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586B1 -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586B1
KR100767586B1 KR1020060061229A KR20060061229A KR100767586B1 KR 100767586 B1 KR100767586 B1 KR 100767586B1 KR 1020060061229 A KR1020060061229 A KR 1020060061229A KR 20060061229 A KR20060061229 A KR 20060061229A KR 100767586 B1 KR100767586 B1 KR 10076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s message
mms
message
priority
servi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6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 서비스 장치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내부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내용을 갖는 대량의 MMS 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방법은, 부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여 하나의 MMS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MS, 동보, VAS Applicaion, MMSC, 우선순위

Description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MMS BROADCASTING MESSAG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국제 표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의 참조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해 MMS 릴레이 서버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해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가 지연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보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에서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10은 우선순위에 따라 버퍼에 MMS 메시지가 적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이동통신 단말기 430 : 부가 서비스 장치
450 : MMSC 910 : 수신부
930 : 우선순위 판별부 950 : 버퍼
970 : 메시지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 하여 웹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주소록, 사진, 애니메이션, 동영상, 벨소리 등 이른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어 일반 사진은 물론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특히, 국제 표준 권고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22.140과 23.140에 정의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단말기 간에 단문의 텍스트 메시지 뿐만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사에서 지원하는 핵심 데이터 서비스 중 하나이다.
도 1은 국제 표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의 참조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의 MMS 릴레이 서버(Relay Server)(110)는 외부 메시징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1에서 MMS 메시지 송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터페이스는 개인 대 개인(Person-to-Person)형인 MM1 인터페이스(120)와 기계 대 개인(Machine-to-Person)형인 MM7 인터페이스(130)이다. MM1 인터페이스(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40)를 소유한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MM7 인터페이스(130)는 부가 서비스 장치(VAS Application:Value Added Service Application)(150)에서 대량의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에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다시 말하면, MM1 인터페이스(120)에서 인입된 MMS 메시지는 사용자의 사적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인 반면, 부가 서비스 장치(150)에서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불특정 다수에게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 예를 들면 광고성 메시지이다. 현재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주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향후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 보다 다양한 기업형 수익 모델을 갖는 기계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훨씬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MMS 릴레이 서버(110)는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가 많아질 경우 MMS 릴레이 서버(110)에서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반드시 착신자에게 전송될 것이 요구되는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MMS 릴레이 서버(110)로 대량의 MMS 메시지가 발송됨으로써 부가 서비스 장치(150)와 MMS 릴레이 서버(110)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여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해 MMS 릴레이 서버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3 개의 MMS 메시지가 전송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N 개의 대량 MMS 메시지가 전송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 릴레이 서버(110)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두 개의 MMS 메시지(1번 MMS, 2번 MMS)가 인입되고 그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의 MMS 메시지(3번 MMS)가 인입되며 마지막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한 개의 MMS 메시지(4번 MMS)가 인입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하여 내부 버퍼가 오버플로우 되어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4번 MMS 메시지는 손실된다. 이에 따라 MMS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는 많은 불편을 겪게 되고 그 이용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MMS 릴레이 서버(110)는 MM1과 MM7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입되어 들어온 MMS 메시지를 FIFO(First-In, First-Out), 즉 선입선출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래서, 만일 MM7 인터페이스에서 대량으로 MMS 메시지가 인입된 후에 MM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S 메시지가 인입되면 MM7 인터페이스에서 먼저 도착한 대량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안 뒤에 있는 MM1 인터페이스에서 인입된 MMS 메시지는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해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가 지연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 릴레이 서버(110)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두 개의 MMS 메시지(1번 MMS, 2번 MMS)가 인입되고 그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의 MMS 메시지(3번 MMS)가 인입되며 마지막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한 개의 MMS 메시지(4번 MMS)가 인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MMS 릴레이 서버(110)는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수신된 순서대로 MMS 메시지를 내보낸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발송된 1번 MMS 메시지와 2번 MMS 메시지가 가장 먼저 내보내지고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발송된 대량의 3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로부터 발송된 4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이와 같이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들어온 순서대로 MMS 메시지를 내보냄으로써 4번 MMS 메시지는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발송된 대량의 3번 MMS 메시지로 인하여 즉시 전송되지 못하고 대량의 3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질 때까지 지연된다.
이와 같이 MM1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입된 MMS 메시지는 즉시 착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이 요구되는 메시지임에도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MM7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가 인입된 경우 착신자에게 즉시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MMS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는 많은 불편을 겪게 되고 그 이용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내부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인 대 개인으로 전송되는 MMS 메시지의 전송 순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동보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내용을 갖는 대량의 MMS 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부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여 하나의 MMS 메시지(이하, '동보 MMS 메시지'라 함)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개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형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동보 MMS 메시지 및 개인형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보 MMS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동보 MMS 메시지의 각 수신자별 전송 상태 여부를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서,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와 개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개인형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보 MMS 메시지 및 상기 개인형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판별부; 및 상기 우선순위 판별부에서 결정된 전송 순서에 따라 MMS 메시지를 처리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라 함)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10), 대량의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송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 이동통 신 단말기(410) 사이의 MMS 메시지 송수신 및 이동통신 단말기(410)와 부가 서비스 장치(430) 사이의 MMS 메시지 송수신을 중계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MMSC: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 이하 "MMSC"라 함)(45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이동통신망으로서 필요한 무선 기지국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MMSC(450)는 국제 표준 권고안 3GPP에서 정의하는 MMS 릴레이/서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410)는 MMS를 지원하는 MMS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단말기로서,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410)와 MMSC(450)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410)의 자체 기능(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서버에 접속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에는 MMS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MMSC(45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장치(430)는 동일한 내용을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보 전송하기 위한 동보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MMSC(450)에 전송하는 것으로, MMSC(450)와 인터 넷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되어 동보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HTTP 또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포함한다. 부가 서비스 장치(430)는 광고 메시지, 생활 정보, 또는 기상 정보 등의 기업형 동보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부가 서비스 장치(430)는 관리자로부터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고, 이어서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부가 서비스 장치(430)는 헤더에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갖는 하나의 MMS 메시지를 생성하여 MMSC(45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보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되는 동보 MMS 메시지는 다수의 수신자 정보를 갖는 헤더(501)와 HTML,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갖는 바디(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5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제목 필드(m_Title), 발신자 번호 필드(m_From), 수신자 수 필드(m_To_Count),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 컨텐츠 타입 필드(Content-type), 컨텐츠 길이 필드(Content_Length) 등을 포함한다.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는 수신자의 번호(MDN/MSISDN), 수신자의 IMSI, 수신자의 속성(SVC/0), 부가 서비스 장치(330)에서 수신자를 관리하는 세션 ID(SID)를 포함한다.
MMSC(450)는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하고, 또한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를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한다. 이때, MMSC(450)는 동보 MMS 메시지 헤더(501)의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에 기록된 수신자들에게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종래에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동일한 내용을 갖는 MMS 메시지가 대량 발송될 경우 부가 서비스 장치(430)와 MMSC(450)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였으나, 동보 발송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MMSC(450)에서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대량으로 MMS 메시지가 발송될 경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동보 수신됨으로써 내부 버퍼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501)는 전송 확인 요청 필드(m_ReceiveConfirm), 읽기 확인 요청 필드(m_ReadRepl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확인 요청 필드가 체크되었을 경우 MMSC(450)는 각 수신자별로 MMS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읽기 확인 요청 필드가 체크되었을 경우 MMSC(450)는 각 수신자별로 MMS 메시지를 읽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장치(430)는 MMSC(450)로부터 전송된 결과에 따라 수신자에게 MMS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그리고 전송되었다면 얼마나 많은 수신자들이 MMS 메시지를 읽었는지를 통계내어, 추후 동보 MMS 메시지를 발송할시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에서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3 개의 MMS 메시지가 발송되 고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동보 MMS 메시지가 발송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에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동일한 내용을 갖는 N 개의 MMS 메시지가 전송되고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3 개의 MMS 메시지가 전송되면 버퍼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하나의 동보 MMS 메시지가 수신됨으로써 N-1 개의 MMS 메시지의 용량이 절감된다. 따라서 버퍼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MMS 메시지를 우선순위에 따라 스케쥴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사적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로 발송 즉시 수신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되는 동보 MMS 메시지는 공적인 내용, 예를 들면 광고, 생활 정보, 기상 정보 등이 포함된 메시지로 발송 즉시 수신되는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MSC(450)는 이동통신 단말기(410)와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우선 처리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410) 및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는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410) 및 부가 서비스 장치(430)에 설치된 MMS 클라이언트는 MMS 메시지 생성시 헤더에 우선순위 정보를 삽입한다. 또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에 설치된 MMS 클라이언트만이 MMS 메시지 생성시 헤더에 우선순위 정보를 삽입하도록 하면, MMSC(450)는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MMS 메시지를 우선 처리하고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후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410) 및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에 모두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 7의 (a)는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7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 헤더(701)의 우선순위 필드(Message_Priority)에 "1"이 설정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 헤더(703)의 우선순위 필드(Message_Priority)에 "2"가 설정된다. MMSC(450)는 MMS 메시지의 헤더(701, 703)에 포함된 우선순위를 판별하여 우선순위 필드에 "1"이 설정되어 있으면 그렇지 않은 MMS 메시지 보다 우선 처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3 개의 MMS 메 시지가 발송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동보 MMS 메시지가 발송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C(450)로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두 개의 MMS 메시지(1번 MMS, 2번 MMS)가 인입되고 그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동보 MMS 메시지(3번 MMS)가 인입되며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한 개의 MMS 메시지(4번 MMS)가 인입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 헤더의 우선순위 필드에 "1"이 설정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 헤더의 우선순위 필드에 "2"가 설정된다.
종래 MMSC(450)는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수신된 순서대로 MMS 메시지를 내보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MMSC(450)는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정보를 판별하여 우선순위 정보가 "1"인 개인의 MMS 메시지는 우선순위 정보가 "2"인 동보 MMS 메시지에 우선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410)로부터 발송된 1번 MMS 메시지와 2번 MMS 메시지가 가장 먼저 내보내지고 다음으로 4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3번 동보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에 따라 개인의 MMS 메시지는 동보 MMS 메시지 보다 우선 처리되어 지연없이 착신자에게 전송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의 기능적 구성도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는 수신부(910), 우선순위 판별부(930), 버퍼(950) 및 메시지 처리부(970)를 포함한다.
수신부(910)는 이동통신 단말기(410) 또는 부가 서비스 장치(4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MMS 메시지를 우선순위 판별부(930)로 출력한다.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수신부(910)로부터 출력된 MMS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MMS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우선순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MMS 메시지를 버퍼(950)에 적재한다. 도 10은 버퍼(950)에 MMS 메시지가 적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버퍼(950)의 맨 앞에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951)가 적재되어 있고 그 뒤로 두 개의 우선순위 "2"의 MMS 메시지(952, 953)가 적재되어 있으며,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수신부(910)로부터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901)를 받아 버퍼(950)에 적재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버퍼(950)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953)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 MMS 메시지(953)의 우선순위는 "2"이므로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가 높다. 따라서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두 번째 MMS 메시지(952)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두 번째 MMS 메시지(952)의 우선순위는 "2"로 역시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가 높다. 따라서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세 번째 MMS 메시지(951)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런데 세 번째 MMS 메시지(951)의 우선순위는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와 같으므로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그 다음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지 않고 두 번째 MMS 메시지(952)와 세 번째 MMS 메시 지(951) 사이에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를 적재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버퍼(950)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와 같은 MMS 메시지가 나오면 그 MMS 메시지의 뒤에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901)를 적재한다.
한편, 도 10은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종류로 "1", "2"의 두 가지 경우로 설명하나, 만약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다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 판별부(930)는 버퍼(950)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가 판독되거나 또는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가 판독되면 그 판독된 MMS 메시지의 바로 뒤에 수신부(910)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
메시지 처리부(970)는 버퍼(950)에 적재된 MMS 메시지를 앞에서부터 차례로 빼내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 처리부(970)가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MMS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고,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MMS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의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970)는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할 때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의 수만큼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중간에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가 적재되어 동보 MMS 메시지보다 우선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처리부(970)는 동보 MMS 메시지 를 전송할 때 전송한 수만큼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의 수(m_To_Count)를 감소시키고 전송한 수신자의 정보를 헤더에서 삭제한다.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를 중간에 처리하고 난 후에 상기 감소된 후의 수신자의 수만큼 다시 동보 MMS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정확하게 동보 MMS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 및 "2"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1"은 우선순위 "2"보다 우선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C(45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S1101). 이어서, MMSC(450)는 그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 정보를 읽어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지 여부를 판독한다(S1103).
만약,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바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S1105). 우선순위가 "2"인 MMS 메시지는 우선 처리되지 않아도 되므로 정상적으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되어 처리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우선순위가 "2"인 MMS 메시지보다 우선 처리되어야 하므로 MMSC(450)는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를 판단한다(S1107).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450)는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한다(S1105). 이미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와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같으므로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는 상기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보다 우선 처리될 수 없다. 따라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한다.
그렇지 않고,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MMSC(450)는 버퍼에서 상기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앞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S1109)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 확인한다(S1111).
만약,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450)는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해당 MMS 메시지의 뒤에 적재하여 메시지 처리되도록 한다(S1113).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 우선순위에 따르지 않고 먼저 인입된 순서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단계 S1111에서 확인한 결과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다시 버퍼에서 해당 MMS 메시지의 앞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S1109) 그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 확인한다(S1111).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450)는 그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하여 메시지 처리되도록 하고(S1113),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순차적으로 버퍼에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우선순위가 "1"인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버퍼의 맨 앞에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951)가 적재되어 있고 그 뒤로 두 개의 우선순위 "2"의 MMS 메시지(952, 853)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901)를 받아 버퍼에 적재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버퍼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953)의 우선순위를 판독하면, 그 MMS 메시지(953)의 우선순위는 "2"이므로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901)보다 우선순위가 낮다. 따라서 두 번째 MMS 메시지(952)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두 번째 MMS 메시지(952)의 우선순위는 "2"로 역시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보다 낮다. 따라서 세 번째 MMS 메시지(951)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런데 세 번째 MMS 메시지(951)의 우선순위는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901)의 우선순위와 같으므로 그 다음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지 않고 두 번째 MMS 메시지(952)와 세 번째 MMS 메시지(951) 사이에 MMS 메시지(901)를 적재한다.
이로써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가 우선순위가 낮은 MMS 메시지보다 먼저 처리되어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의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는 우선순위가 두 가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우선순위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MMSC(450)는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거나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를 내부 버퍼에서 순차적으로 찾아 그 찾은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하여 처리한다.
현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CDMA, GSM 등의 2세대 이동통신 시스 템 뿐만 아니라 WCDMA 등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차세대 킬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향후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 보다 다양한 기업형 수익 모델을 가진 기계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훨씬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함으로써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한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차등적으로 MMS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개인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MMS 메시지의 대량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MMS 메시지를 동보 전송함으로써, 부가 서비스 장치 및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또한,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MMS 메시지가 동보 전송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 내부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여 원활한 MMS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를 동보 MMS 메시지에 우선하여 처리함으로써 개인의 이동통신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개인의 부가 서비스 이용율이 증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동일한 내용을 갖는 대량의 MMS 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부가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여 하나의 MMS 메시지(이하, '동보 MMS 메시지'라 함)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S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개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인형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동보 MMS 메시지 및 개인형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MS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개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상기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 정보에 대한 유효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보 MMS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자에게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가 동보 MMS 메시지의 각 수신자별 전송 상태 여부를 상기 부가 서비스 장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동보 전송 방법.
  6.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서,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와 개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송된 개인형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보 MMS 메시지 및 상기 개인형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판별부; 및
    상기 우선순위 판별부에서 결정된 전송 순서에 따라 MMS 메시지를 처리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MMS 메시지를 저장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판별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와 같거나 또는 그 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갖는 MMS 메시지를 상기 출력 버퍼의 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찾고 그 찾은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형 MMS 메시지가 상기 동보 MMS 메시지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KR1020060061229A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6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29A KR100767586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29A KR100767586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586B1 true KR100767586B1 (ko) 2007-10-17

Family

ID=3881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229A KR100767586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478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그 통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05A (ko) * 2003-02-18 2004-08-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보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및 동보 전송정보를 이용한 회신 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123000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수의 수신자에게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와 그 서버 및 방법
KR20060069051A (ko)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60128114A (ko) * 2004-06-0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05A (ko) * 2003-02-18 2004-08-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보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및 동보 전송정보를 이용한 회신 메시지 전송방법
KR20060128114A (ko) * 2004-06-0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50123000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수의 수신자에게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와 그 서버 및 방법
KR20060069051A (ko)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478A (ko)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그 통신 시스템
KR101641566B1 (ko) 2009-11-30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그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3105B2 (en) Method for blocking spam short messages in wireless network
EP1665841B1 (en) Optimized message notification
EP1457068B8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2004024220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messages in terminals
US20070198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messages
EP250934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information and terminal thereof
US8219067B1 (en) Delayed display of message
US8880628B2 (en) Smarter mechanism to implement push email on handheld devices
US20110143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Multiple Destination Addresses in a Message
IE20090125A1 (en) Electronic messaging
KR20120091402A (ko) 데이터 타입 및/또는 데이터 포맷의 변환에 의한 mms 메시지 전송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100767586B1 (ko)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278531B (zh) 异步消息的接收通知
KR100767585B1 (ko)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0455049C (zh) 一种多媒体消息服务系统中对消息的处理方法
KR100793611B1 (ko) 우선순위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171377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US20060199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stored data
KR100727342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그룹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A2525857C (en) Integrated message delivery over a plurality of transport mediums
KR20080004638A (ko) 엠엠에스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0749956B1 (ko)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게시판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46351B1 (ko) 장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이미지 생성 방법
Kaur et al. WIRELES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