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12B1 -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 Google Patents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12B1
KR100981712B1 KR1020100028212A KR20100028212A KR100981712B1 KR 100981712 B1 KR100981712 B1 KR 100981712B1 KR 1020100028212 A KR1020100028212 A KR 1020100028212A KR 20100028212 A KR20100028212 A KR 20100028212A KR 100981712 B1 KR100981712 B1 KR 10098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rizontal
vertical
hang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선
김동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전력 주식회사, (주)클립이엔지 filed Critical 대덕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Abstract

배전케이블 풀링 공정에서 사용되는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구의 행거에 직접 설치되는 배전케이블 롤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직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지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개폐롤러; 및 상기 개폐롤러가 상기 수직롤러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CABLE GUIDE ROLLER FOR HANGER}
본 발명은 배전케이블 풀링 공정에서 사용되는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구의 행거에 직접 설치되는 배전케이블 롤러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설비는 가공설비에 비해 전력의 안정공급 및 공급신뢰도 향상, 도시환경미화 등의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하여, 매년 지중배전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중전력구는 지하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지상과 소통할 수 있는 수직구로 연결되어 있다. 지중전력구의 내부에 배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배전케이블을 수직구를 통해 진입시켜 지중전력구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을 풀링(PULLING) 작업이라고 한다.
배전케이블은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고, 통상 한번에 시공되는 배전케이블의 길이는 300m 정도이다. 드럼 상태로 지중전력구 내부로 이동시켜 내부에서 배전케이블을 풀어서 설치한다면 작업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드럼의 크기와 배전케이블의 부피가 커서 수직구를 통해 드럼 상태로 배전케이블을 운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드럼은 지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배전케이블을 풀면서 지중전력구로 끌어당기는 풀링 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이 순수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 방식이 배전케이블을 먼저 전력구 바닥에 놓은 후, 다시 행거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이는 작업자의 이동 공간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나 배전케이블을 행거로 들어올리는 작업은 수백m에 달하는 배전케이블을 들어올려야 하는 것으로 안전사고 발생이 많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풀링 작업시에 배전케이블이 설치될 행거에 직접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를 제공하여, 케이블 풀링 작업 후 배전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행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전력구 내부의 행거에 직접 설치될 수 있는 배전케이블 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행거의 형태에 관계없이 '│'자형 행거와 'ㄱ'자형 행거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 배전케이블 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직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지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개폐롤러; 및 상기 개폐롤러가 상기 수직롤러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행거의 두께에 대응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직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지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개폐롤러; 상기 개폐롤러가 상기 수직롤러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수직롤러의 상단에 상기 수평롤러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상단롤러;를 포함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개폐롤러의 지지축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부를 구비하는 수평판부; 상기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평홈을 형성하는 수평보조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에 상기 수직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보조판부; 및 상기 수평보조판부 및 상기 수직보조판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폐롤러와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부는 그 폭이 수평판부 폭의 25~60% 범위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는 행거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는 일측에 개폐가능한 개폐롤러를 구비하여 풀링 작업후 배전케이블을 용이하게 행거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는 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고, 행거의 외측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프레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사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사시도로, 도 1은 개폐롤러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개폐롤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100)는 전력구 행거에 고정되어 풀링 작업시 배전케이블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는 행거는 '│'자형 단면을 가지는 타입과 'ㄱ'자형 단면을 가지는 타입의 2가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두가지 종류의 행거에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100)는 행거에 고정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3개의 롤러는 수평롤러(120), 수직롤러(130), 개폐롤러(140)인데, 각각의 롤러는 모두 지지축(122, 132, 142)과, 원통형상의 롤러체(124, 134, 144)와, 상기 롤러체(124, 134, 144)와 지지축(122, 132, 142)의 사이에 개지되어 회전을 용이하게 베어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수평롤러(120)는 프레임(1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롤러(130)는 상기 수평롤러(1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개폐롤러(140)는 상기 수평롤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122, 132, 142)들은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특히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은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는 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여기서 전방은 배전케이블의 이동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롤러(140)가 측방으로 개폐되면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행거와 간섭하게 되기 때문이다.
개폐롤러(140)를 개폐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은, 가이드롤러(100)에 수용된 배전케이블을 행거로 용이하게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100)의 프레임(110)은 '│'자형 행거와 결합하기 위한 수직홈(111a)와 'ㄱ'자형 행거와 결합하기 위한 수평홈(111b)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부(112a)를 구비하는 수평판부(112)와, 상기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평홈(111b)을 형성하는 수평보조판부(113)와, 상기 수평판부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에 상기 수직홈(111a)을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보조판부(114, 115)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프레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는 수평홈(111a)과 수직홈(111b)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홈(111a)과 수직홈(111b)에 행거가 결합된다.
프레임(110)과 행거의 고정을 견고히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보조판부(113)에는 이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16)이 구비된다. 수평홈(111b)을 'ㄱ'자형 행거의 수평부에 끼우고 상기 고정볼트(116)를 조여 행거에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수직보조판부 중 어느 하나에도 고정볼트(116)가 구비된다. 수평홈(111a)을 '│'자형 행거에 끼우고 상기 고정볼트(116)를 조여 행거에 프레임(11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개폐롤러(140)의 고정구조에 관하여 살펴본다.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은 프레임(110)에 힌지축(145)으로 연결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힌지축(145)과 결합된 지지축(142)의 상부에는 요홈(1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10)이 상기 지지축(142)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요홈(142a)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볼트(147)이 구비된다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을 세운 후, 체결볼트(147)가 상기 요홈(142a)에 삽입되도록 조이면, 개폐롤러(140)는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반대로 체결볼트(147)를 풀어 체결볼트(147)가 상기 요홈(142a)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지지축(142)은 다시 회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개폐롤러(140) 고정구조는 위쪽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110)만으로 개폐롤러(140)의 열림,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전체 가이드롤러(10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력구 내부에 복층으로 형성되는 행거는 각 단의 높이차가 20cm 이므로, 가이드롤러(100)의 높이는 이 보다 더 낮아야하고, 가이드롤러(100) 전체의 높이가 낮을수록 탈부착 작업이 용이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100)는 상부 구조물 없이 하부의 프레임과 3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전체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수평판부(112)의 연장부(112a)와 상기 개폐롤러(140)를 서로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12a)가 구비되는 부분이 행거의 외측에 고정되어 연장부(112a) 제외한 수평판부(112)가 행거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므로, 연장부(112a)가 형성된 측면에 위치하는 개폐롤러(140)가 행거의 안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풀링 작업 후 상기 개폐롤러(140)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젖혀 개방하고 이송된 배전케이블을 행거의 안쪽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행거에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장부(112a)의 폭은 수평판부(112) 전체폭의 25~6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12a)의 폭이 25% 미만이면 견고한 고정력을 얻기가 어렵고, 연장부의 폭이 60% 초과하면 행거에서 가이드롤러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져 작업성이 떨어진다.
하나의 행거에 복수개의 배전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는데, 가이드롤러(100)를 최대한 행거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행거 위에 배전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구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의 사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음에 반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는 상부에 상단롤러(1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롤러(150)도 다른 롤러들과 마찬가지로 고정된 지지축(152)과, 지지축(152)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롤러체(154)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는 지중전력구의 직선구간에 사용되는 것으로, 풀링 도중 배전케이블이 위쪽을 이탈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경량화를 위하여 3개의 롤러로 구성한 것이고,
제 2 실시예는 지중전력구의 곡선구간에 사용되는 것으로, 배전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롤러(15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상단롤러(150)의 지지축(152)은 수직롤러(130)의 지지축(132)과,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에 결합된다. 그런데, 개폐롤러(14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므로, 개폐롤러(140)의 지지축(142)과 상단롤러(150)의 지지축(150)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차이점 이외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각 롤러의 롤러체(124, 134, 144, 154)들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표면 경도가 낮아 금속재질의 와이어와 장시간 마찰될 경우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롤러체(124, 134, 144, 154)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열수축튜브를 구비할 수 있다. 열수축튜브는 가열되면 직경이 감속하는 성질을 가지는 관형상의 합성수지인데, 롤러체(124, 134, 144, 154)의 표면에 열수축튜브를 구비하면 롤러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수축튜브의 손상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는 협소한 전력구 행거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행거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일측의 롤러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풀링 작업 완료 후 배전케이블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행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프레임
120 : 수평롤러
130 : 수직롤러
140 : 개폐롤러
150 : 상단롤러

Claims (10)

  1.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평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수직롤러;
    상기 수평롤러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지지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베어링이 수납된 개폐롤러; 및
    상기 개폐롤러의 지지축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롤러가 상기 수직롤러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롤러, 상기 수직롤러 및 상기 개폐롤러 각각은,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으로 피복 형성되어 표면 마찰로 인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열수축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부를 구비하는 수평판부;
    상기 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평홈을 형성하는 수평보조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이에 상기 수직홈을 형성하는 한쌍의 수직보조판부;
    상기 수평보조판부 및 상기 수직보조판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폐롤러와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그 폭이 수평판부 폭의 25~6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28212A 2010-03-29 2010-03-29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KR10098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12A KR100981712B1 (ko) 2010-03-29 2010-03-29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12A KR100981712B1 (ko) 2010-03-29 2010-03-29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712B1 true KR100981712B1 (ko) 2010-09-10

Family

ID=4301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12A KR100981712B1 (ko) 2010-03-29 2010-03-29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866A (zh) * 2014-01-26 2014-04-16 宁波甬城配电网建设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装置
KR20200004116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동신일렉 간편 설치형 케이블 포설용 서포트 로울러
KR200492843Y1 (ko) * 2020-06-05 2020-12-18 이은상 케이블 이송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698Y1 (ko) * 1993-12-10 1996-03-30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지중케이블 포설용 가이더
KR200377705Y1 (ko) * 2004-12-08 2005-03-10 오성종합기술(주) 케이블 풀링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698Y1 (ko) * 1993-12-10 1996-03-30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지중케이블 포설용 가이더
KR200377705Y1 (ko) * 2004-12-08 2005-03-10 오성종합기술(주) 케이블 풀링 가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866A (zh) * 2014-01-26 2014-04-16 宁波甬城配电网建设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装置
KR20200004116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동신일렉 간편 설치형 케이블 포설용 서포트 로울러
KR102211083B1 (ko) * 2018-07-03 2021-02-02 주식회사 동신일렉 간편 설치형 케이블 포설용 서포트 로울러
KR200492843Y1 (ko) * 2020-06-05 2020-12-18 이은상 케이블 이송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841B1 (ko) 모멘트 방지 및 단상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전력구 행거 설치용 3상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KR100981712B1 (ko) 전력구 행거 설치용 배전케이블 가이드롤러
KR100978003B1 (ko) 차량 탑재형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CN209767053U (zh) 一种便于固定的电缆桥架
KR102007182B1 (ko) 전력 케이블 지지대
CN102278131A (zh) 隧道直径小于六米盾构施工用的管片运输装置及操作方法
CN204992429U (zh) 一种电缆拉敷装置
CN207475086U (zh) 积木式电缆输送机
CN210289196U (zh) 一种用于钢网架的可调节操作组件
WO2024077974A1 (zh) 一种伸缩式沿隧道钢拱架铺设线缆装置及使用方法
CN210266207U (zh) 一种地铁用组合支架
CN204167802U (zh) 一种便于携带的电缆输送设备
CN103032633B (zh) 轮式线缆单轨吊
CN114314157B (zh) 一种电缆放线牵拉装置
CN215185703U (zh) 一种用于电缆沟的电缆支撑架
CN202091743U (zh) 平板显示设备前维护拼屏架
CN109873367A (zh) 一种施工现场用的氧化镁电缆拉直校正工具及施工方法
CN104153690B (zh) 一种型材组角装置
CN211293405U (zh) 一种电力通信光缆网络监测用光缆固定夹
CN204809777U (zh) 背包式控制台走线结构
CN211642294U (zh) 一种水利工程用水管搬运架
CN202636291U (zh) 一种接驳式蚊帐支架
CN106284960A (zh) 简易附着式升降脚手架
CN111997388A (zh) 一种厂房建筑专用落地式卸料平台
CN204336765U (zh) 一种组合式镜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