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75B1 -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 Google Patents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75B1
KR100982975B1 KR1020100005022A KR20100005022A KR100982975B1 KR 100982975 B1 KR100982975 B1 KR 100982975B1 KR 1020100005022 A KR1020100005022 A KR 1020100005022A KR 20100005022 A KR20100005022 A KR 20100005022A KR 100982975 B1 KR100982975 B1 KR 10098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locking member
space
locking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잠금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맨홀은 맨홀 본체, 맨홀 덮개 및 제 1 잠금 부재 및 제 2 잠금 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 본체에는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공간 및 상기 제 1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공간과 마주보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공간 내로 수용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2 공간 내로 수용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 내에서 움직이면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 상태로부터 이탈된다.

Description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LOCKING DEVICE FOR REALIZING STABLY LOCKING FUNCTION AND MAN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관리자의 부주의시에도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들의 설치, 보수 및 관리를 위한 아래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많은 맨홀들이 존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잠금 장치를 가지는 맨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100)는 지중에 매설되고, 맨홀 덮개(100)가 맨홀 본체(100) 중 지지부(110) 상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잠금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서 누구든지 맨홀을 임의로 개방할 수 있어서 케이블 도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이 등장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맨홀 덮개(302)에는 잠금 장치(30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은 잠금 장치(304)를 통하여 잠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잠금 장치(304) 중 상부로 노출된 부분(310)을 특정 방향, 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돌림에 의해 상기 맨홀을 잠그고 반대 방향으로 돌림에 의해 잠금을 해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맨홀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맨홀의 설치 및 보수 등의 과정에서 부주의로 상기 맨홀을 잠그는 것을 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잠글때 까지는 무방비로 방치될 수 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맨홀의 관리 권한이 없는 타인이 상기 맨홀을 임의로 개방하여 케이블 등을 절도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관리자의 부주의시에도 잠금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은 맨홀 본체; 맨홀 덮개; 및 제 1 잠금 부재 및 제 2 잠금 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 본체에는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공간 및 상기 제 1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공간과 마주보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공간 내로 수용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2 공간 내로 수용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 내에서 움직이면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 상태로부터 이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잠그는 잠금 장치는 제 1 잠금 부재; 및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제 2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잠금 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맨홀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 1 헤드부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의 폭은 상기 제 1 몸체부의 폭보다 넓고, 상기 이탈 방지부의 폭은 상기 제 1 몸체부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탄성체 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 2 몸체부의 폭보다 넓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에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 1 잠금 부재가 맨홀 덮개 위로 노출되고, 외부에서 차량 등이 상기 제 1 잠금 부재를 누르면 상기 맨홀이 자동으로 잠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관리자의 부주의로 상기 맨홀을 잠그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맨홀이 차량 등에 의해 자동으로 잠길 수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고 케이블 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잠금 장치를 가지는 맨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400)은 맨홀 본체(410), 맨홀 덮개(412) 및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414)를 포함한다.
맨홀 덮개(412)는 맨홀 본체(410) 위로 놓여서 맨홀(400)을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잠금 장치(414)는 맨홀 본체(410)와 결합된 상태로 맨홀(400)을 잠그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잠금 장치(414)의 구조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맨홀 본체(410)에는 제 1 공간(522) 및 제 2 공간(524)이 형성되고, 맨홀 덮개(412)의 측면에는 홈(526)이 형성된다.
제 1 공간(522)은 맨홀 본체(4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맨홀 본체(410)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공간(524)은 제 1 공간(522)과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제 1 공간(522)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공간(524)의 양종단부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공간(522)은 제 1 서브 공간(522A)과 제 1 서브 공간(522A)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제 2 서브 공간(522B)으로 이루어진다.
제 2 공간(5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구조, 즉 도 5에서 좌측 공간의 폭이 우측 공간의 폭보다 더 좁게 구현된다. 구체적으로는, 맨홀 본체(410) 중 제 2 공간(524)에 해당하는 상부 부분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하부 부분은 상기 상부 부분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진다. 즉, 제 2 공간(524)에 해당하는 맨홀 본체(410)의 측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5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공간(524)은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맨홀 덮개(412)의 홈(526)과 마주보도록 구현된다.
이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맨홀 본체(410)에 잠금 장치(414)가 결합되는 구조 및 잠금 과정을 살펴보겠다.
우선, 잠금 장치(414)의 구성을 살펴보면, 잠금 장치(414)는 제 1 잠금 부재(500), 제 2 잠금 부재(502) 및 탄성 부재(504)를 포함한다.
제 1 잠금 부재(500)는 맨홀 본체(410)의 제 1 공간(522)으로 수용되며, 제 1 헤드부(510A), 제 1 몸체부(510B) 및 이탈 방지부(510C)로 이루어진다.
제 1 헤드부(510A)는 잠금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간(522)으로 수용되고, 잠금 해제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본체(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헤드부(510A)의 폭은 제 1 몸체부(510B)의 폭보다 넓게 구현되며, 그 결과 제 1 헤드부(510A)가 제 1 공간(522) 내에서 하강하면 제 2 잠금 부재(50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1 헤드부(510A)에는 맨홀 본체(410)의 상부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홀(514)이 형성된다. 여기서, 홀(514)은 잠금 해제 동작에 사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1 몸체부(510B)는 제 1 헤드부(510A)로부터 길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헤드부(510A)와 제 1 몸체부(510B)의 연결 부분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 형상(곡선 형상)을 가지고 구현된다.
이탈 방지부(510C)는 제 1 공간(522) 중 제 2 서브 공간(522B)으로 수용되며, 맨홀(4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제 1 잠금 부재(500)를 외부로 잡아당길 때 제 1 잠금 부재(5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탈 방지부(510C)의 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공간(522A)의 폭보다 넓게 구현된다.
제 2 잠금 부재(502)를 살펴보면, 제 2 잠금 부재(502)는 제 2 공간(524)으로 수용되며, 제 2 헤드부(512A), 탄성체 지지부(512B) 및 제 2 몸체부(512C)로 이루어진다.
제 2 헤드부(51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잠금 부재(500)와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잠금 부재(500)가 제 1 공간(522) 내에서 하강하면, 제 1 잠금 부재(500)로부터 제 2 헤드부(512A)에 힘이 가해지게 되며, 그 결과 제 2 잠금 부재(502)가 제 2 공간(524) 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헤드부(512A)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 형상(곡선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제 1 잠금 부재(500)가 제 1 공간(522) 내에서 하강하면, 제 2 잠금 부재(502)는 제 2 공간(524) 내에서 자연스럽게 맨홀 본체(410)의 측면 방향(도 5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A 부분이 각기 유선형 형상으로 구현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유선형 형상만큼 자연스럽게 잠금 부재들(500 및 502)이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A부분은 유선형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몸체부(512C)는 제 2 공간(524) 중 좁은 공간(돌출부들(5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몸체부(512C) 상에는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504), 예를 들어 스프링이 결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504)는 제 2 잠금 부재(502) 중 탄성체 지지부(512B)와 맨홀 본체(410) 중 돌출부들(54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잠금 부재(502)가 탄성체 지지부(512B) 없이 제 2 헤드부(512A)와 제 2 몸체부(512C)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성 부재(504)는 제 2 헤드부(512A)와 돌출부들(54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탄성 부재(504)가 설치되면, 제 2 잠금 부재(50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504)가 돌출부들(5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5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될 수 있다.
이하, 맨홀(400)의 잠금 과정 및 잠금 해제 과정을 살펴보겠다.
맨홀(400)의 잠금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제 1 잠금 부재(500)를 누르면 제 1 잠금 부재(500)가 제 1 공간(522) 내에서 하강한다.
이 경우, 제 1 잠금 부재(500) 중 제 1 헤드부(510A)가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제 2 잠금 부재(502)의 제 2 헤드부(512A)에 힘을 가하게 된다. 특히, 제 1 잠금 부재(500) 중 제 1 헤드부(510A)와 제 1 몸체부(510B) 사이의 연결 부분이 유선형이고 제 2 잠금 부재(502) 중 제 2 헤드부(512A)가 유선형 형태로 구현되므로, 제 1 잠금 부재(500)가 하강하면 제 2 잠금 부재(502)에 자연스럽게 힘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제 2 잠금 부재(502)가 제 2 공간(524) 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제 2 잠금 부재(502)의 제 2 몸체부(512C)의 종단이 맨홀 덮개(412)의 홈(526) 내로 삽입되어 맨홀(400)이 잠가기게 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504)가 돌출부들(5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504)의 탄성력이 제 2 잠금 부재(502) 중 제 2 헤드부(512A)를 매개로 하여 제 1 잠금 부재(500)의 제 1 헤드부(512A)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잠금 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고정 수단이 없어도 탄성 부재(50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공간(522)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맨홀(400)은 관리자가 제 1 잠금 부재(50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잠가지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맨홀(400)의 잠금 해제 과정을 살펴보면, 관리자는 지렛대 등과 같은 특정 기구를 제 1 잠금 부재(500)의 제 1 헤드부(510A)에 형성된 관통홀(514)에 삽입하고, 제 1 잠금 부재(500)를 외부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경우, 제 1 잠금 부재(500)가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그 결과 제 2 잠금 부재(50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물론, 제 1 잠금 부재(500)는 이탈 방지부(510C)로 인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탈 방지부(510C)를 수용하는 제 2 서브 공간(522B)은 이탈 방지부(510C)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 1 헤드부(510A)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질 것이다.
또한, 제 1 헤드부(510A)에 관통홀(514)을 형성하여 관리자가 제 1 잠금 부재(500)를 상부로 잡아올릴 수 있도록 구현하였지만, 관통홀(514)의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관리자가 힘을 가하여 제 1 잠금 부재(500)를 상부로 잡아당길 수 있는 한 손잡이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맨홀(400)에서는, 관리자가 제 1 잠금 부재(500)를 상부에서 누름에 의해 제 2 잠금 부재(502)가 잠금 동작을 수행하여 맨홀(400)이 잠가기게 된다. 특히, 탄성 부재(502)의 탄성력에 의해 맨홀(400)이 잠긴 상태에서 제 1 잠금 부재(500)가 맨홀 본체(410)의 제 1 공간(522) 내에 유지되므로, 잠금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들이 필요하지 않다. 즉, 잠금 장치(414)의 구성이 간단하고 잠금 및 잠금 해제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치(414)를 설치 및 보수하는 등의 과정에서 맨홀(400)을 잠그는 것을 잊을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잠금 장치를 사용하는 맨홀에서는 관리자가 이 사실을 알기 전까지는 상기 맨홀을 그 상태로 방치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맨홀(400)은 관리자의 부주의시에도 자동으로 잠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맨홀(400)이 잠기지 않은 경우에 제 1 잠금 부재(500)가 맨홀 본체(410)의 상부 표면 위로 돌출되게 되며, 그 결과 주행하는 차량 등이 맨홀(400) 위로 주행할 때 제 1 잠금 부재(500)가 눌러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맨홀(400)은 위에 상술한 동작 과정으로 잠가지게 되며, 즉 본 발명의 맨홀(400)은 관리자의 부주의시에도 자동으로 안전하게 잠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맨홀 본체(410) 중 맨홀 덮개(412)를 지지하는 지지부(520)의 둘레를 따라서 링(Ring, 532)이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지지부(520) 상에 홈(530)이 형성되고, 링(532)이 홈(530) 위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532)은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속이 비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맨홀 덮개(412) 중 링(532)과 접촉하는 부분은 테이퍼(taper) 처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부 충격에 따른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맨홀(400)이 도로 위에 설치되면, 차량에 의해 맨홀(40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맨홀 덮개(412)를 통하여 맨홀 본체(410)로 가해지는 힘이 링(532)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맨홀 덮개(412)의 종단이 테이퍼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외부 충격에 따라 링(532)이 탄성력을 발생시켜 맨홀 덮개(412)가 위로 튀어 올라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맨홀 덮개(412)의 종단에 테이퍼 처리가 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링(532)이 맨홀 덮개(412)에 직접적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테이퍼된 부분을 따라서 밀려나게 되며, 그 결과 맨홀 덮개(412)가 튀어오르지 않거나 작게 튀어오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한 맨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맨홀(400)은 맨홀 본체(410), 맨홀 덮개(412) 및 잠금 장치(4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맨홀 본체(410) 중 제 1 잠금 부재(700)의 이탈 방지부를 수용하는 공간(710)이 제 1 실시예에서와 다르다.
이탈 방지부(510C)를 수용하는 공간(522B)이 밀폐형이었던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710) 중 우측 종단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다만, 공간(710)의 개방 부분에 패킹 부재(712)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 부재(712)는 맨홀 본체(4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고무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400)을 도로 등에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공간(710)으로 물이 침투하게 되고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 경우, 관리자는 패킹 부재(712)를 개방하여 물을 제거하거나 공간(710)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00 : 맨홀 410 : 맨홀 본체
412 : 맨홀 덮개 414 : 잠금 장치
500 : 제 1 잠금 부재 502 : 제 2 잠금 부재
504 : 탄성 부재 532 : 링
712 : 패킹 부재

Claims (12)

  1. 맨홀 본체;
    맨홀 덮개; 및
    제 1 잠금 부재 및 제 2 잠금 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맨홀 본체에는 상기 맨홀 본체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공간 및 상기 제 1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공간과 마주보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공간 내로 수용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2 공간 내로 수용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 내에서 움직이면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 삽입되거나 삽입 상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제 1 헤드부;
    상기 제 1 헤드부와 연결된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종단에 연결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제 2 헤드부;
    상기 제 2 헤드부와 연결된 탄성체 지지부; 및
    상기 탄성체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제 2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몸체부 상에는 탄성 부재가 결착되고, 상기 제 1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 1 몸체부로 연결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헤드부 중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부는 상기 제 1 몸체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 2 공간에서 측면 공간이 내부 공간보다 더 좁아지도록 상기 맨홀 본체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 2 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탄성체 지지부와 상기 돌출부들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 내에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잠금 부재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2 잠금 부재의 종단이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은 제 1 서브 공간 및 상기 제 1 공간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 2 서브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잠금 부재 중 상기 제 1 헤드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제 1 서브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 2 서브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폭은 상기 제 1 서브 공간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상기 맨홀 본체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서브 공간 중 개방된 부분에는 패킹 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패킹 부재는 상기 제 2 서브 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부 중 일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되,
    특정 기구를 상기 관통홀에 삽입하여 상기 제 1 잠금 부재를 상기 맨홀 본체의 외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 2 잠금 부재가 상기 맨홀 덮개의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본체 중 상기 맨홀 덮개가 놓여지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링이 배열되고, 상기 맨홀 덮개 중 상기 링과 접촉하는 부분은 테이퍼 처리되어 있되,
    상기 링의 속은 비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맨홀.
  8. 맨홀을 잠그는 잠금 장치에 있어서,
    제 1 헤드부, 상기 제 1 헤드부와 연결된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종단에 연결된 이탈 방지부를 가지는 제 1 잠금 부재; 및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제 2 잠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잠금 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맨홀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 1 헤드부의 일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의 폭은 상기 제 1 몸체부의 폭보다 넓고, 상기 이탈 방지부의 폭은 상기 제 1 몸체부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탄성체 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 2 몸체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잠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제 2 헤드부;
    상기 제 2 헤드부와 연결된 탄성체 지지부; 및
    상기 탄성체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 2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몸체부 상에는 탄성 부재가 결착되고, 상기 제 1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 1 몸체부로 연결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헤드부 중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은 유선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잠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맨홀 본체의 제 1 공간 내로 수용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맨홀 본체 중 상기 제 1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공간 내에 배열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공간 내에서 상기 탄성체 지지부 및 상기 맨홀 본체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제 1 공간에서 하강함에 의해 상기 제 2 잠금 부재가 상기 제 2 공간 내에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 1 잠금 부재가 상기 맨홀 본체의 제 1 공간 내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 2 잠금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1 잠금 부재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잠금 장치.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잠금 시에는 상기 제 2 잠금 부재의 제 2 헤드부가 상기 제 1 잠금 부재의 제 1 헤드부와 접촉되며, 상기 맨홀의 잠금 해제 시에는 상기 제 2 헤드부가 상기 제 1 잠금 부재의 제 1 몸체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잠금 장치.
KR1020100005022A 2010-01-20 2010-01-20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KR10098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22A KR100982975B1 (ko) 2010-01-20 2010-01-20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22A KR100982975B1 (ko) 2010-01-20 2010-01-20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975B1 true KR100982975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22A KR100982975B1 (ko) 2010-01-20 2010-01-20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18B1 (ko) * 2013-08-23 2014-10-01 주식회사 대창 잠금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맨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694U (ko) * 1974-09-14 1976-03-26
JPH0493423A (ja) * 1990-08-08 1992-03-26 Nejino Mizutani:Kk 施錠装置
KR20010001128U (ko) * 1999-06-25 2001-01-15 손형순 맨홀용 뚜껑의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694U (ko) * 1974-09-14 1976-03-26
JPH0493423A (ja) * 1990-08-08 1992-03-26 Nejino Mizutani:Kk 施錠装置
KR20010001128U (ko) * 1999-06-25 2001-01-15 손형순 맨홀용 뚜껑의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18B1 (ko) * 2013-08-23 2014-10-01 주식회사 대창 잠금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75B1 (ko) 안정적으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KR100968785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880208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102395857B1 (ko) 톱니 회전가압식 잠금기능을 갖는 밀폐형 속뚜껑장치
KR101480757B1 (ko) 해저케이블 배전선로의 안전구조
KR100796622B1 (ko) 맨홀 뚜껑의 이탈방지 구조
KR20070000106U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CN205960329U (zh) 充电插头和包括该充电插头的充电桩
KR101515997B1 (ko) 맨홀 뚜껑 조립체
CN109038033B (zh) 一种保护插座
KR101087555B1 (ko) 수밀 기능을 가지는 맨홀 및 이에 포함되는 속뚜껑 구조물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1487767B1 (ko) 맨홀뚜껑 잠금 장치
KR101288401B1 (ko) 맨홀 뚜껑 잠금장치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JP2010236199A (ja) ロック装置
KR101098157B1 (ko)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하며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KR101778288B1 (ko) 잠금식 맨홀뚜껑
KR20110107509A (ko)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맨홀
KR101087556B1 (ko) 최초 설치로 맨홀 목의 높이 조절이 영구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및 틀 장치
KR100712408B1 (ko) 경사형 잠금장치 맨홀
KR101420062B1 (ko) 볼라드
JP3162724U (ja) 共同溝のグレーチング蓋旋錠装置
KR100734937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1086181B1 (ko) 도로 굴착없이 구형 맨홀 뚜껑의 교체가 가능한 다기능 맨홀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