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037B1 -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037B1
KR100980037B1 KR1020080051162A KR20080051162A KR100980037B1 KR 100980037 B1 KR100980037 B1 KR 100980037B1 KR 1020080051162 A KR1020080051162 A KR 1020080051162A KR 20080051162 A KR20080051162 A KR 20080051162A KR 100980037 B1 KR100980037 B1 KR 10098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eat plate
frame
rehabilitatio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768A (ko
Inventor
김헌섭
Original Assignee
김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섭 filed Critical 김헌섭
Priority to KR102008005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0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 혼자의 힘으로 하지재활훈련과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모터(M) 구동 이동바퀴(110)가 구비된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에 세워지는 포스트부(200)와; 포스트부(200)에 결합되는 테이블부(300)와; 포스트부(20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400)와;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를 연결하는 연결부(500)와; 베이스부(100)와 좌판부(400)를 연결하는 직선 왕복운동용 엑츄에이터(60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는, 하지마비 환자는 물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에도 혼자만의 힘으로 기립운동과 일상생활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마비, 재활, 기립, 하지, 마비, 휠체어

Description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Motor driven wheel chair for paraplegia patient's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이동바퀴가 구비된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한 테이블부와 좌판부가 구비되어 환자가 스스로 기립운동을 할 수 있고, 전동 휠체어와 같이 환자 스스로의 이동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앉은 자세 또는 기립한 자세에서 테이블을 이용하여 책을 읽는 등의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는 걷고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는데, 하지, 즉 다리가 마비된 환자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충분한 걷기나 운동 등이 부족함으로써 관절 연골이 경화되면서 관절의 운동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리의 근육도 수축 및 퇴화하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지속적이면서도 반복적인 다리운동을 하여야만 한다.
하지가 마비된 환자의 다리재활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장 평범하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단으로는 평행봉을 들 수 있는데, 평행봉은 하지마비 환자가 서로 평행한 두 평행봉을 양 손으로 각각 잡은 상태에서 평행봉을 따라 걷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가장 간단하고도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평행봉은 다리에 어느 정도의 근력이 있는 사람에게나 유효할 뿐, 다리가 완전히 마비된 환자가 사용하기는 어렵다.
즉 하지가 마비된 환자의 경우 다리근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자 혼자 일어나고 일정시간 일어선 상태를 유지하는 일어서기 운동이 우선 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일어서기 운동에 의해 다리의 기본적인 근력이 회복된 후에야 걷기 운동을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가 마비된 환자의 재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국내등록특허 제799098호에 "재활운동기구"가 게시되어 있는데, 이 기구는, 종아리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종아리 지지부, 허벅지를 수직·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허벅지 지지부, 허벅지 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 등으로 구성된 구조로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자동으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러나 상기 기구는 장시간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나 스스로 몸을 가눌 수 없는 중환자 등의 경우 누운 상태의 환자에게 최소한의 다리운동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누운 상태에서의 재활만이 가능할 뿐, 환자 스스로가 생활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치로는 적합치 않다.
상기와 달리 기립한 상태에서 걷기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8-10072호에 "보행훈련장치"가 게시되어 있는 바, 이 장치는, 보행훈련자가 누운 상태와 직립한 상태 사이에서 세워지는 정도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선 택된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보행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서기와 걷기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보행훈련장치 역시 환자의 재활만을 위한 것으로 환자의 일상생활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하지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재활훈련을 하는 것 못지 않게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도 중요하나,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재활장치는 재활에만 적합한 구조로서, 하지마비 환자가 이동하거나 하는 등의 일생생활을 도와주기 위한 장치로는 휠체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하지마비 환자는 재활훈련 중에 일상생활을 할 수 없고,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을 뿐 재활훈련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이나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종래의 각종 기구나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지마비 환자 및 혼자의 힘만으로는 거동이 극히 힘든 노인 등이 재활훈련과 일상생활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재활훈련 또는 일상생활 중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바퀴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상면 중앙부에 세워진 포스트부와, 포스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함께 연동되는 테이블부 및 좌판부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는, 하지마비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 등이 혼자만의 힘으로 앉은 상태에서 기립상태로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며, 필요한 시간만큼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립상태에서도 독서를 하거나 오락 등의 일상생활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앉거나 선 상태에서도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나 거동이 극히 어려운 노인 등의 재활을 위한 가 장 기본적인 훈련인 기립운동을 혼자만의 힘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립훈련 중이거나 앉은 자세 그대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는, 휠체어와 같이 앉은 자세에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 중에서도 혼자 기립운동을 할 수 있도록 테이블부와 좌판부가 구비되고, 환자가 혼자의 힘만으로 착석 또는 기립할 수 있도록 테이블부와 좌판부가 함께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는, 베이스부와; 베이스의 일측에 세워지는 포스트부와; 포스트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테이블부와; 포스트부의 상부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부는, 바닥에 놓여지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바, 전·후방에 각각 한 쌍씩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는데, 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이동바퀴는 한 쌍의 모터에 의해 각기 구동되면서 진행방향이 바뀌지 않는 고정바퀴이고, 후방에 구비된 한 쌍의 이동바퀴는 비구동으로서 전방의 이동바퀴에 따라 진행방향이 바뀔 수 있는 캐스타 휠이다.
즉 베이스부 전방에 결합된 두 이동바퀴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베이스부가 직진이동을 하게 되고, 예를 즐어, 직진상태에서 좌측의 전방 이동바퀴가 우측보다 빠르게 회전하면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는 전방의 우측 이동바퀴 측으 로 베이스부가 우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에는 상기 이동바퀴용 구동모터 및 하기의 테이블부와 좌판부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축전지가 장착된다.
포스트부는, 하기의 테이블부와 좌판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중앙부에 세워지는 포스트부재와, 포스트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 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다리지지부재 등으로 구성되는데, 다리지지부재는 하지마비 환자가 기립 시 환자의 무릎 이하 다리 전면부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테이블부는, 환자가 기립할 때나 기립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상기 포스트부의 상부 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프레임과, 테이블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등으로 구성된다.
좌판부는, 의자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기립 시에는 환자의 둔부를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프레임과, 좌판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부는 포스트부의 전방 측으로, 좌판부는 후방 측으로 결합되며, 테이블프레임과 좌판프레임은 포스트부의 특정부에 함께 결합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와 테이블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바형 연결부의 양 단부 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함께 연동될 수 있는 동시에 둘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독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주고, 좌판부와 테이블부를 함께 세워 기립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한 상태 또는 기립한 상태 그대로 이동바퀴를 움직여 다른 장소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반 작동이 충전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일실시예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의 정면 사시도를, 도 2에 배면 사시도를, 도 3과 4에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는,
이동바퀴(110)가 구비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 중앙부에 세워지는 포스트부재(210)로 이루어진 포스트부(200)와;
상기 포스트부(2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부(300)와;
상기 포스트부(2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400)와;
상기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에 양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 는 바 또는 봉형 연결부(500);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타인의 도움에 의해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타인의 도움 없이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는 하지마비 환자가 혼자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퀴(110)를 전·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하고, 전방의 두 이동바퀴(111)를 한 쌍의 모터(M)의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후방의 두 이동바퀴(112)로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캐스타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후방이동바퀴(112)를 모터(M)로 구동하고, 전방구동모터(111)를 캐스터휠로 할 수도 있다.
포스트부(200)는,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 및 하지마비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당한 하중이 부여되기 때문에 베이스부(100)에 단단히 고정되어야만 하나, 본 발명의 장치를 운반하거나 보관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서는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를 베이스부(100)에서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 중앙부에 세워지는 포스트부재(21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고정포스트부재(211)와, 고정포스트부재(211)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관체형 구조의 분리포스트부재(212)로 구성하고, 분리포스트부재(212)에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부재(210)에는 하지마비 환자가 기립 시 환자의 무릎 이 하 다리 전면을 지지할 수 있는 다리지지부재(220)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지지부재(220)를, 상·하 종방향으로 세워진 포스트부재(210)에 좌·우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다리지지프레임(221)과, 다리지지프레임(221)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리지지구(22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포스트부재(210)가 고정포스트부재(211)와 분리포스트부재(21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다리지지프레임(221)은 당연히 외부의 분리포스트부재(212)에 결합된다.
테이블부(300)는, 하지마비 환자가 기립할 때 손으로 잡고 힘을 주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팔을 올려 놓고 몸의 균형을 잡거나, 책 등을 올려 놓고 볼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포스트부재(2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프레임(310)과, 테이블프레임(310)의 상단부(또는 외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상의 테이블(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프레임(310)은 포스트부재(2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포스트부재(2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프레임(311)과 고정프레임(31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312)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고정프레임(311)을 포스트부재(2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회동프레임(312)은 고정프레임(311)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부재(312A)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두 회동프레임부재(312A)의 각 상단부는 테이블(3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테이블부(300)는, 환자가 기립 시에나 기립한 상태에서 안전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하는 바, 테이블(320)의 후방단부에 환자의 배나 가슴에 접촉하는 쿠션패드(330)를 구비하고, 테이블(320)의 좌·우 양 측에 필요에 따라 테이블(320)의 저면 아래 또는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반대 양 방향으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손잡이(340)를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좌판부(400)는, 상기 포스트부재(210)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프레임(410)과, 좌판프레임(410)의 상단부에 위치조절 가능토록 결합되는 좌판(4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판프레임(410)과 테이블프레임(31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500)의 양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함께 연동되는 동시에 둘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기 연결부(500)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가 가능한데, 그 하나를 예로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테이블프레임(310) 및 좌판프레임(4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직선 상에서 서로 이격된 각각의 타측단부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한 쌍의 연결로드(510)와, 양 단부가 상기 두 연결로드(510)의 각 타측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구(520)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조임구(5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두 연결로드(51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프레임(310)이 고정프레임(311)과 회동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경우 연결부(500)는 회동프레임(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눕혀진 좌판(420)에 착석한 하지마비 환자가 타인의 힘을 빌리지 않 고 기립할 수 있도록 좌판부(400)와 테이블부(300)를 자동으로 세우거나 눕히기 위하여 테이블부(300) 또는 좌판부(400)와 베이스부(100)를,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엑츄에이터(600)의 양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600)의 구동부(D)를 동작시켜 좌판프레임(410)을 세우거나 눕힘으로써, 눕혀진 좌판(420)에 착석한 하지마비 환자를 기립시키거나 착석시킬 수 있게 되며, 엑츄에이터(600)가 생략된 경우에는 타인의 힘을 빌려야 한다.
이때 좌판부(400)의 작동에 따라 연결부(500)에 의해 테이블부(300)도 연동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50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한 쌍의 엑츄에이터가 사용되는 바, 테이블부(300)와 베이스부(100) 및 좌판부(400)와 베이스부(100)를, 각각 엑츄에이터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두 엑츄에이터를 함께 작동시켜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하지마비 환자 혼자의 힘으로 자동 작동하기 위하여서는, 베이스부(100)에 결합된 전방이동바퀴(111) 구동용 모터(M),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를 함께 연동시키기 위한 엑츄에이터(600)의 구동부(D)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부(100)에는 충전지를 내장하기 위한 충전지케이스(B)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충전지케이스(B)를 생략하고 충전지를 베이스부(100)에 외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가 이동할 때 표면이 고르지 못한 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S)가 결합된 보조바퀴(113)를 베이스부(100)에 추가적으로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터(M)에 의해 개별 회전이 가능한 전방이동바퀴(111) 및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의 동작을 함께 제어하는 제어반(700)으로는, 버튼식보다 조이스틱콘트롤러가 적합하며, 제어반(700)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320) 전방부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는 리모콘으로 조정이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좌판이 세워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좌판이 세워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좌판이 세워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좌판이 눕혀진 상태를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부 110. 이동바퀴 111. 전방이동바퀴
112. 후방이동바퀴 113. 보조바퀴 200. 포스트부
210. 포스트부재 211. 고정포스트부재 212. 분리포스트부재
220. 다리지지부재 221. 다리지지프레임 222. 다리지지구
300. 테이블부 310. 테이블프레임 311. 고정프레임
312. 회동프레임 312A. 회동프레임부재 320. 테이블
330. 쿠션패드 340. 손잡이 400. 좌판부
410. 좌판프레임 420. 좌판 500. 연결부
510 .연결로드 520. 조임구 600. 엑츄에이터
700. 제어반 B. 충전지케이스 D. 구동부
M. 모터 S. 탄성체

Claims (12)

  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바퀴(110)가 구비되고 충전지가 장착된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세워진 포스트부(200)와;
    상기 포스트부(200) 상부에 결합된 테이블프레임(310)과, 테이블프레임(310)의 외측단부에 결합된 테이블(320)로 이루어진 테이블부(300)와;
    상기 포스트부(200) 상부에 결합된 좌판프레임(410)과, 좌판프레임(410)의 외측단부에 결합된 좌판(420)으로 이루어진 좌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와 테이블부(300) 및 베이스부(100)와 좌판부(400)는,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엑츄에이터(600)의 양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 상면에 세워지는 포스트부재(210)와;
    상기 포스트부재(210)에 결합되어 다리 전면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재(2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21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고정포스트부재(211)와;
    상기 고정포스트부재(21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분리포스트부재(21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부재(220)는,
    상기 포스트부재(21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프레임(221)과;
    상기 다리지지프레임(221)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리지지구(22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프레임(310)은,
    상기 포스트부(2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프레임(311)과;
    상기 고정프레임(31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31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회동프레임(312)은,
    상기 고정프레임(311)의 상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부재(312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20)의 후방단부에는, 쿠션패드(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20)의 좌·우 양 측에는, 테이블(320)의 저면 아래 또는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양 방향으로 분리조립이 가능한 손잡이(3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 위에 위치하는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500)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테이블부(300)와 좌판부(400)에 각각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직선 상에서 서로 이격된 각각의 타측단부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한 쌍의 연결로드(510)와;
    상기 두 연결로드(510)의 각 타측단부 외주면에 양 단부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조임구(5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300) 또는 좌판부(400)와 베이스부(100)는,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엑츄에이터(600)의 양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080051162A 2008-05-30 2008-05-30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098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62A KR100980037B1 (ko) 2008-05-30 2008-05-30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62A KR100980037B1 (ko) 2008-05-30 2008-05-30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768A KR20090124768A (ko) 2009-12-03
KR100980037B1 true KR100980037B1 (ko) 2010-09-06

Family

ID=4168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162A KR100980037B1 (ko) 2008-05-30 2008-05-30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13B1 (ko) 2012-02-24 2013-06-13 근로복지공단 착석과 기립시 이동이 가능한 수동식 이동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0550B (zh) * 2010-08-05 2014-08-20 苏芳庆 一种智慧型移位和站立载具
KR101629724B1 (ko) * 2014-05-27 2016-06-13 한국기계연구원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CN106264812B (zh) * 2016-07-30 2018-09-25 胡海明 一种移动式对患者进行固定的术后辅助排气装置
IT202000023869A1 (it) 2020-10-12 2022-04-12 Comfort Online S R L Stabilizzatore statico-dinamic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13A (ko) * 2001-12-03 2003-06-11 이은 물리치료용 기립운동구
JP2003265558A (ja) * 2002-03-15 2003-09-24 Og Giken Co Ltd 転倒防止歩行車
US20060097557A1 (en) * 2004-10-12 2006-05-11 Tholkes Alan L Modular standing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313A (ko) * 2001-12-03 2003-06-11 이은 물리치료용 기립운동구
JP2003265558A (ja) * 2002-03-15 2003-09-24 Og Giken Co Ltd 転倒防止歩行車
US20060097557A1 (en) * 2004-10-12 2006-05-11 Tholkes Alan L Modular standing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813B1 (ko) 2012-02-24 2013-06-13 근로복지공단 착석과 기립시 이동이 가능한 수동식 이동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768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9187B2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US9248071B1 (en) Walk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KR100659910B1 (ko)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AU2003202912C1 (en) Passive motion apparatus providing a controlled range of motion
KR101494620B1 (ko) 기립 및 재활 보조 휠체어 로봇
KR20160149679A (ko) 상하지 재활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US7452308B2 (en) Cross-crawl chair
ES2913124T3 (es) Dispositivo robótico para la verticalización y ayuda al movimiento de sujetos con discapacidades motrices severas
US20180078816A1 (en) Rehabilitation robot integrated with patient mobility and transfer
KR100980037B1 (ko) 하지마비 환자의 재활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204033638U (zh) 一种可组合成分体式机器人护理床的电动轮椅
JP4541334B2 (ja) 下肢運動椅子
JP3420546B2 (ja) 下肢運動装置
WO2011027750A1 (ja) 歩行訓練機
ES2300220B1 (es) Dispositivo para bipedestacion y rehabilitacion de marcha, para personas con minusvalias motoras.
KR101487183B1 (ko) 허리 운동의자 및 이를 구비한 재활 운동기구
JP2012139344A (ja) 旋回運動補助具
KR100942025B1 (ko) 하체마비 환자용 재활장치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KR101256195B1 (ko) 침대형 재활용 운동장치
JP2008237785A5 (ko)
KR102157321B1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101015992B1 (ko) 하지 재활용 자전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