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099B1 -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099B1
KR100983099B1 KR1020080008010A KR20080008010A KR100983099B1 KR 100983099 B1 KR100983099 B1 KR 100983099B1 KR 1020080008010 A KR1020080008010 A KR 1020080008010A KR 20080008010 A KR20080008010 A KR 20080008010A KR 100983099 B1 KR100983099 B1 KR 10098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opening direction
fixing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872A (ko
Inventor
임상훈
임상명
Original Assignee
효성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0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문짝의 경첩부착면과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어 문짝의 문짝열림방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의 선단에 부착되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문짝측 스토퍼와; 상기 경첩부착 문틀의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가장자리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짝이 열렸을 때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주벽편을 가지는 문틀측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문짝을 열 때 문짝을 일정한 열림각도로 구속함으로써 충격을 완화하고, 문짝이 스스로 닫히는 일이 없으며, 벽체와 문짝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문짝이 열린 상태에서 문짝과 벽체 사이의 간격이 10cm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미관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도어스토퍼, 문짝손상방지, 벽면손상방지

Description

도어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스토퍼(door stopp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짝을 열 때 문짝을 일정한 열림각도로 구속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문짝이 스스로 닫히는 일이 없으며, 벽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이나 방문은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된다.
따라서 문짝을 열 때 문짝에 설치된 도어록이 벽체에 충돌하여 벽체의 도배지 등의 마감재를 훼손시키게 되며, 욕실 출입문의 경우에는 문짝이 벽체에 충돌하여 타일이 파손되고, 벽체에 설치된 마감재인 석고보드 등을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체 쪽에 가구가 놓여 있는 경우 문짝이 가구와 충돌하여 가구표면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출입문이나 방문의 문짝을 열 때 문짝에 설치된 도어록이 벽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나 바닥에 막대형 도어스토퍼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도어스토퍼(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20)이 열리는 쪽에서 문짝(20)과 직각을 이루는 벽체(30)에 고정나사(14)로 고정되는 고정편(11)과, 이 고정편(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봉(12)과, 이 돌출봉(12)의 선단에 설치되는 완충고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미설명 부호 "40"은 문짝(20)과 평행을 이루는 벽체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스토퍼는 문짝(20)을 닫은 상태에서는 벽체(30)에서 돌출된 상태로 되고, 문짝(20)을 열었을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20)이 도어스토퍼(10)의 완충고무(13)에 접촉하여 문짝(20)에 설치된 도어록(21)이 벽체(30)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스토퍼(10)는 단순히 문짝(20)을 열었을 때 도어록(21)이 벽체(30)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일 뿐 문짝(20)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므로 문짝(20)이 바람이나 출입하는 사람들이나 물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히게 되거나 반복적으로 열렸다 닫혔다하면서 충돌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짝(20)이 열린 상태에서 문짝(20)과 벽체(30) 사이의 간격(C)이 10cm이상일 경우 실질적으로 설치가 곤란하고, 길게 설치한 경우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짝(20)이 완충고무(13)에 반복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완충고무(13)에 의한 접촉흔에 의해 문짝(20)이 오염되며, 문짝(20)이 도어스토퍼(10)에 직접 충돌 하게 되므로 문짝(20)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스토퍼(10)는 바닥에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바닥재가 파손되고, 통행자가 도어스토퍼(10)에 걸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짝을 열 때 문짝을 일정한 열림각도로 구속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문짝이 스스로 닫히는 일이 없으며, 벽체와 문짝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짝이 열린 상태에서 문짝과 벽체 사이의 간격이 10cm이상 이경된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미관이 향상되도록 한 도어스토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짝의 경첩부착면과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어 문짝의 문짝열림방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의 선단에 부착되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문짝측 스토퍼와; 상기 경첩부착 문틀의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가장자리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짝이 열렸을 때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주벽편을 가지는 문틀측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짝의 경첩부착면과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편과 이 고정편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봉 및 이 돌출봉의 선단에 부착되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문짝측 스토퍼와, 경첩부착 문틀의 문짝열림방향면에 고정되며 문짝측 스토퍼의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가지는 문틀측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짝을 열 때 문짝을 일정한 열림각도로 구속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문짝이 스스로 닫히는 일이 없으며, 벽체와 문짝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문짝이 열린 상태에서 문짝과 벽체 사이의 간격이 10cm이상 이경된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미관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설치된 문짝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적용된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적용된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문틀측 스토퍼의 평면도, 도 6은 문짝측 스토퍼의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7은 문틀측 스토퍼의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8은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9는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 도 9에서 "1"은 문짝이고, "2"는 경첩부착문틀이며, "3"은 문짝(1)의 경첩부착면(1a)과 문틀(2)의 경첩부착면(2a) 사이에 결합되는 경첩이고, "4"는 도어록이며, "5"는 닫힌 상태의 문짝(1)과 평행한 벽체이고, "6"은 닫힌 상태의 문짝(1)과 직각을 이루는 벽체이다.
상기 경첩(3)은 등록실용신안 제423689호와 같은 소위 이지경첩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측 스토퍼(100)와 문틀측 스토퍼(200)로 구성된다.
상기 문짝측 스토퍼(100)는 문짝(1)의 경첩부착면(1a)과 문짝열림방향면(1b)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편(110)과, 상기 고정편(110)에 고정되어 문짝(1)의 문짝열림방향면(1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봉(120)과, 상기 돌출봉(120)의 선단에 부착되는 걸림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측 스토퍼(200)는 상기 경첩부착 문틀(2)의 문짝열림방향면(2b)에 고정되는 고정편(210)과, 상기 고정편(210)의 가장자리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짝(1)이 열렸을 때 상기 걸림부재(130)가 삽입되는 걸림홈(230)을 형성하는 주벽편(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짝측 스토퍼(100)의 고정편(110)은 문짝(1)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에서 절곡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절곡, 돌출되는 돌출부(116)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1)는 문짝(1)의 경첩부착면(1a) 또는 문짝열림방향면(1b)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하나의 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문짝(1)의 경첩부착 면(1a)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112)와, 상기 제1 고정부(11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문짝(1)의 문짝열림방향면(1b)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114)와, 상기 제2 고정부(114)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절곡, 돌출되는 돌출부(11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에는 이들을 각각 경첩부착면(1a)과 문짝열림방향면(1b)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S1,S2)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113,1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S1,S2)는 접시머리나사를 사용하고, 나사관통공(113,115)은 카운터 싱킹 보어(Counter Sinking Bore)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16)는 단순히 하나의 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자체 탄성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제2 고정부(114)에서 경첩부착면(1a)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117)와, 상기 경사부(117)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절곡되어 문짝열림면(1b)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직각부(118)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각부(118)에는 상기 돌출봉(1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1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9)은 상기 고정편(110)에 대한 돌출봉(12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봉(120)은 단순히 그 일단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이 나사공에 상기 결합공(119)을 통해 관통되는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편(110)의 직각부(118)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결합공(119)에 관통되는 나사부(122)와, 이 나사부(122)의 일단에 결합공(119)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머리부(123)를 가지는 나사봉(121)과, 상기 고정편(110)의 직각부(118)를 사이에 두고 머리부(123)와 반대측에서 나사부(122)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25)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123)에는 드라이버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30)는 상기 돌출봉(120)의 나사부(12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34)를 가지는 걸림볼(131)과, 상기 나사부(122)에 나사체결되어 걸림볼(131)에 밀착되는 풀림방지너트(135)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볼(131)은 단순히 볼부(132)만으로 형성하고, 이 볼부(132)에 상기 암나사부(134)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볼부(132)에 돌출봉(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33)를 형성하여 이 연장부(133)에 상기 암나사부(1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풀림방지너트(135)는 연장부(133)의 선단면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134)는 연장부(133)에만 형성하거나 볼부(132)와 연장부(133)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문틀측 스토퍼(200)의 고정편(210)은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문틀측 스토퍼(200)를 문틀(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S3)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S3)는 접시머리나사를 사용하고, 나사관통공(211)은 카운터 싱킹 보어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관통공(211)은 문틀(2)에 대한 문틀측 스토퍼(200)의 고정 위 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벽편(220)은 단순한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슬릿(221)에 의해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탄성벽편(222)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주벽편의 외면을 슬릿(221) 형태로 절개하여 등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탄성벽편(222)을 형성하여 문짝측 스토퍼(100)의 볼부(132)가 주벽편 내의 걸림홈(230)으로 끼워지거나 빠져나갈 때 탄성벽편이 탄력적으로 동작하면서 보다 원활하고 부드럽게 볼부가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벽편(222)의 내주면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홈(230)에 대한 상기 걸림볼(131)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안내면(2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나사부(122)와 고정너트(125)를 이용하여 고정편(110)의 돌출부(116)에 돌출봉(120)을 결합하고, 나사부(122)와 걸림볼(131)의 암나사부(134)를 이용하여 걸림볼(131)을 돌출봉(120)에 결합하여 문짝측 스토퍼(100)를 조립하고, 고정나사(S1,S2)를 이용하여 문짝측 스토퍼(100)를 문짝(1)에 설치함과 아울러 고정나사(S3)를 이용하여 문틀측 스토퍼(200)를 문틀(2)에 설치한다.
문짝측 스토퍼(1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고정편(110)을 형성하는 돌출부(116)의 직각부(118)의 결합공(119)에 돌출봉(120)을 형성하는 나사봉(121)의 나사부(122)를 관통시키고, 이 나사부(122)에 고정나사(125)를 체결하여 직각부(118)의 양측면에 나사봉(121)의 머리부(123)와 고정나사(125)가 밀착되면서 돌출봉(120)이 고정편(110)의 직각부(118)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 다음, 나사봉(121)의 나사부(122)에 풀림방지너트(135)를 나사결합하고, 나사봉(121)의 나사부(122)의 선단부에 걸림볼(131)의 암나사부(134)를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다시 풀림방지너트(135)를 풀림방향으로 돌려서 풀림방지너트(135)가 걸림볼(131)의 연장부(133)에 밀착되도록 하여 걸림볼(131)이 나사부(122)에서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문짝측 스토퍼(100)를 문짝(1)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고정나사(S1,S2)를 각각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4)의 나사관통공(113,115)에 관통시켜 문짝(1)의 경첩부착면(1a)과 문짝열림방향면(1b)에 체결하여 고정부(111)를 문짝(1)에 고정 설치한다.
문틀측 스토퍼(200)를 문틀(2)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고정나사(S3)를 고정편(210)의 나사관통공(211)에 관통시켜 문틀(2)에 체결하여 고정편(210)을 문틀(2)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문짝측 스토퍼(100)와 문틀측 스토퍼(200)의 상대 위치에 따라 직각부(118)에 대한 나사봉(121)의 고정 위치와, 문틀(2)에 대한 문틀측 스토퍼(2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한다.
직각부(118)에 대한 나사봉(121)의 고정 위치 조절은 나사봉(121)을 장공으로 형성된 결합공(119)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나사부(122)에 고정너트(12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문틀(2)에 대한 문틀측 스토퍼(200)의 설치 위치 조절은 나사관통공(211)에 관통하여 문틀(2)에 체결된 고정나사(S3)를 기준으로 문틀측 스토퍼(200)를 나사관통공(211)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S3)를 조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1)이 닫힌 상태에서 문짝(1)을 열 면, 문짝(1)에 고정 설치된 문짝측 스토퍼(100)가 문짝(1)과 함에 경첩(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던 문짝측 스토퍼(100)의 돌출봉(120)과 걸림부재(130)가 문틀측 스토퍼(200)를 향하게 되며, 문짝(1)이 완전히 열리게 되면,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볼(131)의 볼부(132)가 문틀측 스토퍼(200)의 주벽편(220)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23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문틀측 스토퍼(200)의 주벽편(220)은 슬릿(221)에 의해 복수개의 탄성벽편(222)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탄성벽편(222)에는 경사안내면(2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홈(230)에 대한 볼부(132) 진입 초기에는 볼부(132)가 경사안내면(223)과 접촉하여 탄성벽편(222)을 벌리면서 진입하게 되고, 걸림홈(230)에 대한 볼부(132)의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되면 벌어져 있던 탄성벽편(222)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복원하게 되어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볼(131)의 볼부(132)는 문틀측 스토퍼(200)의 걸림홈(230)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되어 열린 문짝(1)이 임의로 닫히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열림 과정에서 문짝(1)의 문짝열림방향면(1b)이 타물체(예컨대 종래의 도어스토퍼)에 부딪히는 일이 없게 되어 충격이 완화되고, 문짝(1)과 벽체(6)가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되면서도 열린 문짝이 스스로 닫히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열린 상태의 문짝(1)과 벽체(6) 사이의 간격(C)이 10cm이상 이격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1)에 열린 상태에서 문짝(1)을 닫으 면, 문짝(1)에 고정 설치된 문짝측 스토퍼(100)가 문짝(1)과 함께 경첩(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문틀측 스토퍼(200)의 걸림홈(230)에 걸려 있던 걸림볼(131)의 볼부(132)가 빠져나오게 되고, 문짝(1)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봉(120)과 걸림부재(130)가 문짝열림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걸림홈(230)에 걸려 있던 볼부(132)가 빠져 나오기 시작할 때에는 볼부(132)가 탄성벽편(222)을 벌리면서 빠져나오게 되고, 볼부(132)가 걸림홈(23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벌어져 있던 탄성벽편(222)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복원하게 된다.
문짝(1)이 닫힌 상태에서 벽체(6)에서 돌출되는 부재가 없으므로 미관개선의 효과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토퍼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설치된 문짝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적용된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스토퍼가 적용된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문틀측 스토퍼의 평면도,
도 6은 문짝측 스토퍼의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7은 문틀측 스토퍼의 설치상태 횡단면도,
도 8은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9는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종래 도어스토퍼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11은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짝 1a : 경첩부착면
1b : 문짝열림방향면 2 : 문틀
100 : 문짝측 스토퍼 110 : 고정편
120 : 돌출봉 130 : 걸림부재
200 : 문틀측 스토퍼 210 : 고정편
220 : 주벽편 230 : 걸림홈

Claims (4)

  1. 문짝(1)의 경첩부착면(1a)과 문짝열림방향면(1b)에 고정되어 문짝열림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편(110)과, 상기 고정편(110)에 고정되어 문짝(1)의 문짝열림방향면(1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봉(120)과, 상기 돌출봉(120)의 선단에 부착되는 걸림부재(130)를 가지는 문짝측 스토퍼(100)와;
    상기 경첩부착 문틀(2)의 문짝열림방향면(2b)에 고정되는 고정편(210)과, 상기 고정편(210)의 가장자리에서 문짝열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짝(1)이 열렸을 때 상기 걸림부재(130)가 삽입되는 걸림홈(230)을 형성하는 주벽편(220)을 가지는 문틀측 스토퍼(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1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19)은 상기 돌출봉(12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30)는 상기 돌출봉(120)의 나사부(12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34)를 가지는 걸림볼(131)은 볼부(132)와, 상기 볼부(132)에 돌출봉(120)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33)로 구성되며, 상기 암나사부(134)는 상기 볼부(132)의 일부와 연장부(133)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측 스토퍼(200)의 고정편(21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장공인 나사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주벽편(220)은 그 외면으로 슬릿(221)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슬릿에 의하여 탄성벽편(222)이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벽편(222)의 내주면 선단부에는 걸림홈(230)으로 끼워지는 걸림볼(131)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안내면(2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
KR1020080008010A 2008-01-25 2008-01-25 도어스토퍼 KR10098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10A KR100983099B1 (ko) 2008-01-25 2008-01-25 도어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010A KR100983099B1 (ko) 2008-01-25 2008-01-25 도어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72A KR20090081872A (ko) 2009-07-29
KR100983099B1 true KR100983099B1 (ko) 2010-09-28

Family

ID=4129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010A KR100983099B1 (ko) 2008-01-25 2008-01-25 도어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913A (zh) * 2011-10-12 2012-04-11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新型限位固定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9797B (en) * 2010-04-24 2015-09-30 Jeff Thompson Doorstop
KR101323844B1 (ko) * 2012-08-21 2013-11-08 전병화 창호 오픈 스토퍼용 고정구
KR101876893B1 (ko) * 2018-03-20 2018-08-07 윤이용 드레스룸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68Y1 (ko) * 1982-08-13 1983-12-23 김진성 감합 고정구가 형성된 경첩
US6629335B1 (en) 2002-02-04 2003-10-07 Jay S. Derman Adjustable grip, clasping device
US20060021191A1 (en) 2004-03-22 2006-02-02 Wen-Shown Huang Buffering device for a door
KR100689999B1 (ko) 2006-11-29 2007-03-08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도어의 개방 충격흡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968Y1 (ko) * 1982-08-13 1983-12-23 김진성 감합 고정구가 형성된 경첩
US6629335B1 (en) 2002-02-04 2003-10-07 Jay S. Derman Adjustable grip, clasping device
US20060021191A1 (en) 2004-03-22 2006-02-02 Wen-Shown Huang Buffering device for a door
KR100689999B1 (ko) 2006-11-29 2007-03-08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도어의 개방 충격흡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913A (zh) * 2011-10-12 2012-04-11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新型限位固定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72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099B1 (ko) 도어스토퍼
US20110232029A1 (en) Adjustable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US20150224858A1 (en) Automobile door structure
US10865593B2 (en) Door guard assembly
KR100693352B1 (ko) 도어 자석 스토퍼
US20150096258A1 (en) Door assembly
US10253525B2 (en) Lock plate for spring lock
GB2546327A (en) Security cowl and fixing
KR101947953B1 (ko) 록킹홈 크기 조절이 가능한 래치볼트유도편 무돌출 매립형 스트라이크
KR20080093403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문짝 고정 구조물
EP3676469B1 (en) Swing bar door guard
KR102127069B1 (ko)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09863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TW201631249A (zh) 管形插銷門擋元件
KR20090004785U (ko) 도어록의 스트라이크
KR101754594B1 (ko) 피봇힌지 보안 모듈
JP6034594B2 (ja) 戸当り
KR200180171Y1 (ko) 목재문틀용 도어캐치
JP3098207B2 (ja) 引き戸用ストッパ装置
JP4861205B2 (ja) ストライク穴調整機構
EP4350114A1 (en) Coupling device for an openable element
JP4646817B2 (ja)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200316918Y1 (ko) 출입문용 끼임 방지구
JP6689129B2 (ja) 定規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