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275B1 - 무대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275B1
KR100979275B1 KR1020100045043A KR20100045043A KR100979275B1 KR 100979275 B1 KR100979275 B1 KR 100979275B1 KR 1020100045043 A KR1020100045043 A KR 1020100045043A KR 20100045043 A KR20100045043 A KR 20100045043A KR 100979275 B1 KR100979275 B1 KR 10097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ring
case body
lamp unit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엔원 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4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는 렌즈를 케이스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렌즈 교환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렌즈의 종류에 따른 다수개의 조명 장치를 제작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명 장치의 설치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송 코일을 이용하여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된 램프 유닛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램프 유닛이 이동할 수 있도록 램프 유닛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대용 조명 장치{Stag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대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는 렌즈를 케이스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렌즈 교환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렌즈의 종류에 따른 다수개의 조명 장치를 제작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명 장치의 설치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송 코일을 이용하여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된 램프 유닛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램프 유닛이 이동할 수 있도록 램프 유닛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무대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용 조명 장치는 공연장의 천장에 고정되어 일정 각도의 빛을 무대에 조사함으로써 출연자 및 무대 장치를 보다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공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연극이나 뮤지컬 같은 공연 또는 각종 단체 모임과 같은 행사에서 무대 조명의 색채, 강도 및 각도 등은 공연 또는 행사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것이어서, 무대용 조명 장치는 오늘날 예술 공연 활동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무대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무대용 조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관통홀(12)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커버(20)로 분리 형성되며, 케이스 커버(20)는 케이스 본체(10)의 전방에 힌지(1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는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별도의 램프 유닛(미도시)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케이스 커버(20)에는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도록 별도의 렌즈(30)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0)에는 무대의 천장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착 고리(14)가 장착되며, 케이스 커버(20)와 케이스 본체(10)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걸림 후크(21)와 걸림 고리(11)가 형성되어 케이스 커버(20)가 케이스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케이스 커버(20)를 개방하여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을 교환하거나 기타 부품에 대한 교체나 수리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커버(20)에 장착되는 렌즈(30)는 케이스 커버(20)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게 장착되기 때문에, 필요한 렌즈(30)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면 집중형 렌즈와 확산형 렌즈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무대용 조명 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장착된 렌즈에 대해 현장에서 신속하게 렌즈를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렌즈가 각각 장착된 다수개의 무대용 조명 장치를 현장에 설치해야 하므로, 공연시에 설치되는 무대용 조명 장치의 개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조명 장치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렌즈(30)가 손상되어 새로운 렌즈로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케이스 커버(20)로부터 렌즈(30)를 분리하기가 어려워 교체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무대용 조명 장치의 특성상 빛을 발광하는 램프 유닛은 다양한 조명 효과를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스 본체(10)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장착되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무대용 조명 장치는 이러한 램프 유닛이 케이스 본체(10)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자중에 의해 저절로 이동하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조명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는 렌즈를 케이스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렌즈 교환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렌즈의 종류에 따른 다수개의 조명 장치를 제작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명 장치의 설치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 코일을 이용하여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된 램프 유닛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램프 유닛이 이동할 수 있도록 램프 유닛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램프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도록 렌즈가 장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중공의 원통형 렌즈 경통; 상기 렌즈가 상기 렌즈 경통의 축 방향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렌즈 안착 단턱; 및 상기 렌즈 안착 단턱으로부터 상기 렌즈 경통의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될 수 있도록 C자 형태의 고정링이 구비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 안착 단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되면 상기 고정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렌즈 안착 단턱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링이 곡률 반경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고정 돌기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 상기 고정링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고정링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안착 단턱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은 사용자에 의해 탄성 변형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양단에 상기 고정링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의 빛을 상기 렌즈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램프 유닛과 반사판이 결합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 브래킷과, 상기 이송 브래킷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 브래킷에는 상기 이송 코일의 권취 간격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 코일과 맞물림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코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이송 코일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이송 브래킷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 유닛은 빛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소켓에는 외부로부터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전원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는 케이블 베어에 의해 외부가 둘러싸여 꼬임 및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코일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 코일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작동 레버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을 통해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조작이 없는 한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이송 코일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슬리브의 내주면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 레버와 일체로 회전 조작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와 고정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작동 로드; 상기 작동 로드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탄성 스프링; 및 중앙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 편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맞물림될 수 있도록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는 렌즈를 고정링을 이용하여 탄성 가압하는 방식으로 케이스 커버에 고정시킴으로써, 렌즈를 케이스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렌즈 교환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렌즈의 종류에 따른 다수개의 조명 장치를 제작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명 장치의 설치 및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이송 코일의 회전을 통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장착된 램프 유닛를 원활하게 직선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을 통해 작동 레버의 조작시에만 이송 코일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램프 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자유 이동을 방지하여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무대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에 대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 6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 6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과 렌즈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램프 유닛(50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100)와, 케이스 본체(100)의 전방에 힌지(1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200)로 분리 형성되며, 케이스 커버(200)에는 램프 유닛(500)의 빛이 통과하도록 별도의 렌즈(300)가 장착된다. 이때, 케이스 커버(200)에는 렌즈(300)를 위치 고정 및 고정 해제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링(40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를 통해 렌즈(300)가 케이스 커버(200)에 고정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0)는 내부에 램프 유닛(5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사각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면에는 램프 유닛(500)의 빛이 진행할 수 있도록 관통홀(120)이 형성된다. 램프 유닛(500)은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램프(5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램프(550)의 빛은 별도의 반사판(600)을 통해 케이스 커버(200)의 렌즈(300)를 향해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램프 유닛(500)은 케이스 본체(100)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램프 유닛(500)을 포함한 케이스 본체(100)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5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 커버(200)는 케이스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는 중공의 원통형 렌즈 경통(220)과, 렌즈(300)가 렌즈 경통(220)의 축방향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렌즈 경통(220)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렌즈 안착 단턱(230)과, 렌즈 안착 단턱(230)으로부터 렌즈 경통(220)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렌즈 경통(2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돌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렌즈 경통(220)의 전방면에는 손잡이(211)가 형성된 별도의 커버 플레이트(210)가 장착되어 렌즈 경통(220)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경통(220)의 일측에는 걸림 후크(240)가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0)에는 걸림 후크(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고리(110)가 형성되며, 걸림 후크(240)와 걸림 고리(110)에 의해 케이스 커버(200)가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렌즈 안착 단턱(2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마다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돌기(250)는 후술하는 고정링(400)이 렌즈 경통(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최소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400)은 렌즈(300)가 렌즈 경통(22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렌즈 안착 단턱(230)에 안착 고정되도록 렌즈(300)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탄성력에 의해 렌즈 경통(220)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C자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고정링(400)은 렌즈 경통(2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250)에 맞물림되며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렌즈(300)가 렌즈 경통(220)의 렌즈 안착 단턱(230)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링(400)이 고정 돌기(250)에 맞물림되도록 렌즈 경통(220)에 삽입되면, 렌즈(300)는 고정링(400)에 의해 렌즈 안착 단턱(230) 방향으로 가압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렌즈(300)가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링(400)을 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 고정 돌기(250)로부터 맞물림 해제하면, 렌즈(300)는 고정링(400)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렌즈 경통(2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정링(400)에는 고정링(400)이 고정 돌기(250)에 맞물림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300)를 렌즈 안착 단턱(2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40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절곡부(4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곡부(420)는 렌즈(300)를 가압하며 탄성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절곡부(420)를 통해 좀 더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300)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두께 차이가 절곡부(420)의 탄성 변형량 이내의 범위라면 동일한 고정링(400)에 의해 모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볼록한 절곡부(420)에 의해 렌즈(300)가 탄성 가압되므로, 렌즈(300)에 대한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여 렌즈(300)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강화된다.
또한, 고정링(400)에는 사용자에 의해 탄성 변형 조작 가능하도록 고정링(400)의 양단에 고정링(40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링(400)을 고정 돌기(250)에 맞물림되도록 렌즈 경통(220) 내주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링(400)을 곡률 반경 감소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링(400)을 렌즈 경통(220)에 삽입하여 렌즈(300)를 가압 고정시킨 상태에서 렌즈(3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400)을 곡률 반경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야 하는데, 이때 고정링(400)의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부(410)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없이 용이하게 고정링(400)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링(400)을 탄성 변형시키면 고정링(400)이 고정 돌기(25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므로 고정링(400)을 렌즈 경통(220)으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고, 고정링(400)이 분리 제거되면 렌즈 안착 단턱(230)에 가압 고정된 렌즈(300) 또한 렌즈 경통(2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고정링(400)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링(400)과 맞물림되는 고정 돌기(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400)의 개방된 구간의 양단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맞물림되도록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개방된 구간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맞물림되도록 하나 더 형성되어 삼각형 배치 상태를 이루도록 3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링(400)의 손잡이부(420)를 통한 탄성 변형을 통해 고정링(400)과 고정 돌기(250)의 맞물림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는 C자 형태의 고정링(400)을 렌즈 경통(220)에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렌즈(300)를 렌즈 경통(220)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렌즈(300)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렌즈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조명 장치를 제작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렌즈(300)의 손상에 따른 수리 교환의 경우에도 렌즈(300)를 용이하게 분리 교환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의 케이스 본체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유닛(500)과, 램프 유닛(500)의 빛을 렌즈(300)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600)과, 램프 유닛(500)과 반사판(600)이 결합 지지되며 케이스 본체(10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 브래킷(700)과, 이송 브래킷(70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 코일(800)이 구비된다.
이때, 이송 브래킷(700)에는 이송 코일(800)의 권취 간격 사이에 삽입되어 이송 코일(800)과 맞물림되는 가이드 돌기(701)가 형성되고, 이송 코일(800)이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돌기(701)가 이송 코일(8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되어 이송 브래킷(700)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코일(800)이 회전하면, 이송 코일(800)에 맞물림된 가이드 돌기(701)는 이송 코일(800)의 나선형 권취 구조에 따라 이송 코일(8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 브래킷(700)이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송 브래킷(700)에 결합 지지되는 램프 유닛(500) 및 반사판(600) 또한 동시에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701)는 이송 코일(8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 브래킷(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송 브래킷(700)에 대한 형상은 사각 블록의 형태도 가능하며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케이블 본체(100)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이송 브래킷(7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홈(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브래킷(700)의 하단에는 가이드 홈(140)에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7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브래킷(700)의 중심부는 이송 코일(800)과의 결합을 위해 하향 볼록하게 절곡된 이송 코일 결합부(7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코일 결합부(720)에는 별도의 결합 파이프(730)가 부착되어 이를 통해 이송 코일(800)과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 브래킷(700)과 이송 코일(800)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때, 결합 파이프(730)는 이송 브래킷(700)이 이송 코일(800)을 따라 이동할 때 결합 파이프(730)와 이송 코일(800)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매끄러운 접촉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 유닛(500)과 반사판(600)은 이러한 이송 브래킷(700)에 결합 지지되어 이송 브래킷(700)과 일체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송 브래킷(700)의 상부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 브래킷(P)을 통해 지지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램프 유닛(500)은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램프(550)와, 램프(55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램프(550)가 삽입되는 램프 소켓(510)을 포함하는데, 램프 소켓(510)에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전원 케이블(520)이 연결되며, 전원 케이블(52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520)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는 케이블 베어(530)에 의해 외부가 둘러싸여 램프 유닛(500)이 이동하더라도 전원 케이블(520)의 꼬임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때, 케이블 본체(100)의 후방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커넥터부(540)가 형성되어 전원 케이블(520)이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램프 유닛(50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520)이 외부로부터 연결되는데, 이때 램프 유닛(500)이 이송 브래킷(700)과 함께 직선 이동하게 되면 램프 유닛(500)의 이동에 따라 전원 케이블(520)이 꼬이거나 또는 외부 부품에 의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전원 케이블(520)의 꼬임에 의해 램프 유닛(500)의 이동이 차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5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블 베어(530)를 통해 외부가 둘러싸일 뿐만 아니라 그 배치 상태 또한 규칙적인 정렬 상태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램프 유닛(500)이 이동하더라도 전원 케이블(520)의 꼬임 및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램프 유닛(500)의 이동 또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 코일(800)은 케이스 본체(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양단에 별도의 연결 슬리브(820)가 결합되고, 연결 슬리브(820)가 케이스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슬리브(8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에는 별도의 작동 레버(8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슬리브(820)와 작동 레버(810)는 케이스 본체(100)에 관통 결합되는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900)에 의해 서로 연결 결합되며, 작동 레버(810)에 의한 회전 조작력은 동력 전달 유닛(900)을 통해 연결 슬리브(820)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 전달 유닛(9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동 레버(810)의 조작이 없는 한 연결 슬리브(820) 및 이송 코일(8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이송 브래킷(700) 및 램프 유닛(500)의 자유 이동이 구속되어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무대용 조명 장치는 그 특성상 무대의 천장에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또는 조명 각도 변경을 위해 조명을 비추는 과정에서 그 장착 각도를 계속 변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각도 변화에 따라 램프 유닛(500)에는 자중에 의한 하향 이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램프 유닛(500)이 이송 코일(800)에 대한 조작 없이도 저절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램프 유닛(500)이 조명을 비추는 중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저절로 이동하게 되면, 조명 효과가 변화되어 요구되는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램프 유닛(5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조명 장치는 이러한 램프 유닛(500)의 자유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동력 전달 유닛(900)을 통해 작동 레버(810)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램프 유닛(500)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작동 레버(810)의 조작에 의한 이송 브래킷(700) 및 램프 유닛(500)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 유닛(9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연결 슬리브(820)와 작동 레버(810)에 결합되는 작동 로드(910)와, 탄성 스프링(920)과, 걸림 블록(9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로드(910)는 케이스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일단부가 연결 슬리브(820)와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 슬리브(820)의 내주면에는 키홈(821)이 형성되고, 작동 로드(910)의 일단부에는 키홈(821)에 삽입되는 키돌기(912)가 형성되어 작동 로드(910)의 회전력이 키돌기(912) 및 키홈(821)을 통해 연결 슬리브(820)에 전달됨과 동시에 연결 슬리브(8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상대 이동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 로드(910)의 타단부는 작동 레버(810)와 일체로 회전 조작되도록 작동 레버(810)와 고정 결합되며, 작동 로드(910)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9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탄성 스프링(920)은 작동 로드(910)를 케이스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도록 결합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로드(9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 본체(1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블록(930)은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작동 로드(910)가 관통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걸림 블록(930)의 일측면에는 작동 로드(91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작동 로드(910)의 걸림 돌기(91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맞물림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9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810)를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작동 레버(810)를 회전 조작하고, 이러한 작동 레버(810)의 회전력은 작동 로드(910)를 통해 연결 슬리브(820)로 전달되어 연결 슬리브(820) 및 이송 코일(800)이 회전하게 된다. 이후 회전 조작이 완료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920)에 의해 작동 로드(910)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되는데, 이때 작동 로드(910)에 형성된 걸림 돌기(911)는 케이스 본체(100) 내측면에 장착된 걸림 블록(930)의 걸림홈(931)에 삽입 맞물림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걸림 돌기(911)가 걸림홈(931)에 맞물림되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작동 로드(910) 및 연결 슬리브(820)가 회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이송 코일(800)의 회전이 구속되어 이송 브래킷(700) 및 램프 유닛(500)은 자유 이동할 수 없고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조명 장치는 사용자가 작동 레버(810)를 가압하며 회전 조작하는 경우에만 램프 유닛(500)이 이동 가능하고, 작동 레버(810)의 조작이 완료되면 동력 전달 유닛(900)에 의해 이송 코일(800)의 회전이 구속되어 램프 유닛(50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의 장착 각도가 경사지게 변화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본체 200: 케이스 커버
220: 렌즈 경통 230: 렌즈 안착 단턱
250: 고정 돌기 300: 렌즈
400: 고정링 420: 절곡부
500: 램프 유닛 600: 반사판
700: 이송 브래킷 701: 가이드 돌기
800: 이송 코일 810: 작동 레버
820: 연결 슬리브 900: 동력 전달 유닛
910: 작동 로드 920: 탄성 스프링
930: 걸림 블록

Claims (7)

  1. 내부에 램프 유닛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 유닛의 빛이 통과하도록 렌즈가 장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중공의 원통형 렌즈 경통;
    상기 렌즈가 상기 렌즈 경통의 축 방향을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렌즈 안착 단턱; 및
    상기 렌즈 안착 단턱으로부터 상기 렌즈 경통의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돌기
    를 포함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경통의 내주면에 탄성 밀착되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될 수 있도록 C자 형태의 고정링이 구비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 안착 단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되면 상기 고정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렌즈 안착 단턱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링이 곡률 반경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고정 돌기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 상기 고정링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케이스 커버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고정링이 상기 고정 돌기에 맞물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안착 단턱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사용자에 의해 탄성 변형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양단에 상기 고정링의 원주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의 빛을 상기 렌즈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램프 유닛과 반사판이 결합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 브래킷과, 상기 이송 브래킷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 브래킷에는 상기 이송 코일의 권취 간격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 코일과 맞물림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코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이송 코일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되어 상기 이송 브래킷이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빛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램프가 삽입되는 램프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소켓에는 외부로부터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전원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가이드하는 케이블 베어에 의해 외부가 둘러싸여 꼬임 및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코일의 일단에는 상기 이송 코일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 슬리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형성된 작동 레버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을 통해 상기 작동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조작이 없는 한 상기 연결 슬리브 및 이송 코일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슬리브의 내주면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 슬리브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 레버와 일체로 회전 조작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와 고정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작동 로드;
    상기 작동 로드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탄성 스프링; 및
    중앙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 편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작동 로드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 맞물림될 수 있도록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조명 장치.
KR1020100045043A 2010-05-13 2010-05-13 무대용 조명 장치 KR10097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43A KR100979275B1 (ko) 2010-05-13 2010-05-13 무대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43A KR100979275B1 (ko) 2010-05-13 2010-05-13 무대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275B1 true KR100979275B1 (ko) 2010-08-31

Family

ID=4276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43A KR100979275B1 (ko) 2010-05-13 2010-05-13 무대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6405A (zh) * 2012-11-27 2014-06-04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灯具
KR20220000107U (ko) * 2020-06-30 2022-01-11 이대은 탄동식 램프소켓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WO2022129089A1 (de) * 2020-12-15 2022-06-23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Scheinwerfer
US12000566B2 (en) 2020-12-15 2024-06-04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Spotligh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54Y1 (ko)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조명기구용 램프 받침대의 구조
KR200174755Y1 (ko)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조명기구의 열순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54Y1 (ko)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조명기구용 램프 받침대의 구조
KR200174755Y1 (ko) 1999-09-16 2000-03-15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조명기구의 열순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6405A (zh) * 2012-11-27 2014-06-04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灯具
KR20220000107U (ko) * 2020-06-30 2022-01-11 이대은 탄동식 램프소켓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KR200495016Y1 (ko) 2020-06-30 2022-02-14 이대은 탄동식 램프소켓을 구비한 조명등기구
WO2022129089A1 (de) * 2020-12-15 2022-06-23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Scheinwerfer
US12000566B2 (en) 2020-12-15 2024-06-04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Spot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US9267671B2 (en) Releasable optical element
CN103836398B (zh) 灯具
KR100979275B1 (ko) 무대용 조명 장치
KR20110045276A (ko) 매입형 조명기구
CN103836456A (zh) 灯具
CN103836405B (zh) 灯具
CN103119354B (zh) 光输出装置
JP6414775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101070953B (zh) 可定向照明装置
CN103836455A (zh) 灯具
KR101114874B1 (ko)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CN103574329A (zh) 灯具及其反光组件
JP2015162445A (ja) 光制御部材、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5418819B2 (ja) 電球交換用シェード挟持具
JP6591790B2 (ja) 照明装置
KR101366690B1 (ko) 조명 장치
KR100970698B1 (ko) 음향방송장비용 리니어 조명장치
JP2021082404A (ja) 器具の支持部材、及び照明器具
EP2899458B1 (en) LED light fixture
KR101250461B1 (ko) 바아형 엘이디 조명장치
JP3198022U (ja) ライト設置構造
KR101836459B1 (ko) 광섬유 조명광 발생 장치
JP2010251240A (ja) 電球交換用シェード保持具
JP2008218129A (ja) 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