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984B1 -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984B1
KR100978984B1 KR1020090119117A KR20090119117A KR100978984B1 KR 100978984 B1 KR100978984 B1 KR 100978984B1 KR 1020090119117 A KR1020090119117 A KR 1020090119117A KR 20090119117 A KR20090119117 A KR 20090119117A KR 100978984 B1 KR100978984 B1 KR 10097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ocking rod
blocking
seating plat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8373A (en
Inventor
라일구
김진형
안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9011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984B1/en
Publication of KR2009012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발명은 차량이 차단봉에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봉을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even if the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 and can reposition the blocking ro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은, 차량이 차단봉에 접촉되면, 상기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에 연결된 안착판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단계;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단계; 상기 안착판이 복구 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차단봉이 상기 업/다운 모터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안착판에 구비된 돌기가 멈춤턱에 걸리면서 상기 안착판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rod, the first step of rotating the blocking rod and the seating plate connected to the blocking ro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second step of rotating the blocking ro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up / down motor seated on the seating plate; A third step in which the seating plat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a recovery unit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fourth step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rotated downward by the up / down motor to be in the original position, and in the first step, the projection plate provided on the seat plate is caught by the stopping jaw by the set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rotating.

차량, 차단, 시스템, 자동 복구 Vehicle, blocking, system, auto recovery

Description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How to automatically recover your vehicle blocking system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과의 접촉시 차량 및 차단봉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단봉을 자동 복구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oc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a vehicle block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vehicle and a blocking rod and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blocking rod upon contact with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 차단 시스템은 허가된 차량이 진입하면 차단봉을 올려 차량을 통과시키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면 차단봉을 그대로 유지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놓인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내장되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 모터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메인 구동암과, 상기 메인 구동암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차단봉과, 상기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 vehicle blocking system lifts the blocking rod when the authorized vehicle enters and passes the vehicle, and blocks the entry of the vehicle by maintaining the blocking rod as the unauthorized vehicle enters, and post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post And a main motor embedded in the main motor, a main driving ar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ain motor and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post, a blocking rod fixed to the main driving arm,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ain motor.

이러한 차량 차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is vehicle blocking system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먼저, 허가된 차량이 진입할 경우, 즉 주차가 허가된 차량 또는 주차료를 지불한 차량 또는 통행이 허가된 차량 또는 통행료를 지불한 차량 등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에 통과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러한 구동에 의해 메인 모터의 축에 연결된 메인 구동암이 함께 회전되면서 차단봉은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허가된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First, when a licensed vehicle enters, i.e., when a vehicle that is permitted to park or a vehicle that has paid parking or an authorized vehicle or a vehicle that has paid a toll enters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 sensor or parking is detected. When the management personnel sends a pas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ain motor, by which the main drive arm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main motor is rotated together, the blocking rod is rotated upward. Thus, a licensed vehicle can pass through a vehicle blocking system.

그리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할 경우, 즉 주차가 허가되지 않은 차량 또는 주차료를 지불하지 않은 차량 또는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차량 또는 통행료를 지불하지 않은 차량 등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에 차단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메인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이미 차단봉이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차단봉을 하방향으로 구동시켜, 차단봉을 지면에 대해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 따라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And, when an unauthorized vehicle enters, that is, a vehicle that is not permitted to park or a vehicle that does not pay the parking fee or a vehicle that is not permitted to pass or a vehicle that does not pay the toll enters the vehicle blocking system. When the sensor or parking management personnel who detec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oes not drive the main motor or if the block bar is already rotated upwards to drive the block bar downward, keep the block bar horizontal to the ground . Thus, unauthorized vehicles will not be able to pass through the vehicle blocking system.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 차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hicle blocking system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할 경우, 차량이 차단봉과의 충돌로 인해 차량 및 차단봉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파손의 정도가 커질 수 있으며, 운전자 또한 다칠 수 있다.If the driver of an unauthorized vehicle does not find the blocking rod and passes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s it is,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may be damaged by the collision with the blocking rod. In particular,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on a road traveling at a high speed, the degree of damage may increase, and the driver may also be injured.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동안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발견하더라도, 차량의 제동 거리가 긴 상태라면 차량이 밀리면서 차단봉과 충돌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river of the vehicle that is not permitted to travel while driving at high speed finds the blocking rod, if the braking distance of the vehicle is long, the vehicle may be pushed and collide with the blocking rod.

또한, 차량 차단 시스템이 고장날 경우, 허가된 차량이 이를 알지 못하고 그 대로 통과할 경우 차량이 차단봉과 충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blocking system fails, the vehicle may collide with the blocking rod if the licensed vehicle passes without knowing i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차단봉에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봉을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s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that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s and can be put back to the blocking rods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recovery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은, 차량이 차단봉에 접촉되면, 상기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에 연결된 안착판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단계;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단계; 상기 안착판이 복구 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차단봉이 상기 업/다운 모터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안착판에 구비된 돌기가 멈춤턱에 걸리면서 상기 안착판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rod, the blocking rod and the seating plate connected to the blocking ro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step; A second step of rotating the blocking ro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up / down motor seated on the seating plate; A third step in which the seating plat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a recovery unit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fourth step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rotated downward by the up / down motor to be in the original position, and in the first step, the projection plate provided on the seat plate is caught by the stopping jaw by the set angle. It is characterized by rotat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봉이 안착판을 통해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 게 구비되므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하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ro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post through the seating plate, even if the driver of an unauthorized vehicle does not find the blocking rod and passes through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s it is,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is prevented. It can prevent. In particular,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on a road traveling at high speed, the effect will be doub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부딪혀 차단봉이 회전되더라도, 별도의 수 작업 없이 차단봉을 자동으로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locking rod is rotated by hitt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set the blocking rod again without any manual work.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봉이 안착판을 통해 포스트에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하기 전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거나,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후진으로 인해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ro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post in a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seating plate,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before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blocking rod, Even if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due to revers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rod,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a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raised, Figure 2 is an automatic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recovery apparatus, and shows the state which the blocking rod was lowe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중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2의 평면도이다.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op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2 specifically showing the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anti-stick unit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도 1, 도2, 도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00)와, 안착판(200)과, 업/다운 모터(300)와, 차단봉(400)과, 그리고 복구 유닛(500)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recovery apparatus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2, 3 and 6, the post 100, the seating plate 200, up / The down motor 300,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recovery unit 500 are included.

포스트(100)는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량 차단 시스템의 몸체에 해당한다. 안착판(20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업/다운 모터(300)는 안착판(2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안착판(200)과 함께 회전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단봉(40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The post 100 is provi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The seating plate 200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below. The up / down motor 3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ating plate 200, and rotates the blocking rod 400 upward or downward as will be described later.

차단봉(400)은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업/다운 모터(300)에 연결된다. 따라서, 허가된 차량이 진입하면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은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하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즉, 차량의 진입이 차단되도록) 차단봉(400)은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이미 지면과 수평이 된 상태라면 그대로 그 상태가 유지된다. The blocking rod 400 is to block entry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up / down motor 300. Accordingly, when the permitted vehicle enters,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upward by the up / down motor 300, and when the unauthorized vehicle enters, the blocking rod 400 is horizontal to the ground (that is, the entry of the vehicle is blocked). If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downward by the up / down motor 300 or is already horizontal with the ground, the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또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400)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차량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더라도, 차단봉(400)과 업/다운 모터(300)를 지지하는 안착판(200)이 포스트(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그 부딪히는 힘을 받 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이하, "제1 외력"이라 함)을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차량이 차단봉(400)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이하, "제2 외력"이라 함)을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부딪히는 제1 외력 또는 제2 외력은 차단봉(40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거의 모두 전환되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충격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차단봉(400)은 그 외주면에 쿠션 부재(미도시)가 감겨져 있으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충격은 쿠션 부재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될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river of an unauthorized vehicle does not find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400, the seating plate 200 supporting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up / down motor 300 is provided. As the post 100 is rotatably provided,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as soon as the hitting force is received. That is, whe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 400 while the vehicle is moving forward,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re immediately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s soon as the hitting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xternal force”) is received.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400 while the vehicle is reversing while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blocking rod 400, the blocking rod 400 immediately receives the impact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xternal force”) and The seating plate 200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Therefore, since the first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that strike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in this bumping process is almost all converted into a force for rotating the blocking rod 400, the impac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is hardly generated. Will not. In addition, since the blocking rod 400 is a cushion member (not shown)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ven if a predetermined shock occur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the shock will be absorbed almost by the cushion member.

복구 유닛(500)은 포스트(100)와 안착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복구 유닛(500)은 차단봉(400)이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차단봉(400)이 원 위치되도록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안착판(200)을 도면상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복구 유닛(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recovery unit 500 is provided between the post 1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nd applies a rotational forc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seating plate 200. Specifically,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recovery unit 500 includes the first block so that the blocking rod 4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mounting plate 20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Hereinafter, the recovery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복구 유닛(500)은 안착판(200)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510)과, 포스트(100)에 내장되는 복구 모터(520)와, 그리고 복구 모터(520)의 회전력을 회전축(51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봉(400) 이 제1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설정 시간 후 복구 모터(52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 전달 유닛(530) 통해 회전축(510)이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차단봉(400)은 원 위치된다.The recovery unit 500 includes a rotation shaft 51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200, a recovery motor 520 embedded in the post 100,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recovery motor 520 on the rotation shaft 510.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530 for transmitting. Therefore,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after the set time, the recovery motor 5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rotary shaft 510 is mov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30. In addition, as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blocking rod 4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일예로, 동력 전달 유닛(530)은 복구 모터(520)의 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531)와, 회전축(510)에 구비되는 제2 풀리(532)와, 그리고 제1 풀리(531)와 제2 풀리(532)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30 may include a first pulley 531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recovery motor 520, a second pulley 532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510, and a first pulley 531. And a belt 533 that interconnects the second pulley 532.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업/다운 모터(300)와 차단봉(400) 사이에 구비되어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부하 저감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off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 / down motor 300 and the blocking rod 400 to reduce the load of the up / down motor 300. 600 may be further included.

일예로, 부하 저감 유닛(60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차단봉(400)의 하중을 분산시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 구성 요소로, 업/다운 모터(300)의 축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610)와, 제1 링크 부재(610)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620)와, 제2 링크 부재(6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부재(630)와, 제3 링크 부재(63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되고 차단봉(400)에 그 타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동 암(640)과, 그리고 구동 암(64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업/다운 모터(3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1 링크 부재(610)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링크 부재(6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 부재(620)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링크 부 재(6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링크 부재(63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3 링크 부재(630)에 수직으로 연결된 구동암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암에 수직으로 연결된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구동암이 지지 부재(65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차단봉(40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나아가, 차단봉(400)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내용에서 방향만 반대가 된다.For example, the load reduction unit 600 may reduce the load of the up / down motor 300 b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blocking rod 400 using the lever principle, and as a component, the up / down motor 300 The first link member 610, one end of which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axis), the second link member 62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610, and the second link The third link member 630,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ember 6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member 63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blocking rod 400. And a support member 650 for supporting the drive arm 640 and the drive arm 640. Therefore, when the up / down motor 3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 first link member 610 vertically connected thereto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link member 610 is rotatable to the first link member 610. The second link member 620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620 is pull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t the same time, the third link member 6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62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arm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member 6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locking rod 400 vert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arm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Rotate in the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arm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650, the load of the blocking rod 400 may be distributed, and ultimately, the load of the up / down motor 300 may be reduced. Furthermore, when rotating the blocking rod 400 in the downward direction, only the direc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s reversed.

또한, 제1 링크 부재(610)의 길이가 제3 링크 부재(630)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다운 모터(300)의 축의 회전 반경이 짧아지므로 업/다운 모터(300)의 부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member 610 may be set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third link member 630, in this case, since the rotation radius of the shaft of the up / down motor 300 is shortened (up / down motor ( The load of 300 may be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차단봉(400)이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차단봉(400)이 설정 각도 회전된 후 멈추도록 하는 멈춤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o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blocking rod The stop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stop unit 700 for stopping after the set angle is rotated.

일예로, 안착판(200)은 원형일 경우, 상기 멈춤 유닛(7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가 이에 멈추도록 포스트(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멈춤턱(72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돌기(710)는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를 포함하고,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는 180도 간격으로 구비되고, 그리고 멈춤턱(720)은 제1 돌기(711)와 제2 돌기(712) 사이에 위치되되 제1 및 제2 돌기(711)(712) 각각에 대 해 90도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위치될 경우, 상기 설정 각도는 90도로 한정될 것이다. 따라서, 차단봉(400)이 제1 외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90도 회전된 후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혀 멈추게 된다. 또한, 차단봉(400)이 제2 외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90도 회전된 후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혀 멈추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ating plate 200 is circular, the stop unit 700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710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at least one protrusion 710 stops thereon. It may include a stop jaw 7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00. Further, the at least one protrusion 71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711 and a second protrusion 712, the first protrusion 711 and the second protrusion 712 are provid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and stops. The jaw 7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711 and the second protrusion 712, and may be positioned at 90 degree interval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711 and 712. When so positioned, the set angle will be limited to 90 degrees. Therefore,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re rotated 90 degrees, and then the first protrusion 711 is stopped on the stop 720. I hit and stop. 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n the second protrusion 712 hits the stopper 720 Will sto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제1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멈춤 유닛(700)에 의해 멈출 때,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1 튕김 방지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top unit 700 after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When stopped, the seating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nti-bounce unit 800 to block the phenomenon in which the boun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reaction force.

일예로, 제1 튕김 방지 유닛(8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 중 제1 설정 구간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1 치부(810)와, 그리고 안착판(200)이 회전된 후, 제1 치부(810)에 걸리도록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된 제1 걸림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튕길 경우 제1 걸림 유닛(820)이 제1 치부(810)에 걸리게 되므로 튕기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ounce prevention unit 800 includes a first tooth 810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in a first set s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after the seating plate 200 is rotated, The first locking unit 82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100 so as to be caught by the first tooth 810. Therefore, when the seating plate 200 bounc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due to the reaction force, the first locking unit 820 is caught by the first tooth 810, and thus the bounce phenomenon may be blocked.

나아가, 일예로, 제1 걸림 유닛(820)은 제1 치부(810)에 걸리는 제1 걸림바(821)와, 제1 걸림바(821)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체(822)와, 그리고 제1 걸림바(821)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이 복구 유 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걸림바(821)를 회전시키는 제1 해제 모터(8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바(821)는 제1 탄성체(822)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안착판(200)의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직전 제1 걸림바(821)는 제1 해제 모터(823)의 회전력(탄성력보다 큰 힘)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특히, 이렇게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유는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Furthermore, as an example, the first locking unit 820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bar 821 and a first end of the first locking bar 82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rovided on the first tooth 810. A first elastic body 822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locking bar 821 to apply a force to the first locking bar 821 and the first locking bar 821, and a seating plate ( Before the 200 is repositioned by the recovery unit 500, the first release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catching bar 821 so that the first catching bar 821 is spaced apart from the set tooth 8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823). Therefore, the first locking bar 821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bar 821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82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also by the recovery unit 500 of the seating plate 200. The first locking bar 821 immediately before the original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t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by the rotational force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release motor 823.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spaced apart from the set interval is to allow the seating plate 200 to be smoothly rotated by the recovery unit 500.

나아가, 제1 치부(810)의 다수개의 치는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제1 걸림바(821)의 끝단은 제1 치부(810)에 걸리도록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보다 확실하게 걸리게 되므로, 튕김 현상은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Furthermore, the plurality of teeth of the first tooth 810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the end of the first catching bar 821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tooth 810. It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200 to be caught. In such a case, since the first catching bar 821 is more securely caught by the first tooth 810, the bounce phenomenon will be completely blocked.

나아가, 제1 걸림 유닛(82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8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감지부(824)는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만약,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복구 유닛(500)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된다면, 복구 유닛(50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복구 유닛(500)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부(824)로부터 해제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more, the first catching unit 8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etecting unit 824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100 to detect whether the first catching bar 821 is released from the first tooth 810. Can be. Here, the first detection unit 824 is to prevent the recovery unit 500 from being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ler (not shown) while the first locking bar 821 is not removed from the first tooth 810. . If the recovery unit 500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controller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first catching bar 821 is not removed from the first tooth 810, an overload occurs in the recovery unit 500 to restore the recovery unit 500. It may cause a failure in the unit 500. Therefore, when a release signal is applied from the first detector 824,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operate the recovery unit 5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멈춤 유닛(700)에 의해 멈출 때,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튕겨지는 현상을 차단시키는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by the stop unit 700 after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seating plat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nti-bounce unit 900 that blocks a phenomenon in which the mounting plate 200 is bounced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일예로,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은 안착판(200)의 외주면 중 제2 설정 구간에 다수개의 치가 형성되는 제2 치부(910)와, 그리고 제2 치부(910)에 걸리도록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걸림 유닛(9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판(200)이 반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튕길 경우 제2 걸림 유닛(920)이 제2 치부(910)에 걸리게 되므로 튕기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anti-bounce unit 900 may include a second tooth 910 in which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in a second setting s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a post (eg) to be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It may include a second locking unit 920 provided on the top of the 100. Therefore, when the seating plate 200 bounc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e to the reaction force, since the second catching unit 920 is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the bounce phenomenon may be blocked.

나아가, 일예로, 제2 걸림 유닛(920)은 제2 치부(910)에 걸리는 제2 걸림바(921)와, 제2 걸림바(921)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그 타단이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걸릴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제2 탄성체(922)와, 그리고 제2 걸림바(921)에 구비되며,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전,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2 걸림바(921)를 회전시키는 제2 해제 모터(9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걸림바(921)는 제2 탄성체(922)의 탄성력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안착판(200)의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 위치되기 직전 제2 걸림바(921)는 제2 해제 모터(923)의 회전력(탄성력보다 큰 힘) 에 의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특히, 이렇게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유는 안착판(200)이 복구 유닛(50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Further, as an example, the second locking unit 920 has a second locking bar 921 that is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and one end thereof is provided at the second locking bar 921, and the other end thereof has a post 100. A second elastic body 922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locking bar 921 and exerting a force to be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and a second locking bar 921. Before the 200 is repositioned by the recovery unit 500, the second release motor 923 which rotates the second locking bar 921 so that the second locking bar 92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ooth 9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second locking bar 921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bar 921 is pres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922, and also by the recovery unit 500 of the seating plate 200. The second locking bar 921 immediately before the original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t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by the rotational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release motor 923.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spaced apart from the set interval is to allow the seating plate 200 to be smoothly rotated by the recovery unit 500.

나아가, 제2 치부(910)의 다수개의 치는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제2 걸림바(921)의 끝단은 제2 치부(910)에 걸리도록 안착판(2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보다 확실하게 걸리게 되므로, 튕김 현상은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Furthermore, the plurality of teeth of the second tooth 910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the end of the second catching bar 921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tooth 910. It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200 to be caught.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catching bar 921 is more securely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the phenomenon of jumping may be completely blocked.

나아가, 제2 걸림 유닛(920)은 포스트(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해제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감지부(924)는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이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만약,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복구 유닛(500)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된다면, 복구 유닛(500)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복구 유닛(500)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감지부(924)로부터 해제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more, the second catching unit 9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tecting unit 924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100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catching bar 921 is released from the second tooth 910. Can be. Here, the second detection unit 924 is to prevent the recovery unit 500 from being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ler (not shown) while the second locking bar 921 is not removed from the second tooth 910. . If the recovery unit 500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atching bar 921 is not removed from the second tooth 910, the recovery unit 500 may be overloaded to recover the recovery unit 500. It may cause a failure in the unit 500. Therefore, when the release signal is applied from the second detector 924,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operate the recovery unit 500.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외부의 이물질 및 빗물이 장치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덮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110)는 포스트(10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암(640)에 끼워진다. 또한, 덮개(110)는 차단봉(4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10 to prevent foreign matter and rainwater from entering the device. In detail, the cover 110 is slidab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ost 100 and is fitted to the driving arm 640. In addition, the cover 110 is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rod (400).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4,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 off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복구 유닛(50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 복구 유닛(1500)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recovery unit 500, the recovery unit ( 15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유닛(1500)은 안착판(200)에 그 일단이 구비되고, 포스트(100)에 그 타단이 구비되는 복구용 탄성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복구용 탄성체는 신장되고, 이 후, 복구용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안착판(200)은 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recovery unit 1500 may be a recovery elastic body having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seating plate 2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on the post 100. Therefore,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restoring elastic body is elongated, and the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elastic body. The seating plate 2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5,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 off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는 복구 유닛(50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 복구 유닛(2500)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recovery unit 500, the recovery unit ( 2500)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 유닛(2500)은 안착판(200)의 중심에 구비되는 회전축(2510)과, 그리고 회전축(2510)에 축 결합되는 복구 모터(25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력(또는 제2 외력)에 의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후, 복구 모터(2520)의 회전력에 의해 안착판(200)은 원 위치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복구 유닛(500)은 별도의 동력 전달 유닛(530)이 요구되는 반면, 제3 실시예의 복구 유닛(2500)은 동력 전달 유닛(530)이 요구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 the recovery unit 250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251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a recovery motor 2520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510. Therefore, after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first external force (or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seat plate 200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covery motor 2520. do. In particular, the recovery unit 5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requires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unit 530, whereas the recovery unit 2500 of the third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 power transmission unit 530.

이하, 도 7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7 to 14,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1 and 12 illustrate a stop unit and a first and second anti-bounce unit whe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while the vehicle moves forward i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3 and 14 illustrate a stop unit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while the vehicle is reversing in the automatic recovery apparatus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i-stick unit.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perated by a set program, and the set program may execute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t can be included.

첫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을 차단시키는 차단봉(400)이 상기 차량과 접촉되면, 차단봉(400) 및 이에 연결된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다.First, as shown in FIG. 7, when the blocking rod 400 blocking the entry of the vehicle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connected thereto are rot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차량 차단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차량이 차량 차단 시스템으로 진입하면서 차단봉(400)에 부딪히면, 그 부딪히는 힘에 이해 차단봉(40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도 7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회전된다. 특히, 차단봉(400)은 안착판(200)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300)에 연결되어 있고, 안착판(200) 또한 포스트(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부딪히는 힘은 받는 즉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은 도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부딪히는 힘은 차단봉(40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거의 모두 전환되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충격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차단봉(400)의 외주면에 쿠션 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과 차단봉(400) 사이의 소정의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충격은 쿠션 부재(미도시)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될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blocking system is initialized, as shown in FIG. 7, when an external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 400 as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blocking system, the blocking rod 4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clockwise (see arrow in FIG. 7). In particular, the blocking rod 400 is connected to the up / down motor 300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00, the seating plate 200 is also provided rotatably at the top of the post 100 so that the force to hit Upon receipt, blocking rod 400 and seating plate 20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impact for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in this bumping process is almost all converted to the force to rotate the blocking rod 400, the impact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will hardly occur. In addition, since a cushion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ing rod 400, even if a predetermined shock is generate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400, the shock will be absorbed almost by the cushion member (not shown). .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안착판(200)의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차단 봉(400) 및 안착판(200)의 회전이 정지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 first protrusion 711 of the seating plate 200 hits the stopper 720 while blocking the blocking rod ( 400 and the mounting plate 200 is stopped.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리게 되므로, 안착판(200)의 제1 돌기(711)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안착판(200) 및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즉, 튕김 현상)이 차단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since the first catching bar 821 is caught by the first tooth 810, the seating plate 200 is provide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eating plate 200 and the blocking rod 400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that is, the phenomenon of jumping) is blocked by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first protrusion 711 strikes the stopper 720.

둘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회전되면, 안착판(200)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된다.Seco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re rotated,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upward by the up / down motor 300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00. do.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도 8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are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turn the up / down motor 300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upward by driving approximately 90 degrees in the direction (see arrow of FIG. 8).

셋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도록 복구 유닛(500)에 의해 안착판(200)이 차량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Third,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mounting plate 200 by the recovery unit 50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mounting plate 2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Is rotated.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구 유닛(500)의 복구 모터(520)를 도면상 시계 방향(도 9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안착판(200)을 원 위치시킨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upward, the controller (not shown) moves the recovery motor 520 of the recovery unit 500 in a clockwise direction (see arrows in FIG. 9). Approximately 90 degrees to return the seating plate 200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복구 유닛(500)의 복구 모터(520)가 구동되기 전,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가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제1 치부(810)와 제1 돌기(711) 사이의 간격 및 제2 치부(910)와 제2 돌기(712)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됨) 이격되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를 회전시키므로, 안착판(200)은 원활하게 회전된다.In addition, before the recovery motor 520 of the recovery unit 500 is driven by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bars 821 and 921 may be set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spaced apart from the gap between the first tooth 810 and the first protrusion 7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ooth 910 and the second protrusion 712. Sinc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bars 821 and 921 are rotated by driving the second release motors 823 and 923, the seating plate 200 rotates smoothly.

또한,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가 오 동작을 일으킬 것을 대비하여, 제1 및 제2 감지부(824)(924)는 제1 및 제2 걸림바(821)(921) 각각이 안착판(200)의 외주면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복구 모터(520)의 구동 여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내게 되므로, 제1 및 제2 해제 모터(823)(923)가 오 동작된 상태에서는, 즉 제1 걸림바(821)가 제1 치부(810)에 걸린 상태에서는 복구 모터(520)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구 모터(520)에 과부하가 걸려 복구 모터(520)가 고장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the malfun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motors 823 and 923,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824 and 924 include first and second locking bars 821 and 921. The first and second release motors 823 and 923 are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m is spaced apart from a set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00 and transmitting a signal whether the recovery motor 520 is driven to a controller (not shown). ) Is malfunctioned, that is, the recovery motor 520 is not driven when the first locking bar 821 is caught in the first tooth 810. Therefore, the recovery motor 520 may be overloaded to prevent the recovery motor 520 from failing.

넷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면, 차단봉(400)이 원 위치되도록 업/다운 모터(300)에 의해 차단봉(400)이 하방향으로 회전된다(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는 도 2참조).Fourth, when the seating plate 2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10,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downward by the up / down motor 300 so that the blocking rod 4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downward). Rotated state see FIG. 2).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0)이 원 위치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시계 방향(도 10의 화살표 참조)으로 대략 90도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원 위치시킨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eating plate 2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move the up / down motor 3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see arrow of FIG. 10) in the drawing to approximately 90 degrees. By driving the blocking rod 400 to its original position.

상술한 자동 복구 방법은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힐 경우(제1 케이스)에 차단봉(400)을 자동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이 하에서는 차량이 차단봉(400)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400)과 부딪힐 경우(제2 케이스)에 차단봉(400)을 자동 복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automatic recovery method has described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restoring the blocking rod 400 whe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400 (first case) while the vehicle is moving forward. A process of automatically restoring the blocking rod 400 in the case where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400 while the vehicle is reversing (second case) will be described.

제2 케이스가 일어날 때 자동 복구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언급된 회전 방향들에 대해 반대로 진행되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제2 케이스가 일어날 때 동작이 다르게 진행되는 멈춤 유닛(700)과 제2 튕김 방지 유닛(900)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When the second case occurs,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may be revers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s mentioned in the first cas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top unit 700 may be operated differently when the second case occurs. )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ounce prevention unit 900 will be described only.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가 발생되어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안착판(200)의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차단봉(400) 및 안착판(200)의 회전이 정지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second case is generated and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clockwise in the drawing, the second protrusion 712 of the seating plate 200 hits the stopper 720.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rod 400 and the seating plate 200 is stopped.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40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회전되면, 제2 걸림바(921)가 제2 치부(910)에 걸리게 되므로, 안착판(200)의 제2 돌기(712)가 멈춤턱(720)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안착판(200) 및 차단봉(4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즉, 튕김 현상)이 차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when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approximately 90 degrees clockwise in the drawing, since the second catching bar 921 is caught by the second tooth 910, the seating plate 200 may be forme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eating plate 200 and the blocking rod 400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the phenomenon of jumping) is blocked by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when the second protrusion 712 strikes the stopper 720.

한편, 차량이 차단봉(400)에 부딪히지 않는 상태, 즉 정상 상태에서의 차량 차량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vehicle system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does not hit the blocking rod 400, that is, a normal state is as follows.

허가된 차량이 차량 차단 시스템에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미도시)에 통과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차단봉(400)은 상방향으로 회전된다(도 2 참조). 따라서, 허가된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When an authorized vehicle enters the vehicle blocking system, when a sensor (not shown) or a parking management person who detects this sends a pas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up / down motor 300. In the figure is driven counterclockwise and the blocking rod 400 is rotated upward (see Fig. 2). Thus, a licensed vehicle can pass through a vehicle blocking system.

그리고,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진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주차 관리 요원이 제어부(미도시)에 차단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미도시)는 업/다운 모터(300)를 구동시키지 않거나 이미 차단봉(4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업/다운 모터(30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차단봉(400)을 지면에 대해 수평이 되게 유지한다(도 1 참조). 따라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은 차량 차단 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when an unauthorized vehicle enters, when a sensor (not shown) or a parking management agent who detects this sends a blocking signal to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ler (not shown) drives the up / down motor 300. If not, or if the blocking rod 400 has already been rotated upward, the up / down motor 300 is driven clockwise in the drawing to keep the blocking rod 400 horizontal to the ground (see FIG. 1). Thus, unauthorized vehicles will not be able to pass through the vehicle blocking syste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and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단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차량 차단 시스템을 그대로 통과하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river of the unauthorized vehicle does not find the blocking rod and passes through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s it is,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rod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on a road traveling at high speed, the effect will be doub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부딪혀 차단봉이 회전되더라도, 별도의 수 작업 없이 차단봉을 자동으로 다시 원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locking rod is rotated by hitt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set the blocking rod again without any manual work.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하기 전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거나,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후진으로 인해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히더라도, 차량 및 차단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 before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blocking rod, or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hits the blocking rod due to reversing while the vehicle passes the blocking rod, It can prevent breakage of the blocking ro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tomatic recovery device for a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rod is rais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단봉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atic resto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lowe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 off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4 is a main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 off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 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recovery unit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shut off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2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of FIG. 2 specifically showing a stop unit and first and second anti-bounce units. FIG.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전진 중 차량의 앞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1 and 12 illustrate a stop unit and a first and second anti-bounce unit whe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while the vehicle moves forward in the automatic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에서, 차량이 차단봉을 통과한 상태에서 차량이 후진 중 차량의 뒷부분이 차단봉과 부딪힐 때, 멈춤 유닛과, 제1 및 제2 튕김 방지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3 and 14 illustrate a stop unit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rod while the vehicle is reversing in the automatic recovery apparatus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nti-stick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포스트 200: 안착판100: Post 200: Seating plate

300: 업/다운 모터 400: 차단봉300: up / down motor 400: blocking rod

500: 복구 유닛500: recovery unit

Claims (4)

차량이 차단봉에 접촉되면, 상기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에 연결된 안착판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in which the blocking rod and the seating plate connected to the blocking rod rotate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ntacts the blocking rod;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업/다운 모터에 의해 상기 차단봉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rotating the blocking ro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up / down motor seated on the seating plate; 상기 안착판이 복구 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3 단계; 및A third step in which the seating plate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a recovery unit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상기 차단봉이 상기 업/다운 모터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And a fourth step in which the blocking rod is rotated downward by the up / down motor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제1 단계에서,In the first step, 상기 안착판에 구비된 돌기가 멈춤턱에 걸리면서 상기 안착판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Automatic projection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late is rotated by a set angle while the projection provided on the seating plate stops.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안착판의 상기 돌기가 상기 멈춤턱에 걸리면서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상기 안착판이 튕기는 것을 막기 위해, In the first step, in order to prevent the seat plate from being bounced by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while the protrusion of the seat plate is caught on the stop, 상기 돌기가 상기 멈춤턱에 걸린 후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부가 걸림바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And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re caught by the catching bar after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stopper.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돌기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멈춤턱에 걸린 경우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치부가 제1 걸림바에 걸리고,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멈춤턱에 걸린 경우 상기 안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치부가 제2 걸림바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Th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and when the first protrusion is caught by the stop, the first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is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bar,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topped by the stop. When caught, the second too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plate is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제2항에서, In claim 2, 상기 제3 단계가 수행되기 전, 상기 걸림바가 상기 안착판의 치부로부터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방법. Before the third step is performed, the locking bar is automatically restored method of the vehicl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teeth of the seating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KR1020090119117A 2009-12-03 2009-12-03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KR100978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17A KR100978984B1 (en) 2009-12-03 2009-12-03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17A KR100978984B1 (en) 2009-12-03 2009-12-03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33A Division KR100956233B1 (en) 2007-10-04 2007-10-04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373A KR20090128373A (en) 2009-12-15
KR100978984B1 true KR100978984B1 (en) 2010-08-30

Family

ID=416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117A KR100978984B1 (en) 2009-12-03 2009-12-03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52B1 (en) * 2022-05-17 2022-10-12 김홍일 Park breakers with break pro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886B1 (en) * 2014-02-25 2017-08-11 La Barriere Automatique DEVICE FOR AUTOMATICALLY CLOSING A CIRCULATION PA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729A (en) 1998-07-31 2000-02-15 Koito Ind Ltd Crossing gate
KR100759957B1 (en)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A lifting gate having an automatic return barrier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729A (en) 1998-07-31 2000-02-15 Koito Ind Ltd Crossing gate
KR100759957B1 (en)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A lifting gate having an automatic return barrier b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452B1 (en) * 2022-05-17 2022-10-12 김홍일 Park breakers with break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373A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23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CA2657768C (en) Speed responsive engagement device
CN101263275B (en) Rotary gate with locking arm which can swing parallel to main rotation shaft
KR1008706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JP5264554B2 (en) Vehicle traffic control device
JP5727160B2 (en) Vehicle traffic barrier
KR100978984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JP2000043729A (en) Crossing gate
WO2018129712A1 (en) Supported overturning interception net driven by spring mechanism
WO1999000566A1 (en) Device for blocking exit of car from parking lot
KR10097898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 vehicle blocking system
JP4130293B2 (en) Platform step device
KR20080000137A (en) Automatic crossing gate
JP2017061824A (en) Gate device
CN108189864B (en)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obstacles on rail surface of travelling crane
JP6286739B2 (en) Start control machine
KR101139285B1 (en) Closing bar system of Vehicle
JP6267545B2 (en) Bicycle parking system and bicycle parking system
JP2008210312A (en) Blocking device for toll gate crossing
JP5455794B2 (en) Gate device release recovery mechanism
JP2015155643A (en) Vehicle passage crossing gate
JP2009235764A (en) Gate apparatus
JPH0941705A (en) Car stop device of parking machine
CN221029792U (en) Railing machine
JP2849558B2 (en) Wheel sto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