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840A -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840A
KR20090060840A KR1020070127784A KR20070127784A KR20090060840A KR 20090060840 A KR20090060840 A KR 20090060840A KR 1020070127784 A KR1020070127784 A KR 1020070127784A KR 20070127784 A KR20070127784 A KR 20070127784A KR 20090060840 A KR20090060840 A KR 2009006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blog
refe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45B1 (ko
Inventor
김재범
김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7012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는 부가 정보를 원래 컨텐츠 제목과 함께 제공하도록 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를 퍼가기 할 경우에 퍼가기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파악된 위치의 부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관련 컨텐츠를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 퍼가기, 연관성

Description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RELATED CONTENTS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는 부가 정보를 원래 컨텐츠 제목과 함께 제공하도록 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 개의 홈 페이지는 인터넷상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생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홈 페이지는 개인뿐만 아니라 단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개인 또는 단체 자신의 소개, 서비스 관련 다수의 정보 등을 제공하며, 또한 글을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게시판, 방명록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홈 페이지는 자신의 홈 페이지와 관련된 사이트로서의 링크를 제공하는 항목(예를 들어, 관련 사이트, 링크 사이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경우, 회원이 원하는 경우에 소정 형식의 개인 홈 페이지 또는 블로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인 홈 페이지 서비스(즉, 홈피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다. 회원은 자신의 홈 페이지 또는 타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텍스트 게시물을 쓰거나,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하는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터넷상에서 다른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즉, 텍스트, 멀티미디어 등의 게시물) 중 원하는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 이를 복사하여 자신의 홈 페이지 또는 블로그로 옮겨 게재하는 행위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것을 컨텐츠를 "퍼간다"라고 표현하며, 컨텐츠를 퍼가는 행위를 "퍼가기" 또는 "펌"이라고 한다. 이때, 퍼가기 기능이 가능한 컨텐츠로는, 지도 정보, 도서 정보, 지역 정보, 영화 정보, 쇼핑 정보 등으로 다양하다.
그런데, 텍스트 정보가 아닌 비전문 정보(Non-text Information)로 이루어진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회원이 퍼가기 하려고 할 경우, 회원은 해당 컨텐츠의 제목만으로 해당 컨텐츠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해당 컨텐츠를 실행시켜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의 원하는 컨텐츠인지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비전문 정보로 이루어진 컨텐츠를 최초 작성하고 제목을 기재할 때에 해당 컨텐츠의 내용과 맞는 제목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즉 해당 컨텐츠의 내용과 해당 컨텐츠의 제목 사이의 연관성 부족으로 인해, 해당 컨텐츠의 제목만으로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관련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검색을 이용하거나 검색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검색어가 포함된 모든 정보를 찾기 때문에, 관련성이 낮은 정보를 찾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는 부가 정보를 원래 컨텐츠 제목과 함께 제공하도록 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비전문 정보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웹 사이트에 게시된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는 부가 정보를 원래 컨텐츠 제목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실행시키지 않고도 컨텐츠의 내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컨텐츠의 연관 정보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퍼가기 하는 경우에, 해당 퍼가기를 수행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도서 정보, 지역 정보, 영화 정보, 쇼핑 정보 등)에 대하여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이 생성된 이후에, 해당 생성된 부가 정보들을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정보(즉,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실행시키지 않고도 부가 정보만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컨텐츠의 연관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퍼 가기 할 경우에 퍼가기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파악된 위치의 부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퍼러 정보는,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사이트의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컨텐츠 퍼가기 요청 시에,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요청하는 단계,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퍼가기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블로그 서버가 상기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와 부가 정보를 하나의 블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정보 저장이 완료되거나, 기 저장된 블로그 정보에 대한 보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블로그 정보에 대한 전체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컨텐츠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실제 컨텐츠 요청에 따라 실제 컨텐츠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실제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제 컨텐츠를 수신받아 부가 정보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퍼간 컨텐츠에 부가 정보를 추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 추가 여부 요청에 따라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에러 메시지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에러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다시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부가 정보를 연관시켜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서버를 통해 상기 파악된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를 본래의 컨텐츠 정보에 추가적으로 달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다시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연관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수집된 부가 정보들 중에서 서로 연관성 있는 정보들만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정보를 상기 본래 컨텐츠 정보와 연관시켜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하 는 단계는, 상기 연관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수집된 부가 정보들 중에서 가장 많이 있는 유사 단어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유사 단어를 포함한 부가 정보만을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준다.
그리고 이러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미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를 퍼가기를 수행한 이후에 생성된 부가 정보들을 수집하여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정보에 추가적으로 달아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실행시키지 않고도 부가 정보만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컨텐츠의 연관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10), 컨텐츠 제공 서버(120), 사용자 단말기(130), 블로그 서버(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블로그 서버(140)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해당 블로그 서버(14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예를 들어, 홈피 제공 서버 등)도 가능하다는 점을 잘 이해해야 한다.
유무선 통신망(110)은 인터넷 등과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20), 사용자 단말기(130), 블로그 서버(140)를 서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컨텐츠 퍼가기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 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요청에 따라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며,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즉, 웹 페이지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예를 들어, "아파치 로그(Apache Log)")로 기록한다. 그런 후,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즉, 웹 페이지)를 파악하고,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을 블로그 서버(140)에게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정보(즉,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준다. 여기서, 컨텐츠는 퍼가기 기능이 가능한 정보로, 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도서 정보, 지역 정보, 영화 정보, 쇼핑 정보 등이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컨텐츠 퍼가기 요청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20)에게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태그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블로그 서버(140)로 전송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저장 명령을 블로그 서버(14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컨텐츠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 버(120)에게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부가 정보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블로그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장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태그 정보와 부가 정보를 하나의 블로그 정보로 저장하며, 블로그 정보에 대한 전체 태그 정보(예를 들어, 블로그 전체 html 소스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그런 후, 블로그 서버(14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 요청을 수신받는 경우에,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추가된 부가 정보들을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때,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블로그 서버(140)는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 주기 위한 에러 메시지를 생성시켜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인터넷상의 웹 사이트에서 비전문 정보로 이루어진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퍼가기 기능을 수행할 시에, 해당 퍼가기 기능을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특정 컨텐츠 정보를 퍼갈 수 있도록 하며, 이때 퍼간 특정 컨텐츠 정보가 있는 위치(즉, 사이트의 웹 페이지)의 정보를 레퍼러 정보로 알아내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인터넷상에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 지도 정보, 도서 정보, 지역 정보, 영화 정보, 쇼핑 정보 등)를 퍼가기 하려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컨텐츠 퍼가기 요청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20)에게 요청한다.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 요청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퍼가기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임시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퍼가기가 요청된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관성이 많은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을 작성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해당 작성된 부가 정보들을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 태그 정보와 함께 자신의 홈 페이지 또는 블로그에 저장하도록 저장 명령을 입력한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받은 컨텐츠 태그 정보를 내부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 후에, 내부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퍼가기가 요청된 컨텐츠에 대하 여 해당 컨텐츠와 연관성이 많은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을 작성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해당 작성된 부가 정보들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태그 정보와 함께 자신의 홈 페이지 또는 블로그에 저장하도록 저장 명령을 입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블로그 서버(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블로그 서버(140)와 통신 접속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블로그 서버(140)로 전송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저장 명령을 블로그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에, 블로그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장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태그 정보와 부가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 정보(즉, 블로그 정보)로 내부 메모리(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태그 정보와 부가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블로그 정보로 저장 완료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30)를 통해 이미 저장된 블로그 정보에 대한 보기 명령을 전송한 경우, 블로그 서버(140)는 저장 완료된 블로그 정보 또는 해당 보기 명령된 블로그 정보에 대한 전체 태그 정보(예를 들어, 블로그 전체 html 소스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컨텐츠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20)에게 요청한다.
그러면,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실제 컨텐츠 정보 요청을 수신받아 해당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 위치(즉, 웹 페이지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예를 들어, "아파치 로그(Apache Log)")로 기록해 둔 후에, 해당 요청한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레퍼러 정보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즉, 서비스 제공업체)의 로그에 남는 정보로, 특정 컨텐츠 정보를 퍼가기 한 위치의 정보를 말한다. 즉, 특정 컨텐츠를 인용하거나 클릭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이전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무조건 남으므로 레퍼러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실제 컨텐츠 정보를 수신받아 부가 정보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
그런 다음에,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퍼가기를 수행한 컨텐츠에 대하여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이 생성된 이후에, 해당 생성된 부가 정보들을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정보(즉,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해 준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이미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이 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위치의 주위 정보(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를 수집하며, 최초 퍼간 컨텐츠와 그것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2차 정보(즉, 수집한 정보)를 연관시켜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요청한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한 후에, 이미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즉, 웹 페이지)를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140)(즉, 퍼간 컨텐츠가 있는 웹 페이지)와 통신 접속한다. 이때,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의 파악은,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 정보를 이용(또는, 펌, 인용 등)하는 웹 사이트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즉, 사이트의 웹 페이지)상에서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을 블로그 서버(140)에게 요청한다.
이에, 블로그 서버(140)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 요청을 수신받아 특정 컨텐츠 정보를 이용(또는, 펌, 인용 등)하는 사이트의 웹 페이지 정보를 검출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 블로그 서 버(140)는 해당 추가된 부가 정보들을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반면에,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블로그 서버(140)는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 주기 위한 에러 메시지를 생성시켜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즉, 웹 페이지)를 다시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140)와 통신 접속한 후에,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을 블로그 서버(140)에게 다시 요청한다.
그리고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들을 수신받는 경우에,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해당 수신받은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정보(즉,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에 대한 내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서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다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3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컨텐츠 퍼가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 요청을 수신받아(S301) 자신이 제공하는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즉 사용자의 퍼가기 요청이 있는 컨텐츠에 대한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 를 확인하여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해 준다(S302).
그런 후에, 사용자 단말기(130)가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신받은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태그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html 소스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실제 컨텐츠 요청을 수신받아(S303) 해당 실제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즉, 사이트의 웹 페이지)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예를 들어, "아파치 로그(Apache Log)")로 기록해 준다(S304).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요청된 실제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부가 정보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S305).
그런 다음에,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즉,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파악하고(S306), 해당 파악된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들(예를 들어, 덧글, 블로그 글 등)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을 블로그 서버(140)에게 요청한다(S307).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 추가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받아 부가 정보 추가 여부를 확인한다(S308). 이때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가된 부가 정보들을 수신받으며, 반면에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 정보 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 주기 위한 에러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단계 S308에서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수신받는 경우에, 즉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상술한 단계 S306으로 복귀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다시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308에서 부가 정보들이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들을 수신받으며(S309), 해당 수신받은 부가 정보들을 본래의 컨텐츠 정보(즉,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 준다(S310).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연관성 있는 단어, 용어, 문장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연관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신받은 부가 정보들 중에서 서로 연관성 있는 정보들만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정보들을 본래의 컨텐츠 정보와 연관시켜 컨텐츠 내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신받은 부가 정보들 중에서 가장 많이 있는 유사 단어를 추출하여 해당 추출한 유사 단어를 포함한 부가 정보만을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준다.
다르게는,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30)에서 요청한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할 때마다 부가 정보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미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판독하여 부가 정보 추가 여부 확인 동작을 수행한 후에, 블로그 서버(140)로부터 수집된 부가 정보들을 기존 정보에 업그레이드시켜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특정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는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분석하여 원본 내용을 확장 또는 조금 더 풍부한 컨텐츠 페이지로 재생성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 동영상과 관련하여 그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퍼가기 한 곳의 글을 알아내고, 그 내용을 퍼간 동영상 정보에 추가해 줄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로컬 서비스에서 지도를 퍼가게 하고, 해당 지도가 있는 글의 내용을 해당 지도 위치에 대한 관련 정보로 추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로, 쇼핑의 경우에 상품 정보에 대해서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도서의 경우에 도서 정보에 대해서 관련된 부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영화 포스트의 경우에 영화 정보에 대해서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컨텐츠의 내용과 제목의 연관성 부족으로 인해 컨텐츠 제목만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컨텐츠 정보를 퍼가도록 하며, 퍼간 컨텐츠 정보가 있는 위치의 정보를 레퍼러 정보로 알아내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 정보가 있는 주위의 부가 정보를 수집하며, 퍼간 컨텐츠 정보와 그것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2차 정보(즉, 수집한 부가 정보)를 연관시켜 새로운 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도록 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2)

  1.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퍼가기 할 경우에 퍼가기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파악된 위치의 부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러 정보는,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사이트의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인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컨텐츠 퍼가기 요청 시에,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요청하는 단계,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퍼가기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태그 정보를 전 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블로그 서버가 상기 저장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와 부가 정보를 하나의 블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정보 저장이 완료되거나, 기 저장된 블로그 정보에 대한 보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블로그 정보에 대한 전체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블로그 전체 태그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컨텐츠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실제 컨텐츠 요청에 따라 실제 컨텐츠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실제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실제 컨텐츠를 수신받아 부가 정보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태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들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와 함께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파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퍼간 컨텐츠에 부가 정보를 추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 추가 여부 요청에 따라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 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가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블로그 서버가 에러 메시지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에러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다시 파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부가 정보를 연관시켜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8.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컨텐츠에 대한 퍼가기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위치 및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레퍼러 정보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파 악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로그 서버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블로그 서버를 통해 상기 파악된 위치상에서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부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된 부가 정보를 본래의 컨텐츠 정보에 추가적으로 달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퍼간 컨텐츠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간 컨텐츠가 있는 위치를 다시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연관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수집된 부가 정보들 중에서 서로 연관성 있는 정보들만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정보를 상기 본래 컨텐츠 정보와 연관시켜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컨텐츠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상기 수집된 부가 정보들 중에서 가장 많이 있는 유사 단어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한 유사 단어를 포함한 부가 정보만을 원래 컨텐츠 제목에 추가적으로 달아주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미 기록해 둔 레퍼러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된 레퍼러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070127784A 2007-12-10 2007-12-10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96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84A KR100968545B1 (ko) 2007-12-10 2007-12-10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84A KR100968545B1 (ko) 2007-12-10 2007-12-10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840A true KR20090060840A (ko) 2009-06-15
KR100968545B1 KR100968545B1 (ko) 2010-07-08

Family

ID=4099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784A KR100968545B1 (ko) 2007-12-10 2007-12-10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00B1 (ko) * 2008-09-02 2010-10-07 주식회사 다나와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36035A2 (ko) * 2011-09-05 2013-03-14 Paek Hoon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2940B1 (ko) * 2014-09-17 2015-05-28 어니컴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70B1 (ko) 2012-11-14 2014-06-02 임현진 사물 기반의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476A (ko) * 2004-05-25 2005-11-30 주식회사 네오위즈 게시물 자동 퍼가기, 게시물의 이동경로 정보제공이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076517B1 (ko) * 2004-05-28 2011-10-24 (주)네오위즈게임즈 새로운 업데이트 내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상에서의 개인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00B1 (ko) * 2008-09-02 2010-10-07 주식회사 다나와 인증에 의한 인터넷 상품정보 콘텐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3036035A2 (ko) * 2011-09-05 2013-03-14 Paek Hoon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36035A3 (ko) * 2011-09-05 2013-06-13 Paek Hoon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5842B1 (ko) * 2011-09-05 2013-08-12 훈 백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2940B1 (ko) * 2014-09-17 2015-05-28 어니컴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방법, 콘텐츠 제공장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45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389B1 (en) Techniques for crawling dynamic web content
CN103501304B (zh) 控制web系统越权访问的方法及装置
CN110266661B (zh) 一种授权方法、装置及设备
CN110321154B (zh) 一种微服务的接口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7249657A (ja) アクセス制限プログラム、アクセス制限方法およびプロキシサーバ装置
CN102436564A (zh) 一种识别被篡改网页的方法及装置
CN103618696B (zh) 对cookie信息进行处理的方法和服务器
JPWO2009017135A1 (ja) 情報提供支援装置および情報提供支援方法
Black The World Wide Web as complex data set: Expanding the Digital Humanities into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through Internet research
KR20180074774A (ko) 악의 웹 사이트 식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매체
US20140101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KR100968545B1 (ko)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CN101887463B (zh) 一种基于虚拟域的http还原展示方法
JP2005275488A (ja) 入力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322420A (zh) 后门文件的检测方法和装置
KR100909470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0771577B1 (ko) 웹페이지 접속 이력정보 관리방법
CN101145936A (zh) 一种在Web页面中添加标签的方法及其系统
KR101079802B1 (ko) 웹사이트 검색 방법 및 시스템과 웹사이트 검색 장치 및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9064220A (ja) 印刷物の関連情報を公開するウェブサイトへのアクセスを、印刷物の所有者のみへ許可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51573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218673B2 (en) Web cont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JP5006471B2 (ja) Webサービス連携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079812B1 (ko) 웹사이트 검색 시스템
Nikdel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tress mediated by emotional reactions of nurses in social security hospitals in Tehr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