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585B1 -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585B1
KR100767585B1 KR1020060061168A KR20060061168A KR100767585B1 KR 100767585 B1 KR100767585 B1 KR 100767585B1 KR 1020060061168 A KR1020060061168 A KR 1020060061168A KR 20060061168 A KR20060061168 A KR 20060061168A KR 100767585 B1 KR100767585 B1 KR 10076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s message
message
mms
service device
expir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식회사 케이티에프엠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6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8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성 MMS 메시지가 금지 시간대에 발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MMS 메시지의 지연 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은,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에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만료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폐기하고, 해당 MMS 메시지를 발송한 단말기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폐기된 MMS 메시지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이동통신 가입자가 원하지 않는 시간대에 MMS 메시지가 발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MMS 메시지가 지연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MS, 만료 시간, MMSC, 광고, 대량 발송

Description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RETRANSMITTING MMS MESSAGE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국제 표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의 참조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MMSC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 및 부가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MSC 및 부가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8은 우선순위에 따라 버퍼에 MMS 메시지가 적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 메시지의 재전송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이동통신 단말기 230 : 부가 서비스 장치
250 : MMSC 251 : 수신부
253 : 버퍼 255 : 만료 시간 판별부
257 : 통지부 259 : 메시지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 하여 웹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주소록, 사진, 애니메이션, 동영상, 벨소리 등 이른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어 일반 사진은 물론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이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특히, 국제 표준 권고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22.140과 23.140에 정의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단말기 간에 단문의 텍스트 메시지 뿐만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사에서 지원하는 핵심 데이터 서비스 중 하나이다.
도 1은 국제 표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의 참조 모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의 MMS 릴레이 서버(Relay Server)(110)는 외부 메시징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1에서 MMS 메시지 송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터페이스는 개인 대 개인(Person-to-Person) 형인 MM1 인터페이스(120)와 기계 대 개인(Machine-to-Person) 형인 MM7 인터페이스(130)이다. MM1 인터페이스(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40)를 소유한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MM7 인터페이스(130)는 부가 서비스 장치(VAS Application:Value Added Service Application)(150)에서 대량의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140)에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다시 말하면, MM1 인터페이스(120)에서 인입된 MMS 메시지는 사용자의 사적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 반면, 부가 서비스 장치(150)에서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불특정 다수에게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 예를 들면 광고성 메시지이다. 현재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주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향후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 보다 다양한 기업형 수익 모델을 갖는 기계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훨씬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특정한 목적을 갖고 발송되는 기업형 메시지, 예를 들면 광고성 메시지로서 그 기업형 메시지를 발송 요청한 사업주는 특정 시간대에 해당 MMS 메시지들이 착신자에게 전송되기를 원한다.
그런데, 최근 MMS 메시지의 이용율이 높아지고 MMS 릴레이 서버(110)의 처리 용량의 한계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발송되기를 원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가 지연 전송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가 서비스 장치(150)를 이용한 MMS 메시지의 대량 발송 서비스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더욱이, 현재 정보통신부의 수신동의정책에 의하면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는 광고성 메시지의 대량 발송이 금지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MMS 메 시지에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정보통신부에서 금지한 시간대에 광고성 MMS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가 많아질 경우 MMS 릴레이 서버(110)에서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반드시 착신자에게 전송될 것이 요구되는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부가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MMS 릴레이 서버(110)로 대량의 MMS 메시지가 전송됨으로써 부가 서비스 장치(150)와 MMS 릴레이 서버(110)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여 전송 지연 및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MMS 릴레이 서버(110)는 MM1과 MM7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입되어 들어온 MMS 메시지를 FIFO(First-In, First-Out), 즉 선입선출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래서, 만일 MM7 인터페이스에서 대량으로 MMS 메시지가 인입된 후에 MM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S 메시지가 인입되면 MM7 인터페이스에서 대량으로 먼저 도착한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안 뒤에 있는 MM1 인터페이스에서 인입된 MMS 메시지는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MMS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는 많은 불편을 겪게 되고 그 이용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고성 MMS 메시지가 금지 시간대에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MMS 메시지의 지연 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라 함) 메시지의 재전송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에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만료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폐기하고, 해당 MMS 메시지를 발송한 단말기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폐기된 MMS 메시지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서, MMS 메시지의 헤더에 만료 시간을 설정하며 MMS 메시지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만료 시간 경과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부터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로 MMS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만료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MMS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서, 외부로 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여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하는 만료 시간 판별부; 상기 폐기된 MMS 메시지를 발송한 장치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부; 및 만료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MMS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라 함)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210), 대량의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송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 이동통신 단말기(210) 사이의 MMS 메시지 송수신 및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부가 서비스 장치(230) 사이의 MMS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 터(MMSC: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 이하 "MMSC"라 함)(25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이동통신망으로서 필요한 무선 기지국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MMSC(250)는 국제 표준 권고안 3GPP에서 정의하는 MMS 릴레이/서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MMS를 지원하는 MMS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단말기로서,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MMSC(250)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자체 기능(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서버에 접속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에는 MMS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콘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MMSC(25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대량의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MMSC(250)에 전송하는 것으로, MMSC(250)와 인터넷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되어 MMS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HTTP 또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포함한다. 부가 서비스 장치(330)는 광고 메시지, 생활 정보, 또는 기상 정보 등의 기업형 MMS 메시지를 작성하여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이때, 부가 서비스 장치(230)에서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의 헤더에는 만료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만료 시간은 해당 MMS 메시지의 유효기간을 의미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헤더(301a)와 HTML,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갖는 바디(30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MMS 메시지의 헤더(301a)는 메시지 제목 필드(m_Title), 발신자 번호 필드(m_From),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 만료 시간 필드(Expire_Time), 컨텐츠 타입 필드(Content-type), 컨텐츠 길이 필드(Content_Length) 등을 포함한다.
한편,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내용은 동일하고 수신자는 서로 다른 메시지이다. 따라서,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MMSC(250) 내부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MMS 메시지로 동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되는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에는 다수의 수신자 정보가 포함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되는 동보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되는 동보 MMS 메시지는 다수의 수신자 정보를 갖는 헤더(301b)와 HTML,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갖는 바디(30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동보 MMS 메시지의 헤더(301b)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제목 필드(m_Title), 발신자 번호 필드(m_From), 수신자 수 필드(m_To_Count),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 만료 시간 필드(Expire_Time), 컨텐츠 타입 필드(Content-type), 컨텐츠 길이 필드(Content_Length) 등을 포함한다. 수신자 정보 필드(m_Multi_To)는 수신자의 번호(MDN/MSISDN), 수신자의 IMSI, 수신자의 속성, 부가 서비스 장치(230)에서 수신자를 관리하는 세션 ID를 포함한다.
MMSC(250)는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하고, 또한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된 대량 MMS(또는 동보 MMS) 메시지를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이때, MMSC(250)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 헤더의 만료 시간 필드에 기록된 만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리포트 메시지는 에러 코드(예를 들면, Status:413 등),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수신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MMSC(250)로부터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한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수신자에게 전송되지 못한 MMS 메시지에 대해 만료 시간을 재설정하여 다시 MMSC(250)로 전송한다. MMSC(250)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재전송된 MMS 메시지를 다시 해당 MMS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이때,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MMSC(250)로부터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MMS 메시지를 재전송하 거나 사업주의 정책에 따라 다음날 재전송한다. 현재 정보통신부의 수신동의정책에 따르면 광고성 메시지는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발송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MMSC(250)로부터 오후 8시에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시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만료 시간을 오후 9시로 설정하여 MMS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MMAC(250)는 상기 재전송된 MMS 메시지를 9시까지 발송하되 발송하지 못한 MMS 메시지에 대해서는 다시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발송되는 MMS 메시지는 사적인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로 발송 즉시 수신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되는 대량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는 공적인 내용, 예를 들면 광고, 생황 정보, 기상 정도 등이 포함된 메시지로 발송 즉시 수신되는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MMS 메시지의 헤더에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시켜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우선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개인형 MMS 메시지와 기업형 MMS 메시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의 우선순위 선택에 따라 MMSC(250)에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인형 MMS 메시지와 기업형 MMS 메시지에만 우선순위를 두어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의 패킷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 4의 (a)는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된 대량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MMS 메시지는 헤더(410, 430) 및 바디(420, 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410, 430)에는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 메시지 크기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고 바디(420, 440)에는 HTML,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특히, 헤더(410, 430)에는 우선순위 필드(Message_Priority)가 포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의 헤더(410)에는 우선순위 정보로 "1"이 설정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3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의 헤더(430)에는 우선순위 정보로 "2"가 설정된다. MMSC(250)는 MMS 메시지의 헤더(410, 430)에 포함된 우선순위 정보를 판별하여 우선순위 필드에 "1"이 설정되어 있으면 그렇지 않은 MMS 메시지 보다 우선 처리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10) 또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전송되는 MMS 메시지에만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우선 처리하도록 한다.
도 5는 MMSC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처리하는 개념을 나타낸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3 개의 MMS 메시지가 전송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N 개의 대량 MMS 메시지가 전송될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C(250)로 가장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두 개의 MMS 메시지(1번 MMS, 2번 MMS)가 인입되고 그 다음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의 MMS 메시지(3번 MMS)가 인입되며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한 개의 MMS 메시지(4번 MMS)가 인입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 기(21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 헤더의 우선순위 필드에 "1"이 설정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 헤더의 우선순위 필드에 "2"가 설정된다.
종래 MMSC(250)는 선입선출 원칙에 따라 수신된 순서대로 MMS 메시지를 내보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MMSC(250)는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정보를 판별하여 우선순위 정보가 "1"인 개인의 MMS 메시지는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에 우선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1번 MMS 메시지와 2번 MMS 메시지가 가장 먼저 내보내지고 다음으로 4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대량 발송된 3 번 MMS 메시지가 내보내진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에 따라 개인의 MMS 메시지는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 보다 우선 처리되어 지연없이 착신자에게 전송된다.
이때, MMSC(250)는 대량 발송 MMS 메시지가 우선순위에 의해 전송이 지연되고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한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해당 MMS 메시지에 만료 시간을 재설정하여 다시 MMSC(250)로 재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C 및 부가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MSC(250)는 수신부(251), 버퍼(253), 만료 시간 판별부(255), 통지부(257) 및 메시지 처리부(25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만료 시간 설정모듈(232)를 구비하는 메시지 생성부(231), 저장부(233), 송신부(235), 수신부(237) 및 재전송 요청부(2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부가 서비스 장치(2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메시지 생성부(231)는 관리자의 메시지 내용, 수신자 정보, 발신자 정보 입력에 따라 대량으로 발송할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를 생성한다. 이때, 만료 시간 설정모듈(232)은 상기 메시지 생성부(231)에서 생성된 대량 발송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의 헤더에 해당 MMS 메시지가 유효한 만료 시간을 설정한다.
저장부(233)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231)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저장하여 MMSC(250)로부터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통보를 받으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송신부(235)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231)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MMSC(250)로 전송한다.
수신부(237)는 MMSC(250)로부터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MMSC(25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리포트 메시지는 만료 시간이 경과하여 MMSC(250)가 수신자에게 전송하지 못한 MMS 메시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리포트 메시지는 메시지 ID, 수신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재전송 요청부(239)는 상기 수신부(237)로부터 상기 리포트 메시지를 전달받아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한 수신자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수신자 정보를 상기 메시지 생성부(231)로 전송하여 재전송을 요청한다. 재전송 요청을 받은 메시지 생성부(231)는 MMS 메시지를 받지 못한 수신자에게 다시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만료 시간 설정모듈(232)은 재전송되는 MMS 메시지에 만료 시간을 재설정한다.
다음으로, MMSC(2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수신부(251)는 이동통신 단말기(210) 또는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부터 발송된 MMS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MMS 메시지를 버퍼(253)로 출력한다.
만료 시간 판별부(255)는 버퍼(253)에 대기 중인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고 그 판독된 만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한다. 그리고 폐기한 MMS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통지부(275)로 전송한다.
통지부(257)는 만료 시간 판별부(255)로부터 전달된 MMS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리포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부가 서비스 장치(230)로 전송한다. 리포트 메시지는 만료 시간 판별부(255)에서 폐기된 MMS 메시지에 대한 정보, 즉 메시지 ID, 수신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처리부(259)는 만료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MMS 메시지를 버퍼(253)에서 읽어 해당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에게 해당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 처리부(259)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MMS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고,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MMS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의해 채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MSC 및 부가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로, MMS 메시지의 헤더에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MSC(250)는 수신부(251), 우선순위 판별부(701), 버퍼(253), 만료 시간 판별부(255), 통지부(257) 및 메시지 처리부(25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부가 서비스 장치(230)는 만료 시간 설정모듈(232)를 구비하는 메시지 생성부(231), 저장부(233), 송신부(235), 수신부(237) 및 재전송 요청부(2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의 구성요소와 동일 참조번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수신부(251)로부터 출력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우선순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해당 MMS 메시지를 버퍼(253)에 적재한다. 도 8은 버퍼(253)에 MMS 메시지가 적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버퍼(253)의 맨 앞에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851)가 적재되어 있고 그 뒤로 두 개의 우선순위 "2"의 MMS 메시지(852, 853)가 적재되어 있으며,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수신부(251)로부터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801)를 받아 버퍼(253)에 적재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버퍼(253)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853)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 MMS 메시지(853)의 우선순위는 "2"이므로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가 높다. 따라서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두 번째 MMS 메시지(852)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두 번째 MMS 메시지(852)의 우선순위는 "2"로 역시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가 높다. 따라서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세 번째 MMS 메시지(851)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런데 세 번째 MMS 메시지(851)의 우선순위는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와 같으므로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그 다음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지 않고 두 번째 MMS 메시지(852)와 세 번째 MMS 메시지(851) 사이에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를 적재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버퍼(253)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와 같은 MMS 메시지가 나오면 그 MMS 메시지의 뒤에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801)를 적재한다.
한편, 도 8은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종류로 "1", "2"의 두 가지 경우로 설명하나, 만약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다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 판별부(701)는 버퍼(253)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가 판독되거나 또는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가 판독되면 그 판독된 MMS 메시지의 바로 뒤에 수신부(251)로부터 받은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MS 메시지의 재전송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부가 서비스 장치는 대량으로 발송할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를 작성하여(S901)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MMSC로 전송한다(S903). 이때,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작성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는 만료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또는 동보 MMS)를 수신한 MMSC는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에게 해당 MMS 메시지를 전송하되, 그 전에 만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만료 시간 이전인지를 판단한다(S905). 즉, 만료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현재 시간이 만료 시간 이전인 경우, 즉 만료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MMSC는 해당 MMS 메시지를 수신자 단말에 전송하고(S907). 그렇지 않고 현재 시간이 만료 시간 이후인 경우, 즉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한다(S909). 그리고 폐기된 MMS 메시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911). 리포트 메시지는 폐기된 MMS 메시지의 정보, 즉 메시지 ID 및 수신자 정보를 포함한다.
MMSC로부터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한 부가 서비스 장치는 리포트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ID 및 수신자 정보를 참조하여 MMS 메시지를 재작성하고(S913), 또한 재작성된 MMS 메시지에 만료 시간을 재설정하여 MMSC로 전송한다(S915). 이때, MMS 메시지의 재전송은 MMS 메시지 대량 발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업주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업주는 오후 5시에서 오후 7시 사이에 MMS 메시지가 전송되기를 원하는데 MMSC로부터 오후 6시에 리포트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부가 서비 스 장치는 만료 시간을 해당 일의 오후 7시로 재설정하여 MMS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그런데 리포트 메시지가 오후 7시에 전송된 경우 부가 서비스 장치는 해당 일에 재전송하지 않고 익일 5시에 MMS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MMSC는 재전송된 MMS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시 만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만료 시간 이전인 경우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수신자에게 해당 MMS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 및 "2"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우선순위 "1"은 우선순위 "2"보다 우선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C(25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MMS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1). 이어서, MMSC(250)는 그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 정보를 읽어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지 여부를 판독한다(S1003).
만약,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바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S1005). 우선순위가 "2"인 MMS 메시지는 우선 처리되지 않아도 되므로 정상적으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되어 처리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우선순위가 "2"인 MMS 메시지보다 우선 처리되어야 하므로 MMSC(250)는 내부 버퍼의 맨 마 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를 판단한다(S1007).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250)는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한다(S1005). 이미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와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같으므로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는 상기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보다 우선 처리될 수 없다. 따라서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한다.
그렇지 않고, 내부 버퍼의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MMSC(250)는 버퍼에서 상기 맨 마지막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앞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S1009)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 확인한다(S1011).
만약,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250)는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해당 MMS 메시지의 뒤에 적재하여 메시지 처리되도록 한다(S1013).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 우선순위에 따르지 않고 먼저 인입된 순서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단계 S1011에서 확인한 결과 해당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2"인 경우 다시 버퍼에서 해당 MMS 메시지의 앞에 적재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여(S1009) 그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1"인지 확인한다(S1011). 우선순위가 "1"인 경우 MMSC(250)는 그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 재하여 메시지 처리되도록 하고(S1013),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순차적으로 버퍼에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우선순위가 "1"인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한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버퍼의 맨 앞에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851)가 적재되어 있고 그 뒤로 두 개의 우선순위 "2"의 MMS 메시지(852, 853)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선순위 "1"의 MMS 메시지(801)를 받아 버퍼에 적재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버퍼의 가장 뒤에 적재된 MMS 메시지(853)의 우선순위를 판독하면, 그 MMS 메시지(853)의 우선순위는 "2"이므로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801)보다 우선순위가 낮다. 따라서 두 번째 MMS 메시지(852)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두 번째 MMS 메시지(852)의 우선순위는 "2"로 역시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보다 낮다. 따라서 세 번째 MMS 메시지(851)의 우선순위를 판독한다. 그런데 세 번째 MMS 메시지(851)의 우선순위는 현재 적재할 MMS 메시지(801)의 우선순위와 같으므로 그 다음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판독하지 않고 두 번째 MMS 메시지(852)와 세 번째 MMS 메시지(851) 사이에 MMS 메시지(801)를 적재한다.
이로써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가 우선순위가 낮은 MMS 메시지보다 먼저 처리되어 우선순위가 높은 MMS 메시지의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는 우선순위가 두 가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우선순위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MMSC(250)는 수신된 MMS 메시지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거나 같은 우선순위를 갖는 MMS 메시지를 내부 버퍼에서 순차적으로 찾아 그 찾은 MMS 메시지의 뒤에 상기 수 신된 MMS 메시지를 적재하여 처리한다.
현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CDMA, GSM 등의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WCDMA 등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차세대 킬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 향후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 보다 다양한 기업형 수익 모델을 가진 기계 대 개인형 MMS 메시지가 훨씬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우선순위에 따라 MMS 메시지를 스케쥴링함으로써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로 인한 개인 대 개인형 MMS 메시지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차등적으로 MMS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개인 가입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만료 시간을 설정하여 MM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야간 시간대에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광고성 MMS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대 개인의 MMS 메시지를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에 우선하여 처리함으로써 개인의 이동통신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개인의 부가 서비스 이용율이 증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 서비스 장치에서 대량의 MMS 메시지를 동보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여 원활한 MMS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4)

  1.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이하, 'MMS'라 함) 메시지의 재전송 방법으로서,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에서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는 단계;
    판독된 만료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를 폐기하고, 해당 MMS 메시지를 발송한 단말기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폐기된 MMS 메시지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시지는,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시지는,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송된 동보 M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메시지는,
    만료 시간이 경과하여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6.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서,
    MMS 메시지의 헤더에 만료 시간을 설정하며 MMS 메시지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MMS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 전송된 MMS 메시지의 만료 시간 경과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부터 리포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로 MMS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만료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송신부를 통해 해당 MMS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내용은 동일하되 수신자는 서로 다른 대량의 MMS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헤더에 복수의 수신자 정보를 갖는 동보 MMS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메시지는,
    만료 시간이 경과하여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
  10. 이동통신망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만료 시간을 판독하여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MMS 메시지를 폐기하는 만료 시간 판별부;
    상기 폐기된 MMS 메시지를 발송한 장치로 리포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지부; 및
    만료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MMS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시지는,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대량 발송된 M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메시지는,
    MMS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장치로부터 동보 전송된 M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메시지는,
    만료 시간이 경과하여 MMS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MMS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전송 순서를 스케쥴링하는 우선순위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장치.
KR1020060061168A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6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168A KR100767585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168A KR100767585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585B1 true KR100767585B1 (ko) 2007-10-17

Family

ID=3881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168A KR100767585B1 (ko) 2006-06-30 2006-06-30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45B1 (ko) 2007-09-19 2009-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mms 수신 통지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및 방법
KR20160119036A (ko) 2016-09-30 2016-10-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29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기지국에서 단문메시지의 전송량 과부하 방지방법
KR20050013755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mms전송방법
KR20050123000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수의 수신자에게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와 그 서버 및 방법
US20060089128A1 (en) 2001-12-19 2006-04-27 Smith Alan A Method of an apparatus for handling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29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기지국에서 단문메시지의 전송량 과부하 방지방법
US20060089128A1 (en) 2001-12-19 2006-04-27 Smith Alan A Method of an apparatus for handling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ment
KR20050013755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mms전송방법
KR20050123000A (ko) * 2004-06-26 2005-12-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수의 수신자에게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와 그 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45B1 (ko) 2007-09-19 2009-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mms 수신 통지 메시지 재전송 시스템및 방법
KR20160119036A (ko) 2016-09-30 2016-10-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시스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2204B1 (en) Text message spam solutions
EP1482748A2 (en) Inbox caching of messages on a mobile terminal
US20020087549A1 (en) Data transmission
US20070198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messages
US20100093381A1 (en)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US10257671B2 (en)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d providing SMS HTTP tagging
WO2004099895A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messages in terminals
US8219067B1 (en) Delayed display of message
KR100631615B1 (ko) 멀티미디어 메세지 수신 방법
WO2007000091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stinés à limiter les temps de transfert d’un message multimédia pour le centre de service de messagerie multimédia mmsc
KR20140066765A (ko) 문자 메시지들에 대한 보관 제어
KR20050004271A (ko) 데이터 타입 및/또는 데이터 포맷의 변환에 의한 mms메시지 전송
KR1010059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방법
KR100767585B1 (ko) Mms 메시지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0455049C (zh) 一种多媒体消息服务系统中对消息的处理方法
KR100767586B1 (ko) Mms 메시지의 동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31589B1 (en) Intelligent short message service transmission
KR100793611B1 (ko) 우선순위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5295128B2 (ja) モバイル機器にメッセージ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05056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9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stored data
KR100561670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90063705A1 (en) System and method of sending compressed html messages over telephony protocol
KR100727342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그룹 전송 방법 및 시스템
WO2012151811A1 (zh) 多媒体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