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48B1 -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48B1
KR100986748B1 KR1020100045442A KR20100045442A KR100986748B1 KR 100986748 B1 KR100986748 B1 KR 100986748B1 KR 1020100045442 A KR1020100045442 A KR 1020100045442A KR 20100045442 A KR20100045442 A KR 20100045442A KR 100986748 B1 KR100986748 B1 KR 10098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frame
mirror
stereoscopic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억희
Original Assignee
(주)영진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영진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0004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반사 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수평식으로 상하 배치함으로써 촬영을 위한 세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근거리 입체영상 촬영에 최적화된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상측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광은 통과시키는 반반사 미러(210)가 내장된 제1 미러박스(200); 제1 미러박스(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반반사 미러(210)에서 반사된 광을 후방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 미러(310)가 내장된 제2 미러박스(300); 반반사 미러(210)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 영상카메라(400); 및 하부 영상카메라(400)와 소정의 수평 이격거리(S)를 갖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반사 미러(310)에서 전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Apparatus for photograph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video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반사 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수평식으로 상하 배치함으로써 촬영을 위한 세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근거리 입체영상 촬영에 최적화된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생동감있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차세대 영상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영화, 교육, 광고 등의 각종 3D 영상 콘텐츠의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3D TV의 보급으로 관련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인간이 두 눈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한다. 인간의 두 눈은 약 65mm 정도 이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좌안과 우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된다. 그리고, 뇌가 서로 다른 두 화상을 합성하여 인식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인간의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동기화하여 합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일명 '리그(Rig)'라고 불리우는 촬영장비가 필요하다. 리그장치는 2대의 영상카메라가 설치되고 이를 정밀제어하기 위한 핵심장비로서, 영상카메라의 배열방식에 따라 수평식 리그와 직교식 리그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식 리그는 2대의 영상카메라가 인간의 두 눈과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수평식 리그는 영상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평식 리그는 영상카메라 자체의 부피로 인해 영상카메라 사이의 광축거리를 인간의 양안거리(약 65mm)만큼 좁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평식 리그를 이용하여 근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현실과 다른 입체감을 구현하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영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수평식 리그는 근거리 촬영에 적합하지 않고, 중거리 및 원거리 촬영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직교식 리그는 수평식 리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반반사 미러(half mirror)를 중심으로 2대의 영상카메라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반반사 미러를 통과한 투과광은 수평배열된 영상카메라에 입사되고, 반사광은 위 또는 아래로 수직배열된 다른 영상카메라에 입사된다. 그리고, 직교식 리그는 수평배열된 영상카메라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영상카메라의 광축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영상카메라의 광축거리를 양안거리만큼 좁힐 수 있고, 근거리 피사체에 대한 실제적인 입체감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직교식 리그는 반반사 미러의 반사작용에 의해 수직배열된 영상카메라에 입사되는 영상이 반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촬영된 좌측 및 우측 영상을 합성하기 전에 반전된 영상을 재반전시키는 절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입체영상의 제작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각 장면마다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값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입체값에 맞도록 영상카메라의 초점, 주시각 등을 정밀 제어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2D 영상에 비해 제작기간이 길고 제작비용 또한 많이 들게 된다. 예를 들면 기존의 수평식 리그 및 직교식 리그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한 컷트의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 1시간 이상의 세팅시간이 요구되었다. 이는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리그장치의 문제점은 영상카메라의 배열구조 및 영상카메라의 초점 및 주시각 제어를 위한 구동부의 구조가 비효율적으로 설계된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세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리그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입체영상 촬영에 최적화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이 반전되지 않도록 하여 입체영상 콘텐츠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카메라 구동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입체영상 촬영을 위한 세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상측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광은 통과시키는 반반사 미러가 내장된 제1 미러박스; 제1 미러박스의 상측에 설치되고, 반반사 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후방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 미러가 내장된 제2 미러박스; 반반사 미러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 영상카메라; 및 하부 영상카메라와 소정의 수평 이격거리를 갖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반사 미러에서 전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상부 영상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영상카메라는 전후 직선운동을 위한 x축 로드와, 좌우 직선운동을 위한 y축 로드를 가지는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가 구비되고, 상부 영상카메라는 전후 직선운동을 위한 x축 로드를 가지는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가 구비된다. 이때, 하부 영상카메라가 y축 로드를 따라 좌우 직선운동함에 따라 수평 이격거리가 1 ~ 250mm 범위 내에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는 좌우 틸팅운동을 위한 좌우 틸팅부와, 상하 틸팅운동을 위한 상하 틸팅부가 각각 더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은 하부 영상카메라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고, 제1 미러박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영상카메라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미러박스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 통체로서 직사각 형태의 반반사 미러가 내장된다.
그리고, 제1 미러박스의 후방에 하부 영상카메라까지 연장형성된 투과광 안내박스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는 줌렌즈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을 지지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좌우 회전 및 상하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삼각대가 더 구비된다.
한편 다른 카테고리로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앵글 및 입체값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에 따라 상부 영상카메라를 세팅하는 단계; 상부 영상카메라의 세팅상태와 대응되도록 하부 영상카메라를 세팅하는 단계; 하부 영상카메라를 미세조정하여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을 맞추는 단계; 및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가 피사체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앵글 및 입체값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삼각대를 좌우 회전 및 상하 틸팅시켜 상부 영상카메라와 하부 영상카메라가 피사체를 바라보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영상카메라를 세팅하는 단계는 상부 영상카메라를 포커싱하는 단계와, 상부 영상카메라를 전후 이동시켜 앵글을 잡는 단계와, 상부 영상카메라를 좌우 및 상하 틸팅시켜 주시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영상카메라를 세팅하는 단계는 하부 영상카메라를 포커싱하는 단계와, 하부 영상카메라를 전후 이동시켜 앵글을 잡는 단계와, 하부 영상카메라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와의 수평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단계와, 하부 영상카메라를 좌우 및 상하 틸팅시켜 주시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반반사 미러와 전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수평식으로 상하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입체영상 촬영장치는 하부 영상카메라와 상부 영상카메라의 수평 이격거리(광축거리)를 충분히 좁힐 수 있어 근거리 입체영상 촬영에 적합하다. 그리고, 상부 영상카메라에 입사되는 영상이 반전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직교식 리그에 비해 효율적인 입체영상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은 하부 영상카메라와 상부영상카메라가 마이크로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수평 이격거리(광축거리), 앵글, 주시각 등을 신속하게 세팅할 수 있어 입체영상 콘텐츠의 제작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리그장치의 경우 한 컷트의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 1시간 이상의 세팅시간이 요구되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약 2 ~ 3분만에 세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는 입체영상의 촬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은 미리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에 맞도록 마이크로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영상카메라를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이는 좌우 영상을 보정 및 동기화하여 합성하는 편집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삼각대가 제거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미러박스와 투과광 안내박스를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의 수평 이격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성]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삼각대가 제거된 입체영상 촬영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120, 130), 제1 미러박스(200), 제2 미러박스(300), 하부 영상카메라(400), 상부 영상카메라(500) 및 삼각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 120, 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10),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및 상부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110), 측면 프레임(120) 및 상부 프레임(130)은 서로 볼트결합되는 구성을 취하나, 이와 달리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하부 영상카메라(400)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가 상면 후방측에 설치된다.
측면 프레임(120)은 한 쌍이 구비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측 좌우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에는 제1 미러박스(200)가 볼트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부 프레임(130)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상부 영상카메라(500)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가 설치된다.
제1 미러박스(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 통체로서, 후단부가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제1 미러박스(20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후면에는 투과광 안내박스(220)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미러박스(200)의 전방측에는 다수의 후드(230)가 힌지결합되어 설치되고, 제1 미러박스(200)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안내하게 된다.
제1 미러박스(200)의 내부에는 직사각 형태의 반반사 미러(210)가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반반사 미러(210)의 대각선 길이는 약 600mm이다. 이와 같은 크기의 반반사 미러(210)는 하부 영상카메라(400)에 광각렌즈(미도시) 혹은 망원렌즈(미도시)를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투과광 안내박스(220)와 제1 미러박스(200)는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투과광 안내박스(220)의 후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제1 줌렌즈(42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통공(222)은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좌우 운동(y축 방향)을 위해 가로로 길게 형성된다.
제2 미러박스(300)는 삼각기둥 형태의 통체로서, 경사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제1 미러박스(200)와 연통되도록 제1 미러박스(2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미러박스(300)의 후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형 통공(302)이 형성되어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제2 줌렌즈(520)가 인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미러박스와 투과광 안내박스를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반반사 미러(210)는 도 3에서와 같이 입사광의 일부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점선의 화살표) 제1 미러박스(200)의 내부에 약 45°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반반사 미러(210)를 통과한 투과광(실선의 화살표)은 투과광 안내박스(220)를 거쳐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제1 줌렌즈(420)로 입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미러박스(300)의 내부에는 전반사 미러(310)가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전반사 미러(310)는 반반사 미러(210)에서 반사된 광(점선의 화살표)을 후방측으로 전반사시킬 수 있도록 약 45°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전반사 미러(310)에서 전반사된 광은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제2 줌렌즈(520)로 입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결국, 하부 영상카메라(400)와 상부 영상카메라(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식으로 상하 배치된다. 그리고,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투과광과 반사광의 광 경로가 동일한 길이를 갖아야 하므로 상부 영상카메라(500)가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 영상카메라(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가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영상카메라(400)에는 제1 줌렌즈(4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는 전,후방(x축 방향)으로 형성된 x축 로드(412)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좌,우측(y축 방향)으로 형성된 y축 로드(414)를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는 좌우 틸팅부(416)에 의해 좌우 틸팅(z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하 틸팅부(418)에 의해 상하 틸팅(y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영상카메라(500)는 하부에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가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13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부 영상카메라(500)는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영상카메라(400)에는 제2 줌렌즈(52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는 전,후방으로 형성된 x축 로드(512), 좌우 틸팅부(516) 및 상하 틸팅부(518)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410, 510)의 구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지만, 별도의 동력원과 제어부를 두어서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는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와 달리 y축 로드가 없는데, 그 이유는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400, 500)의 수평 이격거리(S)는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하, 수평 이격거리(S)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의 수평 이격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광 안내박스(220)가 제1 미러박스(200) 후면의 중심에 위치하여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입체영상 촬영장치(10)의 좌우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미러박스(300)가 제1 미러박스(200) 상면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부 영상카메라(500)가 입체영상 촬영장치(1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하부 영상카메라(400)와 상부 영상카메라(500)는 각각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고, 이로 인해 양안시차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 이격거리(S)는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광축(402)과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광축(502)의 좌우방향(y축 방향) 이격거리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는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의 y축 로드(414)를 따라 좌우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 이격거리(S)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수평 이격거리(S)는 약 1 ~ 5m의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입체감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도록 약 1 ~ 250mm의 범위 내에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각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삼각대(600)는 통상적으로 입체영상 촬영장치(10)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610)과, 상하로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수단(620)이 구비되어 있다.
[입체영상 촬영방법]
이하,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를 이용한 입체영상의 촬영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방법은 가장 먼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앵글 및 입체값을 설정하게 된다(S100). 즉, 촬영 전 단계에서 각각의 장면 혹은 한 컷트마다 구현하고자 하는 앵글 및 입체값을 기획하게 된다. 이때, 입체값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스테프인 스테레오그래퍼를 둘 수도 있다. 스테레오그래퍼는 통상 입체영상의 촬영시 촬영감독과 함께 입체영상 촬영장치(10)의 입체값을 맞추고 배우의 동선에 대한 부분을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부 영상카메라(500)와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피사체를 바라보도록 도 1에 도시된 삼각대(600)를 좌우 회전 및 상하 틸팅시키고, 촬영장면의 전체적인 구도를 잡게 된다(S2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는 근거리 영상 촬영에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피사체와 약 1 ~ 5m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에 따라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먼저 세팅하게 된다(S300). 즉,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초점을 맞추고,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좌우 및 상하 틸팅시킴으로써 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운동은 도 2에 도시된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가 x축 로드(512)를 따라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앵글을 잡게 되고, 좌우 틸팅부(516)와 상하 틸팅부(518)를 조절하여 주시각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세팅상태와 대응되도록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세팅하게 된다(S400). 즉,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초점을 맞추고,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를 이용하여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좌우 및 상하 틸팅시킴으로써 앵글 및 주시각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영상카메라(400)는 y축 로드(414)를 따라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영상카메라(500)와의 수평 이격거리(S)를 약 1 ~ 250mm의 범위에서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피사체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합성되어 나타나는 입체영상을 보면서 전술한 하부 영상카메라(400)의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를 미세조정함으로써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을 정확하게 맞추게 된다(S500).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편집과정에서 좌측 및 우측 영상을 보정하거나 동기화하는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400, 500)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얻게 된다(S600).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400, 500)에 각각 저장된 영상은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보정 및 동기화되어 합성되고, 최종적으로 3D 입체영상이 완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입체영상 촬영장치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측면 프레임
130 : 상부 프레임
200 : 제1 미러박스
210 : 반반사 미러
220 : 투과광 안내박스
230 : 후드
300 : 제2 미러박스
310 : 전반사 미러
400 : 하부 영상카메라
410 :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
412 : x축 로드
414 : y축 로드
416 : 좌우 틸팅부
418 : 상하 틸팅부
420 : 제1 줌렌즈
500 : 상부 영상카메라
510 :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
512 : x축 로드
516 : 좌우 틸팅부
518 : 상하 틸팅부
520 : 제2 줌렌즈
600 : 삼각대
610 : 다리
620 : 회전부
630 : 틸팅부
610 : 회전수단
620 : 틸팅수단
S : 수평 이격거리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상측으로 반사시키고, 나머지 광은 통과시키는 반반사 미러(210)가 내장된 제1 미러박스(200);
    상기 제1 미러박스(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반사 미러(210)에서 반사된 광을 후방측으로 전반사시키는 전반사 미러(310)가 내장된 제2 미러박스(300);
    상기 반반사 미러(210)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하부 영상카메라(400); 및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와 소정의 수평 이격거리(S)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전반사 미러(310)에서 전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는 전후 직선운동을 위한 x축 로드(412)와, 좌우 직선운동을 위한 y축 로드(414)를 가지는 제1 마이크로 스테이지(4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는 전후 직선운동을 위한 x축 로드(512)를 가지는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상기 y축 로드(414)를 따라 좌우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수평 이격거리(S)가 1 ~ 250mm 범위 내에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테이지(410, 510)는 좌우 틸팅운동을 위한 좌우 틸팅부(416, 516)와, 상하 틸팅운동을 위한 상하 틸팅부(418, 518)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 미러박스(2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박스(200)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길게 형성된 사각 통체로서 직사각 형태의 반반사 미러(21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러박스(200)의 후방에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까지 연장형성된 투과광 안내박스(2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400, 500)는 줌렌즈(420, 520)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좌우 회전 및 상하 틸팅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삼각대(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장치(1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앵글 및 입체값을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에 따라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세팅하는 단계(S300);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의 세팅상태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세팅하는 단계(S400);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미세조정하여 상기 설정된 앵글 및 입체값을 맞추는 단계(S500); 및
    상기 하부 및 상부 영상카메라(400, 500)가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및 입체값을 설정하는 단계(S100) 이후에 삼각대(600)를 좌우 회전 및 상하 틸팅시켜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와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가 상기 피사체를 바라보도록 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세팅하는 단계(S300)는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포커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전후 이동시켜 앵글을 잡는 단계와,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를 좌우 및 상하 틸팅시켜 주시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세팅하는 단계(S400)는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포커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전후 이동시켜 앵글을 잡는 단계와,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좌우 이동시켜 상기 상부 영상카메라(500)와의 수평 이격거리(S)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영상카메라(400)를 좌우 및 상하 틸팅시켜 주시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촬영방법.
KR1020100045442A 2010-05-14 2010-05-14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KR10098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42A KR100986748B1 (ko) 2010-05-14 2010-05-14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42A KR100986748B1 (ko) 2010-05-14 2010-05-14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748B1 true KR100986748B1 (ko) 2010-10-08

Family

ID=4313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42A KR100986748B1 (ko) 2010-05-14 2010-05-14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653B1 (ko) 2012-07-02 2012-09-19 주식회사 레드로버 거리측정 센서가 구비된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214855B1 (ko) * 2012-07-02 2012-12-24 주식회사 레드로버 하프미러 박스가 구비된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243032B1 (ko) 2010-10-08 2013-03-25 주식회사 레드로버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WO2013062148A1 (ko) * 2011-10-25 2013-05-02 주식회사 레드로버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WO2013062290A1 (ko) * 2011-10-24 2013-05-02 Shin Yong Su 수중 입체 카메라 하우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20B1 (ko) 2007-12-18 2010-03-25 (주)한국입체방송 입체영상 촬영용 스테레오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하는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20B1 (ko) 2007-12-18 2010-03-25 (주)한국입체방송 입체영상 촬영용 스테레오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하는카메라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32B1 (ko) 2010-10-08 2013-03-25 주식회사 레드로버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WO2013062290A1 (ko) * 2011-10-24 2013-05-02 Shin Yong Su 수중 입체 카메라 하우징 시스템
WO2013062148A1 (ko) * 2011-10-25 2013-05-02 주식회사 레드로버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181653B1 (ko) 2012-07-02 2012-09-19 주식회사 레드로버 거리측정 센서가 구비된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KR101214855B1 (ko) * 2012-07-02 2012-12-24 주식회사 레드로버 하프미러 박스가 구비된 직교방식의 입체 카메라 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055B2 (ja) スチール写真用の可変三次元カメラアセンブリ
JP5683025B2 (ja) 立体画像撮影装置および立体画像撮影方法
JP5566297B2 (ja) カメラ保持モジュール及びレリーフ(立体画像)撮像用の装置
WO2020125797A1 (zh) 一种终端、拍摄方法及存储介质
KR100986748B1 (ko) 입체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촬영방법
CN202362582U (zh) 立体成像设备
CN103733117A (zh) 立体光学系统
JP5638791B2 (ja) 撮像装置
KR20160098589A (ko) 홀로그램 3d 영상의 촬영 및 표출장치
JP2000056412A (ja) 立体画像撮影用アタッチメント
CN111901582A (zh) 拍摄虚拟现实照片或虚拟现实视频的方法、装置和扫描驱动装置
KR20110034737A (ko) 멀티프레임 타입의 디지털 입체영상 카메라 및 그 촬영방법
JP5784922B2 (ja) 撮像装置取付器具
JP2010166229A (ja) 立体撮像装置
JP4158092B2 (ja) 立体像撮影用のアダプタ、及び立体像取り込み装置の装着機構
CN113542718A (zh) 一种无人机立体摄影方法
JP2004194075A (ja) 撮影システム
KR20140098040A (ko)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KR101433645B1 (ko)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TWI477885B (zh) 三維成像系統及方法
Perisic A New Single Camera System for Stereoscopic Image Acquisition
Perisic A New Single Camera System for Stereoscopic Image Acquisition
JP2021068943A (ja) 映像供給装置、映像供給方法、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54783A1 (en) Human-Perspective Stereoscopic Camera
US20120314035A1 (en) Human-Perspective Stereoscop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