착신 SMS/MMS 메시지를 기지국 관련 장치(20)로 전달한 다. 기지국 관련 장치(20)는 해당 가입자의 착신 단말(12)로 SMS/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패킷 교환기(40)는 메시지 센터(60)와 3GPP에 정의되어 있는 MAP(Mobile Application Par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착신 단말(12)과는 GMM(GPRS Mobility Management) 메시지를 통하여 통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패킷 교환기(40)는 자신의 과부하 상태를 파악하여 과부하시(엄밀하게는 과부하 전단계에서) 착신 SMS/MMS 메시지를 MSC(30)로 유도하고, 과부하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착신 단말(12)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단말(12)이 속한 기지국 관련 장치(20)로 착신 SMS/MMS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GMSC(50)는 패킷 교환기(40)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관리한다. SMS 메시지의 경우, 상태정보는 착신 SMS 메시지에 대해 패킷 교환기(40)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MAP-MT-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에 'SGSN Congestion'으로 설정하여 전송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40)에 설정된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이 90%, 과부하 제어 비율이 10%"로 설정된 경우, 패킷 교환기(40)는 90%에 해당하는 착신 SMS 메시지는 정상 처리하고(도 2의 205~211 단계), 나머지 10%에 해당하는 착신 SMS 메시지에 대해서는 "MAP-MT-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SGSN Congestion"으로 설정하여 GMSC(50)로 전송함으로써(도 2의 204 단계) 메시지 처리 요청을 거부한다. 예컨대, 패킷 교환기(40)는 패킷 교환기(40)에서 처리되는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을 100%으로 보았을 때, 10%의 착신 SMS 메시지를 제어 대상의 착신 SMS 메시지로 판단한다(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 90% : 과부하 제어 비율 10%). "MAP-MT- 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SGSN Congestion"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전달받은 GMSC(50)는 착신 SMS 메시지를 우회시킬 교환기(30)로 착신 SMS 메시지의 처리를 요청하거나,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패킷 교환기(40)로 재요청할 수 있다. 착신 SMS 메시지의 우회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착신 메시지의 과부하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착신 SMS 메시지를 가정한다.
메시지 센터(60)가 SMS 가능한 단말(11 또는 기타 SMS 가능한 단말)이 요청한 착신 SMS 메시지(MAP-MT-FORWARD-SHORT-MESSAGE)를 GMSC(50)로 전달하면, GMSC(50)는 홈위치등록기(70)에게 질의하여 착신 단말(12)이 속한 패킷 교환기(40)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패킷 교환기(40)로 발신 SMS/MMS 메시지를 전달한다(201).
패킷 교환기(40)는 GMSC(50)로부터 SMS 메시지 처리 요청(MAP-MT-FORWARD-SHORT-MESSAGE 수신)을 받으면, SMS 메시지 제어 기능의 상태를 확인한다(202). SMS 제어 기능이 온(ON) 상태이면,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의 과부하 여부를 검사한다(203).
만약, '과부하 제어 비율 10% :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 90%'로 설정된 경우, 패킷 교환기(40)는 90%에 해당하는 착신 SMS 메시지에 대해서는 정상 처리한다(205~211). 구체적으로, 패킷 교환기(40)는 해당 가입자에게 SMS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위치 정보 확인 및 신호 연결 요청을 위해 페이징 요청 메시지(Paging Request)를 착신 단말(12)로 전송하고(205), 이에 대해 착신 단말(12)은 페이징 응 답 메시지(Paging Response)를 패킷 교환기(40)로 전송하여(206) 패킷 교환기(40)와 연결을 맺는다. 연결 설정후, 패킷 교환기(40)는 착신 SMS 메시지를 CP-DATA 포맷으로 착신 단말(12)에게 전달하고(207), 착신 단말(12)은 CP-ACK를 패킷 교환기(40)로 전달하여(208) 착신 SMS 메시지를 잘받았음을 알린다. 패킷 교환기(40)는 착신 단말(12)과의 착신 SMS 메시지 전송을 성공적으로 끝마치면, 착신 단말(12)과의 연결을 해제한 후(208,209), GMSC(50)로 착신 SMS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통보한다(MAP-MT-FORWARD-SHORT-MESSAGE ACK)(211).
그런데, 패킷 교환기(40)에서 처리하는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이 90%를 상회하는 경우, 이후 수신되는 착신 SMS 메시지에 대해서는 응답 메시지(MAP-MT-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를 'SGSN Congestion'으로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204), 착신 SMS 메시지 처리 요청을 거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킷 교환기(40)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은 운영자에 의해 임의적인 설정이 가능한데, 예컨대 SMS 메시지가 폭주하여 과부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제어 비율을 10%에서 20%로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과부하 해제시에는 순차적으로 제어 비율을 하향 조정하여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SMS 메시지의 급격한 유입으로 인한 과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MAP-MT-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SGSN Congestion"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전달받은 GMSC(50)는 교환기(30)로 착신 SMS 메시지의 우회 처리를 요청하거나,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패킷 교환기(40)로 재요청할 수 있다. 착신 SMS 메시지를 교환기(30)로 우회 처리하기 위해서, GMSC(50)는 교환기(30)의 상태정보(MSC Congestion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관리한다. SMS 메시지의 경우, 상태정보는 착신 SMS 메시지에 대해 교환기(30)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MAP-MT-FORWARD-SHORT-MESSGE ACK) 내의 "User Error의 Cause"에 'MSC Congestion'으로 설정하여 전송된다. 패킷 교환기(40)와 교환기(30)가 자신의 혼잡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패킷 교환기(40)는 기 설정된 착신 SMS 처리 비율(예컨대, '과부하 제어 비율 10% : 착신 SMS 메시지 처리 비율 90%'로 설정된 경우, 착신 SMS 메시지가 90%가 상회하는 경우)을 바탕으로 혼잡 정보(SGSN Congestion)를 전송하지만, 교환기(30)는 자신의 착신 SMS 메시지 처리 용량(100%)을 바탕으로 혼잡 정보(MSC Congestion)를 전송한다.
따라서, GMSC(50)는 패킷 교환기(40)의 현재 상황(SGSN Congestion 정보)을 확인한 후 우회할 교환기(30)의 현재 상황(MSC Congestion 정보)을 확인하여, 패킷 교환기(40)가 혼잡(Congestion)하고 우회할 교환기(30)가 혼잡하지 않으면 교환기(30)로 착신 SMS 메시지를 처리 요청하고, 패킷 교환기(40)와 우회할 교환기(30) 모두가 혼잡하다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패킷 교환기(40)로 착신 SMS 메시지의 처리를 재요청할 수 있다. 이때 재요청은 패킷 교환기(40)에서 과부하 해제에 따라 제어 비율을 하향 조정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초기 단계부터 착신 SMS 메시지를 제어하기 때문에 과부하가 해제되는 시점은 오래걸리지 않는다.
패킷 교환기(40)의 과부하 제어를 위한 MAP 메시지(MAP-MT-FORWARD-SHORT-MESSAGE)의 Failure Cause는 다음과 같이 3GPP 29.002 MAP 규격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다.
Figure 112008090514719-PAT00001
따라서, 3GPP 29.002 MAP 규격의 User Error에 도 3과 같이 신규로 Cause(Cause no. 23: "SGSN Congestion", Cause no. 24: "MSC Congestion") 추가가 필요하다.
이상에서는 착신 SMS 메시지를 예로 들었으나, 착신 MMS 메시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패킷 교환기(40)의 과부하 제어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GPP 29.002 규격에 추가되는 User Error의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발/착신 단말(UE) 20: 기지국 관련 장치
30: 교환기(MSC) 40: 패킷 교환기(SGSN)
50: GMSC/IWMSC 60: 메시지 센터(SMS-MC/MMS-MC)
70: 홈위치등록기(HLR)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으로서,
    a) 패킷 교환기(SGSN)별로 과부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처리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b)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로부터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로 메시지 착신시, 상기 패킷 교환기가 상기 메시지 처리 비율을 바탕으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메시지 처리를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상기 패킷 교환기가 상기 GMSC로부터의 착신 메시지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자신의 혼잡 정보(SGSN Congestion)를 실어 상기 GMSC로 전송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MSC는, 각 패킷 교환기의 혼잡 정보와, 해당 패킷 교환기별로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MSC)의 혼잡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및 관리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의 혼잡시, 상기 GMSC가 해당 패킷 교환기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로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의 혼잡시, 상기 GMSC가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홀딩(Hold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기의 혼잡 해제시, 상기 GMSC가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상기 패킷 교환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 또는 MMS 메시지인,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8.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과부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처리 비율을 저장ㆍ관리하고, GMSC(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로부터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로 메시지 착신시, 상기 메시지 처리 비율을 바탕으로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메시지 처리를 거부하는 다수의 패킷 교환기(SGSN);
    각 패킷 교환기의 혼잡 정보와, 해당 패킷 교환기별로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의 혼잡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ㆍ관리하고, 가입자가 속한 패킷 교환기의 혼잡시, 해당 패킷 교환기의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로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기 GMSC; 및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상기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MSC)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에 대해서, 상기 패킷 교환기가 상기 GMSC로부터의 착신 메시지 처리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자신의 혼잡 정보(SGSN Congestion)를 실어 상기 GMSC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MSC는, 상기 착신 메시지 우회 대상 교환기의 혼잡시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홀딩(Holding)시키고, 상기 패킷 교환기의 혼잡 해제시 상기 GMSC가 상기 제어 대상의 착신 메시지를 상기 패킷 교환기로 재전송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 또는 MMS 메시지인,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80136904A 2008-12-30 2008-12-30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100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04A KR101000644B1 (ko) 2008-12-30 2008-12-30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04A KR101000644B1 (ko) 2008-12-30 2008-12-30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02A true KR20100078602A (ko) 2010-07-08
KR101000644B1 KR101000644B1 (ko) 2010-12-10

Family

ID=4263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904A KR101000644B1 (ko) 2008-12-30 2008-12-30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60B1 (ko) * 2011-08-22 2014-04-1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과부하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CN108769936A (zh) * 2018-06-27 2018-11-06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短信分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97B1 (ko) * 2011-08-05 2018-08-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우선 순위에 따른 과부하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194B1 (ko) * 1999-12-30 2002-11-01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60B1 (ko) * 2011-08-22 2014-04-1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의 과부하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CN108769936A (zh) * 2018-06-27 2018-11-06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短信分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769936B (zh) * 2018-06-27 2021-06-08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短信分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644B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5204C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short message services
JP2005512362A (ja) モバイル受信者を選択するマルチキャスティングメッセージ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7109936A1 (fr) Procédé, appareil et système de transmission de messages courts trop longs dans un champ de circuits amcr
KR20070006483A (ko)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삭제 시스템및 방법
US20050266864A1 (en) Non-intrusive network architecture for mass mobile messaging
KR101000644B1 (ko) 착신 메시지 과부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US8489129B2 (en) Transmiss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over bearer connections
KR20080010217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된 호를 인터넷 전화로 연결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442129B1 (ko) 망간 연동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2세대 망에서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처리 방법
KR100718790B1 (ko)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719894B1 (ko) 광대역 이동 통신망에서 화상통화 지역 통보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100876062B1 (ko) 이동 통신망에서 패킷망과 써킷망간 호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KR101674065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5978A (ko) 스팸 필터링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27762B1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sms)를 장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8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착신 품질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20110068057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KR101016269B1 (ko) 해외 로밍 메시징 서비스에서 주번호와 부번호를 이용하여발신 및 착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954284B1 (ko) 외부 연동 장비별로 독립된 재전송 규칙을 적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115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단말에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04589B1 (ko) 번호 변경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메세지 포워딩 방법 및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