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597B1 -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 Google Patents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597B1
KR100986597B1 KR1020080055201A KR20080055201A KR100986597B1 KR 100986597 B1 KR100986597 B1 KR 100986597B1 KR 1020080055201 A KR1020080055201 A KR 1020080055201A KR 20080055201 A KR20080055201 A KR 20080055201A KR 100986597 B1 KR100986597 B1 KR 10098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adsorption
vacuum pipe
flang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102A (ko
Inventor
김정섭
이춘희
Original Assignee
무송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송기공(주) filed Critical 무송기공(주)
Priority to KR102008005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59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이송물의 규격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흡착면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4)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진공파이프(5)와, 이 진공파이프(5)의 하단에 결합되는 흡착패드(6)를 포함하여, 상기 진공파이프(5)를 통해 진공을 가해서 흡착패드(6)에 밀착되는 피이송물(2)을 픽업하여 이송하는 진공흡착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파이프(5)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너트(11)와, 상기 진공파이프(5)의 조정너트(11) 하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에는 플랜지(14)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너트체(16)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랜지(14)와 너트체(16) 사이에 고정판(4)이 체결되는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흡착패드(6)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8)를 포함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가 제공된다.
진공, 흡착, 높이조절, 조정너트.

Description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Vacuum holder for vacuum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피이송물의 규격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흡착면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가공된 금속판재나 기타 판형상의 피가공물을 픽업하여 이송하기 위해서 흡착패드를 구비한 진공흡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진공흡착장치는 프레스에 인접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프레스로 투입하거나 프레스에서 성형된 가공물을 픽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동작을 한다. 이를 위해 진공흡착장치는 고정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진공파이프의 하단에 흡착패드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런데, 진공흡착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물은 흡착되는 표면이 전체적으로 평탄한 경우도 있으나, 드로잉가공을 통해 판재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오목한 홈이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이송물의 표면에는 단차가 진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진공흡착장치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프레스 또는 드로잉가공된 피 이송물은 동일한 판재 내에서도 그 표면의 레벨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이송장치는 진공파이프나 흡착패드가 고정판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므로, 흡착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이송물을 흡착하기 위해서는 진공파이프의 길이를 절단 또는 연장하거나, 고정판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흡착패드의 표면을 피송물의 평탄하지 못한 표면레벨에 일치시켜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다양한 윤곽형태를 가진 피이송물을 자주 교체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흡착장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흡착면이 평탄하지 않은 여러 종류의 피이송물의 규격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흡착면의 레벨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고정판(4)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진공파이프(5)와, 이 진공파이프(5)의 하단에 결합되는 흡착패드(6)를 포함하여, 상기 진공파이프(5)를 통해 진공을 가해서 흡착패드(6)에 밀착되는 피이송물을 픽업하여 이송하는 진공흡착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파이프(5)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너트(11)와, 상기 진공파이프(5)의 조정너트(11) 하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에는 플랜지(14)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너트체(16)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랜지(14)와 너트체(16) 사이에 고정판(4)이 체결되는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흡착패드(6)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4)에는 장공(8)이 형성되고, 이 장공(8)의 저면 둘레에는 오목홈(9)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4)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오목홈(9)에 회전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착패드(6)의 상부에는 금속링(7)이 매입되고, 상기 탄성부재(18)는 상기 금속링(7)과 플랜지(14) 사이에 탄성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흡착장치에서 흡착패드(6)가 하단에 장착된 진공파이프(5) 상부의 숫나사부(10)에 조정너트(11)가 높이조절가능하게 장착되고, 고정판(4)에 장착되는 장착슬리이브(12)의 상단은 상기 조정너트(11)에 맞닿아 높이가 규제되므로, 조정너트(11)의 진공파이프(5)에 대한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흡착패드(6)의 고정판(4)으로부터의 수직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피이송물인 가공물의 표면윤곽형태에 맞추어서, 흡착패드(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흡착홀더(1)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판(4)에 형성된 장공(8)의 저면 둘레에는 오목홈(9)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9)에는 다각형으로 된 플랜지(14)가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질 수 있어서, 흡착홀더(1)의 조립이나 해체시에 플랜지(14)를 고정판(4)의 오목홈(9)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체(16)만을 풀거나 조여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므로,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패드(6)의 상부에는 금속링(7)이 매입되어 탄성부재(18)인 코일스프링이 장착슬리이브(12) 하단의 플랜지(14)와 금속링(7)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므로, 피이송물의 흡착을 위한 반복적인 업다운동작시에 흡착패드(6)가 반복적인 진동이나 충격을 받더라도 탄성부재(18)인 코일스프링과의 마찰에 의해 고무재인 흡착패드(6)가 빨리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공(8)이 형성된 고정판(4)에 진공파이프(5)와 흡착패드(6)로 이루어지는 흡착홀더(1)가 장착된다. 이 고정판(4)은 도시안된 이송기구에 의해 업다운 및 수평이동된다.
상기 진공파이프(5)의 상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0)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부(10)에는 조정너트(11)가 나사결합된다. 이 조정너트(11)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킹너트로 이루어져서, 반복적인 충격에 대하여도 잘 풀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판(4)에 형성된 장공(8)의 저면 둘레에는 오목홈(9)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4)의 장공(8)에는 진공파이프(5)의 외주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슬리이브(12)가 끼워진다.
장착슬리이브(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각형 플랜지(14)가 고정판(4)의 장 공(8) 둘레부에 형성된 오목홈(9)에 끼워져서 장착슬리이브(12)가 겉돌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이 장착슬리이브(12)의 상부 둘레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체(16)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고정판(4)은 플랜지(14)와 너트체(16) 사이에서 고정결합된다. 이 너트체(16)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킹너트로 이루어져서, 흡착홀더(1)의 업다운동작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 너트체(16)가 잘 풀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진공파이프(5)의 하단에는 고무재 흡착패드(6)가 결합된다. 이 흡착패드(6)의 상단에는 금속링(7)이 매입되고, 이 금속링(7)을 통해 관연결구(21)가 진공파이프(5)의 하단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흡착패드(6) 상단, 구체적으로는 금속링(7)의 상단과 장착슬리이브(12)의 플랜지(1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8)가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파이프(5)의 상단에는 진공호스가 끼워지는 니쁠(22)이 형성된 관연결구(2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흡착패드(6)가 장착된 진공파이프(5)는 탄성부재(18)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되는데, 그 하한 위치는 진공파이프(5)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조정너트(11)가 장착슬리이브(12)의 상단에 맞닿아 위치가 규제된다. 그리고 도시안된 업다운기구에 의해 고정판(4)과 함께 진공파이프(5)와 흡착패드(6)가 하강하여 피이송물의 표면에 접촉되면, 고정판(4)에 장착된 장착슬리이브(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진공파이프(5)는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반하여 상승함으로써 완충작용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너트체(16)와 고정판(4) 사이에 끼워지는 워셔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흡착홀더의 흡착패드(6)의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착홀더(6)가 중간 레벨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만일 피이송물의 상부표면, 즉 흡착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에 맞추기 위해 흡착패드(6)의 레벨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파이프(5)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스토퍼로 기능하는 조정너트(11)를 나사조절하여 하강시킨다. 그러면 장착슬리이브(12)의 하단 플랜지(14)와 흡착패드(6) 사이에 탄설된 탄성부재(18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진공파이프(5)에 장착된 조정너트(11)가 아래로 위치조절되었기 때문에 진공파이프(5)가 상대적으로 작게 하강한 후에 조정너트(11)가 장착슬리이브(12)의 상단 너트체(16)에 맞닿아 멈추게 된다. 따라서 흡착패드(6)의 레벨이 도 2의 경우에 비해 상승된다.
역으로, 피이송물의 상부 표면에 오목부가 있어서, 이에 맞추기 위해 흡착패드(6)의 레벨을 낮출 필요가 있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파이프(5) 상부에 결합된 조정너트(11)를 나사조절하여 상승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18)에 의해 하향가압되는 진공파이프(5)가 하강할 때, 위치가 상향조절된 조정너트(11)가 너트체(16)에 닿을 때까지 충분하게 하강하므로, 흡착패드(6)가 도 2의 경우에 비해 더욱 아래로 하강하여, 흡착패드(6)의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흡착패드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흡착패드가 중간 레벨에 위치된 경우의 상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흡착패드가 높은 레벨로 위치조절된 경우의 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흡착패드가 낮은 레벨로 위치조절된 경우의 상태도
삭제
삭제

Claims (3)

  1. 고정판(4)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진공파이프(5)와, 이 진공파이프(5)의 하단에 결합되는 흡착패드(6)를 포함하여, 상기 진공파이프(5)를 통해 진공을 가해서 흡착패드(6)에 밀착되는 피이송물을 픽업하여 이송하는 진공흡착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파이프(5)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0)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너트(11)와, 상기 진공파이프(5)의 조정너트(11) 하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에는 플랜지(14)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너트체(16)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플랜지(14)와 너트체(16) 사이에 고정판(4)이 체결되는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장착슬리이브(12)와 상기 흡착패드(6)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에는 장공(8)이 형성되고, 이 장공(8)의 저면 둘레에는 오목홈(9)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4)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오목홈(9)에 회전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6)의 상부에는 금속링(7)이 매입되고, 상기 탄성부재(18)는 상기 금속링(7)과 플랜지(14) 사이에 탄성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의 흡착홀더(1).
KR1020080055201A 2008-06-12 2008-06-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KR10098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201A KR100986597B1 (ko) 2008-06-12 2008-06-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201A KR100986597B1 (ko) 2008-06-12 2008-06-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02A KR20090129102A (ko) 2009-12-16
KR100986597B1 true KR100986597B1 (ko) 2010-10-08

Family

ID=4168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201A KR100986597B1 (ko) 2008-06-12 2008-06-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922A (ko) 2017-09-11 2019-03-20 피스코코리아뉴매틱주식회사 진공흡착장치
KR102124013B1 (ko) * 2018-12-28 2020-06-17 주식회사 피스코코리아 완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43A (ja) * 1996-01-31 1997-08-12 Atom Medical Kk 吸着脚
KR20040009803A (ko) * 2002-07-25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흡착패드의 피치 조절이 자유로운 반도체 칩 패키지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043A (ja) * 1996-01-31 1997-08-12 Atom Medical Kk 吸着脚
KR20040009803A (ko) * 2002-07-25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흡착패드의 피치 조절이 자유로운 반도체 칩 패키지이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922A (ko) 2017-09-11 2019-03-20 피스코코리아뉴매틱주식회사 진공흡착장치
KR102049936B1 (ko) * 2017-09-11 2019-11-28 피스코코리아뉴매틱주식회사 진공흡착장치
KR102124013B1 (ko) * 2018-12-28 2020-06-17 주식회사 피스코코리아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02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131B1 (ko) 진공 흡착장치
KR101122138B1 (ko) 칩 본딩 장치
KR101619757B1 (ko) 프레스 소재 흡탈착장치
KR101758875B1 (ko) 수평형 부시 압입장치
EP1612181B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KR101133433B1 (ko)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KR100986597B1 (ko)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JP6186256B2 (ja) 加工装置
CN109488562B (zh) 真空抽吸装置
KR101019111B1 (ko) 프레스 소재 흡착용 전자석의 틸팅장치
JP2017087311A (ja) 位置決め装置
JP2009032980A (ja) 非接触搬送装置
KR101068954B1 (ko) 레벨보정 기능 갖는 진공컵 어셈블리
KR20160134665A (ko) 워크유지장치
KR102059567B1 (ko) 기판 반송 장치
KR101954665B1 (ko) 지지 몸체부가 움직일 수 있는 스프링 가압장치
KR101471834B1 (ko) 프레스 소재 회전억제장치
JP4973614B2 (ja) 搭載ヘッド及び部品実装機
JP6371679B2 (ja) 搬送機構
JP4141655B2 (ja) ワーク取付け具、及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ト基板加工機
JP2014184502A (ja) 吸着パッド及びワーク加工装置
KR20160057585A (ko) 웨이퍼 평탄화 설비의 웨이퍼 부착 장치 및 웨이퍼 평탄화 방법
TWI630059B (zh) Substrate adsorption device and workbench
KR101183093B1 (ko) 다이 본더용 본드 헤드 모듈
CN219957680U (zh) 可变深度芯片置放座及具备该置放座的芯片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