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475B1 -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75B1
KR100978475B1 KR1020080071275A KR20080071275A KR100978475B1 KR 100978475 B1 KR100978475 B1 KR 100978475B1 KR 1020080071275 A KR1020080071275 A KR 1020080071275A KR 20080071275 A KR20080071275 A KR 20080071275A KR 100978475 B1 KR100978475 B1 KR 10097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haft
gasket
shell case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48A (ko
Inventor
조언정
이명헌
주대현
박동진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2Intake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부에 포트(112a)를 갖는 런너(112)가 마련된 쉘케이스(110); 상기 쉘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상기 포트(112a)를 개폐하는 개폐판(122) 및, 이 개폐판(122)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124)를 갖는 밸브부재(120); 상기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가압함으로써, 샤프트(124)를 상기 쉘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압구(130); 상기 가압구(130)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런너(112)의 포트(112a)를 실링하는 가스킷(140) 및; 상기 가스킷(140) 및 가압구(130)를 상기 포트(112a)의 주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압구(130)가 샤프트(124)를 가압하여 쉘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밸브부재(120)를 쉘케이스(110)에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매니폴드, 스월, 밸브, 샤프트, 고정

Description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 MANIFOLD IMPROVED FIXING STRUCTRE OF VALVE MEMBER }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서, 매니폴드에 설치된 밸브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밸브부재를 매니폴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실린더의 행정에 의해 발생되는 실린더의 부압에 의해 외기를 흡기하거나 고압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이때, 외기는 엔진의 헤드에 설치된 매니폴드를 통해 흡기한다. 이러한 매니폴드는 흡기되는 외기를 스월시켜서 실린더에 공급한다. 따라서, 실린더에 분사되는 연료는 스월되는 외기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혼합된다.
이와 같은 매니폴드는 유럽특허공개공보 EP 1674712호 및 EP 1591641에 잘 개시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매니폴드(MA)는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케이스(2)에 형성된 관형태의 런너(1)를 통해 외기를 공급한다. 이때, 매니폴드(M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장착된 엑츄에이터(AT)에 의해 내부의 밸브부 재가 작동한다. 따라서, 매니폴드(MA)는 밸브의 개폐작동에 따라 외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밸브부재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2)가 커플러(10)를 통해 엑츄에이터(AT)에 연결된 상태로 런너(1)의 포트(1a)에 안착된다. 이때, 샤프트(22)에 동일체로 설치된 개폐판(2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a)를 차폐한다. 이러한 밸브부재(20)는 커플러(10)를 통해 엑츄에이터(AT)의 구동력이 전달될 경우, 샤트트(22)를 회전시켜서 개폐판(24)으로 포트(1a)를 개폐한다. 따라서, 매니폴드(MA)는 개폐판(24)의 개폐작동에 따라 런너(1)에 소통되는 외기를 단속한다.
한편, 포트(1a)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킷(3)에 의해 테두리가 기밀상태로 실링된다. 즉, 가스킷(3)은 포트(1a)의 외측으로 외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밸브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이 한조를 이루면서 하단부에 샤프트(22)가 끼워진 복수개의 고리편(30)이 포트(1a)의 벽체(1a')에 형성된 벽체홈(1a-1)에 결합됨에 따라 포트(1a)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밸브부재(20)는 고리편(30)에 의해 쉘케이스(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매니폴드(M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편(30)이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고리편(30)의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작게 형성된 복수개의 고리편(30)을 벽 체홈(1a-1)에 일일이 정합시켜서 결합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사출성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a)의 벽체(1a')를 쉘케이스(2)에 동일체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성형 후 냉각에 의해 신축되면서 벽체(1a')가 설계치와 다르게 변형할 경우 쉘케이스(2)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밸브부재의 샤프트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밸부부재를 쉘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런너의 단부를 이루는 포트의 외측에 벽체를 제공하면서 샤프트의 여러 부위를 한꺼번에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분에 정합상태로 밀착되어 샤프트의 일부분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샤프트에 설치된 개폐판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가압부재를 쉘케이스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 유체가 유입되는 포트를 단부에 갖는 런너가 마련된 쉘케이스; 상기 쉘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런너의 포트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이 개폐판이 결합되어 개폐판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를 갖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샤프트를 가압함으로써, 샤프트를 상기 쉘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압구; 상기 가압구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런너의 포트를 실링하는 가스킷 및; 상기 가스킷 및 가압구를 상기 포트의 주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는 예컨대, 상기 포트의 지름 보다 크게 형성되어 포트의 외측에서 포트의 상부로 보호벽을 제공하는 동시에, 하단부를 통해 상기 개폐판이 설치된 상기 밸브부재의 샤프트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환형링; 상기 환형링들 사이에서 환형링들과 동일체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환형링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스킷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가스킷홈이 상부에 형성된 연결블럭 및; 상기 연결블럭과 동일체를 이루는 상기 환형링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환형링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사출된 환형링이 냉각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형링은,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는 하단에 샤프트의 외경에 대응형성되어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반원형의 가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상기 개폐판의 테두리가 하단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단의 내측면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상기 포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쉘케이스의 일부분에 상기 가압구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계단식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홈형태의 단턱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가압구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짐에 따라 가압구의 하단 테두리 및 외측을 지지하여 쉘케이스에 가압구를 고정하는 내측단턱 및; 상기 내측단턱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쉘케이스의 일부분에 내측단턱과 연속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가스킷(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형성된 동시에 계단식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홈형태의 단턱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가스킷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짐에 따라 가스킷의 하단 테두리 및 외측을 지지하여 쉘케이스에 가스킷을 고정하는 외측단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 가압구가 밸브부재의 샤프트를 가압하여 밸브부재를 포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밸브부재를 쉘케이스에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가압구가 연결블럭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체를 이루는 복수개의 환형링으로 구성될 경우, 포트에 보호벽을 제공하면서 샤프트의 여러 부위를 한꺼번에 회전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압구를 쉘케이스에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환형링의 하단에 샤프트의 외경에 대응하는 가압홈이 형성될 경우, 샤프트를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환형링의 하단 내측면에 경사부를 형성할 경우, 밸브부재의 개폐판이 포트에서 회전되어도 개폐판의 테두리가 환형링의 하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고정수단이 서로 연결된 내측단턱 및 외측단턱으로 이루어져서 단순한 계단식 구조를 형성하므로,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구 및 가스킷을 쉘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매니폴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쉘케이스(110); 밸브부재(120); 가압구(130) 및; 가스킷(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쉘케이스(110)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체의 부재이다. 이러한 쉘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포트(112a)를 단부에 갖는 다수개의 런너(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쉘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엑츄에이터(50)가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은 엑츄에이터(50)는 후술되는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회전시켜서 밸브부재(120)를 작동시킨다. 즉, 밸브부재(120)는 엑츄에이터(50)에 의해 작동한다.
다음, 전술한 밸브부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샤프트(124) 및 이 샤프트(124)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개폐판(122)을 갖는다. 이러한 밸브부재(120)는 쉘케이스(110)에 설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112)의 단부를 형성하는 포트(112a)에 설치되어 개폐판(122)을 통해 포트(112a)를 개폐한다. 즉, 밸브부재(120)는 런너(112)를 개폐하여 런너(112)에 소통되는 유체를 단속한다.
그 다음, 전술한 가압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120)가 포트(112a)에 안착된 후 밸브부재(120)상에 안착된다. 즉, 가압구(130)는 밸브부재(120)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전술한 가스킷(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개 의 고무링(142)이다. 즉, 가스킷(140)은 기밀성을 위해 고무재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무링(14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킷(140)은 복수개의 고무링(142)이 동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링(142)의 연결부위에 분할벽(144)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가압구(130)는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 연결블럭(134) 및; 변형방지돌기(13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환형링(13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쌍의 환형링(13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럭(134)에 의해 병렬상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환형링(132)은 도시된 바와 달리 다수개로 구성되어 연결블럭(13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환형링(132)은 링트레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환형링(132)들을 연결하는 연결블럭(13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들 사이에서 환형링(132)들과 동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환형링(132)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물론, 연결블럭(134)은 환형링(132)의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이러한 연결블럭(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가스킷(14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가스킷홈(134a)이 형성된다. 이때, 가스킷홈(134a)에 삽입되는 가스킷(140)의 일부분은 가스킷(140)의 고무링(142)들 사이에 형성된 분할벽(144)이다. 즉, 분할벽(144)은 연결블럭(134)의 가스킷홈(134a)에 삽입된다.
한편, 환형링(13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가압홈(132a)이 형성된 다. 이와 같은 가압홈(132a)은 샤프트(124)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지름을 갖는 반원형의 홈이다. 즉, 가압홈(132a)은 샤프트(124)의 반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반원형 홈이다.
또 한편, 전술한 변형방지돌기(13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의 일측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변형방지돌기(13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부가 절곡된 일직선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변형방지돌기(136)는 환형링(132)의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이와 같은 변형방지돌기(136)는 환형링(132)이 사출된 후 냉각될 경우, 온도차에 의해 환형링(132) 보다 우선적으로 신축되면서 환형링(132)이 온도차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변형방지돌기(136)는 환형링(132)이 포트(112a)의 외측에 안착될 경우 후술되는 내측단턱(114)상에 지지되면서 환형링(132)을 포트(112a)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킨다. 즉, 변형방지돌기(136)는 환형링(132)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환형링(132)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요소이다.
이러한 변형방지돌기(136)가 형성된 가압구(130)는 고정수단에 의해 포트(112a)의 외측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가압구(130)는 고정수단에 의해 쉘케이스(1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12a)의 외측에 위치하는 쉘케이스(110)의 일부분에, 계단식 단면을 갖는 홈형태의 단턱으로 이루어진 내측단턱(114) 및; 이 내측단턱(114)의 외측에 위치하 는 쉘케이스(110)의 일부분에, 내측단턱(114)과 연속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계단식 단면을 갖는 홈형태의 단턱으로 이루어진 외측단턱(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홈형태의 내측단턱(114)은 내측(내주면)에 가압구(130)의 환형링(132)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가압구(1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그리고, 내측단턱(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턱(116)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측단턱(116)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측단턱(114)은 외측단턱(116)과 함께 포트(112a)의 외측에 계단식 구조를 제공한다.
전술한 홈형태의 외측단턱(116)은 내측(내주면)에 가스킷(140)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가스킷(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단턱(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단턱(114)의 외측에서 내측단턱(114)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내측단턱(114)과 연속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계단식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112b는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가 삽입되는 샤프트홈이다. 이러한 샤프트홈(112b)은 샤프트(124)의 외경에 대응형성된 반원형의 홈이다. 따라서, 샤프트(124)는 샤프트홈(112b)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물론, 샤프트(124)는 샤프트홈(112b)에 의해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압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12a)에 안착되어 포트(112a)의 외측에 보호벽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압구(130)는 포트(112a)에 전술한 밸브부재(120)가 우선적으로 안착된 후 밸브부재(120)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가압구(130)는 밸브부재(120)의 상부에서 밸브부재(12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가압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의 하단을 통해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가압한다. 이때, 샤프트(12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의 반원형 가압홈(132a)에 외주면의 절반이 삽입된 상태로 가압된다. 즉, 샤프트(124)는 가압홈(132a)에 결합된 상태로 가압된다. 따라서, 샤프트(124)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가압구(130)에 가압된다.
이러한 전술한 밸브부재(12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30)의 하부에서 개폐판(122)을 통해 포트(112a)를 차폐한다. 이러한 밸브부재(120)는 엑츄에이터(50)에 의해 가압구(130)의 하부에서 샤프트(124)가 회전할 경우 개폐판(122)이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밸브부재(120)는 엑츄에이터(50)에 의해 포트(112a)를 개폐한다.
여기서, 전술한 가압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의 내측단턱(114)에 하단부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내측단턱(114)은 환형링(132)의 하단의 하부 및 하단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가압구(130)는 내측단턱(114)의 내측에 고정된다.
한편, 가스킷(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30)가 포트(112a)에 안착된 후 가압구(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러한 가스킷(140)은 가압구(130)의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가압구(130) 및 외측단턱(116)의 사이에 억지끼움 상태로 개재된다. 물론, 가스킷(14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및 외주면이 외측단턱(116)에 지 지된다. 따라서, 가스킷(140)은 가압구(130)의 외측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가압구(130)의 외측을 실링한다.
이와 같은 가스킷(14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30)의 전술한 연결블럭(134)에 형성된 가스킷홈(134a)에 전술한 분할벽(144)이 삽입된다. 따라서, 가스킷(140)은 환형링(1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실링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가압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링(132)의 내경이 개폐판(122)의 지름과 유사할 경우, 환형링(132)의 하단의 내측면(내주면)에 경사부(132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부(132b)는 개폐판(122)의 회전시 개폐판(122)의 테두리가 하단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즉, 개폐판(122)은 회전되어도 환형링(132)의 하단과 충돌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는 포트(112a)에 밸브부재(120)와 가압구(130) 및 가스킷(140)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밸브부재(12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2)에 설치된 개폐판(122)이 포트(112a)를 차폐한다. 그리고, 가압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의 내측단턱(114)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환형링(132)의 하단으로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가압한다. 물론, 가압구(13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가압홈(132a)을 통해 샤프트(124)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샤 프트(124)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포트(112a)에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가스킷(14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의 외측단턱(116)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가스킷(14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130) 및 외측단턱(116)의 내주면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가스킷(140)은 포트(112a)의 상부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포트(112a)의 외측을 기밀상태로 실링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는, 가압구(130)가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가압하여 밸브부재(120)를 포트(112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밸브부재(120)를 쉘케이스(110)에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가압구(130)가 연결블럭(134)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체를 이루는 복수개의 환형링(132)로 구성될 경우, 포트(112a)에 보호벽을 제공하면서 샤프트(124)의 여러 부위를 한꺼번에 회전가능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가압구(130)를 쉘케이스(110)에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환형링(132)의 하단에 샤프트(124)의 외경에 대응하는 가압홈(132a)이형성될 경우, 샤프트(124)를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환형링(132)의 하단 내측면에 경사부(132b)를 형성할 경우, 밸브부재(120)의 개폐판(124)이 포트(112a)에서 회전되어도 개폐판(124)의 테두리가 환형링(132)의 하단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정수단이 서로 연결된 내측단턱(114) 및 외측단턱(116)으로 이루어져서 단순한 계단식 구조를 형성하므로,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구(130) 및 가스킷(140)을 쉘케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매니폴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트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매니폴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110 : 쉘케이스
112a : 포트
114 : 내측단턱
116 : 외측단턱
122 : 개폐판
124 : 샤프트
130 : 가압구
132 : 환형링
132a : 가압홈
132b : 경사부
134 : 연결블럭
136 : 변형방지돌기
140 : 가스킷

Claims (5)

  1.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포트(112a)를 단부에 갖는 런너(112)가 마련된 쉘케이스(110);
    상기 쉘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상기 런너(112)의 포트(112a)를 개폐하는 개폐판(122) 및, 이 개폐판(122)이 결합되어 개폐판(122)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124)를 갖는 밸브부재(120);
    상기 밸브부재(120)의 상부에서 상기 샤프트(124)를 가압함으로써, 샤프트(124)를 상기 쉘케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압구(130);
    상기 가압구(130)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런너(112)의 포트(112a)를 실링하는 가스킷(140); 및
    상기 가스킷(140) 및 가압구(130)를 상기 포트(112a)의 주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130)는,
    상기 포트(112a)의 외측에서 포트(112a)의 상부로 보호벽을 제공하는 동시에, 하단부를 통해 상기 개폐판(122)이 설치된 상기 밸브부재(120)의 샤프트(124)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환형링(132);
    상기 환형링(132)들 사이에서 환형링(132)들과 동일체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환형링(132)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스킷(14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가스킷홈(134a)이 상부에 형성된 연결블럭(134); 및
    상기 연결블럭(134)과 동일체를 이루는 상기 환형링(132)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환형링(132)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사출된 환형링(132)이 냉각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돌기(136);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링(132)은,
    상기 샤프트(124)를 가압하는 하단에 샤프트(124)의 외경에 대응형성되어 샤프트(124)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반원형의 가압홈(1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링(132)은,
    상기 샤프트(124)에 설치된 상기 개폐판(122)의 테두리가 하단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단의 내측면에 경사부(1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포트(112a)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쉘케이스(110)의 일부분에 상기 가압구(1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면서 계단식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홈형태의 단턱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가압구(130)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짐에 따라 가압 구(130)의 하단 테두리 및 외측을 지지하여 쉘케이스(110)에 가압구(130)를 고정하는 내측단턱(114); 및
    상기 내측단턱(114)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쉘케이스(110)의 일부분에 내측단턱(114)과 연속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가스킷(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형성된 동시에 계단식 단면으로 이루어져서 홈형태의 단턱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가스킷(140)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짐에 따라 가스킷(140)의 하단 테두리 및 외측을 지지하여 쉘케이스(110)에 가스킷(140)을 고정하는 외측단턱(116);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KR1020080071275A 2008-07-22 2008-07-22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KR10097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75A KR100978475B1 (ko) 2008-07-22 2008-07-22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75A KR100978475B1 (ko) 2008-07-22 2008-07-22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48A KR20100010348A (ko) 2010-02-01
KR100978475B1 true KR100978475B1 (ko) 2010-08-30

Family

ID=4208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275A KR100978475B1 (ko) 2008-07-22 2008-07-22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961B1 (ko) * 2011-10-28 2013-08-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텀블형 vcm 밸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523A (ja) * 1994-04-18 1995-10-31 Nissan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8277717A (ja) * 1995-04-06 1996-10-22 Du Pont Kk 吸気制御バルブを備えた樹脂吸気系
US6662772B1 (en) 1999-11-12 2003-12-16 Siemens Canada Limited Integrated swirl control valve
KR100892495B1 (ko) 2007-10-09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흡기 매니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523A (ja) * 1994-04-18 1995-10-31 Nissan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8277717A (ja) * 1995-04-06 1996-10-22 Du Pont Kk 吸気制御バルブを備えた樹脂吸気系
US6662772B1 (en) 1999-11-12 2003-12-16 Siemens Canada Limited Integrated swirl control valve
KR100892495B1 (ko) 2007-10-09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흡기 매니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48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5401U (ja) 車載用コンプレッサ装置
JP5902028B2 (ja) 圧力容器の製造方法
CA2584884A1 (en) System with capsule having sealing means
US20080315533A1 (en) Inflatable sealing device for a molding tool
CN101291854A (zh) 反渗透过滤系统贮存罐
EP2261497B1 (en) Pipe joint cover
KR20160133432A (ko) 디스펜서를 위한 도포기, 도포기 헤드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및 도포기 헤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978475B1 (ko)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JP2013530040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JP2003106175A (ja) 駆動装置収容部と駆動装置コンタクト形成部とを備えた絞り装置
US8714197B2 (en) Valve for water fauc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784026B2 (ja) 流体カートリッジのためのマニホルド
US6622759B2 (en) Balloon neck fitting
JP5018100B2 (ja) 圧力容器及び圧力容器製造方法
JP5714860B2 (ja)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JP2001004054A (ja) タイヤ用エアバルブ
US20090301427A1 (en) Cylinder head cover
CN210397808U (zh) 一种阀芯及应用该阀芯的阀结构
CN101472736A (zh) 整体接头的模制方法和系统
KR200396474Y1 (ko)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KR100755338B1 (ko) 전자석밸브
CN220623207U (zh) 气嘴及充气文胸
KR100978473B1 (ko)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KR100445963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15927724U (zh) 多功能风嘴和充气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