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068B1 -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068B1
KR100985068B1 KR1020090033963A KR20090033963A KR100985068B1 KR 100985068 B1 KR100985068 B1 KR 100985068B1 KR 1020090033963 A KR1020090033963 A KR 1020090033963A KR 20090033963 A KR20090033963 A KR 20090033963A KR 100985068 B1 KR100985068 B1 KR 10098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ctronic device
user
protective cover
re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지피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피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에스지피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09003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은,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중앙 관제 서버에 업로딩받거나 중앙 관제 서버에 구비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을 받아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는 이미지 설정모듈; 유저의 전자기기의 기종을 입력받는 전자기기 설정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표면 크기에 맞추는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 영역을 제 1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 저장하는 제 1 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 중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부분을 제 2 이미지로 설정하여 이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에 인쇄 처리하는 제 2 이미지 생성 모듈; 상기 제 1,2 이미지를 유저에게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이미지와 인쇄 이미지를 전자기기 표면에서 일체적으로 실현시킴으로써, 보호 커버로 인한 전자기기의 표면 보호는 물론 전자기기 표면의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CUSTOM-MADE IMAGE AND PROTECTING COVER CREATING SYSTEM SHOWN ON ELECTRONIC MACHINE HAVING DISPLAY AREA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흔히 액정으로 호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유저로부터 전송되거나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제 1, 2 이미지로 분할하여 제 1 이미지는 액정용 이미지 파일로 제작을 하고, 제 2 이미지는 액정 주변의 전자기기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용 커버/필름에 인쇄를 시킴으로써, 전자기기에 보호용 필름을 부착할 시에 보호용 필름 및 액정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전자기기의 표면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을 입어 일생생활에서 여러 편의를 제공하는 전자기기가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었다. 특히 LCD 또는 LED 기술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표면부에 위치하여 여러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 전자기기가 다 양한 종류로 판매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PDA), 휴대용 게임기, 액정 표시기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등이 존재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다 선명한 화면이 노출되기 위해서는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 고유의 해상도가 우수해야겠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지문,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묻어나지 않도록 사용자가 관리를 잘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이 되어 있을 경우 외부와의 잦은 마찰에 의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전자기기의 가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기름기가 있는 손으로 자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만질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기름 층이 형성되어 역시 화면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명 '보호 커버'가 출시되어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부착하고 있는바 이 보호 커버는 과거에 두껍고 둔탁한 핸드폰 케이스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 일명 '스킨(skin)'이라 명명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투명 박막 필름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 디스플레이부 주변 영역에 불투명 상태로 커버되는 것으로서 나무 느낌을 재연하거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제품까지 다양한 종류가 시판되고 있으며, 주 기능으로서 디스플레이부는 물론 이 주변의 전자기기 표면 영역의 스크래치 및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호 커버는 디스플레이부의 스크래치 및 오염 방지라는 기본적 기능 이외에 현대인의 기호와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디자인을 가미할 수가 있는데, 보호 커버의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 내지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코팅 처리하여 사용자의 디자인 추구 욕구에 부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 커버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디자인의 일체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는 디스플레이부 고유 기능의 특성상 불투명 재질로 커버링(covering)을 하지 못하고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나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은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색채와 디자인이 가미될 수 있지만, 결국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화면과 주변 영역 간의 디자인 일체성이 떨어져 아무리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미한다 하여도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영상 화면과 이질적인 느낌을 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게 된다.
현재 하나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특정 행렬로 배치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TV 내지 모니터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구획된 부분 이미지를 보여주고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완성된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예술 작품 내지 광고물들이 있으나,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만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표면 보호라는 목적은 제공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와 그 주변 영역을 각각 커버링할 수 있는 적어도 2 피스 이상의 보호 커버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에 맞게 제작을 하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기본 화면과 주변 영역에서 표시되는 보호 커버 간의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전자기기의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제 1 이미지와 보호 커버에서 표시될 제 2 이미지로 분할한 다음 제 1 이미지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전송을 하고 제 2 이미지는 보호 커버 디자인으로서 인쇄하여 전자기기에서 제 1,2 이미지가 결합되어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 관제 서버에 제 1 이미지를 업로딩하거나 중앙 관제 서버에서 보유한 이미지를 선택하였을 때 해당 이미지를 유저 중심으로 다양하게 변형 내지 디자인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의 변형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면적과 이미지의 면적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전자기기 상에 공백이 발생하였을 때 이 공백을 이미지의 외곽 디자인과 어울리게 자동으로 색상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여러 유저가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공개 처리하고 이미지 사용에 대한 금액 배당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사용 기간 보장을 위 하여 제 1 이미지에 특정 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사용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저작권 보호 기반을 수립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은,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중앙 관제 서버를 통해 전송받거나 중앙 관제 서버에 구비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을 받아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는 이미지 설정모듈; 유저의 전자기기의 기종을 입력받는 전자기기 설정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표면 크기에 맞추는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 영역을 제 1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 저장하는 제 1 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 중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부분을 제 2 이미지로 설정하여 이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에 인쇄 처리하는 제 2 이미지 생성 모듈; 상기 제 1,2 이미지를 유저에게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미지 합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이미지 리사이징이 된 상기 기준 이미지의 디자인 내지 크기를 변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이미지 합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 설정한 이미지를 다른 유저가 선택한 경우, 해당 이미지를 업로딩한 유저에게 일정 금액을 배당 처리하는 배당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1) 디지털 이미지와 인쇄 이미지를 전자기기 표면에서 일체적으로 실현시킴으로써, 보호 커버로 인한 전자기기의 표면 보호는 물론 전자기기 표면의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 유저의 선택 및 조작에 의하여 이미지를 자유로이 변형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가지며,
3) 다른 유저가 제작한 이미지를 데이터 처리하여 이미지 선택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다른 유저가 자신의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사용 요금에 대한 배당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4)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 관리를 수행하여 이미지 도용과 부당 사용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5) 전자기기 표면 사이즈와 이미지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아 전자기기에 여백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이러한 여백을 자연스럽게 디자인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의 기본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전자기기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에 유저 맞춤식의 이미지를 인쇄하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투명 보호 커버를 부착하거나 아예 보호 커버를 부착하지 않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자체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대기 화면 내지 배경화면 상태에서 유저의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도록 하는바, 유저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나타나는 파일 형태의 제 1 이미지와 보호 커버에서 나타나는 제 2 이미지로 구분한다.
중앙 관제 서버를 통해 제 1 이미지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유저에게 제공하고 제 2 이미지는 보호 커버에 인쇄된 상태로 유저에게 배송하여 유저가 제 1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보호 커버를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전자기기의 표면에 부착할 경우 제 1,2 이미지가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춘 것과 같이 일체적인 하나의 완성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보호 커버를 부착한 전자기기의 표면에서 디자인적인 통일성과 일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유저에 의해 관리가 되는 클라이언트 서버(주로 유저 PC) 및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와 통신을 하는 중앙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있고, 중앙 관제 서버는 별도의 웹 페이지(웹 사이트)를 관리하고 있는바, 웹 페이지는 유저의 회원가입에 의하여 유저의 이미지를 업로딩 처리하거나 다른 유저가 업로딩한 사진을 선택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거나 전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반을 제공하게 되어, 이러한 웹 페이지를 매개로 유저가 요망하는 이미지를 보호 커버를 포함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표면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준 이미지 설정모듈(110), 이미지 검색 모듈(120), 전자기기 설정 모듈(130), 이미지 합성 모듈(150),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140), 제 1 이미지 생성 모듈(160), 제 2 이미지 적용 모듈(170), 보호 커버 선택모듈(180), 전송 모듈(190)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배당 모듈(200)과 이미지 인증 모듈(210)을 포함한다.
기준 이미지 설정모듈(110)은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입력받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유저가 직접 업로딩하거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에서 선택하여 향후 전자기기 표면에 적용될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라 표현한다.
기준 이미지는 크게 업로딩(uploading) 방식과 미리 준비되거나 다른 유저 가 업로딩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방식으로 구분이 되어 유저에 의해 결정이 된다.
업로딩 방식은 중앙 관제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유저가 직접 자신이 촬영하거나 제작한 이미지를 중앙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선택 방식은 시스템 차원에서 미리 준비하거나 아니면 다른 유저에 의하여 공개가 된 다양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 처리(이를'이미지 데이터베이스'라 한다)하여 이를 통해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는 실시간으로 다른 유저가 업로딩함과 동시에 공개를 희망하는 이미지가 업데이트 처리될 수 있어 현재 인기를 끌거나 디자인적인 수준이 높은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하며, 후술하겠지만 자신이 업로딩한 이미지를 다른 유저가 선택하였을 때에는 일정 비율의 배당금을 이미지를 업로딩한 유저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미지 검색모듈(120)은 유저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에서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여 이를 기준 이미지로 삼고자 할 때 다양한 검색 조건을 지원하여 보다 편리하고 디테일하게 검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검색모듈(120)은 웹 페이지에 검색창을 마련하여 유저가 특정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이미지 검색을 하였을 때 검색 결과를 인기 순, 추천 순, 다운로드 순, 가격 순, 등록일자 순, 제작자 순, 지원 가능한 전자기기 순 등으로 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기기 설정모듈(130)은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전자기기 모델 기종을 유 저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라 함은 전자기기 고유 기능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LCD, 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을 둘 필요는 없으나 주로 유저가 상시적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 시 디스플레이부가 전면 노출 부위에서 ON 상태를 가짐과 동시에 통신이 가능한 소형기기가 기본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PDA 등)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노트북(일명 넷북, UMPC, MID 포함),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기기 설정모듈(130)은 미리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125)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 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125)는 전자기기를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현재 출시되고 있는 각종 다양한 전자기기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 해당 전자기기의 표면 상태 및 디스플레이부의 위치, 전면부의 표면 넓이/크기와 같은 세부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 설정모듈(130)을 통해 중앙 관제 서버가 관리하는 웹 페이지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제시하여 유저가 자신의 전자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설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선택된 전자기기를 통해 유저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특성(표면 형상/상태, 표면적,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140)은 상기 모듈에 의하여 선택이 된 전자기기와 기준 이미지를 준비한 이후, 기준 이미지의 기본 크기 및 해상도를 파악한 이후에 전자기기의 표면 크기에 알맞게 기준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알맞게 변환 처리한다는 것은 1:1 배율로 변환하거나 아니면 전자기기 표면보다 크거나 작게 변형하는 여러 케이스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즉,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140)은 기준 이미지가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구체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모듈(150)은 설정된 전자기기를 기준으로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합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전자기기에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미리보기 제공부(151), 이미지 이동부(152), 자동 여백 처리부(157), 패턴 처리부(153), 텍스트 삽입부(154), 배율 설정부(155), 색상 설정부(156)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미지 합성 인터페이스는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전자기기 표면에 이미지가 적층되는 상태를 가상 화면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이미지 조작을 가능하게 가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미지 합성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내지 마우스의 편리한 조작 상태를 지원하여 전자기기 상에 기준 이미지를 가상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모니터를 통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를 하며 전자기기에 적층된 기준 이미지 작업을 수정, 저 장, 공개 여부 설정 등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미리보기 제공부(151)는 웹 기반을 통해 전자기기 표면을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한 다음, 기준 이미지가 해당 전자기기에 적용이 되었을 때 적용된 상태를 미리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유저는 기준 이미지를 다양한 디자인 기법과 배치를 통해 가상으로 전자기기에 표현해봄으로써 보다 자신의 요구에 적합한 이미지 적용 사례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미지 이동부(152)는 상기 미리보기 제공부(151)를 통해 가상 화면에서 전자기기에 기준 이미지를 적층시켜 놓은 상태에서 유저에 의한 이동키의 조작 내지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에 의하여 기준 이미지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준 이미지가 가령 인물 사진일 경우 예를 들어 얼굴 부분과 같은 중요 부분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가급적 디스플레이부에서 표현이 될 수 있도록 하며 기타 디스플레이부와 보호 커버 사이에 기준 이미지 중 중요 부분이 걸쳐져 있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모듈의 자동 여백 처리부에 대한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자동 여백 처리부(157)는 상기 이미지 이동부(152)에 의하여 기준 이미지가 전자기기 표면상에서 이동을 한 이후 또는 1:1 배율을 맞추지 않고 전자기기 표면상에 특정 크기의 이미지를 적층 처리 한 다음 유저가 특정 위치에서 기준 이미 지를 고정(fix)하였을 때 전자기기 표면과 기준 이미지가 1:1 배율로 겹쳐져 있지 아니하거나 전자 기기 표면상에 여백이 발생한 경우 해당 여백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자동 여백 처리부(157)는 여백 폭 측정수단(157a)과 기준 이미지 색상 파악 수단(157b), 충진 수단(157c)을 구비하고 있다.
여백 폭 측정 수단(157a)은 전자기기의 외곽 둘레에서 기준 이미지 사이의 거리, 즉 여백의 폭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준 이미지 색상 파악 수단(157b)은 상기 여백의 폭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의 외각 영역에서 해당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색상을 파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충진 수단(157c)은 상기 기준 이미지 색상 파악 수단(157b)에 의하여 파악이 된 색상을 여백에 자동으로 충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여백의 폭을 파악하고 여백의 폭에 따른 수치만큼의 기준 이미지 외곽 영역에서 지배적인 색상을 파악한 다음, 이 색상을 상기 여백에 충진함으로써 기준 이미지의 외곽을 채우고 있는 지배 색상을 여백에 적용하여 가급적 자연스럽게 여백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기준 이미지의 외곽 영역에서 복잡다단한 디자인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특정 색상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으나, 무작위로 랜덤 색상을 여백에 삽입하는 것보다는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색상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모듈 구성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패턴 처리부(153)는 기준 이미지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가 특정 문양인 경우 이를 발췌 처리하여 전자기기 표면에 해당하는 표면에 특정 패턴으로 복수 개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패턴은 바둑판식 배열, 랜덤 배열 등의 배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기준 이미지가 소형 크기일 경우 전자기기 표면에 복수 개로서 배열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텍스트 삽입부(154)는 글자 입력창을 구비하여 기준 이미지 상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바,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유저는 기념적인 문구, 자신의 이름 등을 자유로이 삽입하여 텍스트(text)도 디자인의 일부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배율 설정부(155)는 기준 이미지의 배율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기준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140)을 거친 것은 물론 이를 거치지 않고 초기 크기를 가진 상태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조작키를 유저에게 제공하여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기준 이미지를 특정 배율로 축소(가령 50% 배율) 내지 확대(가령 150% 배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준 이미지의 크기를 유저가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편의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색상 설정부(156)는 기준 이미지의 특정 영역 또는 배경에 대한 색상을 유저에 의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인물 사진인 경우 인물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 대한 색상을 유저의 선태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이미지 합성모듈(150)에 의하여 단순히 기준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디자인을 벗어나 다양한 방식으로 기준 이미지의 리폼 내지 변형을 추구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생동감 있는 이미지 디자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이미지 생성 모듈(160)은 상기 이미지 합성 모듈(150) 등에 의하여 전자기기 표면상에 적층되어 있는 기준 이미지에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위치한 이미지 부분을 추출/발췌하여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는 전자기기 상에 적층된 기준 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시하고 있는바 이미지 합성이 완료된 다음 실행키를 입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위치하게 될 기준 이미지 부분이 제 1 이미지로 인식이 된 다음 이미지 파일로서 변환 처리가 된다.
제 2 이미지 적용 모듈(170)은 기준 이미지에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부분을 제 2 이미지로 인식을 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보호 커버에 인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보호 커버는 합성수지 재질의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진 스킨은 물론, 금속재, 플라스틱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보호 커버의 배면에는 전자기기의 표면와의 긴밀한 부착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접착층이 도포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보호 커버는 상기 전자기기 설정모듈에(130)서 전자기기가 설정된 경우 해당 전자기기의 표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 것으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이 보호 커버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전자기기의 주변 영역에 부착(접착제 또는 정전기력)이 되고 상기 제 2 이미지가 인쇄 처리가 된다.
제 2 이미지를 보호 커버에 인쇄하는 공정은 현재 알려진 여러 인쇄 공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을 대신하도록 한다.
대신, 제 2 이미지는 실제 전자기기에 맞는 사이즈로 출력이 되어져야 하며, 제 2 이미지가 출력된 인쇄물(즉, 보호 커버에 제 2 이미지를 인쇄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물)에서 각각의 전자기기 형태에 맞도록 커팅이 되어져야 하는 커팅 데이터가 같이 생성이 되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제 2 이미지는 기준 이미지에서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인 비트맵 이미지 1개와 커팅 데이터가 있는 벡터 데이터 두 가지 또는 상기 두 가지 이미지/데이터가 한꺼번에 포함이 되어 있는 벡터이미지로 구성이 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 2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처리 역시 상기 제 2 이미지 적용 모듈(170)에서 생성하게 된다.
보호 커버 선택 모듈(180)은 보호 커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유저로 하여금 상기 보호 커버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저가 원하는 보호 커버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호 커버는 현재 다양한 재질과 특수 물질 함유 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 는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다양한 종류의 보호 커버를 마련하여 유저가 원하는 보호 커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호 커버는 제 2 이미지를 표면에 인쇄하였을 때 해당 제 2 이미지가 잘 지워지지 않도록 처리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모듈(190)은 상기 제 1,2 이미지를 유저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제 1 이미지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유저의 이메일, 휴대폰, 웹 페이지에서의 마이 페이지 등으로 전송이 가능하고, 전자기기가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경우 직접 전자기기에 전송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송모듈(190)을 통해 유저에게 제 1,2 이미지가 각각 이미지 파일 및 보호 커버에 인쇄된 형태로 제공이 되면, 유저는 제 1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배경 화면으로 설정하고 보호 커버를 전자기기의 표면에 부착하여 제 1,2 이미지가 마치 퍼즐 조각을 맞춘 것과 같이 일체적인 하나의 기준 이미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와 인쇄물이 일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일체감과 특별한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배당 모듈과 이미지 인증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배당 모듈(200)은 특정 유저가 자신이 창작/제작한 이미지를 공개 설정을 하여 다른 유저가 공유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에 업로딩(uploading)하였을 때 이를 다운 유저가 다운로드 하여 사용할 경우 다운로드 회수, 추천 수 등의 특정 요건을 반영하여 유저가 이미지 사용을 위해 시스템 측에 지불한 금액 중 일부를 저작권료의 개념으로 지불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유저가 자신의 기준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에 공개 설정한 이후 1주일동안 46명의 다른 유저가 다운로드를 받은 경우 이 다운로드 회수 별로 일정 금액을 기산하여 A 유저의 계좌로 비용을 배당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보다 많고 풍부한 이미지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에 축척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15)의 활성화를 추구하여 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유저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인증 모듈(210)은 특히 연예인 사진 내지 인물 사진과 같이 초상권을 보유하거나 기타 저작권을 가지는 이미지에 랜드마크 내지 사용 기간을 설정하여 이미지를 디테일하게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모듈은 전자기기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통신 기능(통신부)을 구비하고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코드 삽입부(211), 코드 추적부(212), 통보부(213), 이미지 변형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코드 삽입부(211)는 기준 이미지, 특히 제 1 이미지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크립트 내지 암호 처리된 명령어 내지 식별 코드로서, 제 1 이미지에 삽입이 되어 식별 정보, 생성 시점 정보, 통신 정보, 이미지 프로세싱 정보를 전부 다 또는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식별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해당 이미지를 제작하였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코드로서 이미지 파일의 헤드 부위에 별도로 저장처리를 할 수 있다.
생성 시점 정보는 당해 이미지가 유저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시점을 수록한 정보로서 상기 전송모듈(190)에서 유저에게 제 1 이미지를 전달할 때에 전송 시점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삽입하도록 할 수가 있다.
통신 정보는 중앙관제 서버가 전자기기와 통신을 할 때 해당 이미지를 중앙 관제 서버에서 확인함과 아울러 이미지 내의 코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중앙 관제 서버에서 전자기기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였을 때 이 신호를 통신 정보가 인식하여 전자기기로 하여금 중앙 관제 서버에 답신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세싱 정보는 해당 이미지를 변형하기 위한 정보로, 특정 상황에서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변화를 주어 이미지가 원래 이미지와 달리 변형되어 표현되거나 깨진 상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정보를 가진다. 즉, 제 1 이미지는 특정 상황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정보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이미지가 깨지거나 변형된 상태로 표현이 될 수 있다.
코드 추적부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삽입되어 있는 코드를 추적 파악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통신 정보를 매개로 중앙 관제 서버와 전자기기 간의 통신 상태에서 코드에서의 사용 기간, 식별 정보 존재 유무 등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통보부는 상기 코드 추적부에서 추적된 코드를 분석하여 사용 기간이 종료하거나 식별 정보를 확인하지 못해 이미지 도용이라 판단이 된 경우, 전자기기에 사용 기간 종료 시점을 알리거나 이미지 도용 상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통보하여 유저가 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미지 변형부는 상기 통보부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특정 내용을 통보하고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 이미지 갱신을 웹 페이지를 통해 하지 않거나 도용된 이미지를 계속 사용하고 있을 경우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제 1 이미지를 변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미지 인증 모듈(210)에 의하여 저작권 보호 및 사용 기간을 설정함과 아울러 정당한 이미지 사용이 아닐 때 이미지 자체를 변형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보호 커버 및 이미지를 구매하려는 유저가 모일 수 있는 별도의 공동구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동구매 페이지에서 일어나는 매출에 대해서는 공동구매를 주관하는 단체 또는 커뮤니티 담당자에게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 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업로딩받거나 기 준비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을 받는 기준 이미지 설정 단계, 유저로부터 전자기기의 기종을 입력받는 전자기기 설정 단계, 기준 이미지를 그 기준 이미지가 표시될 전자기기의 표면 사이즈에 맞추는 이미지 리사이징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 1 이미지 추출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가 추출된 잔여 기준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로 인식하여 이를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주변 표면 영역에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보호커버에 상기 제 2 이미지를 인쇄 처리하는 제 2 이미지 생성 단계 및,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보호 커버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완성 이미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 이미지 전송 단계는 중앙 관제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유저의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파일을 유저로부터 전송받거나 아니면 상기 웹 페이지에서 미리 준비되어 있는 각종 연예인 사진, 풍경 사진, 애니메이션 사진 중 특정 사진을 유저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중앙 관제 서버에서 관리하는 웹 페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생성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저는 미리 회원가입을 통해 기 준 이미지 전송/선택 작업을 할 수가 있고 웹 페이지(웹 사이트)는 회원에 대한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어 추후 전자기기가 교체되거나 보호 커버가 손상되었을 때 유저 자신이 전송하거나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재확인하거나 재요청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전자기기 설정 단계는 유저가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자기기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유저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휴대폰이라 가정할 경우 휴대폰의 기종, 제작회사, 휴대폰 사진 등을 웹 페이지에 제공함으로써 유저로부터 유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모델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미지 리사이징 단계는 유저가 선택한 전자기기의 기종을 확인한 다음, 해당 전자기기의 기종에서 표현될 수 있는 표면적을 확인하고 확인된 표면적을 기준으로 유저가 전송하거나 선택한 이미지의 사이즈를 리사이징(resiz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및 그 주변 표면 영역의 넓이가 다양한바 이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중앙 관제 서버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기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어 이 데이터베이스(전자기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유저가 선택한 전자기기의 표면적을 확인 및 분석하고 이렇게 확인/분석된 표면적에 유저의 이미지를 맞추는 과정을 담당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미지 리사이징 단계에서 만일 유저가 전송한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표면 넓이에 상응하게 리사이징 하는 과정에서 해상도가 낮거나 기타 이유로 리사이징한 이미지가 깨지거나 식별력이 부족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과정을 제공한다.
첫 째, 상기 이미지를 전송받은 단계에서 유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파악하여 특정 해상도에 미치지 않을 경우 기준 이미지로 채택을 하지 않거나 즉시 기준 이미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유저에게 통보하는 전송 이미지 검증 단계를 구비한다.
둘 째, 고객이 전송한 이미지의 해상도를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하여 주는 이미지 자동 프로세싱 단계를 구비한다. 이 이미지 자동 프로세싱 단계는 보다 선명한 이미지 제공을 위하여 해상도의 고저를 막론하고 유저에게 받은 모든 이미지를 대상으로 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사이징 단계에서 고객의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리사이징하였을 때 해상도가 낮아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유저에게 다른 이미지를 재전송해달라는 에러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단계에 의하여, 이미지 리사이징 및 이미지 실용화에 따르는 제반적인 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더불어, 리사이징된 이미지는 미리보기 기능으로 전자기기의 표면에 적용된 가상의 이미지 화면을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이미지 이동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 또는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방향키의 이동에 의하여 이미지를 이동시켜 중요 부분이 디스플레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이미지가 이동된 만큼 발생되는 공백을 주변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채워 넣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 추출 단계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유저의 전자기기와 대응하여 판단함으로써 기준 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휴대폰일 경우, 휴대폰의 표면에서 디스플레이부는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바 이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영역을 기준 이미지에서 발취하여 발췌된 이미지(이를 제 1 이미지라고 함)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더불어, 제 2 이미지 추출단계는 기준 이미지에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잔여 부분에 대한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라 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 주변 표면 영역에 부착될 보호 커버에 인쇄하는 과정을 담당한다.
이 때, 제 2 이미지는 반드시 하나의 보호 커버에만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분으로 구획되는 보호 커버에서도 인쇄될 수 있으며, 특히 복수 개의 보호 커버에 제 2 이미지가 인쇄될 경우에는 복수 개의 보호 커버가 전자기기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하나의 완성된 제 2 이미지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제 1,2 이미지가 색상 내지 선명도에서 차이를 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상응하는 해 상도로서 보호 커버에 인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 이미지 전송 단계는 제 1,2 이미지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이미지 파일 처리된 제 1 이미지는 웹 페이지에서 유저의 가령 'my page' 내지 기타 이메일 등으로서 전송이 될 수 있고 특히 전자기기가 휴대폰일 경우에는 중앙 관제 서버에서 유저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MMS) 형태로 전송하여 유저가 곧바로 휴대폰의 바탕 화면으로 제 1 이미지를 저장할 수가 있다.
더불어, 제 2 이미지는 보호 커버에 표현되어 있으므로 보호 커버를 유저에게 배송 처리하도록 하고, 유저가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메인 화면(또는 바탕화면)으로 설정한 다음, 보호 커버를 전자기기 표면(디스플레이부 제외 영역)에 부착하게 되면 제 1,2 이미지 전체가 시각적으로 융합이 되어 마치 퍼즐 조각을 짜 맞추어 놓은 것과 같이 기준 이미지로서 표현이 된다. 이로써, 전자기기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가 디스플레이부의 바탕화면(배경화면)과 어울려 전자지기의 표면 보호는 물론, 일체적이고 통일감 있는 디자인을 전자기기의 표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의 기본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합성모듈의 자동 여백 처리부에 대한 기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준 이미지 설정모듈 160: 제 1 이미지 생성모듈
115: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70: 제 2 이미지 적용모듈
120: 이미지 검색모듈 180: 보호 커버 선택모듈
130: 전자기기 설정모듈 190: 전송모듈
140: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 200: 배당 모듈
150: 이미지 합성모듈 210: 이미지 인증모듈
152: 이미지 이동부 211: 코드 삽입부
157: 자동 여백 처리부 214: 이미지 변형부

Claims (7)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으로서,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중앙 관제 서버를 통해 전송받거나 중앙 관제 서버에 구비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을 받아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는 이미지 설정모듈;
    유저의 전자기기의 기종을 입력받는 전자기기 설정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를 전자기기의 표면 크기에 맞추는 이미지 리사이징 모듈;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 영역을 제 1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 저장하는 제 1 이미지 생성모듈;
    상기 기준 이미지 중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외한 부분을 제 2 이미지로 설정하여 이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보호 커버에 인쇄 처리하는 제 2 이미지 생성 모듈;
    상기 제 1,2 이미지를 유저에게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이미지 합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이미지 리사이징이 된 상기 기준 이미지의 디자인 내지 크기를 변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이미지 합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합성모듈은,
    가상 화면을 통해 전자기기의 표면에 기준 이미지를 적층시켜 놓은 상태에서 유저에 의한 이동키의 조작 내지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에 의하여 기준 이미지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미지 이동부;
    상기 이미지 이동부에 의하여 기준 이미지가 전자기기 표면상에서 이동한 이후 유저가 특정 위치에서 기준 이미지를 고정(fix)하였을 때 전자기기 표면과 기준 이미지가 겹쳐져 있지 아니하거나 전자 기기 표면상에 여백이 발생한 경우 해당 여백을 자동으로 충진 처리하는 것으로,
    여백의 폭을 측정하는 여백 폭 측정 수단 및, 상기 여백의 폭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의 외각 영역에서 해당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에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색상을 파악하는 기준 이미지 색상 파악 수단, 상기 기준 이미지 색상 파악 수단에 의하여 파악이 된 색상을 여백에 자동으로 충진하는 충진 수단을 구비한 자동 여백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모듈은,
    중앙 관제 서버를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전자기기에 직접 전송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개 설정한 이미지를 다른 유저가 선택한 경우, 해당 이미지를 업로딩한 유저에게 일정 금액을 배당 처리하는 배당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이미지에 식별 정보, 생성 시점 정보, 통신 정보, 이미지 프로세싱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삽입하는 코드 삽입부,
    중앙 관제 서버의 통신 기능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 1 이미지에 삽입되어 있는 코드를 추적 파악하는 기능을 가지는 코드 추적부.
    상기 코드 추적부에서 추적된 코드를 분석하여 사용 기간이 종료하거나 식별 정보를 확인하지 못해 이미지 도용이라 판단이 된 경우, 전자기기에 사용 기간 종료 시점을 알리거나 이미지 도용 상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통보하는 통보부,
    상기 통보부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문자 메시지를 통보하고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도 유저가 중앙 관제 서버를 통해 이미지 사용 시간 갱신 처리를 하지 않거나 도용된 이미지를 계속 사용하고 있을 경우 제 1 이미지를 변형하는 이미지 변형부를 구비한 이미지 인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시스템.
  7.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방법으로서,
    유저에게 전자기기에 표시될 이미지를 업로딩받거나 기 준비된 이미지 중에서 유저의 선택을 받는 기준 이미지 설정 단계;
    유저로부터 전자기기의 기종을 입력받는 전자기기 설정 단계;
    기준 이미지를 그 기준 이미지가 표시될 전자기기의 표면 사이즈에 맞추는 이미지 리사이징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제 1 이미지 추출 및 생성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가 추출된 잔여 기준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로 인식하여 이를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주변 표면 영역에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 이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보호커버에 상기 제 2 이미지를 인쇄 처리하는 제 2 이미지 추출 및 생성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된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제 2 이미지가 표시된 보호 커버를 유저에게 전달하는 완성 이미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및 보호 커버 생성 방법.
KR1020090033963A 2009-04-20 2009-04-20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98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63A KR100985068B1 (ko) 2009-04-20 2009-04-20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63A KR100985068B1 (ko) 2009-04-20 2009-04-20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068B1 true KR100985068B1 (ko) 2010-10-04

Family

ID=4313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963A KR100985068B1 (ko) 2009-04-20 2009-04-20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0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756A1 (en) * 2011-10-20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immersive search engine home pages
KR20150064332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807605A (zh) * 2017-12-04 2018-03-16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电控系统的标定方法与装置
WO2020013496A1 (ko) * 2018-07-09 2020-01-16 김영수 화면 디자인이 연동된 디자인을 가진 탈부착 표시장치의 주문제작 방법
KR102465064B1 (ko) * 2022-04-26 2022-11-10 하인크코리아 주식회사 케이스 디자인과 연동되는 애니메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30B1 (ko) 2006-09-27 2006-12-15 (주)우전 엠보싱 효과를 갖는 커버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30B1 (ko) 2006-09-27 2006-12-15 (주)우전 엠보싱 효과를 갖는 커버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756A1 (en) * 2011-10-20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Enabling immersive search engine home pages
KR20150064332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1827B1 (ko) * 2013-12-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807605A (zh) * 2017-12-04 2018-03-16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电控系统的标定方法与装置
CN107807605B (zh) * 2017-12-04 2020-06-26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电控系统的标定方法与装置
WO2020013496A1 (ko) * 2018-07-09 2020-01-16 김영수 화면 디자인이 연동된 디자인을 가진 탈부착 표시장치의 주문제작 방법
KR102465064B1 (ko) * 2022-04-26 2022-11-10 하인크코리아 주식회사 케이스 디자인과 연동되는 애니메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659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tem image in a contextual environment
US100614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dited images using embedded plug-in
AU2014239255B2 (en) System for single-use stock image design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WO2013138846A1 (en) Method and system of interacting with content disposed on substrates
KR100985068B1 (ko)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맞춤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898311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プレビューを表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93359B1 (ko) 광고- 및 정보 매체의 정보를 호출 가능하게 저장, 검출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2230909A (zh) 小程序的数据绑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90354658A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ies of webcomics and tracking replicated webcomics
JP2009147656A5 (ko)
KR101640688B1 (ko) 메모지와 스티커 기반 스마트 단말의 앱화면 구성 시스템
CN112749406A (zh) 分享图像清理方法和系统
JP2014203355A (ja) 転写自販システム
KR101261753B1 (ko)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0922B1 (ko) 모델 이미지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CA2881442C (en) Fully customizable mobile greeting card app
Bauer Photoshop CS6 For Dummies
US200502345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embridery data processing
JP4114444B2 (ja)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US10303338B2 (en) Inscriptions for electronic books
JP2004172916A (ja) 画像出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554177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CN114724136A (zh) 标注数据生成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740648B1 (ko) 전자책 내 일부 콘텐츠에 대한 주소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