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86B1 - 장애 유아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장애 유아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86B1
KR100978386B1 KR1020080039983A KR20080039983A KR100978386B1 KR 100978386 B1 KR100978386 B1 KR 100978386B1 KR 1020080039983 A KR1020080039983 A KR 1020080039983A KR 20080039983 A KR20080039983 A KR 20080039983A KR 100978386 B1 KR100978386 B1 KR 10097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base
wheel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731A (ko
Inventor
유향선
Original Assignee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09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 유아용 휠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는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 적합한 시트 및 등받이 모양이 형성된 좌석을 선택하여 착탈식으로 휠체어에 설치가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장애 유아의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는 좌석의 위치가 대바퀴의 중심축 아래에 설치된다. 따라서, 좌석의 높이가 종래의 휠체어에 비하여 낮아 장애 유아가 스스로 휠체어의 좌석에 착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종래의 휠체어에 비하여 무게 중심이 아래에 형성되므로 더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 유아용 휠체어{Wheelchair for handicapped child}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복지 사회로 진행됨에 따라서 장애인의 이동권의 보장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장애인의 이동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보조 기구가 바로 휠체어이다.
휠체어(Wheel chair)는 바퀴가 달린 의자로써, 통상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장애인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돌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바퀴를 직접 돌릴 수 없는 장애인을 위해서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 구동되어 움직이는 전동 휠체어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는 어른 체형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장애 유아가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휠체어는 지면으로부터 좌석까지의 높이가 높아서 장애 유아들이 자신의 힘으로 직접 휠체어에 앉을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휠체어의 좌석 모양은 평면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성장이 완료된 어른들에게는 적합하지만 장애 유아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즉,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장애 유아들의 경우에는 앉은 자세를 교정함으로써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오히려 장애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휠체어는 획일화된 좌석 구조로 인하여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애 유아가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낮고,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에 따라서 적합하게 제작된 좌석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는, 좌석이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바퀴부를 포함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로서, 상기 본체부에는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서 시트부 및 등받이의 모양이 형성된 좌석이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프레임이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부내에서 이동되어 손잡이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바퀴부의 대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좌석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좌석은 상기 본체부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손잡이부는 상기 대바퀴로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동 케이블; 사용자가 당기면 상기 제동 케이블로 제동력을 인가하는 레버; 및 상기 레버가 당겨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체부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말단이 서로 연결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 된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두개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결되는 암지지부; 및 양 말단이 상기 암지지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각각 연결되는 바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체부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된 영역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과, 말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연결부에 의해서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두개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결되는 암지지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인가되면 수축되고, 상기 힘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는 쇼바부; 및 양 말단이 상기 암지지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각각 연결되는 바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후방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 지하는 보조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는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 적합한 시트 및 등받이 모양이 형성된 좌석을 선택하여 착탈식으로 휠체어에 설치가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장애 유아의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는 좌석의 위치가 대바퀴의 중심축 아래에 설치된다. 따라서, 좌석의 높이가 종래의 휠체어에 비하여 낮아 장애 유아가 스스로 휠체어의 좌석에 착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종래의 휠체어에 비하여 무게 중심이 아래에 형성되므로 더 안정적으로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이하, "휠체어"로 약칭함)는 본체부, 손잡이부, 및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부는 제 1 베이스부(110), 제 2 베이스부(120), 가이드부(180), 좌석 지지부(130), 등받이 지지부(140), 암지지부(150), 바퀴 결합부(170), 및 손잡이 고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베이스부(110)는 제 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2 베이스부(120)는 제 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말단이 제 1 베이스부(110)의 말단과 서로 결합되어 설치된 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부(180)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각각 수직 방향인 제 3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2개의 프레임이 제 1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의 수직 프레임(210)이 수용되고 유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된다.
좌석 지지부(130)는 제 2 베이스부(120)와 평행하도록 제 2 베이스부(120) 사이의 위치에 제 1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그 위에 후술하는 좌석(400)의 시트부(420)가 설치된다. 좌석 지지부(130)는 1 이상의 수로 형성된다.
등받이 지지부(140)는 가이드부(180)와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가이드부(180)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등받이 지지부(140)는 1이상의 수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등받이(410)와 결합된다.
암지지부(150)는 제 1 베이스부(110) 및 가이드부(180)와 상호 결합되어 장애 유아가 팔을 올려놓거나, 장애 유아가 측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암지지부(150)의 후면은 제 1 베이스부(11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전면은 아래로 절곡되어 제 1 베이스부(110)와 결합된다.
바퀴 결합부(170)는 가이드부(180)와 평행하게 암지지부(150)와 제 1 베이스부(110)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대바퀴(3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바퀴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퀴 결합부(170)에는 결합된 대바퀴(310)의 바퀴축에 접촉되어 대바퀴(310)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력 인가부(미도시 됨)가 포함하고, 제동 력 인가부는 후술하는 제동 케이블(236)을 통해서 사용자가 제동부(230)의 레버(232)를 당길 때 발생되는 제동력을 전달 받는다.
본 발명의 바퀴 결합부(170)는 좌석 지지부(130)가 연결된 제 1 베이스부(110)와 암지지부(150) 사이에 설치되고, 대바퀴(310)의 중심축이 바퀴 결합부(170)에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휠체어의 좌석(400)은 대바퀴(310)의 중심축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휠체어는 종래의 휠체어에 비하여 낮고, 그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여, 장애 유아가 스스로 휠체어에 착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휠체어가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휠체어가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 고정부(160)는 가이드부(180) 내부로 수용된 손잡이부의 수직 프레임(210)의 위치를 고정시켜 손잡이(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손잡이 고정부(160)는 나사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18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내부로 수용된 수직 프레임(210)과 밀착된 후, 마찰력에 의해서 수직 프레임(21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수직 프레임(210)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홈 내부로 고정바를 삽입시켜 수직 프레임(2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도 있다.
한편, 손잡이부는 수직 프레임(210), 손잡이(220), 및 제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직 프레임(210)은 손잡이(220)와 절곡면에서 연결되고, 가이드부(180)에 수용되며 손잡이 고정부(160)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수직 프레 임(210)은 손잡이 고정부(160)와 연동되어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내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220)는 수직 프레임(210)과 절곡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제 2 베이스부(1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손잡이(220)에는 휠체어의 이동 중 휠체어를 멈추거나 휠체어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동부(230)가 설치된다.
제동부(230)는 레버(232), 고정버튼(234), 및 제동 케이블(2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동 케이블(236)은 레버(232)와 바퀴 결합부(170)에 설치된 제동력 인가부에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레버(232)를 당기면 그 힘이 제동 케이블(236)을 통해서 제동력 인가부로 전달되어 대바퀴(310)가 제동되고, 사용자가 제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고정버튼(234)을 누르면 레버(232)는 당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바퀴부는 2개의 대바퀴(310)와 2개의 소바퀴(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보조 바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바퀴(310)는 대바퀴축에 형성된 나사선이 바퀴 결합부(170)에 형성된 바퀴 결합공을 관통하여 너트(172)와 결합된다. 대바퀴(310)는 휠체어의 이동을 담당한다.
소바퀴(320)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가 결합된 부분에 설치되거나, 제 1 베이스부(110) 또는 제 2 베이스부(120)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킨다. 또한, 소바퀴(320)에는 제동장치가 함께 설치되어 휠체어가 정지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조 바퀴(33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제 2 베이스부(120)에 결 합되도록 1 이상의 수로 설치된다. 보조 바퀴(330)는 휠체어가 경사면을 오르는 경우 또는 손잡이(220)를 뒤로 당기는 경우에도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휠체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좌석(4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좌석(400)은 발판(430),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로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된 구성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먼저, 발판(430),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가 일체로 좌석(400)을 형성하는 경우에, 등받이(410)가 등받이 지지부(140)와 밀착되도록 좌석(400)이 좌석 지지부(130)위에 놓여지고, 좌석 지지부(130)에 형성된 결합 수단에 의해서 좌석 지지부(130)와 시트부(420)가 결합되며, 등받이 지지부(140)에 형성된 결합 수단에 의해서 등받이(410)와 등받이 지지부(140)가 결합된다.
좌석 지지부(130)와 시트부(420)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 및 등받이(410)부와 등받이 지지부(140)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으로는 다양한 공지의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시트부(420)의 바닥면에 볼트를 형성하고, 좌석 지지부(130)에 형성된 좌석(400) 결합공을 통과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시트부(420)를 좌석 지지부(130)와 결합할 수 있고, 더 간단하게는 좌석 지지부(130) 중 시트부(420)와 맞닿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을 부착하고, 시트부(420)의 밑면에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면을 부착하여 시트부(420)와 좌석 지지부(130)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서 결합시킬 수 있다.
등받이(410)의 경우에도 시트부(4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등받이 지지부(14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등받이(410)의 뒷면에 결합용 고리를 형성하고, 결합용 고리를 등받이 지지부(140)에 걸어서 간편하게 등받이(410)를 본체부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시트부(42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발판(430),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된 경우에, 발판(430) 및 등받이(410)가 시트부(420)에 각각 결합된 후 일체로 좌석 지지부(130) 및 등받이 지지부(140)에 결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발판(430)이 제 2 베이스부(120)와 복수의 좌석 지지부(130) 중 전면에 위치한 좌석 지지부(130)에 결합되고, 시트부(420)가 좌석 지지부(130)와 결합되며, 등받이(410)가 등받이 지지부(14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그 결합 방식은 상술한 일체로 형성된 좌석(400)이 본체부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장애 유아가 접촉하는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의 표면은 장애 유아의 장애 형태에 따라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휠체어는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에 따라서 적합한 시트부(420)와 등받이(410)를 결합하여 좌석(4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발판(430)의 경우에도,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에 따라서 발판(430)의 두께 등을 조절하여 시트부(420)와 발판(430)의 높이 차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석(400)에서 발판(430)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좌석(400)과 본체부 및 손잡이부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애 유아용 휠체어 이용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장애 유아 교육 기관의 교사 또는 장애 유아의 보호자와 같은 사용자는 휠체어를 이용할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에 적합한 좌석(400)을 선택하고, 선택된 좌석(400)의 시트부(420)를 좌석 지지부(130)와 결합하고 등받이(410)를 등받이 지지부(140)와 결합하여 좌석(400)을 본체부에 설치한다.
만약, 좌석(400)을 구성하는 발판(430),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가 각각 별도로 선택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장애 유아의 장애 상태에 따라서 각각 적합한 발판(430), 시트부(420), 및 등받이(410)를 선택하고, 발판(430)을 제 2 베이스부(120)와 복수의 좌석 지지부(130) 중 가장 앞에 위치하는 좌석 지지부(130)에 결합하고, 시트부(420)를 좌석 지지부(130)에 결합하며, 등받이(410)를 등받이 지지부(140)에 결합하여 좌석(400)을 설치한다. 상술한 과정에서 각각의 구성을 결합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는 장애 유아를 좌석(400)에 착석시키고, 사용자는 자기가 손잡이(220)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움직이기 적합하도록 손잡이(2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손잡이 고정부(160)를 이용하여 손잡이(220)의 높이를 고정한다.
손잡이 높이가 고정되면, 사용자는 손잡이(220)를 밀어서 휠체어를 이동시키고,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동부(230)의 레버(232)를 당겨서 휠체어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며, 휠체어를 정지시키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휠체어 제동부(230)에 고정 버튼(234)을 눌러서 레버(232)가 당겨진 상태를 고정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소바퀴(320)에 설치된 제동부(230)를 설정함으로써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측면도이고, 도 6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는 노면에 설치되어 있는 문턱이나 지하철 승강장과 지하철 출입문과 같은 장애물을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전방의 바퀴가 들릴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2 베이스부(120)를 구성하는 2개의 프레임 중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이하, "후방 프레임(120b)"이라 칭함)이 "ㄷ"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방 프레임(120b)은 전방에 위치한 제 2 베이스 프레임(이하, "전방 프레임"이라 칭함;120a)과 평행하고 양 말단에서 절곡되어 전방 프레임(120a)과 수직인 방향, 즉, 제 1 베이스부(110)의 두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연결부(210)를 통해서 제 1 베이스부(110)의 프레임들과 연결된다. 이 때, 제 1 베이스부(110)의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120b)은 서로 연결축(510)을 따라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연결부(500)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후방 프레임(12b)은 그 말단이 제 1 연결부(210)를 통해서 제 1 베이스부(110)의 프레임들과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반원형 또는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후방 프레임(120b)의 하면에는 장애물을 통과할 때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바퀴(330)가 설치된다.
또한, 후방 프레임(120b)의 양 말단과 가이드부(180)의 양 측면 사이에는 쇼바부(600)가 설치되고, 쇼바부(600)는 제 2 연결부(620)에 의해서 후방 프레임(120b)과 연결되고, 제 3 연결부(610)에 의해서 가이드부(180)와 연결된다.
사용자가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넘기 위하여 손잡이(220)를 지면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손잡이(220)를 지면 방향으로 누르면 쇼바부(600)는 수축되면서 후방 프레임(120b)을 기반으로 가이드부(180)를 지지하여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놓으면 원래 길이로 복원되어 후방 프레임(120b)이 제 1 베이스부(110)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도 7 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문턱을 넘기 위해서 손잡이(220)를 지면 방향으로 누르거나, 손잡이(220)를 지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쇼바부(600)가 수축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던 제 1 베이스부(110)의 프레임들과 후방 프레임(120b)의 말단부가 연결축(510)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여 제 1 연결부(500)가 지면으로 하강하고, 상대적으로 전방의 소바퀴(320)는 상승하여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소바퀴(320)가 장애물을 통과한 후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놓으면 쇼바부(600)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 1 연결부(500)의 연결축(510)을 따라서 제 1 베이스부(110)의 프레임들과 후방 프레임(120b)의 말단부가 다시 원상태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 유아용 휠체어의 프레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휠체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좌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좌석과 본체부 및 손잡이부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휠체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좌석이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바퀴부를 포함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로서,
    상기 본체부에는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서 시트부 및 등받이의 모양이 형성된 좌석이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프레임이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부내에서 이동되어 손잡이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바퀴부의 대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좌석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말단이 서로 연결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두개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결되는 암지지부; 및
    양 말단이 상기 암지지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각각 연결되는 바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
  5. 좌석이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바퀴부를 포함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로서,
    상기 본체부에는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서 시트부 및 등받이의 모양이 형성된 좌석이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프레임이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부내에서 이동되어 손잡이부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바퀴부의 대바퀴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좌석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된 영역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베이스부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과, 말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연결부에 의해서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두개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이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의 등받이와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결되는 암지지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지면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에 힘이 인가되면 수축되고, 상기 힘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는 쇼바부 ;및
    양 말단이 상기 암지지부 및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각각 연결되는 바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휠체어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유아용 휠체어.
KR1020080039983A 2008-02-28 2008-04-29 장애 유아용 휠체어 KR100978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85 2008-02-28
KR20080018185 2008-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31A KR20090093731A (ko) 2009-09-02
KR100978386B1 true KR100978386B1 (ko) 2010-08-26

Family

ID=4130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983A KR100978386B1 (ko) 2008-02-28 2008-04-29 장애 유아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6163S1 (en) * 2020-09-25 2023-01-24 Rajeev Ramanath Smart wheel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03257U (zh) * 2013-03-15 2013-11-27 刘延锋 轮椅
KR102522652B1 (ko) * 2021-04-30 2023-04-18 황란희 신체장애인을 위한 자세 유지용 보조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21A (ja) * 2000-03-03 2001-09-11 Paramount Bed Co Ltd 駐車ブレーキ機構
JP2002177337A (ja) * 2000-12-18 2002-06-25 Meiji Natl Ind Co Ltd 車いす用介助ハンドルの取付け構造
JP2003325583A (ja)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移動座椅子付き車椅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21A (ja) * 2000-03-03 2001-09-11 Paramount Bed Co Ltd 駐車ブレーキ機構
JP2002177337A (ja) * 2000-12-18 2002-06-25 Meiji Natl Ind Co Ltd 車いす用介助ハンドルの取付け構造
JP2003325583A (ja)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移動座椅子付き車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6163S1 (en) * 2020-09-25 2023-01-24 Rajeev Ramanath Smart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31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6172A (en) Sliding seat assembly for a propelled wheel chair
US3421529A (en) Paraplegic aid
US20050156395A1 (en) Rolling walker with arm rest platforms
US5004259A (en) Rocking wheelchair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WO2012144085A1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KR100978386B1 (ko) 장애 유아용 휠체어
US5405187A (en)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US5520597A (en) Trainer for learning to walk
JP2010259517A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KR20170010652A (ko) 계단 주행이 가능한 휠체어
EP0526088B1 (en) Wheelchairs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KR101499011B1 (ko) 보행 보조 장치
US20220274664A1 (en) Physiotherapeutic Conveyance
JP2008295656A (ja) 車椅子の走行姿勢の調整機構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101814900B1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KR102106829B1 (ko)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101169855B1 (ko) 휠체어
US20200113758A1 (en) Wheelchair for caregivers
CN210991260U (zh) 用于医疗方面的爬楼车
JPH07313554A (ja) 車椅子
JP4217961B2 (ja) 多機能介助用車椅子
KR200370097Y1 (ko) 화장실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