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822B1 -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822B1
KR100983822B1 KR1020080096851A KR20080096851A KR100983822B1 KR 100983822 B1 KR100983822 B1 KR 100983822B1 KR 1020080096851 A KR1020080096851 A KR 1020080096851A KR 20080096851 A KR20080096851 A KR 20080096851A KR 100983822 B1 KR100983822 B1 KR 10098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wireless receiver
terminal portion
termin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504A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텍 filed Critical (주)리텍
Priority to KR102008009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8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는, 둥근 형태의 단부를 갖는 충전단자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단자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무선수신기에 있어서, 제 1단자부는 충전단자부를 수용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내경이 충전단자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수신기, 충전기, 단자 구조, 지지대, 적층형

Description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Terminal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connecting with the thus and radio pager}
본 발명은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 위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무선수신기의 단자 간의 접촉도 및 고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과 같이 주문한 메뉴를 제공받는 데까지 소정의 대기 시간이 요구되는 장소에는 해당 순서가 되면 고객을 호출하는 무선호출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시스템은 다수개의 무선수신기를 ID로 관리하는 송신기와 송신기에서 송출된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무선수신기는 송신기에서 호출한 ID와 자신의 ID가 동일한 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ID가 서로 동일한 경우 수신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호출시스템은 휴대가 간편하고, 고객들로 하여금 직원의 호출이 있을 때까지 안심하고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호출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수신기는 일반 건전지나 충전지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데, 효율성 면에서 일반 건전지보다 충전지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최근에는 충전지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충전기와 무선수신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수신기는 충전기 위에 적층되어 상호 단자 간의 접속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종래에는 충전기의 상면에 돌출된 단자(6)가 무선수신기의 단자부(5)와 한 접점에서만 맞닿게 되어 있어 적층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할 뿐더러, 단자 간의 접촉 불량도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의 적층 방식의 충전구조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되고, 충전단자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기 위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무선수신기의 단자 간의 접촉도 및 고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수신기 및 이 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는, 둥근 형태의 단부를 갖는 충전단자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단자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무선수신기에 있어서, 제 1단자부는 충전단자부를 수용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내경이 충전단자부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무선수신기는 상기 제 1단자부와 연결 구성되며, 상면에 충전단자부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 2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는, 충전기 또는 무선수신기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충전단자부 또는 제 2단자부와 삼각구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지지대는 충전단자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신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에 따르면, 단자 간의 접속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개의 무선수신기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면에 돌출 형성된 2개의 단자보다 지지대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으로써, 단자 간의 접촉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는, 둥근 형태의 단부를 갖는 충전단자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단자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무선수신기에 있어서, 제 1단자부는 충전단자부를 수용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내경이 충전단자부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무선수신기는 상기 제 1단자부와 연결 구성되며, 상면에 충전단자부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 2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는, 충전기 또는 무선수신기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충전단자부 또는 제 2단자부와 삼각구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지지대는 충전단자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신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와 무선수신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1)는, 저면에 충전기(2)의 충전단자부(21) 또는 다른 무선수신기(1)의 제 2단자부(11)를 수용하기 위한 제 1단자부(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단자부(12)는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단자부(12)는 충전을 위해 충전기(2)의 충전단자부(21) 또는 충전기(2) 와 접속된 어느 하나의 무선수신기(1)의 제 2단자부(11)와 접속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 때, 제 2단자부(11)는 충전단자부(21)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단자부(11)는 충전단자부(21)와 접속된 제 1단자부(12)에 연결되어 그 위에 적층되는 타 무선수신기(1)에 충전기(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제 1단자부(12)는 충전단자부(21) 또는 제 2단자부(11)의 원형 단부의 지름(폭)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제 1단자부(12)와 충전단자부(21) 또는 제 2단자부(1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부(21) 또는 제 2단자부(11)가 제 1단자부(12)의 양 측면에 각각 닿게 됨으로써, 적층된 무선수신기(1)의 유동 및 기울어짐을 최소화 시키게 된다.
또한, 제 1단자부(12)는 무선수신기(1)를 충전단자부(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제거시킬 수 있도록 충전단자부(21) 또는 제 2단자부(11)를 완전히 수용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위에 얹어 놓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접속하는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충전기에 적층된 다수개의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단자부(21) 및 지지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단자부(21)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두 개의 충전단자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충전기(2)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충전단자부(21)는 무선수신기(1)의 저면에 형성된 제 1단자부와 접속하여 무선수신기(1)의 충전회로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지지대(23)는 두 개의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단자부(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충전단자부(21)와 마찬가지로 충전기(2)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3)는 두 개의 충전단자[충전단자부(21)] 위에 얹혀지는 무선수신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지지대(23)의 높이(돌출 길이)는 상기의 충전단자부(2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긴 것이 좋을 수 있는데, 이는 충전기(2) 위에 올려지는 무선수신기(1)의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충전단자부(21) 쪽으로 쏠리게 함으로써, 충전기(2)와 무선수신기(1)의 단자 간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1)의 저면에는 충전기(2) 상면에 돌출 형성된 2개의 충전단자[충전단자부(21)]와 하나의 지지대(23)를 수용하기 위한 제 1단자부(12) 및 지지대 홈(14)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지지대 홈(14)은 제 1단자부(12)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는 제 1단자부(12), 제 2단자부(11) 및 지지대(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단자부(12)는 충전기(2)의 충전단자부(21)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충전단자부(2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과 스크류 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나사로 구성된다.
이 때, 나사가 하우징 외부에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제거되어 분실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하우징 내부에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기의 제 2단자부(11)와 지지대(13)는 충전기(2)의 충전단자부(21)와 지지대(23)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단자부(11)는 충전기(2)의 충전단자부(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1단자부(12)와 연결되어 그 위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무선수신기(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하나의 충전기(2) 위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무선수신기(1)들은 제 2단자부(11)와 제 1단자부(12)의 접촉을 통해 일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처럼 다수개의 무선수신기(1)를 하나의 충전기(2) 위에 안정되게 적층하기 위해 2개의 단자로 구성된 제 2단자부(11) 외에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지지대(13) 가 구비된다.
이 때, 지지대(13, 23)는 충전단자부(21) 또는 제 2단자부(11)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삼각 구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대(23)와 충전단자부(21)는 무선수신기(1)의 저면부에 형성된 지지대 홈(14)과 제 1단자부(12)에 각각 수용되어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 충전기와 무선수신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와 무선수신기의 단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접속하는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충전기에 적층된 다수개의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수신기 2 : 충전기
11 : 제 2단자부 12 : 제 1단자부
13, 23 : 지지대 14 : 지지대 홈
21 : 충전단자부

Claims (4)

  1. 둥근 형태의 단부를 갖는 충전단자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단자부가 저면에 형성되는 무선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부는 충전단자부를 수용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내경이 충전단자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기는, 상면에 충전단자부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 2단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단자부는 상기 제 1단자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또는 무선수신기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충전단자부 또는 제 2단자부와 삼각구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충전단자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신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KR1020080096851A 2008-10-01 2008-10-01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KR10098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51A KR100983822B1 (ko) 2008-10-01 2008-10-01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51A KR100983822B1 (ko) 2008-10-01 2008-10-01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04A KR20100037504A (ko) 2010-04-09
KR100983822B1 true KR100983822B1 (ko) 2010-09-27

Family

ID=4221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851A KR100983822B1 (ko) 2008-10-01 2008-10-01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72B1 (ko) * 2018-01-05 2018-05-23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957U (ko) * 1990-02-16 1991-10-30
JPH08223261A (ja) * 1994-12-14 1996-08-30 Sharp Corp 電気機器充電装置
US5814968A (en) 1995-06-26 1998-09-29 Long Range Systems, Inc. Battery charger and rechargeable electronic paging devic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957U (ko) * 1990-02-16 1991-10-30
JPH08223261A (ja) * 1994-12-14 1996-08-30 Sharp Corp 電気機器充電装置
US5814968A (en) 1995-06-26 1998-09-29 Long Range Systems, Inc. Battery charger and rechargeable electronic paging devic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04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891B1 (ko)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N101563836B (zh) 镜头驱动装置
CN101820128B (zh) 充电式手持设备的充电座
KR20190065170A (ko) 허브 장치 및 관련 충전 장치 및 시스템들
US20060258412A1 (en) Mobile phone wireless earpiece
US201002613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KR101795557B1 (ko) 무선 충전 장치
CN102280913A (zh) 用于便携式终端的充电装置
KR100983822B1 (ko)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JP2014199728A (ja) 電池パック
CN104868564A (zh) 手机充电装置
CN205178559U (zh) 一种磁吸式充电器
CN104935050A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移动电源
CN205070082U (zh) 一种插座
CA2715188A1 (en) Toy vehicle magnetic coupler
KR100983821B1 (ko) 무선호출기기의 충전 단자
CN220043071U (zh) 双面无线充电装置
CN214900364U (zh) 一种带有充电缓冲结构磁性无线充电宝
CN204761080U (zh) 手机充电装置
CN213879351U (zh) 一种无线充电器
CN219659891U (zh) 一种双模式耳机
CN219938000U (zh) 一种分离式快充装置
CN217935195U (zh) 配送机器人及无线充电装置
CN205070081U (zh) 一种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