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38B1 -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38B1
KR100978338B1 KR1020080017299A KR20080017299A KR100978338B1 KR 100978338 B1 KR100978338 B1 KR 100978338B1 KR 1020080017299 A KR1020080017299 A KR 1020080017299A KR 20080017299 A KR20080017299 A KR 20080017299A KR 100978338 B1 KR100978338 B1 KR 10097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supply
isolat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029A (ko
Inventor
장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엔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엔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엔트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1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3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실험용 쥐 중에 그 사육이 가장 힘들다는 누드 마우스를 기르기 위해 다수의 아이소레이터기를 설치하고, 그 아이소레이터기에 청정한 공기를 투입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핸들링유니트, 공급팬 및 배기팬을 이용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정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를 아이소레이터실을 돌아 배출시키는 ALL-in & ALL-out 방식을 채택하여 전량의 새로운 공기를 유입하고 그 모든 공기를 다시 모두 배출시켜 사육실 내부에 항상 청정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ALL-in & ALL-out 방식을 채택하되, 열분배와 열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력소비량을 최소화시켰으며, 그 공조의 방식이 단순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
Figure R1020080017299
아이소레이터실, 핸들링유니트, 공급팬, 배기팬, 회기댐퍼

Description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The air system of a rea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실험용 쥐 중에 그 사육이 가장 힘들다는 누드 마우스를 기르기 위해 다수의 아이소레이터기를 설치하고, 그 아이소레이터기에 청정한 공기를 투입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핸들링유니트, 공급팬 및 배기팬을 이용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용 마우스는 실험이나 연구를 위해 마우스를 사육하고 이 마우스에 약물을 투여하여 주입한 약물의 성능과 그 효과 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실험은 임상 실험 전에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하는 필수적인 과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마우스는 최적의 환경에서 사육되어 몸에 항체나 병원체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하기에 그 사육이 상당히 까다로운 일이다. 투입되어야만 하는 공기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도 고난위도의 기술이 축척되어야 하고, 투입되는 식수를 위해서도 그 정화시설과 살균시설을 비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더구나 실험용 마우스 중 누드마우스는 그 사육이 어려워 보다 많은 양의 비용이 발생되고, 정상적인 사육의 생존율도 높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특히 주의를 요하는 시스템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 그 공조시스템인데, 사육실인 아이소레이터실의 아이소레이터기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고 필요시 다시 빼내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란 어렵기만 하다. 결국 종래의 아이소레이터실의 유지는 힘들었고, 이를 위한 공조시스템은 특별한 발전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실험용 쥐 중에 그 사육이 가장 힘들다는 누드마우스를 기르기 위해 다수의 아이소레이터기를 설치하고, 그 아이소레이터기에 청정한 공기를 투입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핸들링유니트, 공급팬 및 배기팬을 이용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걸러지고 살균된 청정한 공기를 유입하고, 아이소레이터실(100)을 돌아 리싸이클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입댐퍼(21), 공급댐퍼(22), 회기댐퍼(23) 및 배출댐퍼(24)로 이루어진 핸들링유니트(20)와;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로 유입된 청정한 공기를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로 공급하는 공급팬(30)과; 상기 공급팬(30)을 거친 청정한 공기는 그 공급관(41)과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배출관(42)를 통해 회기하는 공기순환구조(40)와; 상기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회기된 공기를 수용할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를 거쳐 마우스 사육시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50)이; 결합하되,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댐퍼간 면접을 통해 열전도를 달성하며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키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4각의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되, 상부 좌우로 형성된 유입댐퍼(21)와 회기댐퍼(23); 상기 유입댐퍼(21)와 회기댐퍼(23)의 하단으로 결합된 공급댐퍼(22)와 배출댐퍼(24); 이들 댐퍼들을 모두 수용하며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유니트프레임(27)이; 결합하되, 상기 유입댐퍼(21)는 공급댐퍼(22)와 대각선으로 연통되고, 상기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도 대각선으로 연통되게 댐퍼간 칸막이 결합된 배분체(28)를 형성한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고: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 사이에는, 그 통로를 가로막아 다수의 필터(11)를 형성시키며: 그 통로에 쿨링팬(12)과 히팅팬(13)을 형성한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 사이에는, 그 통로에 카본필터(15)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각각의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설치 수에 맞추어 동일수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순환구조(40)는, 공급팬(30)과 연통되어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천장에 결합된 공급관(41)과; 상기 공급관(41)과 대응되게 천장에 일렬로 배열된 배출관(42)과; 상기 공급관(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공급호스(44)들이 각각의 아이소레이터기(99)의 일측단에 노즐결합되고, 상기 공급호스(44)의 결합부위 타측으로 배출호스(45)가 결합하여 상기 배출관(42)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통되며: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공급댐퍼(22) 외측으로는, 예비공조기(70)를 연결한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청정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를 아이소레이터실을 돌아 배출시키는 ALL-in & ALL-out 방식을 채택하여 전량의 새로운 공기를 유입하고 그 모든 공기를 다시 모두 배출시켜 사육실 내부에 항상 청정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ALL-in & ALL-out 방식을 채택하되, 열분배와 열효율을 최적화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력소비량을 최소화시켰으며, 그 공조의 방식이 단순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가장 효과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고, 그 건축물과 시설에 최적화된 설비를 갖추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건축비의 절감도 가져온다.
본 발명은 마우스 사육을 위한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6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걸러지고 살균된 청정한 공기를 유입하고, 아이소레이터실(100)을 돌아 리싸이클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입댐퍼(21), 공급댐퍼(22), 회기댐퍼(23) 및 배출댐퍼(24)로 이루어진 핸들링유니트(20)가 있고,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로 유입된 청정한 공기를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로 공급하는 공급팬(30)이 있으며, 상기 공급팬(30)을 거친 청정한 공기는 그 공급관(41)과 아 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배출관(42)를 통해 회기하는 공기순환구조(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회기된 공기를 수용할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를 거쳐 마우스 사육시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댐퍼간 면접을 통해 열전도를 달성하며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키는 것이다.
그럼 여기서 본 발명의 공기순환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기는 청정한 공기를 사용하되, 이러한 청정한 공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멸균과 살균의 과정을 거치며 입사된다. 먼저 공기는 본 발명의 핸들링유니트(20)로 입사되기 전에 삽투압이나 거름망체 및 다양한 방식으로 그 먼지와 분진 및 미생물을 걸르는 방식이 선사용되어 공기를 걸러주게 된다. 그러나 사실상 이러난 분진의 형태를 걸러주는 과정을 통해서 공기 중에 살아 있는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완전히 멸균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바이러스의 살균을 위해 자외서 즉, UV 램프를 이용한 멸균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이온수의 살균능을 활용하여 멸균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기도 하고,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도 한다. 이렇게 공기의 내부에 분진이나 미생물의 멸균의 고정을 거치고 나면, 이 공기가 본 발명의 핸들링유티트(20)로 입사하게 되는데, 이 핸들링유니트(20)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분배관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일차 청정의 과정을 거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를 아이소레이터실(100)로 공급하며, 공급되어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를 거쳐 회기한 공기를 받아 다시 이를 시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의 내부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고, 다시 활용되고 난 폐기해야만 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공기순환구조라 본 발명은 명명한다. 또한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청정한 공기를 아이소레이터실(1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공급팬이고, 아이소레이터실(100)을 돌아 핸들링유니트(20)의 배기댐퍼(24)를 거쳐 시설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배기팬(5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급팬(30)과 배기팬(50)은 모두 다수 개로 결합된 상태로, 각각에 모터가 결합되어 있어 회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급팬(30)의 활용시 공급팬(30)의 모터가 회전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댐퍼(22)를 거쳐 아이소레이터실(100)로 다소 높은 압력으로 분출시키고,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누드 마우스를 사육하고 난 공기는 핸들링유니트(20)의 배출댐퍼(24)를 거쳐 시설의 외부로 분출시켜야 하는데, 바로 이때 활용되는 것이, 배기팬(50)이라는 것이다. 이 배기팬(50)의 경우도 별도의 모터가 부착되어 있어 팬을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요부인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구조와 그 작동의 상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4각의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되, 상부 좌우로 형성된 유입댐퍼(21)와 회기댐퍼(23)가 있고, 상기 유입댐 퍼(21)와 회기댐퍼(23)의 하단으로 결합된 공급댐퍼(22)와 배출댐퍼(24)가 있으며, 이들 댐퍼들을 모두 수용하며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유니트프레임(27)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유입댐퍼(21)는 공급댐퍼(22)와 대각선으로 연통되고, 상기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도 대각선으로 연통되게 댐퍼간 칸막이 결합된 배분체(28)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들링유니트(20)의 경우, 도 2와 도3에서처럼, 상부에 2개의 댐퍼가 형성되고, 하부에도 2개의 댐퍼가 구성되는 4웨이 방식이다. 상부의 댐퍼는 유입댐퍼(21)와 회기댐퍼(23)이고, 그 하단에 형성된 댐퍼가 공급댐퍼(22)와 배출댐퍼(24)이다. 이 댐퍼는 서로 결합되어 배분체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댐퍼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통된 상태이다. 즉, 상기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는 서로 대각선의 방향으로 위치하되 연통된 상태이고, 이 공급댐퍼(22)와 공급관(41)이 연결되어 공급댐퍼(22)를 거친 청정한 공기가 아이소레이터실(100)로 들어가 마우스를 사육하게 된다. 물론 이렇게 사육을 완성하고 나면 상기 폐기되어야만 하는 공기가 그 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상부에 비치된 회기댐퍼(23)로 입사하게 되고, 이렇게 입사된 공기는 회기댐퍼(23)와 대각선의 방향 하단에 비치되는 배출댐퍼(24)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는 서로 연통된 상태를 배분체의 내부에서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는 연통된 상태이고, 상기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는 연통된 상태이지만 회기댐퍼(23)와 유입댐퍼(21) 및 공급댐퍼(22)는 서로 배분체의 내부에서 칸막이나 격벽을 통해 가로막혀진 상태이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칸막 이와 격벽을 통해서 서로 공기간의 이동이나 혼합은 없지만 전도라는 물리적 환경을 통해서 서로 열 전달이 가능하다.
사실상 청정한 과정을 거친 공기의 유입에는 겨울철과 여름철의 기온의 차이에 의해 항상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겨울철에 청정의 과정을 거친 공기는 다소 차가운 온도를 유지하고, 여름철의 공기는 따뜻한 온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아이소레이터실(100)로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핸들링유니트(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청정의 과정을 거친 공기는 차가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소레이터실(100)에 투입되어 회기되는 공기는 이 공기에 비해서는 따뜻한 것이 사실이다. 바로 이렇게 다소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격벽이나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혼합이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전도라는 과정을 통해서 따뜻한 공기는 다소 차가와지는 온도 변화를 겪고, 차가운 공기는 다소 따뜻한 온도로 변화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상당히 중요한데, 본 발명의 아이소레이터실(100)에 입사되는 공기는 그 적정한 공기의 온도를 항상 유지해야만 하기에 입사되기 직전에 온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반드시 거치게 된다. 이때 그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히터나 에어컨 등의 냉방장치의 가동이 필수적인데, 전술된 전도의 과정을 통해서 온도 변화가 일차로 이루어진 상태라면 투입되어야만 하는 에너지 사용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여름철의 경우에도 아주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하나의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아이소레이터실(100)에 입사되어야만 하는 청정한 공기의 온도는 10℃라고 가정하고, 외부의 기온은 30℃이다. 그럼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는 과정에서는 일반적인 상온의 상태를 유지하기에 청정과 멸균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도 약 30℃의 온도를 유지할 것이다. 바로 이러한 공기가 유입댐퍼(21)를 통해 입사하여 연통된 공급댐퍼(22)로 이동한다. 이때, 아이소레이터실(100)에서는 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있는데 이 공기의 온도는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기에 약 10℃를 유지하고 있다. 결국 입사되는 30℃의 온도를 유지하는 청정한 공기와 폐기되어야만 하는 약 10℃의 배출공기가 서로 격벽이나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차는 서로 전도라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입사되는 30℃의 청정한 공기는 10℃의 공기에 의해 온도를 뺏겨 다소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입사공기는 후에 10℃의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온도를 맞추기 위해 별도의 에어컨이나 쿨링시스템 등의 냉열기를 통해 온도를 떨어트리게 되는데, 미리 전도를 통해서 온도를 떨어트리게 되면 이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본 발명에서는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결론은 겨울철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되기에 에너지 절감의 효과는 절대적으로 큰 것이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 사이에는, 도시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통로를 가로막아 다수의 필터(11)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리필터와 미듐필터를 끼우는 방식이 사용가능한데, 프리필터에 비하여 미듐필터의 공극이 더 작아 더 작은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방식이 채택가능하다. 물론 이 핸들링유니트에 입사되기 전에 이미 필터를 통해서 걸러주는 1차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서는 만일을 위해 보다 세심한 배려를 한 것이다. 또한 지금의 설명에서는 2개의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만을 서술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듐필터 다음에 또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그 필터의 개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걸러주는 분진에 따른 청정도가 중요하기에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는 별도의 필터를 장착하여도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 이미 설명된 상태이지만, 공급되어야만 하는 청정한 공기는 아이소레이터실(100)로 입사되기 위해서는 항상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된 과정을 거친 공기는 특별히 공기의 온도를 상태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 사이에는,그 통로에 쿨링팬(12)과 히팅팬(13)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름철에 입사되는 걸러지고 멸균된 청정한 공기는 다소 따뜻한 외부 공기의 온도를 유지하면 입사된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서는 이 공기를 바로 아이소레이터실(100)로 입사시킬 수가 없다. 이 공기의 온도를 떨어트려 적정한 공기를 유지해야만 한다. 바로 이때 본 발명의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의 사이 에 설치된 쿨링팬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 쿨링팬은 특별한 구성이 아니고, 에어컨이나 냉장고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시스템이 적용가능하고, 칠러타입의 냉각시스템도 활용가능하다. 이러한 냉각시스템이 작동되면 입사되는 공기는 더욱 그 온도를 떨어트려 아이소레이터실(100)에 입사되기 바람직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겨울철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이때에는 쿨링팬(12)이 아닌 도시된 히팅팬(13)을 가동시켜 가온시키는 것이다. 청정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 히팅팬(13)의 경우는 일반적인 전열기를 사용하며, 보일러의 형태도 사용이 가능하다. 사실상 전열기와 가온기의 경우 이미 많이 공지된 상태이기에 본 발명의 히팅팬(13)의 상세한 설명은 자제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팅팬(13)과 냉각팬(12)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다. 이는 온도를 냉각팬(12)을 이용하여 너무 떨어트린 상태이거나 히팅팬(13)을 이용하여 너무 온도를 올린 상태라면 반대인 히팅팬(13)이나 냉각팬(12)을 재 가동하여 적당한 온도를 다시 맞출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기 청정한 공기가 아이소레이터실(100)에 흘러 들어가 사용되고 나면 폐기되기 위해 배출된다. 바로 이때 회기댐퍼(23)를 거쳐 배출댐퍼(24)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링유니트(20) 의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 사이에는, 그 통로에 카본필터(15)를 형성한다. 이는 사실상 아이소레이터실(100)은 무균상태를 유지하며 다수의 누드 마우스를 키우고 있다. 청정하고 무균의 상태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다수의 생명체가 자라면서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과 박테리아가 자체 서식할 수 있다. 이때 그 배설물이나 분진에는 특히 유해한 진드기와 박테리아가 서식되어 이것이 공기의 배출시 같이 배출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유해한 성분이 아무 걸러주는 작용이 없이 배출되면 주변의 환경은 나쁜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카본필터(15)를 별도로 결합시키고 있다. 이 카본필터(15)의 경우, 미생물이나 분진을 걸러주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특별한 유해성 냄새제거 작용을 하기에 최적의 필터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각각의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설치 수에 맞추어 동일수로 설치되는 것이다. 도시된 도 1에는 아이소레이터실(100)이 1층과 2층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상기 아이소레이터실(100)의 개수에 따라 별도의 핸들링유니트(20)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고, 하나의 아이소레이터실(100)을 위해 2개 이상의 핸들링유니트(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청정한 공기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기에 그 건축물의 평수나 설치된 아이소레이터기(99)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의 숫자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6에 상기 공기순환구조(40)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공기순환구조(40)란 아이소레이터실(100)로 입사된 공기가 흐르는 구조와 시스템을 칭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 핸들링유니트(20)의 공급댐퍼(22)를 빠져나간 청정한 공기는 아이소레이터실(100)의 다수 아이소레이터기(99)를 거치고 다시 빠져나와 핸들링유니트(20)의 회기댐퍼(23)로 입사되는 과정까지의 순환구조를 칭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도 4 내지 6에 도시하고 있는데, 공급팬(30)과 연통되어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천장에 결합된 공급관(41)이 있고, 상기 공급관(41)과 대응되게 천장에 일렬로 배열된 배출관(42)이 있으며, 상기 공급관(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공급호스(44)들이 각각의 아이소레이터기(99)의 일측단에 노즐결합되고, 상기 공급호스(44)의 결합부위 타측으로 배출호스(45)가 결합하여 상기 배출관(42)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통된다.
공급팬(30)을 통해 입사되는 공기는 그 공급팬(30)과 연통된 공급관(4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 공급관(41)은 아소레이터실(100)의 천장에 홀더를 이용하여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고, 아이소레이터실(100) 지면에는 다수의 아이소레이터기(99)가 배열된 상태이다. 이 아이소레이터기(99)는 도 6에 실시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지만, 결국 공급관(41)이 지나가는 방향과 같은 하단의 지면에 장착되어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공급관(41)에서 하나의 공급호스(44)나 2개 이상의 공급호스(44)가 빠져나와 다시 아이소레이터기(99)로 연결되어야 하기에 그러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6에 하나의 아이소레이터기(99)에서 2개의 공급호스(44)가 빠져나와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실시한 도 6의 아이소레이터기(99)는 2층으로 이루어진 아이소레이터기(99)이기에 그러하다. 즉, 하나의 공급호스(44)는 하나의 아이소레이터기(99)의 1층에 결합되고, 또 다른 하나의 공급호스(44)는 역시 같은 아이소레이터기(99)의 2층에 결합되기에 2개의 공급호스(44)가 빠져나오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공급호스(44)가 아이소레이터기(99)의 일측에 부착되어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나면, 그 공기는 아이소레이터기(99)의 내부로 투입되어 누드 마우스를 기르고 나서 타측에 형성된 배출호스(45)를 타고 빠져나오게 된다. 바로 이때에서 상기 배출호스(45)는 1층과 2층의 아이소레이터기(99)에서 각가 2개가 빠져나오고 그 타단은 배출관(42)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 즉, 배출호스(45)에서 배출관(42)으로 폐기되어야만 하는 폐기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관(42)은 그 끝단에 별도의 전술한 회기댐퍼(23)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관(42)을 타고 이동한 폐기되어야만 하는 공기는 회기댐퍼(23)로 이동하고, 회기댐퍼(23)와 연통된 배출댐퍼(24)를 거쳐 이동한다. 이때 그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이미 설명된 배기팬(50)이다. 배기팬(50)의 그 모터를 통해서 회동하게 되면, 이 회전력에 의해 배출댐퍼(24)에 있는 폐기되어야만 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시설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공 급댐퍼(22) 외측으로는, 별도의 예비공조기(70)를 연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그 청정한 공기의 유입을 반드시 달성해야만 하는 발명이다. 하루라도 청정하지 못한 공기가 아이소레이터실(10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사육되고 있는 누드 마우스의 생명이 위태로울 소지가 많다. 실험과 연구를 위해 길러지는 누드 마우스는 그 내부에 병원체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사육되어야만 특별한 실험에 투입되어 정확한 실험의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누드 마우스의 경우는 그 표면에 털이 없는 상태로 사육된다. 따라서 그 온도변화와 공기의 유입에 따라 병원체에 감염될 여건이 더욱 크다. 이 누드 마우스는 사육이 어렵고, 다른 실험용 마우스에 비하여 고가로 판매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누드 마우스의 아이소레이터실(100)에 계속적인 청정한 공기가 투입되지 않는다면, 이는 불행한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예비공조기(70)를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조기나 아이소레이터실(100)의 내부 공기를 사용하기 힘들 경우에는 바로 이 예비공조기(70)를 사용하여 발생된 공기를 바로 투입시키는 것이다. 이 예비공조기(70)는 본 발명의 시설에서 반드시 보유하고 있으며, 이 예비공조기(70)의 내부에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와 살균과 멸균 및 필터를 별도로 비치하고 있어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는 데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핸들링유니트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에서 핸들링유니트에 결합된 배관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이소레이터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아이소레이터실에 배열된 공조시스템을 전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필터 12; 쿨링팬
13; 히팅팬 15; 카본필터
20; 핸들링유니트 21; 유입댐퍼
22; 공급댐퍼 23; 회기댐퍼
24; 배출댐퍼 27; 유니트프레임
28; 배분체 30; 공급팬
40; 공기순환구조 41; 공급관
42; 배출관 44; 공급호스
45; 배출호스 50; 배기팬
99; 아이소레이터기 100; 아이소레이터실

Claims (8)

  1.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걸러지고 살균된 청정한 공기를 유입하고, 아이소레이터실(100)을 돌아 리싸이클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입댐퍼(21), 공급댐퍼(22), 회기댐퍼(23) 및 배출댐퍼(24)로 이루어진 핸들링유니트(20)와;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 사이 통로에 형성된 쿨링팬(12)과 히팅팬(13)과;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로 유입된 청정한 공기를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로 공급하는 공급팬(30)과;
    상기 공급팬(30)을 거친 청정한 공기는 그 공급관(41)과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배출관(42)를 통해 회기하는 공기순환구조(40)와;
    상기 아이소레이터기(99)를 돌아 회기된 공기를 수용할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를 거쳐 마우스 사육시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50)이; 결합하되,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댐퍼간 면접을 통해 열전도를 달성하며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4각의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되, 상부 좌우로 형성된 유입댐퍼(21)와 회기댐 퍼(23);
    상기 유입댐퍼(21)와 회기댐퍼(23)의 하단으로 결합된 공급댐퍼(22)와 배출댐퍼(24);
    이들 댐퍼들을 모두 수용하며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유니트프레임(27)이; 결합하되, 상기 유입댐퍼(21)는 공급댐퍼(22)와 대각선으로 연통되고, 상기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도 대각선으로 연통되게 댐퍼간 칸막이 결합된 배분체(2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유입댐퍼(21)와 공급댐퍼(22) 사이에는,
    그 통로를 가로막아 다수의 필터(11)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회기댐퍼(23)와 배출댐퍼(24) 사이에는,
    그 통로에 카본필터(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는,
    각각의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설치 수에 맞추어 동일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구조(40)는,
    공급팬(30)과 연통되어 아이소레이터실(100)의 천장에 결합된 공급관(41)과;
    상기 공급관(41)과 대응되게 천장에 일렬로 배열된 배출관(42)과;
    상기 공급관(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공급호스(44)들이 각각의 아이소레이터기(99)의 일측단에 노즐결합되고, 상기 공급호스(44)의 결합부위 타측으로 배출호스(45)가 결합하여 상기 배출관(42)과 일정간격을 두고 연통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유니트(20)의 공급댐퍼(22) 외측으로는,
    예비공조기(70)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20080017299A 2008-02-26 2008-02-26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097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99A KR100978338B1 (ko) 2008-02-26 2008-02-26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99A KR100978338B1 (ko) 2008-02-26 2008-02-26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29A KR20090092029A (ko) 2009-08-31
KR100978338B1 true KR100978338B1 (ko) 2010-08-27

Family

ID=4120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99A KR100978338B1 (ko) 2008-02-26 2008-02-26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7933A (zh) * 2015-04-22 2015-07-01 牧原食品股份有限公司 现代化养殖业猪舍内空气交换对流降温喷雾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01B1 (ko) 2000-08-07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제노믹스 실험동물 사육용 케이지
KR100507981B1 (ko) * 2002-09-02 2005-08-17 주식회사 오리엔트 무균동물 사육용 아이솔레이터
KR100517905B1 (ko) 2002-10-21 2005-10-04 주식회사 오리엔트바이오 무균동물 사육용 청정 작업대
KR200410608Y1 (ko) 2005-12-08 2006-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층류형 기류 방식의 무균 동물 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01B1 (ko) 2000-08-07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제노믹스 실험동물 사육용 케이지
KR100507981B1 (ko) * 2002-09-02 2005-08-17 주식회사 오리엔트 무균동물 사육용 아이솔레이터
KR100517905B1 (ko) 2002-10-21 2005-10-04 주식회사 오리엔트바이오 무균동물 사육용 청정 작업대
KR200410608Y1 (ko) 2005-12-08 2006-03-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층류형 기류 방식의 무균 동물 사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29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0142B (zh) 一种人工环境节能环保养殖系统
KR101876955B1 (ko) 가금류용 공조시스템
CN109588324B (zh) 一种实现节能环保生物安全的立体家畜养殖系统
KR20200000131A (ko)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CN204285671U (zh) 双回路室内新风供应和循环处理系统
US20200093089A1 (en) Waste heat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 livestock barn
KR20060114183A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RU2337276C1 (ru) Электротеплоутилизатор с озонированием и рециркуляцией воздуха
CN213146846U (zh) 一种通风装置温度调节系统
KR101115593B1 (ko) 축사용 냉,난방장치
KR100978338B1 (ko) 누드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CN1788797A (zh) 一种可控温密闭房间高温杀菌系统
KR100986661B1 (ko) 마우스 사육시설의 공조시스템
KR100837619B1 (ko) 축사용 공기정화겸용 냉·난방장치
KR101584237B1 (ko) 악취 저감형 열교환 냉난방하우스
KR200390063Y1 (ko) 냉온풍 기능을 가진 축사용 냉온 안개 분무기
CN201827986U (zh) 婴幼儿游泳馆专用空调系统
KR101379850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CN2882619Y (zh) 可控温密闭房间高温杀菌系统
WO2018093547A1 (en) Waste heat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 livestock barn
CN209950063U (zh) 消毒防护系统
KR200433190Y1 (ko) 축사용 공기정화겸용 냉·난방장치
RU2538516C1 (ru)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пластинчатым рекуперативным теплоутилизатором
TWI354535B (en) An aanimal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