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31A -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31A
KR20200000131A KR1020180072055A KR20180072055A KR20200000131A KR 20200000131 A KR20200000131 A KR 20200000131A KR 1020180072055 A KR1020180072055 A KR 1020180072055A KR 20180072055 A KR20180072055 A KR 20180072055A KR 20200000131 A KR20200000131 A KR 20200000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uilding
temperature
coo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191B1 (ko
Inventor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비
Priority to KR102018007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2003/167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사, 축사, 건물 등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쿨링패드와 냉각유닛 및 소독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키고, 소독함으로서 여름철 건물의 실내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가 스크러버를 통과하면서 소독수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여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며 건물내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A VENTILATIVE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사, 축사, 건물 등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쿨링패드와 냉각유닛 및 소독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키고, 소독함으로서 여름철 건물의 실내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가 스크러버를 통과하면서 소독수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여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며 건물내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DA(도하개발어젠다)협상과 미국, 유럽 등과의 FTA 체결에 따른 국내 농축산물 시장의 개방이 가속화되고 있다. 축산업의 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축산계열화사업이 정부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양계, 오리업계는 수직계열화가 대부분 완료되었으며, 양돈업의 수직계열화도 진행 중에 있다.
축산계열화란, 가축의 생산, 사육, 사료공급, 가공 또는 유통 기능을 연계한 일체의 통합경영활동을 의미한다. 수직계열화는 가축에 대한 소유권을 계열화사업자가 가지며, 농민은 시설과 노동력을 제공한 대가로 수수료를 받게 된다. 계열화사업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생산원가가 절감되어 시장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축산계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육농가의 대형화되고 있으며 사육가구수가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축사에는 많은 수의 가축들이 밀집된 채 사육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생산되는 가축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축사시설현대화사업을 통해 축사 및 가축사육에 필요한 시설의 현대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고온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인한 축산 농민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여름철 고온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안개분무노즐, 스프링쿨러, 환기팬, 에어컨 등의 시설 운영을 통해 축사 내부 온도를 낮추고 있으나, 온도 저감 성능이 낮거나 운영 비용이 과다한 단점이 있다. 한편, 축사 내부에 외부공기가 그대로 유입되면, 가축의 호흡기 질환 및 전염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제거 및 소독이 필요하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축사 뿐만 아니라, 일반 건물의 경우에도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인하여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전기 소모량이 증가하여 보다 경제적인 냉방방식이 필요하며, 특히 에어컨이 없는 경우 또는 외부기온이 월등하게 높은 중동지역의 경우에는 이러한 냉방시설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390477호 『농축산용 냉난방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단측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개방된 타단측에 설치되는 방열관결합체와, 상기 방열관결합체의 입구와 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연결이음관과, 자동공기 배출밸브,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방열관결합체에 냉수 혹은 온수를 공급하여 순환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팬으로 공기를 대류시킴으로써 냉풍 혹은 온풍을 불어줄 수 있게 하며, 냉방시 맺히는 결로를 제거하므로써 제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7-0046884호 『축사 냉난방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시스템』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축사 냉난방 및 냉온음용수 급수 병행 축사에 공급하기 위한 냉난방용 냉온수 및 냉온음용수를 생산하는 공기대물 히트펌프; 상기 공기대물 히트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대물 히트펌프에서 만들어진 냉온수로부터 열전달을 통해 냉온음용수를 만들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냉온음용수를 저장하는 음용수 탱크; 상기 음용수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축사내부에 냉온음용수를 공급하는 냉온음용수 급수배관; 상기 공기대물 히트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대물 히트펌프에서 만들어진 냉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 및 상기 축사 내에 배치되며, 상기 축열조에 저장된 냉온수를 이용하여 상기 축사 내부에 냉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 덕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경감과 동절기 사료효율 증대를 위해 축사 냉난방 공조와 냉온음용수 급수를 병행할 수 있는 고효율 환경개선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5-0009089호 『PCM 물질을 이용한 축사 냉방 장치 및 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PCM물질을 이용하여 축사 내부를 냉방하여 보다 저렴하게 축사 내부를 냉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PCM축냉물질을 사용함으로서 야간의 낮은 기온을 통해 냉각하고 이를 이용하여 낮에 냉풍을 발생함에 따라 한여름 열대야 현상과 같이 야간에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시민 의식수준 향상으로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악취에 대한 해소 민원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축산악취 민원은 매년 7% 이상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여 악취를 제거하고 있으나, 이들 기술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근래에는 이상기온의 현상으로 외부기온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건물 내의 온도가 상승하며, 건물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그대로 배출됨으로서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패드로 이루어진 쿨링패드와, 상기 쿨링패드에 구비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 및 유입되는 공기를 소독하는 소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쿨링패드를 관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냉각수와 접촉하여 기화열에 의해 냉각됨으로서 건물 내부에 차가운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쿨링패드의 제1 및 제2 패드를 다공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서 냉각수와 유입되는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빠르게 외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소독유닛을 더 구비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소독함에 따라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병균이나 병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러버를 더 구비함으로서 배출되는 공기 내의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같은 악취유발 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은
건물 일측에 구비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제1 패드와, 상기 제1 패드와 이격 구비되는 제2 패드로 이루어진 쿨링패드;
상기 쿨링패드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
상기 쿨링패드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기에 소독수를 분사하여 외기를 소독하는 소독유닛;
상기 건물 타측에 구비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팬과, 배출된 공기가 이동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소독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정노즐을 포함하는 스크러버;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쿨링패드의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건물로 유입되는 외기와 접촉하여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외기가 스크러버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은
건물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패드와 제2 패드로 이루어진 쿨링패드, 이 쿨링패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수를 관통함으로서 기화열에 의해 냉각되어 건물내로 유입될 수 있어, 건물내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온도를 저감시켜 여름철 고온에 의한 가축의 호흡기 질환, 열사병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 순환수 쿨링패드를 이용하여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를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낮출 수 있고, 소독유닛을 더 구비함에 따라 소독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돼지에 유해한 물질들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돼지의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나아가 스크러버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소독수를 분사하여 배출되는 더운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공기 내의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같은 악취유발 물질을 처리할 수 있어 악취를 제거하고 대기환경보호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의 상세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결과 데이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건물은 돈사, 우사 등의 축사 및 일반 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쿨링패드(10)를 이용한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로 이루어지는 쿨링패드(10)와, 이 쿨링패드(10)에 구비되는 냉각유닛(20) 및 소독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은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패드를 이용한 쿨링패드(10)를 포함하면서, 소독 기능을 갖는 소독유닛(30)을 더 구비하여 건물(H)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소독하고 온도를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은 빌딩, 공장 및 학교 등의 건물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건물은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에 의해 형성되는 냉방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물(H)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포함하고, 외기 및 배출되는 공기를 소독하기 위하여 소독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쿨링패드(10)에 유입되는 냉각수에 소독수가 포함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냉각수는 상기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로 유입되고, 이들로부터 배출되고, 저장부(22)에 저장되는 냉각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독수는 상기 소독유닛(30)을 통하여 배출되어 저장부(22)에 저장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냉각수에는 소독수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은
상기 건물(H) 일측에 설치되는 쿨링패드(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쿨링패드(10)는 건물(H)에 설치되기 위한 상하 프레임(15a)(15b)과, 이 상하 프레임(15a)(15b)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가져,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 사이에 이격부(14)가 형성되게 되고, 이 이격부(14)에 후술하는 소독유닛(30)을 통해 소독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패드(11)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제1 패드(11)의 상단에 공급되며, 다공성 제1 패드(11)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하여 기화됨에 따라 공기를 냉각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공기와 접촉된 냉각수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패드(11)를 거쳐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부(22)로 배출되며, 제2 패드(12) 또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가 사전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되어 이격부(14)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 및 각도로 상하 프레임(15a)(15b)에 고정되어 다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상기 상하부프레임(15a)(15b)으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 프레임(15a)(15b)에는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의 상하 단부가 결합되는 안착부(15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기는 건물(H)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외부의 공기가 순차적으로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를 거쳐 건물(H) 내부로 유입될 때, 냉각수와 접촉함에 따라 공기의 온도가 이중으로 저감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공기와 냉각수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최대화하는 구조로서, 격자무늬의 구조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섬유, 펄프 및 다공성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는 각각 냉각수를 흡수할 수 있고, 흡수한 냉각수가 표면에 수막을 고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콜,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아크릴 중 적어도 하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멜라민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플라스틱,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종이류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다량의 냉각수를 흡수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재질이 혼용될 수도 있다.
다시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프레임(15a)(15b) 중 상부 프레임(15a)에는 냉각수공급부(21)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냉각수공급부(21)는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냉각유닛(20)의 하나의 구성요소이고, 이 냉각수공급부(21)가 유입된 냉각수를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로 고르게 분배할 수 있도록 분배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냉각유닛(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냉각유닛(20)은 상기 제1 패드(11) 및 제2 패드(12)에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21)와,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를 통과한 각각의 냉각수를 수거하는 저장부(22) 및 저장부(22)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공급부(21)로 순환시키는 펌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각수의 흐름을 살펴보면, 저장부(22)를 기준으로, 저장부(22)에 유입된 냉각수는 펌프(23)를 통하여 다시 냉각수공급부(21)로 순환되어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기와의 접촉에 의해 저장부(22)의 냉각수는 냉각수공급부(21)의 냉각수보다 수온이 상승되어 있는 바, 다시 수온을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22) 일측에는 저장된 냉각수의 수온을 낮추기 위한 냉각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의 냉각수에는 입자성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정화하기 위하여 저장부(22)와 냉각수공급부(21)를 연결하는 관에는 여과기(25)가 더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 세균 등과 같은 병균을 소독하기 위하여 소독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독유닛(30)은 소독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분사노즐(31)은 상기 제1 패드(11)와 제2 패드(12) 사이, 즉 이격부(14) 상단의 상부프레임(15a)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소독수가 살포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소독하는 효과를 갖고,
또한 이 소독수는 상기 냉각수에 소독 물질이 포함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완벽하게 소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소독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소독수저장조(3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독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소독수는 사전설정된 농도(예컨대, 2%)의 구연산 및 염소계 소독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염소계 소독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존의 오존 발생 장치를 이용한 쿨링 패드 살균방식에서 오존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해 발생하던 기기 장치의 부식 및 가축 등의 호흡기 피해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건물(H) 내부에서 발생하는 복합악취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러버(4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상기 스크러버(40)는 상기 건물(H) 타측에 구비되어, 건물(H)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팬(41)과, 배출된 공기가 이동되는 배출덕트(43) 및 상기 배출덕트(43)에 구비되어 소독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정노즐(4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물(H) 타측에는 배출팬(41)이 구비되어 건물(H)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는데, 이 때 건물(H) 내부의 복합악취가 함께 방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배출팬(41)은 건물(H)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환풍기일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본 발명은 이러한 악취과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덕트(4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배출덕트(43)내에 복수개의 세정노즐(45)을 구비하여 소독수가 세정노즐(45)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소독수가 배출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의 악취,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서 보다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소독수는 앞서 소독유닛(30)에 사용되는 소독수와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건물(H)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따라 다른 성분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의 동작에 따라 건물의 내부 온도 변화를 나타낸 1주차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2016년 10월 3일 00시부터 동년 동월 9일 00시까지의 1분 간격으로 실외(Outside), 건물 내부 중 3곳(외부 대기가 유입되는 지점(Front), 중앙 지점(Middle), 내부 대기가 배출되는 지점(Rear))의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또한, 본 실험에 있어서 매일 14:00부터 16:00까지 2시간 동안 환기시스템(S)을 가동하였다.
이에 도출된 실험 결과에서 실외 최고 온도는 각각 27.4ㅀ(10.3), 29.6ㅀ(10.4), 24.6ㅀ(10.5), 22.6ㅀ(10.6), 25.3ㅀ(10.7) 및 21.9ㅀ(10.8)로 측정 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서 건물의 내부의 온도는 17.4ㅀ(10.3), 16.6ㅀ(10.4), 16.9ㅀ(10.5), 15.0ㅀ(10.6), 16.2ㅀ(10.7) 및 14.5ㅀ(10.8)까지 측정되었다. 또한, 건물 내부의 온도는 위치와 관계없이 최대 0.5ㅀ의 차이만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1주차 실험 결과, 건물의 내부 온도는 실외 최고 온도보다 평균 9.1ㅀ정도 낮게 측정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의 동작에 따라 건물의 내부 온도 변화를 나타낸 2주차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2016년 10월 9일 00시부터 동년 동월 16일 00시까지의 1분 간격으로 실외(Outside), 건물 내부 중 3곳(외부 대기가 유입되는 지점(Front), 중앙 지점(Middle), 내부 대기가 배출되는 지점(Rear))의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또한, 본 실험에 있어서 매일 14:00부터 16:00까지 2시간 동안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을 가동하였다.
이에 도출된 실험 결과에서 실외 최고 온도는 각각 16.2ㅀ(10.9), 18.0ㅀ(10.10), 20.4ㅀ(10.11), 20.1ㅀ(10.12), 20.4ㅀ(10.13), 22.8ㅀ(10.14) 및 26.0ㅀ(10.15)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서 건물의 내부의 온도는 8.2ㅀ(10.9), 9.1ㅀ(10.10), 10.9ㅀ(10.11), 10.4ㅀ(10.12), 10.4ㅀ(10.13), 12.4ㅀ
(10.14) 및 13.0ㅀ(10.15)까지 측정되었다. 즉, 2주차 실험 결과, 건물의 내부 온도는 실외 최고 온도보다 평균 9.9ㅀ정도 낮게 측정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환기시스템(S)의 동작에 따라 건물의 내부 온도 변화를 나타낸 3주차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2016년 10월 16일 00시부터 동년 동월 22일 00시까지의 1분 간격으로 실외(Outside), 건물 내부 중 3곳(외부 대기가 유입되는 지점(Front), 중앙 지점(Middle), 내부 대기가 배출되는 지점(Rear))의 온도를 측정한 실험 그래프이다. 또한, 본 실험에 있어서 매일 14:00부터 16:00까지 2시간 동안 온도 저감 장치를 가동하였다.
이에 도출된 실험 결과에서 실외 최고 온도는 각각 20.3ㅀ(10.16), 21.8ㅀ(10.17), 21.0ㅀ(10.18), 23.2ㅀ(10.19), 23.7ㅀ(10.20) 및 19.3ㅀ(10.21)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서 건물의 내부의 온도는 12.9ㅀ(10.16), 13.5ㅀ(10.17), 12.1ㅀ(10.18), 14.2ㅀ(10.19), 14.6ㅀ(10.20) 및 13.6ㅀ(10.21)까지 측정되었다. 즉, 3주차 실험 결과, 건물의 내부 온도는 실외 최고 온도보다 평균 8.0ㅀ정도 낮게 측정되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환기시스템(S)과 종래의 기술의 성능 비교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2016년 10월 3일 00시부터 동년 동월 22일 00시까지의 1일 간격으로 일 최고기온(실외),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내부 온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즉, 일 최고기온은 실외(Outside)에서 측정된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이고, 건물 내부 온도는 동일한 시간에 건물의 내부에서 측정된 온도이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최고기온은 최고 29.6ㅀ부터 최저 16.2ㅀ까지 측정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 본 발명을 사용한 건물의 내부 온도는 최고 17.4ㅀ부터 최저 8.2ㅀ까지 측정되었다.
즉, 전술한 3주간의 실험에서 건물의 내부 온도는 실외 최고 온도보다 최대 13ㅀ에서 최소 5.7ㅀ까지 온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전술한 실험에서 본 발명의 사용을 2시간으로 한정한 것을 감안하면, 온도 저감 효율 또한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하기 [표1]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의 성능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1]
Figure pat00001
성능평가 결과, 온도저감 성능은 36.8%, 복합악취저감 성능은 95.1%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원발명은 기존의 온도저감 기술 대비 온도 저감 성능 향상되고, 복합악취 저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순환수 재이용을 통한 물 사용량을 절감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악취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표1]은 실험을 위한 Pilot pant와 test bed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1]
Figure pat00002
상기 [표1]을 기준으로 Pilot plant 및 Test bed에서 하기 [표2]의 조건으로 온도 및 악취저감 성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음.
성능평가 기간: 2017년 4월 27일 ~ 2017년 6월 13일(총 5회)
성능평가 대상: 워터커튼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Pilot 및 Test bed의 악취 및 온도저감 성능
[표2]
Figure pat00003
[표3]
Figure pat00004
상기 [표3]의 결과를 보면, 온도 및 악취 저감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 환기시스템(S)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있어서, 쿨링패드(10), 즉 상하부프레임(15a)(15b)에 결합되는 제1 패드(11)는 수명이 제한적인 바,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결속수단을 통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패드(11)(제2 패드(12)에도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패드(1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는 상하부프레임(15a)(15b)에 상단과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부프레임(15a)(15b)에는 안착부(15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15c)의 크기는 상기 제1 패드(11)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교체를 하는 경우, 제1 패드(11)를 안착부(15c)에 끼워넣을 때, 제1 패드(11)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패드(11)의 테두리에는 보조프레임(P)이 구비되고, 이 보조프레임(P)이 안착부(15c)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보조프레임(P)이 안착부(15c)에 끼움결합됨으로서 제1 패드(11)를 상하부프레임(15a)(15b)에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15c)에 결합된 보조프레임(P)과 상기 상부프레임(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프레임으로 한정한다.)에는 잠금유닛(K), 구체적으로는 각각 제2 잠금부재(K20)와 제1 잠금부재(K10)가 구비되어, 이들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는 동작으로 견고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잠금유닛(L)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잠금유닛(L)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용어는, 앞서 언급한 용어와 동일할 수 있으나,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함으로서,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시 상기 잠금유닛(L)은 제1 잠금부재(L10)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안착되는 제2 잠금부재(L20),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L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 잠금부재(L10)는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몸체(L13)와 상기 몸체(L13)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L13)보다 작게 구성된 헤드돌기(L11), 상기 몸체(L13) 하부에 구비되어 몸체(L13)보다 크게 구성된 외플랜지(L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돌기(L11)는 후술하는 제2 잠금부재(L20)의 인입홈(L2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인입바(L311)가 내삽되기 위하여 관통공(L113)이 형성된 지지격벽(L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잠금부재(L20)는 보조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L13)가 안착되는 끼움홈(L21)과, 상기 끼움홈(L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돌기(L11)가 안착되는 인입홈(L23), 상기 끼움홈(L21)의 외벽을 형성하여 그 단부가 상기 외플랜지(L14)와 밀착되는 대응플랜지(L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는 상기 제2 잠금부재(L20)가 안착되어 결합되게 되며,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에 의하여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L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록킹수단(L30)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동작하는 가압부재(L31)와, 상기 가압부재(L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부재(L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압부재(L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L31)는 인입바(L311),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푸쉬바(L315)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인입바(L311)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헤드돌기(L11), 보다 정확하게는 헤드돌기(L11)에 형성되는 관통공(L113)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록킹부재(L35)의 동작에 의해 관통공(L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및 푸쉬바(L315)는 모두 제2 잠금부재(L2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바(L312)는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인입홈(L2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가 서로 결합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인입바(L311)의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바(L311)의 중앙에는 상기 인입홈(L23)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내부로 관통될 수 있는 고정바(L3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바(L311)와 고정바(L313)의 연결형태는 그 단면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L313)의 단부, 즉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L313)의 단부에는 시소바(L31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시소바(L314)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바(L313)와 평행하도록 푸쉬바(L315)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는 상기 고정바(L313)를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하 후술하는 록킹수단(L30) 및 안전수단(L40), 걸림부재(L33)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한 방향의 구성을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제1 회전축(L3131)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회전축(L3131)에 의해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서로 그 연결부위가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시소바(L314)의 나머지 단부에는 푸쉬바(L315)가 제2 회전축(L3151)을 통하여 결합되어,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 또한 제2 회전축(L3151)에 의하여 서로 힌지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소바(L314)의 중앙에는 고정축(L31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시소바(L314)의 일단이 상승하면 상기 고정축(L3141)에 의해 타단이 하강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가압바(L312)가 상승하면, 제1 회전축(L3131)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시소바(L314)의 시소운동에 의해 제2 회전축(L3151)이 하강하며,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 때 상기 시소바(L314)는 둘 이상의 분체로 이루어져 연장부(R)를 형성함으로서 시소바(L314)의 운동에 따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푸쉬바(L315)가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제2 잠금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를 동작하여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가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없어 결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L13)가 상기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된 이후에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푸쉬바(L315)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록킹부재(L35)를 더 구비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다.
우선, 상기 가압바(L312)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로부터 제2 잠금부재(L20)를 분리하는 경우, 다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탄성체(L3121)를 더 구비하여 가압바(L312)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입바(L311)에는 록킹부재(L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부재(L35)는 상기 인입바(L311)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입바(L311)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L35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L35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홀(L3531)을 통하여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푸쉬돌기(L353)가 결합된다.
즉, 상기 푸쉬돌기(L353)를 하강시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지지격벽(L111)으로 형성된 관통공(L113) 내에서 함께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돌기(L353)에는 제1 탄성체(L355)가 구비되어 상기 인입바(L311)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푸쉬돌기(L353)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안내홀(L3531)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몸체(L13)가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는 인입바(L311)가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는 제1 탄성체(L355)의 탄성력을 제2 탄성체(L3121)의 탄성력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제2 잠금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인입바(L311)와 가압바(L312)는 밀착되고, 탄성력이 낮은 인입바(L311)가 관통공(L113)내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가 제2 잠금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L353)를 강제로 상승시켜 가압바(L312)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푸쉬바(L315)를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푸쉬돌기(L353)는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상기 제1 잠금부재(L10)로부터 제2 잠금부재(L20)가 분리되지 않는데, 이는 안전수단(L40)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수단(L40)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우선 상기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 즉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과,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대응플랜지(L25),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푸쉬바(L315)의 단부 아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L331)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걸림돌기(L331)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 걸림바(L3311)와 제2 걸림바(L3313)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고, 이 직교하는 부분이 상기 대응플랜지(L25)에 제3 회전축(L33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대응플랜지(L25)에는 별도의 개방공(L3317)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면 제2 걸림바(L331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바(L315)의 동작과 걸림부재(L3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걸림바(L3311)(푸쉬바(L315)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칭한다.)를 밀게 되고,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3 회전축(L3315)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상기 끼움홀로 침범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결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상호간에 결합하면, 상기 푸쉬돌기(L353)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결합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밀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며, 이로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돌기(L3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끼워짐에 따라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력이 유지되게 되고, 상기 푸쉬바(L315)가 다시 상승하지 않는 한, 상기 걸림돌기(L331)는 회전이 불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L333)은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인입되는 곳으로서,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곡선부(L3333)와 직선부(L3331)가 형성된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는 푸쉬돌기(L353)가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홀(L3531)에 이동방지부재(L49)(후술하는 안전수단(L40)의 구성이다.)를 구비함으로서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방지부재(L49)는 상기 안내홀(L3531)의 주변에 구비되는 안전가이드(L493)와, 이 안전가이드(L493)를 관통시켜 상승된 푸쉬돌기(L353)의 아래를 지지하는 안전핀(L49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돌기(L353)를 상승시킨 후, 안전핀(L491)을 결합시키면, 안전핀(L491)에 의해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동작하는 경우, 각각의 구멍과 돌기들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수단(L40)을 더 구비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 보다 정확하게는 걸림홈(L333)의 직선부(L33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홈(L333)의 상부에는 이동홀(L45)이 형성되고, 이 이동홀(L45)에는 제1 마그넷(L41)이 이동홀(L4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바(L3313)에는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제2 마그넷(L43), 또는 금속재질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L333)에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내삽되면,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직선부(L3331)에 밀착되어 결합 후, 유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전수단(L40)(안전핀(L491) 및 마그넷들의 인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안전핀(L491)은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면 되지만, 상기 제1 마그넷(L41)의 인력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홀(L45)의 일측에는 라인홀(L56)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별도의 당김라인(L57)이 구비되어, 이 당김라인(L57)이 라인홀(L56)을 통과하여 상기 푸쉬돌기(L353)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사용자가 하강시키면, 상기 당김라인(L57)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넷(L41)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이 서로 멀어져 서로간의 인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상기 푸쉬돌기(L353)가 하강함에 따라 인입바(L311)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가압바(L312)가 하강하여 푸쉬바(L315)가 상승함으로서, 걸림돌기(L331)의 회전(원위치)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H : 건물
10 : 쿨링패드 11 : 제1 패드
12 : 제2 패드 14 : 이격부
15a : 상부프레임 15b : 하부프레임
20 : 냉각유닛 21 : 냉각수공급부
22 : 저장부 23 : 펌프
24 : 냉각기 25 : 여과기
30 : 소독유닛 31 : 분사노즐
33 : 소독수저장조
40 : 스크러버 41 : 배출팬
43 : 배출덕트 45 : 세정노즐

Claims (4)

  1. 건물 일측에 구비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제1 패드와, 상기 제1 패드와 이격 구비되는 제2 패드로 이루어진 쿨링패드;
    상기 쿨링패드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
    상기 쿨링패드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기에 소독수를 분사하여 외기를 소독하는 소독유닛;
    상기 건물 타측에 구비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팬과, 배출된 공기가 이동되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소독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정노즐을 포함하는 스크러버;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쿨링패드의 제1 패드와 제2 패드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건물로 유입되는 외기와 접촉하여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외기가 스크러버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및 제2 패드는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제1 패드 및 제2 패드에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와, 상기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통과한 각각의 냉각수를 수거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공급부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유닛은
    상기 쿨링패드의 제1 패드와 제2 패드 사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KR1020180072055A 2018-06-22 2018-06-22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KR10209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55A KR102091191B1 (ko) 2018-06-22 2018-06-22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55A KR102091191B1 (ko) 2018-06-22 2018-06-22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31A true KR20200000131A (ko) 2020-01-02
KR102091191B1 KR102091191B1 (ko) 2020-04-23

Family

ID=6915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55A KR102091191B1 (ko) 2018-06-22 2018-06-22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731A (zh) * 2021-07-20 2021-10-08 湖北省烟草科学研究院 一种智能化控制的茄衣专用晾房及晾制方法
KR20230119831A (ko) 2022-02-08 2023-08-16 (주) 피케이씨 가스 발생 확인 및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용 마개
KR102605110B1 (ko) * 2022-12-16 2023-11-23 장남규 물 냉각기를 이용한 기화식 냉풍기
KR102634048B1 (ko) * 2023-07-07 2024-02-06 비앤에이테크 주식회사 실내 공기의 습구온도를 이용한 증발냉각 열교환 시스템
KR20240029805A (ko) 2022-08-29 2024-03-07 이주열 냉난방기와 연동된 미세먼지 저감 통합공조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744B1 (ko) * 2020-11-25 2023-03-02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물 순환식 악취저감시스템
KR20230010942A (ko) 2021-07-13 2023-01-20 유형민 제조공장 내 온도 유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676A (ko) * 2008-08-28 2010-03-10 이승환 악취제거가 가능한 포그믹스드 에어커튼식 분진포집분리장치
KR20110106217A (ko) * 2010-03-22 2011-09-28 이성수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KR101528408B1 (ko) *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676A (ko) * 2008-08-28 2010-03-10 이승환 악취제거가 가능한 포그믹스드 에어커튼식 분진포집분리장치
KR20110106217A (ko) * 2010-03-22 2011-09-28 이성수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KR101528408B1 (ko) * 2013-12-24 2015-06-11 양수복 쿨링 패드를 사용한 건물 냉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731A (zh) * 2021-07-20 2021-10-08 湖北省烟草科学研究院 一种智能化控制的茄衣专用晾房及晾制方法
KR20230119831A (ko) 2022-02-08 2023-08-16 (주) 피케이씨 가스 발생 확인 및 배출이 가능한 발효식품용 마개
KR20240029805A (ko) 2022-08-29 2024-03-07 이주열 냉난방기와 연동된 미세먼지 저감 통합공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05110B1 (ko) * 2022-12-16 2023-11-23 장남규 물 냉각기를 이용한 기화식 냉풍기
KR102634048B1 (ko) * 2023-07-07 2024-02-06 비앤에이테크 주식회사 실내 공기의 습구온도를 이용한 증발냉각 열교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91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131A (ko) 건물 온도 및 악취 관리를 위한 온도조절 환기시스템
RU2512263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каналов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загрязнения воздуха в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й постройке и/или вокруг нее
CN106440142B (zh) 一种人工环境节能环保养殖系统
KR102069333B1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KR200475779Y1 (ko) 농수축사 공기 조화 시스템
US20140262166A1 (en)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for a Livestock Poultry Barn
US20200093089A1 (en) Waste heat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 livestock barn
US20200281152A1 (en) Livestock stall system
US20140338539A1 (en) Ammonia Gas Removal and Evaporative Air Cooling Apparatus Applicable to Livestock Confined Facilities and Fabrication Thereof
KR101386136B1 (ko) 축사용 공조시스템
KR100751572B1 (ko) 축사의 악취저감 및 온도조절 시스템
US20220264838A1 (en) Hybrid heat recovery system with energy recovery and use thereof
CN102187814B (zh) 高效节能消毒净化装置
CN101105313A (zh) 智能(微电脑控制)窗体空气清新净化装置
CN202043521U (zh) 高效节能消毒净化装置
US20220381458A1 (en)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KR102113827B1 (ko) 개량된 냉온풍 겸용 악취 제거장치
CN210247716U (zh) 阳光节能型植物工厂
KR20170068275A (ko) 열교환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CN111692661A (zh) 空气净化杀菌消毒处理系统及方法
KR20210040100A (ko) 액체 건조제 기반 습기 펌프, 증발 냉각기 및 공기 정화 시스템
CN218245038U (zh) 一种正压过滤猪舍
KR20200104609A (ko) 돈사의 악취배출 덕트
CN214382122U (zh) 一种畜牧养殖用室内通风装置
KR101346201B1 (ko) 생쥐 배양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