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200B1 -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200B1
KR100986200B1 KR1020090074435A KR20090074435A KR100986200B1 KR 100986200 B1 KR100986200 B1 KR 100986200B1 KR 1020090074435 A KR1020090074435 A KR 1020090074435A KR 20090074435 A KR20090074435 A KR 20090074435A KR 100986200 B1 KR100986200 B1 KR 10098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content
content
authent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961A (ko
Inventor
류종욱
유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나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나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나와
Publication of KR2010002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쇼핑몰 등의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경우 적법한 게시자의 게시물 정보에 대해서만 디지털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로서,
콘텐트 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를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레퍼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트 정보의 전송 요청을 인증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와; 상품정보 콘텐트의 검색,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 게시를 위한 복사 및 콘텐트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74435
콘텐트, 콘텐트 게시, 퍼가기, 콘텐트제공인증정보, 콘텐트제공인증

Description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N APPARATUS TO FURNISH INTERNET CONTENT FOR CATALOG GOODS BY AUTHENTICATION AND THE METHOD THEREOF}
본원발명은 쇼핑몰 등의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되는 상품정보의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는 경우 적법한 게시자의 게시물 정보에 대해서만 디지털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인터넷 이용자들은 많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웹사이트들은 웹서버를 구축한 후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웹페이지 등의 디지털 콘텐트로 제작하여 웹서버에 탑재한 후 인터넷을 통해 정보 제공, 물품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디지털 콘텐트들은 서비스 제공관련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동영상 등의 정보들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인터넷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품을 촬영하여 이미지화하여 웹페이지에 링크시켜 등록하고, 상품의 상세 정보에 대한 텍스트 작업을 수행하는 웹페이지 제작 작업을 수행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상품정보 콘텐트를 제작하는 작업은 단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품정보 콘텐트를 미리 전문적으로 제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상품정보 콘텐트를 요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소정의 비용을 받고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인터넷 상에서 실시되고 있다.
상품정보 콘텐트와 같은 디지털 콘텐트의 제공방법 중 가장 용이한 것은 디지털 콘텐트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함과 동시에 퍼가기 기능을 부여하여 디지털 콘텐트를 이루는 소스코드를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복사하여 HTML, XML 등의 문서에 붙여 넣기를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콘텐트들은 인터넷브라우저 상에서 퍼가기에 의한 복사, 다운로드 등에 의해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어 부적법하게 사용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저작권이 보호되지 못하게 되며, 또 한, 디지털 콘텐트 제작자에게는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콘텐트 제공자가 제작한 디지털 콘텐트를 특정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퍼가기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하기위하여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한 검색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정당한 사용 여부를 인증하여 검색자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콘텐트의 부당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에는 인증을 위한 인증키 값을 재생 요청을 받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할 때의 파일명과 콘텐츠가 게시될 해당 웹페이지의 URL(레퍼러)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 때 플래시 파일명은 사용자 정보와 링크 생성 시간 정보를 가진 암호화된 코드로 생성되며, 다른 파일의 파일명과 구별되는 유일한 파일명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의 기술은 인증키 값이 '파일명(사용자정보 + 링크 생성 시간 정보) + 웹페이지 URL(레퍼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 세 가지 정보 중에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용발명의 경우 콘텐트를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웹페이지에서 사 용하더라도 당해 웹페이지까지 도달하기위한 웹페이지 URL(레퍼러)이 달라지면 인증키 값이 달라지므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실례를 들면 인터넷 온라인 쇼핑몰인 지마켓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INTEL] 인텔 코어2쿼드 요크필드 Q9550 박스' 상품을 찾아서 들어갔을 때의 해당 웹페이지의 실제 레퍼러는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52140503&pos_shop_cd=GE&pos_class_cd=300011678&pos_class_kind=S 이다.
한편 동일한 상품을 지마켓 검색창에서 검색한 후 해당상품을 클릭하여 접속한 해당 웹페이지의 실제 레퍼러는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52140503&pos_shop_cd=SH&pos_class_cd=111111111&pos_class_kind=T&keyword_order=q9550&search_keyword=q9550 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사용자(게시자)가 동일한 콘텐트(상품설명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 동일한 웹페이지일지라도 접근경로(레퍼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의 인증 기술은 인증키 값이 달라져서 어느 하나가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의 기술은 원활한 인증을 위해서는 웹페이지의 접근경로(레퍼러)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인증키 값이 각각 별도로 부여되어야 하므로 지극히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되어버리고 만다.
만일 동일한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하여 변화하는 URL(레퍼러)에 따라 모두 인증을 받는다면, 인증시 과금을 하는 경우에 동일한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하여 중복하여 부당한 과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78호의 기술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정보 콘텐트의 인증방법으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자가 제작한 상품정보 콘텐트를 특정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자가 퍼가기 등의 방법에 의해 자신의 웹페이지에 게시하기위하여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한 검색 요청이 하는 경우에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정당한 사용 여부를 인증하여 검색자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인증키 값으로 레퍼러 정보를 활용할 때, 어떤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에 대한 레퍼러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원활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는, 콘텐트 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를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레퍼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트 정보의 전송 요청을 인증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와; 상품정보 콘텐트의 검색,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 게시를 위한 복사 및 콘텐트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복사시마다 카운트되어 유일하게 생성되는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 횟수 값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유일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별도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는,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의 코드 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사코드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소정의 웹사이트를 검색한 검색자로부터 상기 콘텐트 정보에 대한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문을 생성하는 요청문생성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요청문생성코드는, 상기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내의 콘텐트 정보들의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콘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콘텐트 정보 요청명령을 생성하는 정보요청생성명령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경로정보 및 상기 컨텐트게시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레퍼러(referer)를 생성하는 레퍼러생성명령;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요청문생성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요청문은, 상품정보 콘텐트를 제공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정보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내에 포함되는 콘 텐트 정보들의 경로정보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경로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가지는 레퍼러(referer);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는, 상기 요청문으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에 의해 콘텐트 정보 전송을 인증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한 후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테이블에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는 요청문에서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인증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에 의한 인증이 모두 실패한 경우 해당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웹페이지 경로 정보를 부당사용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를 위하여, 게시자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과정과;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이용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콘텐트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과정은, 상기 복사코드의 실행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 등록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등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등록과정 후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복사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정보 콘텐트복사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는 인터넷 검색을 위한 웹브라우저 상에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 이미지 링크 정보, 연동 프로그램 링크 정보들을 포함하며, 복사된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는 게시자에 의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에 등록하거나 붙여넣기 하는 방식에 의해 게시된다.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과정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켄텐트제공인증제어부가, 상기 콘텐트 정보에 대한 요청문의 수신시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로부터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호스트정보와 게시자가 콘텐트를 게시하는 경우 해당 콘텐트의 게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되는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레퍼 러아이디(ID)와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URL로부터 추출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추출하는 요청문해석과정과;
상기 요청문해석과정에서 추출된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의 적법성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서 요청된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은, 상기 요청문해석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중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여부를 인증하는 레퍼러인증과정과; 상기 레퍼러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레퍼러아이디(ID)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하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하는 레퍼러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은, 상기 레퍼러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 정보를 상품정보 콘텐트의 부당 사용 정보로 등록하는 부당사용등록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과정은, 상기 레퍼러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와, 상기 레퍼러등록과정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요청문의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에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와 상기 요청문생성코드 및 상기 요청문은 상술한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에 구성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요청문생성코드, 요청문과 동일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할 웹사이트를 위한 복사 요청이 있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복사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게시자가 복사한 상품정보 콘텐트의 코드를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등에 등록하여 게시하는 경우 생성되는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콘텐트 정보 전송 요청시 콘텐트 정보 전송의 적법 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부당 사용자의 웹게시물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부당 사용자를 용이하게 추적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하는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인증키 값으로 레퍼러를 이용하지만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에 접근하는 레퍼러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원활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당한 사용자에 의한 상품정보 콘텐트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법한 사용자에게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요금이 이중으로 과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상품정보 콘텐트의 부당 사용자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한 저작권의 보호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의 일실시 례로서의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의 일례로서의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웹서비스부(120)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130)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를 포함하며,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증부, 데이터 입력부, 데이터 출력부, 표시부, 저장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100)의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구성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웹서비스부(120)에 의해 실행되어 인터넷을 통한 접속자, 일반이용자 및 게시물이 게시된 웹사이트와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100)가 양방향 인터넷 데이터 통신에 의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웹서비스제공정보들을 저장하는 웹서비스제공정보테이블(111)과,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자정보 테이블(112)과, 상품정보 콘텐트 테이블(113)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정보 테이블(114)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고유값 정보테이블(115)과, 레퍼러(referer) 정보 테이블(116)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이 서로 특정 키 값에 의해 연동되어 각 테이블들의 동 일정보들이 일괄적으로 등록, 저장,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테이블 정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데이터베이스(110)의 웹서비스제공정보테이블(111)은 웹서비스부(120)에 의해 실행되어 인터넷을 통한 접속자, 일반이용자 및 게시물이 게시된 웹사이트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가 양방향 인터넷 데이터 통신에 의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TTP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ASP, CGI, PHP, JABA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XML, HTML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초기 인터넷 접속 화면(인트로: intro) 인터페이스, 상품정보 콘텐트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인터페이스 화면, 회원등록 인터페이스 화면, 결제 수행 인터페이스 화면 등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웹문서와, 각각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이용되는 이미지, 인터넷 상의 결제 등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등의 웹서비스 제공을 위한 웹서비스제공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0)의 게시자정보테이블(112)은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게시 또는 등록한 게시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게시자 인적사항, 아이디(ID),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0)의 상품정보 콘텐트테이블(113)은 게시자가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를 저장한다.
도 2는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품정보 콘텐트테이블(113)에 저장되는 상품정보 콘텐트는 상품정보, 기술정보, 이미지 링크 정보 등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정보와, 게시자가 퍼가기 등의 방식에 의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복사할 수 있도록 하고 복사가 수행되는 상품정보 콘텐트의 복사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도록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130)를 호출하여 구동시키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130) 구동코드를 포함하는 복사코드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을 체결한 게시자가 특정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등록한 후 당해 웹사이트에 접속한 일반 이용자 등의 접속자가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를 포함하는 정보의 검색 중 게시된 콘텐트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되는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문을 생성하도록 하는 요청문생성코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요청문생성코드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저장 경로를 나타내는 URL과 상품정보 콘텐트 전송을 위한 통신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요청생성명령과; 상품정보 콘텐트들을 제공하는 호스트 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서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될 웹페이지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레퍼러(referer)를 생성하는 레퍼러생성명령으로 이루 어진다.
도 3은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문생성코드에 의해 생성된 요청문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요청문은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2155)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URL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명령(get)과, 상품정보 콘텐트를 제공하는 호스트정보(iws.danawa.com)와,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하는 경우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131972948)와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호스트 정보(www.gmarket.co.kr)를 포함하는 레퍼러(referer)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요청 정보의 크기 정보(content-length)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은 상품정보 콘텐트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레퍼러를 이용하므로,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로가 달라서 레퍼러가 변화하더라도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는 이를 표시하는 코드가 레퍼러 안에 존재하게 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도 3의 경우에서 동일한 상품임을 나타내는 코드는 레퍼러에서 goodscoded인 131972948 이므로 이를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로 특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상품정보 콘텐트는 웹페이지별로 저장되거나, 특정 정보를 가지는 웹페이지의 그룹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테이 블(113)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상품정보 콘텐트들을 웹페이지의 형식으로 웹서비스제공정보테이블(111)에 통합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의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정보테이블(114)은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할 권한을 가지기 위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체결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웹서비스부(120)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 체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기간,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사이트 개수, 사이트별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개수, 상품정보 콘텐트의 전체 이용 개수, 이용요금, 결제여부 정보 등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110)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정보테이블(115)은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을 체결한 게시자가 특정 상품정보 콘텐트의 코드를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할 목적으로 퍼가기 등의 방식에 의해 복사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생성부(130)에서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별로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생성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0)의 레퍼러정보 테이블(116)은 게시자가 특정 상품정보 콘 텐트를 게시자의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요청문생성코드에 의해 생성된 요청문을 수신한 경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에서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정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생성되는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이용 고유값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상술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는 각각의 테이블 속성을 나타내는 스키마를 포함하며, 각각의 테이블들은 저장 정보들을 분류 식별하는 필드명 및 다른 테이블들과 연계되는 연계 키 값 정보들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110)에 포함되는 테이블들은 각각이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데이터베이스(110)의 구조는 본원발명의 일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발명의 데이터베이스(100)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실시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의 구성 중 웹서비스부(120)는 게시자 또는 일반 접속자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넷스케이프 등의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여, 게시자, 일반 접속자들이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한 검색,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 체결,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웹서비스부(120)는 ASP, XML, HTML, CGI, PHP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웹서비스 제공 정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인터넷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아파치서버 모듈, IIS 서버 모듈 등의 인터넷서비스를 위한 서버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인터페이스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기간,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사이트 개수, 사이트별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개수, 상품정보 콘텐트의 전체 이용 개수 등의 정보를 게시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 등의 이용을 위한 이용요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130)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을 체결한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할 상품정보 콘텐트를 선택하여 퍼가기 등에 의한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를 수행하면,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에 포함되는 복사코드 중 컨테트이용고유값생성부 구동 코드에 의해 구동되어,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 요청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 조건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고, 적합한 경우에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하기 위해서 복사 시점, 복사 횟수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별로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의 복사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정보 콘 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여 이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115)에 저장한다.
이때 생성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은 무작위로 고유하게 식별되도록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한 퍼가기 등의 복사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복사 횟수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130)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10)는 자체에서 각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시마다 복사 횟수를 자동으로 카운트하고 이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으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115)에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는 이용계약을 체결한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자가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한 후, 해당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일반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되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에 포함되는 요청문생성코드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된 요청문이 수신되면,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가 데이터베이스(110)의 레퍼러정보테이블(116)에 등록되어 있고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조건이 일치하는 경우 인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콘텐트 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로 해당 콘텐트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요청문에 포함되는 레퍼러 정보가 레퍼러 정보테이블(116)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115)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115)에 등록되어 있으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되는 웹페이지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조합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생성한 후 요청문에 포함되는 레퍼러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인증정보를 레퍼러정보로 레퍼러정보테이블(116)에 저장하고,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 테이블(115)에 등록된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한 후 요청문에 포함된 콘텐트 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생성되는 레퍼러아이디(ID)는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되는 경우 해당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하도록,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와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호스트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 별로 서로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일한 값으로 생성된다.
실례를 들면 인터넷 온라인 쇼핑몰인 지마켓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INTEL] 인텔 코어2쿼드 요크필드 Q9550 박스' 상품을 찾아서 들어갔을 때 해당 웹페이지의 실제 레퍼러는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52140503&pos_shop_cd=GE&pos_class_cd =300011678&pos_class_kind=S 로 나타날 수 있고,
동일한 상품을 지마켓 검색창에서 검색한 후 해당상품을 클릭할 때의 해당 웹페이지의 실제 레퍼러는
http://www.gmarket.co.kr/challenge/neo_goods/goods.asp?goodscode=152140503&pos_shop_cd=SH&pos_class_cd=111111111&pos_class_kind=T&keyword_order=q9550&search_keyword=q9550 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의 레퍼러아이디(ID)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는 152140503이 선택되고,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호스트 정보는 www.gmarket.co.kr 이 된다.
따라서 위 두 레퍼러는 동일한 상품정보 콘텐츠가 게시된 웹페이지에 대한 접근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레퍼러가 다르게 표현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퍼러아이디(ID)의 개념을 활용하면 레퍼러아이디(ID)는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 별로 서로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일한 값인 (152140503, www.gmarket.co.kr)로 생성되므로 레퍼러가 달라지더라도 인증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도 상품정보 콘텐트의 복사별로 고유하게 생성되므로,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는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서 상품정보 콘텐트의 정당한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일하게 생성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적법한 계약없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퍼가기 등에 의해 복사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불법적으로 게시하는 경우에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가 변경되고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10)의 레퍼러정보테이블에 호스트와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로 이루어지는 레퍼러아이디(ID)가 저장되지 않게 되므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가지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지 않는 레퍼러아이디(ID)가 생성되는 레퍼러를 포함하는 요청문이 수신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의 부정한 사용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품정보 콘텐트의 부당한 게시가 발견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는 해당 정보를 부당이용정보로 등록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상품정보 콘텐트서버가 인터넷 상에 구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500)에 접속되어, 상품정보 콘텐트게시자단말기(200),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웹서버(웹서버1~n)(300), 일반이용자단말기(400)가 접속된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신망(500)에 접속되어,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따르는 인터넷 게시물 디지털 콘텐 트 제공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처리과정 중 디지털 콘텐트 제공 인증을 위한 상품정보 콘텐트 고유값 생성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처리과정 중 제작된 디지털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되는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처리과정 디지털 콘텐트 제공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처리과정 중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방법의 처리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여부 인증을 위한 정보로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고유값 생성과정(S100)과, 상품정보 콘텐트의 코드를 복사하여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과정(S200)과, 게시된 콘텐트 정보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여부 인증 정보 생성, 인증 및 콘텐트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과정(S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처리과정 중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생성과정(S100)의 일례를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텐트 정보, 복사 코드, 요청문생성코드를 가지는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를 제작한 후 데이터베이스(110)의 상품정보 콘텐트정보테이블(113)에 저장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작과정을 수행한다(S101).
이 후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에 접속한 접속자가 콘텐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해당 콘텐트이용계약자(이하 '게시자'라 함)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 정보를 생성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 정보테이블(114)에 등록한다.
이때, 게시자는 게시자정보(112)에 등록된 기 가입된 회원일 수 있으며, 기 가입된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과정)(S102).
이후 게시자가 특정 상품정보 콘텐트를 퍼가기 등의 복사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코드의 복사를 요청하면, 복사코드를 수행한다(상품정보 콘텐트복사요청과정)(S103).
복사요청과정(S103)에 의해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 내의 복사코드가 실행되면, 복사요청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계약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한다(복사인증과정)(S104).
상술한 복사인증과정(S104)에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정보테이블(114)에 등록한다. 이때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되거나,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콘텐트 별 복사 횟수를 카운트하여 생성하는 복사횟수 번호로 생성될 수 있다(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등록과정)(S105)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되면 웹서비스부(120)는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게시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복사할 수 있도록 한 후(상품정보 콘텐트코드 복사과정)(S106) 도 5의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과정(S200)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술한 복사인증과정(S104)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계약 조건 불충족 등의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107).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과정(S200)을 설명하면, 도 5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생성과정(S100)에 의해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복사하여 웹서버1~n(300)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하면(웹사이트 게시과정)(S201), 해당 웹서버는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상품정보, 기술정보 등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등에서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의 경로 정보 및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레퍼러정보를 생성한다(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생성과정)(S202).
이후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에 접속한 접속자가 해당 상품 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에서 게시된 콘텐트 정보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에 포함된 요청문생성코드는 콘텐트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문을 생성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요청문은 도 3의 설명에서와 같이,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2155)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URL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명령(get)과,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호스트정보(www.gmarket.co.kr)와 게시자가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하는 경우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의 게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131972948)를 포함하는 레퍼러(referer)를 가지도록 구성된다(상품정보 콘텐트 정보요청 과정)(S203).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청문이 전송된 후에는 도 5의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과정(S300)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과정(S300)을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문이 수신되면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30)가 구동하여 요청문을 해석하여(요청문 해석과정:S310) 호스트정보(www.gmarket.co.kr)와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 및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추출한 후(도 3참조), 상기 호스트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로 이루어지는 레퍼러아이디(ID)를 생성하고,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 용고유값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정보를 생성한다(인증정보 추출과정:S320).
이후 인증정보 추출과정(S320)에 의해 인증정보가 추출된 후에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S330).
이때 하기에 설명될 S331 내지 S336 과정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S330)에 의해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콘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문을 전송한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웹페이지 접속자의 단말기로 콘텐트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자요청 상품정보 콘텐트정보를 제공한다(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과정:S340). 그리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콘텐트 정보의 전송 없이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처리과정 중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을 위한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에 의한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과정(S330)을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는 요청문에서 추출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레퍼러아이디(ID)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정보를 가지는 레퍼러정보가 레퍼러 정보테이블(116)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레퍼러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331).
레퍼러 인증과정(S331)에 의해 레퍼러아이디(ID)가 레퍼러정보테이블(116)에 기 등록(저장)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 정보를 검색하여 콘텐트 정보 제공기간, 제공 횟수, 사이트 수 등의 계약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여 계약조건을 충족하면 도 8의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콘텐트 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과정(S340)을 수행한 후 처리과정을 종료하고, 계약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류출력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처리과정을 종료한다(제2계약조건인증과정)(S332).
여기서 제2계약조건인증과정(S332)은 계약조건에 콘텐트 정보 제공기간, 제공 횟수, 사이트 수 등의 계약조건이 포함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선택적 처리과정이다.
이와 달리, 레퍼러인증과정(S331)에 의해 레퍼러아이디(ID)가 레퍼러정보테이블(116)에 기 등록(저장)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115)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콘텐트 정보 제공여부를 판단한다(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S333).
상술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인증과정(S333)의 인증결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 정보를 부당사용정보로서 등록한 후 처리과정을 종료한다(부당사용등록과정)(S336).
그러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S333)의 인증결과 상품정보 콘 텐트 이용고유값이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정보테이블(115)에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이때는 콘텐트 정보 제공기간, 제공 횟수, 사이트 수 등의 계약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계약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과정을 종료한다(제3계약조건인증과정)(S334).
이와 달리, 제3계약조건인증과정(S334)의 인증결과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 계약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요청문에서 추출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레퍼러아이디(ID)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웹페이지 경로를 표시하는 레퍼러를 레퍼러정보로서 레퍼러정보테이블(116)에 등록하고,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정보테이블(115)에서는 해당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한 후(레퍼러등록과정)(S335) 도 8의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정보제공과정(S340)을 수행한 후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처리과정에서 제3계약조건인증과정(S332) 또한, 계약조건에 콘텐트 정보 제공기간, 제공 횟수, 사이트 수 등의 계약조건이 포함된 경우에만 선택적을 수행하는 선택적 처리과정이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인증 제공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의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디지털 콘텐트의 코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요청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1의 상품정보 콘텐트서버가 인터넷 상에 구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인터넷 게시물 디지털 콘텐트 제공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는 도 5의 처리과정 중 디지털 콘텐트 제공 인증을 위한 상품정보 콘텐트 고유값 생성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도 5의 처리과정 중 제작된 디지털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되는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도 5의 처리과정 디지털 콘텐트 제공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도 8의 처리과정 중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이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111: 웹서비스제공정보테이블
112: 게시자정보테이블 113: 상품정보 콘텐트테이블
114: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계약정보테이블
115: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
116: 레퍼러정보 120: 웹서비스부
130: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
140: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
200: 게시자 단말기 300: 웹서버1 ~ n
400: 일반 이용자 단말기 500: 통신망

Claims (12)

  1.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100)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500)으로 접속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자 단말기(200),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의 웹서버(300) 및 일반이용자단말기(400)로 구성되는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웹서비스부(120)와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는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를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 및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레퍼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는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페이지에 접속되어 있는 일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문을 수신한 후,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호스트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레퍼러아이디(ID)와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URL로부터 추출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으로 이루어진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레퍼러 정보 및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일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 요청을 인증하고,
    상기 웹서비스부(120)는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140)에 의해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의 요청이 인증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콘텐트를 검색하여 검색된 상품정보 콘텐트를 게시할 웹페이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는,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 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사코드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에 대한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문을 생성하는 요청문생성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청문생성코드는,
    상기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에 대응되는 상품정보 컨텐트에 포함된 콘텐트 정보들의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콘텐트 정보 요청명령을 생성하는 정보요청생성명령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경로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가지는 레퍼러(referer)를 생성하는 레퍼러생성명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청문은,
    상기 콘텐트를 이용할 웹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정보 콘텐트를 제공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서버 정보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내에 포함되는 콘텐트 정보들의 경로정보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가 게시된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경로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가지는 레퍼러(refer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는,
    상기 요청문으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여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에 의한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에 의해 콘텐트 정보 전송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하면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하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테이블에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 인증제어부는 상기 요청문에서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에 의한 인증이 모두 실패한 경우 해당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 웹페이지 경로 정보를 부당사용정보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품정보 콘텐트의 복사시마다 카운트되어 유일하게 생성되는 상품정보 콘텐트별 복사 횟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는 유일하게 식별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장치.
  9.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상품정보 콘텐트에 대하여 게시자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과정과;
    상기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트 정보에 대한 일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트제공서버의 켄텐트제공인증제어부가 상기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트 정보에 대한 요청문을 일반 이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시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로부터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호스트정보와 상품정보 콘텐트를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웹서버에서 부여되는 상품정보 콘텐트게시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레퍼러아이디(ID)와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상품정보 콘텐트에 포함된 정보의 URL로부터 추출된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추출하는 요청문해석과정과;
    상기 요청문해석과정에서 추출된 레퍼러아이디(ID)와 상품정보 콘텐트이용고유값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게시의 적법성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서 요청된 상품정보 콘텐트 정보를 상기 콘텐트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생성과정은,
    복사코드의 실행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 등록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등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등록과정 후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코드를 복사하여 상품정보 콘텐트 복사 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정보 콘텐트복사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은,
    상기 요청문해석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가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중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여부를 인증하는 레퍼러인증과정과;
    상기 레퍼러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이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에서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과 레퍼러아이디(ID)로 이루어지는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정보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레퍼러정보테이블에 등록하고,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정보테이블에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을 삭제하는 레퍼러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제공인증과정은,
    상기 레퍼러인증과정과 상기 상품정보 콘텐트 이용고유값인증과정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요청문에 포함된 레퍼러 정보를 상품정보 콘텐트의 부당 사용 정보로 등록하는 부당사용등록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방법.
KR1020090074435A 2008-09-02 2009-08-12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6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6503 2008-09-02
KR1020080086503 2008-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61A KR20100027961A (ko) 2010-03-11
KR100986200B1 true KR100986200B1 (ko) 2010-10-07

Family

ID=4217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435A KR100986200B1 (ko) 2008-09-02 2009-08-12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0665A (zh) * 2017-07-31 2018-01-1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广告牌的投放内容认证方法及服务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359A (ko) * 2006-04-29 2007-11-01 강찬구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80097866A (ko) * 2007-05-03 2008-11-06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범용 콘텐츠 식별자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연계시스템
KR2009006084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90105404A (ko) * 2008-04-02 2009-10-07 박상민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359A (ko) * 2006-04-29 2007-11-01 강찬구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80097866A (ko) * 2007-05-03 2008-11-06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범용 콘텐츠 식별자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연계시스템
KR2009006084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90105404A (ko) * 2008-04-02 2009-10-07 박상민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961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2389B (zh) 用于将信息从外部源提供到基于web的文档的方法和系统
RU2549113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оставк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US7599856B2 (en) Detection of fraudulent attempts to initiate transactions using modified display objects
US20020120567A1 (en) Hosted services for collecting payments from and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to web site visitors
EP1872314A2 (en) Distributed content exchange and presentation system
US20080065405A1 (en) Sub-communities within an online business community
CN104508648A (zh) 使用电子票和票令牌访问数字内容的系统和方法
WO2007070403A2 (en) Module specification for a module to be incorporated into a container document
AU2006326623A2 (en) Remote module incorporation into a container document
JP2018516417A (ja) 支払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080065406A1 (en) Designating membership in an online business community
US7949571B2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electronic commerce suppor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merce supporting method
JP3770897B2 (ja) 商品サーバ、購入代金決済方法、商品購入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72995A (ko) 3d 프린터용 디지털 콘텐츠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7568B1 (ko) 온라인 광고중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중개방법
JP2009205319A (ja) 電子書籍販売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電話機用データ処理方法及びその電子書籍販売システム
KR100986200B1 (ko)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3741B1 (ko) 저작 서비스 시스템 및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0968545B1 (ko)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JP2008090464A (ja) 取引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Peacock PHP 5 e-commerce Development
JP2006048430A (ja) 広告配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20020045843A (ko) 디지털 컨텐츠 링킹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428482B1 (ko) 쇼핑몰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I506578B (zh) 媒體資源之交易系統及方法與內儲媒體資源交易程式之電腦程式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