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44B1 -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44B1
KR100979444B1 KR1020080075567A KR20080075567A KR100979444B1 KR 100979444 B1 KR100979444 B1 KR 100979444B1 KR 1020080075567 A KR1020080075567 A KR 1020080075567A KR 20080075567 A KR20080075567 A KR 20080075567A KR 100979444 B1 KR100979444 B1 KR 10097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way
aircraft
detection data
invas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852A (ko
Inventor
한재현
김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08G5/0013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with a groun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6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for control when on the 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대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상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를 통해 획득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USN 시스템; 상기 USN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륙 대기중인 항공기의 활주로상의 영역 침범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항공안전의 제어관리를 수행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을 포함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륙 대기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의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를 통해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주로 주변의 항공기 위치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활주로상의 항공기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을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통제 관리가 구현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위치정보 시스템(LBS), 활주로 침범, 감시 서버, 활주로, 유도로, 센서, 항공 등화

Description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reventing runway incursion}
본 발명은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주파수 기반의 센서 디바이스들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이라 한다)로 그룹화하여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등의 주요 구간에 설치하고, 센서 디바이스들을 통해 활주로 주변의 항공기 움직임을 감지하여 활주로 영역의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를 통해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한 항공등화 시설이 설치되며, 이러한 항공등화 시설은 항공기의 비행 중, 특히 이륙 혹은 착륙시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돕기 위해 지상이나 항공기에 설치되는 등화 또는 조명시설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항공 조명시설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항공기의 이륙 혹은 착륙은 관제탑의 관제사와 조종사 간의 교신을 통해 이륙 혹은 착륙을 위한 활주로가 할당되고, 그 활주로에 유도되는 교신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이륙 혹은 착륙하는 항공기의 활주로상에 다른 항공기가 활주로를 침범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치명적인 항공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즉,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 사례를 보면, 관제탑의 허가 없이 조종사가 활주로 또는 유도로로 지상유도를 하는 경우, 조종사가 잘못된 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하는 경우, 조종사의 방심 등 다양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는 빈번히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항공기의 특성상 사고 발생시에는 많은 인명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미연에 예방하고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대응하여 활주로 침범 사고를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와 위치정보 시스템 기반의 기술을 활용하여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제사의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으로 항공기의 위치정보가 관리 및 통제될 수 있는 예방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의 움직임 감지를 통한 활주로 침범을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대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의 주요 구간에 무선주파수 기반의 센서 디바이스들을 설치하고, 그 센서 디바이스들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로 그룹화하여 활주로상의 항공기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종합적으로 통제 관리할 수 있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주로상의 이륙 혹은 착륙 항공기와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화면에 대응시켜 실시간으로 항공기의 감시 영상을 표시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륙대기 중인 항공기가 이륙을 위해 활주로 방향으로 이동시 활주로 영역의 침범에 따른 항공 등화를 제어하여 조종사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상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를 통해 획득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USN 시스템; 상기 USN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륙 대기중인 항공기의 활주로상의 영역 침범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항공안전의 제어관리를 수행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을 포함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SN 시스템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를 지역별 혹은 영역별로 구분한 주요 구간을 활주로 침범의 감시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고, 무선주파수 기반으로 구동되는 센서 디바이스들을 설치하여 활주로를 침범하는 항공기의 움직임 감지를 통해 검출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동작감지 센서, 루프센서, RFID, GPS, 레이더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인터넷, 이동통신망, 광대역통신망(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제감시 운용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된 활주로 상황 정보와 비교를 통해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가 상기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인 경우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서버; 및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의 경고정보에 따라 활주로 침범에 따른 항공기의 사고 방지를 위한 항공 등화를 제어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USN 시스템의 센서 디바이스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활주로 좌표 모델링을 통해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하여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은, 상기 감시 서버에서 맵핑하여 전송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가상 활주로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상기 활주로상의 이륙 혹은 착륙 항공기와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위치가 관제사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의 주요 구간에 설치되는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USN 시스템, 및 상기 USN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을 이용한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의 감시 서버가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서버가 수신된 검출 데이터와 설정된 활주로 상황 정보와 비교하여 활주로 영역 침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판단결과, 활주로 영역의 침범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 데이터 수신의 모니터링 단계를 유지하고, 활주로 영역의 침범인 경우 상기 감시 서버가 활주로 침범의 경고정보를 관제센터 운용 단 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d)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센서 디바이스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e) 상기 파악된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하는 단계; 및 (f)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맵핑을 통해 획득한 가상 활주로 감시 영상을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의 모니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관제사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의 감시 및 관리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무선주파수 기반의 센서 디바이스들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로 그룹화하여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등의 주요 구간에 설치하여 항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이륙 대기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의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를 통해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와 위치정보 시스템 기반의 기술을 활용하여 센서에 의해 감지된 활주로 주변의 항공기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활주로상의 이륙 혹은 착륙 항공기와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을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종합적인 통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은,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을 검출하기 위한 USN 시스템(100), 유무선 통신망(200), 및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고, 그에 따른 항공안전을 관리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USN 시스템(100)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상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를 통해 획득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상기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USN 시스템(100)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를 지역별 혹은 영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지역별 혹은 영역별로 구분한 주요 구간을 활주로 침범의 감시 관리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어서, 상기 분할된 주요 구간의 각 장소에 무선주파수 기반으로 구동되는 센서 디바이스(101)들을 설치하고, 그 센서 디바이스(101)들을 활용하여 활주로를 침범하는 항공기의 움직임 감지를 통해 검출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 디바이스(101)는 동작감지 센서, 루프센서, RFID, GPS, 레이더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항에서 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과, 항공기의 위치 확인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무선 통신망(200)은 상기 USN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200)은 인터넷, 이동통신망, 및 광대역통신망(BcN)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근거리 무선통신망이 적용될 수도 있다.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200)과 연결되며, 상기 USN 시스템(100)에서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륙 대기중인 항공기의 활주로상의 영역 침범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항공안전의 제어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관제감시 운용 시스템(300)은 공항의 관제탑에 설치되어 운용 관리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311)를 구비하는 감시 서버(310)와, 관제사가 운용 관리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시 서버(310)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활주로 상황 정보와 비교를 통해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에 대한 침범의 판단결과가 상기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인 경우, 관제사가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을 즉시 확인하고 항공 안전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로 전송한다.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은 상기 감시 서버(31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의 경고정보에 따라 활주로 침범에 따른 항공기의 사고 방지를 위한 항공 등화를 제어한다. 즉, 상기 항공 등화를 통해 조종사에게 활주로 영역의 침범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을 사용하는 관제사는 기존의 통신수단을 활용하여 조종사와의 직접 교신을 통해서도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와 위치정보 시스템(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활용하여 활주로상의 항공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그러한 항공기들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 시스템 기반의 가상 활주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의 감시 서버(310)가 상기 USN 시스템(100)의 센서 디바이스(101)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활주로 좌표 모델링을 통해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한 후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로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감시 서버(31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 기반의 가상 활주로 영상은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의 모니터(321)를 통해 표시되며, 관제사는 상기 모니터(321)를 통해 표시되는 맵핑된 가상 활주로 영상을 모니터링 하게 됨으로써, 상기 활주로상의 이륙 혹은 착륙 항공기와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통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순서도 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의 주요 구간에 설치되는 센서 디바이스(101)들을 구비하는 USN 시스템(100), 및 상기 USN 시스템(100)과 유무선 통신망(200)을 매개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300)의 감시 서버(310)는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 로 등의 주요 구간에 분포하여 설치된 무선주파수 기반의 센서 디바이스(101)들로부터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움직임 감지를 통해 획득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
다음, 상기 감시 서버(310)는 상기 수신된 검출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활주로 상황정보, 즉 현재 활주로를 점유하거나 점유 예정인 항공기의 스케줄 정보와 비교하여 활주로 영역의 침범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상기 단계(S102)의 판단결과, 활주로 영역의 침범이 아닌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검출 데이터 수신의 모니터링 과정을 유지한다(S103).
반면에, 상기 단계(S102)의 판단결과, 활주로 영역의 침범인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 서버(310)는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의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사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로 전송한다(S104).
여기서, 관제사는 경고정보를 확인하는 즉시, 해당하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항공 등화를 제어하여 활주로 영역으로의 침범 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관제사는 기존의 교신 방법을 통해 조종사에게 활주로 침범 사실을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감시 서버(310)는 상기 USN 시스템(100)의 센서 디바이스(101)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고(S105), 이어서 상기 단계(S105)에서 파악된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한다(S106).
다음, 상기 감시 서버(310)는 상기 단계(S106)의 맵핑을 통해 획득한 가상 활주로 감시 영상을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320)의 모니터(321)로 제공한다(S107).
이를 통해 상기 관제사는 모니터(321)에 표시되는 활주로 주변의 항공기 위치 영상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고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USN 시스템 101 : 센서 디바이스
200 : 유무선 통신망 300 : 관제감시 운용시스템
310 : 감시 서버 311 : 데이터베이스(DB)
320 : 관제센터 운용 단말 321 : 모니터

Claims (8)

  1.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 상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를 통해 획득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USN 시스템;
    상기 USN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망;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된 활주로 상황 정보와 비교를 통해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활주로 영역 침범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그 판단결과가 상기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인 경우 경고정보를 전송하는 감시 서버와,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의 경고정보에 따라 활주로 침범에 따른 항공기의 사고 방지를 위한 항공 등화를 제어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을 구비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USN 시스템의 센서 디바이스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활주로 좌표 모델링을 통해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하여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 운용 단말은, 상기 감시 서버에서 맵핑하여 전송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가상 활주로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상기 활주로상의 이륙 혹은 착륙 항공기와 이륙 대기 중인 항공기의 위치가 관제사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N 시스템은,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를 지역별 혹은 영역별로 구분한 주요 구간을 활주로 침범의 감시 관리 영역으로 분할하고, 무선주파수 기반으로 구동되는 센서 디바이스들을 설치하여 활주로를 침범하는 항공기의 움직임 감지를 통해 검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동작감지 센서, 루프센서, RFID, 레이더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인터넷, 이동통신망, 광대역통신망(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공항의 활주로 및 유도로의 주요 구간에 설치되는 센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USN 시스템, 및 상기 USN 시스템과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을 이용한 항공기의 활주로 침범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관제감시 운용시스템의 감시 서버가 항공기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서버가 수신된 검출 데이터와 설정된 활주로 상황 정보와 비교하여 활주로 영역 침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판단결과, 활주로 영역의 침범이 아닌 경우 상기 검출 데이터 수신의 모니터링 단계를 유지하고, 활주로 영역의 침범인 경우 상기 감시 서버가 활주로 침범의 경고정보를 관제센터 운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센서 디바이스들의 검출 데이터를 토대로 활주로상의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e) 상기 파악된 항공기의 위치를 위치정보 기반의 실세계 좌표 화면에 맵핑하는 단계; 및
    (f)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맵핑을 통해 획득한 가상 활주로 감시 영상을 관제사가 사용하는 관제센터 운용 단말의 모니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관제사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의 감시 및 관리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방법.
  8. 삭제
KR1020080075567A 2008-08-01 2008-08-01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67A KR100979444B1 (ko) 2008-08-01 2008-08-01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67A KR100979444B1 (ko) 2008-08-01 2008-08-01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52A KR20100013852A (ko) 2010-02-10
KR100979444B1 true KR100979444B1 (ko) 2010-09-02

Family

ID=4208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67A KR100979444B1 (ko) 2008-08-01 2008-08-01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942A (ko) 2011-09-06 2013-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위험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093650A (zh) * 2013-01-08 2013-05-08 成都民航空管科技发展有限公司 管制运行质量诊断系统及方法
CN103413466A (zh) * 2013-07-08 2013-11-27 中国航空无线电电子研究所 机载可视化地面引导和告警装置及其引导和告警方法
CN103390355B (zh) * 2013-07-30 2015-05-20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一种基于a-smgcs系统的滑行道冲突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4816A1 (en) * 2005-03-23 2006-09-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port runwa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JP2006350445A (ja) * 2005-06-13 2006-12-28 Hitachi Ltd 空港面管制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4816A1 (en) * 2005-03-23 2006-09-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port runwa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JP2006350445A (ja) * 2005-06-13 2006-12-28 Hitachi Ltd 空港面管制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52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90B2 (en) Surface traffic movement system and method
US6381541B1 (en) Airplane ground location methods and systems
RU256022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наземным движением мобильных объектов на аэродроме
AU20092307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runway incursion, excursion and confusion
US6606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irport runway monitoring
CN110379210B (zh) 一种民用航空器异常飞行监测方法及装置
US20160244161A1 (en) Unmanned aircraft having flight limitations
EP2660152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airplane in connection with parking of the airplane at a stand
CN1666239A (zh) 用于离开航线飞机管理和警报通信的航空电子系统和地面站
CA2975288A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use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KR19990087359A (ko) 공항내 지상 교통 유도 및 제어 시스템
KR100979444B1 (ko) 활주로 침범 사고 예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470957U (zh) 跑道安全告警系统
CN105511491B (zh) 一种无人机驱赶装置及方法
US20160362093A1 (en) Aircraft wheel braking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CN112908043A (zh) 使用载具灯进行碰撞感知
CN112185181A (zh) 用于地面操作的碰撞感知系统
US20080158041A1 (en) Airport Surface Detector and Control System
CA2496486C (en) Air transport safety and security system
CN208256104U (zh) 一种基于ads-b的通航机场场面监视系统
KR101501022B1 (ko)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228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mixed airspace
EP2962941A1 (en) System for displaying dynamic visual stimuli on a runway
US20160225266A1 (en) System for monitoring a-smgcs in real-time
JP2023522484A (ja) 航空機防除雪氷を自動化及び構成するための方法、プロセス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