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957B1 -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957B1
KR100985957B1 KR1020080122073A KR20080122073A KR100985957B1 KR 100985957 B1 KR100985957 B1 KR 100985957B1 KR 1020080122073 A KR1020080122073 A KR 1020080122073A KR 20080122073 A KR20080122073 A KR 20080122073A KR 100985957 B1 KR100985957 B1 KR 10098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digital data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517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9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05I-O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15Dual plc's, processors and dual 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의 분야 또는 분산제어 시스템의 분야에서 입출력 모듈을 이중화하여 운영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제 2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이 쌍을 이루어 입출력 포인트에 Y 결선 커넥터가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을 구비하여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복수의 제 2 입출력 모듈이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을 각기 제어하고,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쌍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런 상태의 입출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한다.
이중화, 입출력 모듈, PLC, 분산제어 시스템, 입출력 유닛,

Description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Apparatus for duplicating multi-point input and output modules}
본 발명은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의 분야 또는 분산제어 시스템(DCS : Distributed Control System)의 분야에서 입출력 모듈을 이중화하여 운영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 포인트를 이중화하는 모듈이나 장치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상기 입출력 포인트를 이중화하는 것은 하나의 입출력 포인트가 런(Run) 상태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입출력 포인트는 스탠바이(Standby)로 대기하고 있다가 런 상태의 입출력 포인트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포인트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중화하는 모듈이나 장치들은 입출력 포인트의 개수가 소량일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서 대형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에 이중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 회로의 구성이 대부분 복잡하여 잉여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거나 모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인쇄회로기판의 공간이 부족하여 입출력 포인트의 개수를 줄여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멀티 포인트의 입출력 모듈에 적용이 어려웠다.
한편, PLC 시스템이나 분산제어 시스템은 대량의 입출력 포인트에 대한 비용의 부담으로 인하여 치명적으로 위험한 공정만 입출력 유닛을 이중화하고, 별도의 이중화 스위칭 유닛을 구비하여 입출력을 이중화하고 있다.
그러나 치명적인 공정 포인트들이 일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포인트의 수도 편차가 심하므로 설치 단가가 높은 이중화 입출력 유닛을 공정에 투입하는데 제품의 단가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공정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입출력 모듈을 싱글로 구성하고, 입출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입출력 모듈을 온라인 중에서 탈착 및 실장하는 핫 스와핑(Hot Swapping) 기능을 이중화 대처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입출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운용자가 현장에 직접 가서 입출력 모듈을 교체해야 하므로, 고장이 발생한 입출력 모듈의 교체 지연시간과 교체중 오동작 위험성이 공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PLC 시스템이나 분산제어 시스템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공정제어 범위가 광범위하게 확대됨에 따라, 제어기능에 만족하는 수준을 벗어나 신뢰성 수준을 확보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면서, 멀티 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간 편하고 저렴한 이중화 구성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멀티 포인트 입출력 모듈을 간단히 이중화할 수 있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는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 및 제 2 입출력 모듈이 쌍을 이루어 입출력 포인트에 Y 결선 커넥터가 결합되는 입출력 이중화 유닛과,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들 중에서 하나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런 상태의 입출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는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과 상기 제 2 입출력 모듈이 외부로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과 상기 제 2 입출력 모듈이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상기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다른 하나의 제어부는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며 상기 런 상태의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외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에 인가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절연시켜 입력하는 복수의 포토 카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와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의 사이에,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전압 이하의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제공하는 외부로 전송할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절연시켜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 력 포인트로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카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의 출력단자와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출력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로 입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와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의 복수의 입력단자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외부로 아날로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부는 외부로 전송할 아날로그 데이터를 제공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의 복수의 출력단자와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가 제공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는 쌍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의 입출력 포인트를 Y 결선 커넥터로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이중화 구성에 비교하여 구성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이중화 기능을 단순화하고 분산시켜 시스템 운용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제 1 제어부이고, 부호 110은 제 2 제어부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100, 110)들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나는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 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로 있다가 런 상태의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하나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제어부(100)가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어부(110)는 스탠바이상태로 동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런 상태로 동작하고 있던 제 1 제어부(10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상기 제 2 제어부(110)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부호 120은 제 1 입출력 유닛이고, 부호 130은 제 2 입출력 유닛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력 유닛(120, 130)들 중에서 어느 하나는 런(run) 상태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로 입출력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며, 런 상태의 입출력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유닛이 런 상태로 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와 입출력한다.
예를 들면, 초기에는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로 입출력하고, 상기 제 2 입출력 유닛(130)은 스탠바이(standby)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제 2 입출력 유닛(130)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로 입출력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력 유닛(120, 130)들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 132)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124, 134)을 각기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 132)들은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입출력 모듈(124, 134)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력 유닛(120, 130)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모듈(124, 134)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와 입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 1 입출력 유닛(120)이 런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이 복수의 입출력 모듈(124)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로 입출력한다. 그리고 제 2 입출력 모듈(130)이 런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00, 110)의 제어에 따라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32)이 복수의 입출력 모듈(134)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로 입출력한다.
부호 140은 이중화 스위칭 유닛이다. 상기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은 복수의 스위치(142)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스위치(142)의 일측 고정단자(a)에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의 복수의 입출력 모듈(124)의 입출력 단자가 접속되며, 복수의 스위치(142)의 타측 고정단자(b)에 상기 제 2 입출력 유닛(130)의 복수의 입출력 모듈(134)의 입출력 단자가 접속되며, 스위치(142)의 가동단자는 외부의 통신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142)들은 런 상태로 동작하는 제 1 입출력 유 닛(120)의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 또는 제 2 입출력 유닛(130)의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32)의 제어에 따라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 또는 타측 고정단자(b)로 스위칭된다.
예를 들면, 제 1 입출력 유닛(120)이 런 상태일 경우에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142)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고, 제 2 입출력 유닛(130)이 런 상태일 경우에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3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142)의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는 제 1 제어부(100) 및 제 2 제어부(110)와, 제 1 입출력 유닛(120) 및 제 2 입출력 유닛(130)들 중에서 어느 하나는 런(run) 상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제어부(100) 및 제 1 입출력 유닛(120)이 런 상태라고 가정한다.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이 런 상태일 경우에 먼저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의 복수의 스위치(142)들을 제어하여 스위치(142)들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에 접속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장치로 출력할 경우에 제 1 제어부(100)는 런 상태의 제 1 입출력 유닛(12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입출력 모듈(124)들 중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의 해당 통신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입출력 모듈(124)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 듈(122)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의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은 해당되는 입출력 모듈(124)을 제어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고, 그 출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의 스위치(142)를 통해 외부의 해당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외부의 통신장치가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의 스위치(142)를 통해 입출력 모듈(134)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 컨트롤 모듈(123)은 입출력 모듈(134)을 제어하여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제 1 제어부(100)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 1 제어부(100)는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런 상태로 동작하는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의 제 1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과 스탠바이 상태인 상기 제 2 입출력 유닛(130)의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32)은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 1 입출력 유닛(120)에 고장이 발생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지 못하게 되는 고장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런 상태의 제 1 입출력 유닛(120)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였던 제 2 입출력 유닛(130)이 런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입출력 유닛(130)이 런 상태로 동작하게 되면, 제 2 입출력 유닛(130)은 먼저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의 복수의 스위치(142)들을 제어하여 가동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에 접속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 유닛(130)은 제 1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데이 터 컨트롤 모듈(132)이 복수의 입출력 모듈(134)을 제어하여 외부의 통신장치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 컨트롤 모듈(132)이 복수의 입출력 모듈(134)을 제어하여 외부의 통신장치와 소정의 아날로그 데이터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입출력 유닛(12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한다.
또한 런 상태로 동작하는 제 1 제어부(100)와 스탠바이 상태의 제 2 제어부(110)도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 1 제어부(100)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제어부(10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제 2 제어부(110)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것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제어부(110)가 런 상태의 제 1 입출력 유닛(120) 또는 제 2 입출력 유닛(130)을 제어하여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어부(100)가 제 1 입출력 유닛(120) 또는 제 2 입출력 유닛(130)을 제어하여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한다.
이러한 이중화 장치는 이중화 전환을 스위칭하는 구조이므로 싱글로 사용해야 하는 입출력 포인트도 시스템 구조상 이중화 포인트로 운용해야 하므로 입출력 쉘프가 수용하는 절대 포인트 수가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 132)은 제 1 제어부(100) 및 제 2 제어부(110) 양쪽에서 이중화 스위칭 명령을 받는데, 통신 오류나 제 1 제어부(100) 및 제 2 제어부(110)의 다양한 케이스에 기인한 상황 판단의 실수로 인하여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모듈(122, 132)에 모두 런 명령을 내리는 경우에 공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화 스위칭 유닛(140)은 대부분 릴레이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고장 가능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할 방법이 없으며,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회로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중화한 입출력 포인트 중 하나의 포인트만이라도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입출력 유닛 전체를 이중화로 스위칭해야 되어 운용상의 부담감이 있다.
또한 이중화 포인트가 많은 경우 이중화 스위칭 유닛이 여러 개 설치해야 되므로 이에 따른 실장 공간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중화를 필요로 하는 공정 포인트들은 일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광범위하게 존재하므로, 부가적으로 입출력 유닛과 이중화 스위칭 유닛을 여러 개 설치해야 하는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입출력 유닛을 이중화하기 위한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제 1 제어부이고, 부호 210은 제 2 제어부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200, 210)들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나는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로 있다가 런 상태의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하나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제어부(200)가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어부(210)는 스탠바이상태로 동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런 상태로 동작하고 있던 제 1 제어부(200)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상기 제 2 제어부(210)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부호 220은 입출력 이중화 유닛이다. 상기 입출력 이중화 유닛(220)은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과 복수의 제 2 입출력 모듈(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과 복수의 제 2 입출력 모듈(224)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200, 210)가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 및 제 2 입출력 모듈(224)은 상호간에 교대로 배치되어 하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 및 하나의 제 2 입출력 모듈(224)이 쌍을 이루고, 그 쌍을 이루는 제 1 입출력 모듈(222) 및 제 2 입출력 모듈(224)의 입출력 포인트에 Y 결선 커넥터(226)가 결합된다.
상기 Y 결선 커넥터(226)는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하나의 커넥터(226a)가 구비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는 2개의 커넥터(226b, 226c)가 구비되며, 그 구비된 커넥터(226a, 226b, 226c)들은 상호간에 병렬로 결선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222) 및 제 2 입출력 모듈(224)의 입출력 포인트에 Y 결선 커넥터(226)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226b, 226c)가 결합되며, Y 결선 커넥터(226)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커넥 터(226a)에는 외부의 통신장치들이 결합된다.
부호 230 및 부호 240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 240)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제 1 입출력 모듈(222) 또는 제 2 입출력 모듈(224)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런 상태의 제 1 입출력 모듈(222) 또는 제 2 입출력 모듈(224)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이 제 1 입출력 모듈(222)을 런 상태로 동작시키고,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40)이 제 2 입출력 모듈(224)을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제 1 입출력 모듈(222)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40)이 제 2 입출력 모듈(224)을 런 상태로 동작시켜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는 제 1 제어부(200) 및 제 2 제어부(210)와, 이중화 입출력 유닛(22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 및 제 2 입출력 모듈(224)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런 상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 1 제어부(200)와 이중화 입출력 유닛(22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이 런 상태로 동작하고, 제 2 제어부(210)와 복수의 제 2 입출력 모듈(224)이 스탠바이상태를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제어부(200)는 외부의 소정 통신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전송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이중화 입출력 유닛(22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들 중에서 해당 통신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제 1 입출력 모듈(222)에 제공하고,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을 제어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그러면,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은 해당 제 1 입출력 모듈(222)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제어부(200)가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고, 그 출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Y 결선 커넥터(226)를 통해 외부의 해당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외부의 통신장치가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이중화 입출력 유닛(220)의 Y 결선 커넥터(226)를 통해 제 1 입출력 모듈(222)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은 상기 데이터를 입력한 제 1 입출력 모듈(222)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제어부(200)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222)이 제공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과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40)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복수의 제 1 입출력 모듈(222)들 중에서 고장이 발생한 제 1 입출력 모듈(222)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고장이 발생한 제 1 입출력 모듈(222)이 있을 경우에 상기 제 1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은 그 고장이 발생한 제 1 입출력 모듈(222)의 동작 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은 고장이 발생한 제 1 입출력 모듈(222)과 쌍을 이루는 제 2 입출력 모듈(224)을 런 상태로 동작시켜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Y 결선 커넥터(226)의 커넥터(226b, 226c)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DI1, DI2, …DIn)가 복수의 저항(R1)과 잡음 제거소자인 복수의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각기 통해 절연 전송소자인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의 애노드에 각기 접속되고,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의 캐소드가 공통으로 다이오드(D1)를 통해 상기 커넥터(226b, 226c)의 디지털 데이터 공통단자(DC1)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접지에 접속되고, 콜렉터에는, 전원단자(Vcc)가 복수의 저항(R2)을 각기 통해 접속되며, 그 접속점에서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는 전원단자(Vcc)에 동작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의 통신장치로부터 Y 결선 커넥터(226)의 커넥터(226b, 226c)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DI1, DI2, …DIn)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저항(R1), 정전압 다이오드(ZD1),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를 순차적으로 통하고, 하나의 다이오드(D1)를 공통으로 통해 커넥터(226b, 226c)의 디지 털 데이터 공통단자(DC1)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ZD1)는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전압 미만에서는 차단상태로 되고, 드레시홀드 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도통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DI1, DI2, …DIn)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ZD1)에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전압 미만의 잡음신호는 그 정전압 다이오드(ZD1)에 의해 모두 차단되고, 드레시홀드 전압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는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통해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에 인가된다.
그러면,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는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고, 복수의 포토 카플러(PC1)의 발광소자의 광을 수광 트랜지스터가 수광하여 콜렉터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토 카플러(PC1)의 수광 트랜지스터가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222, 224)에서 처리되고, 제 1 또는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230, 240)의 제어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제어부(210)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502는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이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는 외부로 전송할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한다.
부호 504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가 제공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절 연시켜 전송하는 절연 전송부이다. 상기 절연 전송부(504)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단자(OUT11, OUT12, …, OUT1n)가 복수의 저항(R3)을 각기 통해 절연 전송소자인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발광소자에 접속되고,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는, 전원단자(Vcc)가 복수의 저항(R4)을 각기 통해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및 상기 복수의 저항(R4)의 접속점에서 릴레이 스위치(RYS1)를 통해 커넥터(226b, 226c)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DO1, DO2, …, DOn)로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게 구성된다.
부호 506은 런상태 구동부이다. 상기 런 상태 구동부(506)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의 런 상태 제어단자(RUN1)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전원단자(Vcc)가 릴레이(RY1)를 통해 접속되어 릴레이(RY1)가 구동될 경우에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1)가 접속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전원단자(Vcc)에 동작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런 상태로 동작할 경우에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가 런 상태 제어단자(RUN1)로 논리 1의 고전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논리 1의 고전위 신호는 런 상태 구동부(506)의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온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는 릴레이(RY1)가 구동되어 절연 전송부(504)에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RY1)가 모 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가 복수의 출력단자(OUT11, OUT12, …, OUT1n)로 출력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는 절연 전송부(504)의 복수의 저항(R3)을 통해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발광소자에 각기 인가된다.
그러면,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발광소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가 복수의 출력단자(OUT11, OUT12, …, OUT1n)로 출력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점멸되고,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발광소자가 점멸되면서 출력하는 광을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가 수광하여 그의 콜렉터로 출력하게 된다. 즉,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가 복수의 출력단자(OUT11, OUT12, …, OUT1n)로 출력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가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를 통해 절연되어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출력된다.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1)를 통해 커넥터(226b, 226c)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DO1, DO2, …, DOn)로 출력되어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PC2)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1)를 통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의 복수의 입력단자(IN11, IN12, …, IN1n)로 입력되는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502)는 복수의 입력단자(IN11, IN12, …, IN1n)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단자(OUT11, OUT12, …, OUT1n)로 출력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커넥터(226b, 226c)를 통해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 송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602는 상기 커넥터(226b. 226c)의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 포인트(AI1, AI2, …, AIn)에 인가되는 아날로그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고, 입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이다.
부호 604는 런 상태 구동부이다. 상기 런 상태 구동부(604)는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602)의 런 상태 제어단자(RUN2)가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는 전원단자(Vcc)가 릴레이(RY2)를 통해 접속된다.
부호 606은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이다.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606)는 상기 커넥터(226b, 226c)의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 포인트(AI1, AI2, …, AIn)와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602)의 복수의 입력단자의 사이에, 상기 릴레이(RY2)가 구동될 경우에 접속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2)를 접속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는 전원단자(Vcc)에 동작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커넥터(226b. 226c)의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 포인트(AI1, AI2, …, AIn)에 인가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602)는 런 상태 제어단자(RUN2)로 논리 1의 고전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런 상태 제어단 자(RUN2)로 출력한 논리 1의 고전위 신호는 런 상태 구동부(604)의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2)가 도통 상태로 되고, 릴레이(RY2)가 구동된다.
그러면,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606)의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2)가 모두 접속되고, 커넥터(226b, 226c)의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 포인트(AI1, AI2, …, AIn)에 인가되는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가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2)를 각기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602)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700은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이다.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는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할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 제공한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가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제어한다.
부호 704는 런 상태 구동부이다. 상기 런 상태 구동부(704)는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의 런 상태 제어단자(RUN3)가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는 전원단자(Vcc)가 릴레이(RY3)를 통해 접속된다.
부호 706은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가 제공하는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커넥터(226b, 226c)로 전달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이다.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706)는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의 복수의 출력단 자(OUT21, OUT22, …, OUT2n)와 커넥터(226b, 226c)의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포인트(AO1, AO2, …, AOn)의 사이에, 상기 릴레이(RY3)가 구동될 경우에 접속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3)를 각기 접속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부는 전원단자(Vcc)에 동작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할 경우에 런 상태 제어단자(RUN3)로 논리 1의 고전위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런 상태 제어단자(RUN3)로 출력한 논리 1의 고전위 신호가 런 상태 구동부(704)의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3)가 도통 상태로 되고, 릴레이(RY3)가 구동된다.
그러면, 아날로그 데이터 전달부(706)의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3)가 모두 접속되고,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702)의 복수의 출력단자(OUT21, OUT22, …, OUT2n)로 출력되는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가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RYS3)를 통해 커넥터(226b, 226c)의 복수의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포인트(AO1, AO2, …, AOn)로 전달되어 외부의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 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화 장치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 사용되는 Y 결선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화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Claims (9)

  1. 외부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입출력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 및 제 2 입출력 모듈이 쌍을 이루어 입출력 포인트에 Y 결선 커넥터가 결합되는 입출력 이중화 유닛; 및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들 중에서 하나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런 상태의 입출력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입출력 모듈이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입출력 모듈들 각각에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에 인가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절연시켜 입력하는 복수의 포토 카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과 상기 제 2 입출력 모듈이 외부로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입출력 모듈과 상기 제 2 입출력 모듈이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상기 소정의 데이 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다른 하나의 제어부는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며 상기 런 상태의 제어부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스탠바이 상태의 제어부가 런 상태로 동작하여 소정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인트와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의 사이에,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전압 이하의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입출력 모듈들 각각에는;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제공하는 외부로 전송할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절연시켜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로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카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포토 카플러의 출력단자와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출력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로 입력시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제공부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와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의 복수의 입력단자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입출력 모듈에서 외부로 아날로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부는;
    외부로 전송할 아날로그 데이터를 제공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의 복수의 출력단자와 상기 Y 결선 커넥터의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출력 포인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 제공부가 제공하는 런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런 상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KR1020080122073A 2008-12-03 2008-12-03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KR10098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073A KR100985957B1 (ko) 2008-12-03 2008-12-03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073A KR100985957B1 (ko) 2008-12-03 2008-12-03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17A KR20100063517A (ko) 2010-06-11
KR100985957B1 true KR100985957B1 (ko) 2010-10-06

Family

ID=4236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073A KR100985957B1 (ko) 2008-12-03 2008-12-03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53B1 (ko) * 2019-02-18 2019-11-15 정창호 단자대의 입/출력 데이터 이중화 기능을 갖는 plc 전이중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210B1 (ko) * 1996-04-03 1999-01-15 이종수 피엘씨의 이중화 입/출력 장치
JP2007013997A (ja) * 2000-12-05 2007-01-18 Fisher Rosemount Syst Inc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冗長装置
KR100689323B1 (ko) * 2005-09-22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필드버스 네트워크 다중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210B1 (ko) * 1996-04-03 1999-01-15 이종수 피엘씨의 이중화 입/출력 장치
JP2007013997A (ja) * 2000-12-05 2007-01-18 Fisher Rosemount Syst Inc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冗長装置
KR100689323B1 (ko) * 2005-09-22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필드버스 네트워크 다중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17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2056B (zh) 安全模块以及自动化系统
US6466539B1 (en) Bus system
US8441766B2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digital outputs
US8149554B2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digital inputs
CN113261396B (zh) 用于开关柜系统的基本模块和功能模块以及开关柜系统
US11243504B2 (en) Distributed modular I/O device with configurable single-channel I/O submodules
JP2554042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装置
EP1746873A1 (en) Modular broadband and bi-directional programmable switch with hot-swappable modules
US7880734B2 (en)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US11699867B2 (en) Removable terminal block assembly that permits an I/O base to operate in simplex mode or duplex mode
USRE34643E (en) Short circuit fault isolation means for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s
KR102287330B1 (ko) 팬 고장 검출 장치
KR100985957B1 (ko) 멀티포인트 입출력 모듈의 이중화 장치
US9755424B2 (en) Multispur fieldbus isolator arrangement
EP1953063B1 (en) Field vital output device and system for directly interfacing a control logic unit with at least one or more wayside units
JP2002199583A (ja) 並列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子装置
KR100240959B1 (ko) 입출력 다중화 피엘씨 시스템
US11327921B2 (en) Control device and inter-module communication method
KR102014691B1 (ko) 이중화된 전원 및 커플러 모듈을 가진 산업용제어기의 원격 입출력 장치
CN114039336A (zh) 集成继电器、控制方法及继电保护装置
CN114488769B (zh) 防护模块、具有防护模块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100308926B1 (ko)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US11147181B2 (en) Distributed modular input/output (I/O) system with redundant ethernet backplane networks for improved fault tolerance
KR200193996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공간분할 스위치장치
KR100422142B1 (ko) 킵폰 시스템의 전압체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