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077B1 -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077B1
KR100978077B1 KR1020100006367A KR20100006367A KR100978077B1 KR 100978077 B1 KR100978077 B1 KR 100978077B1 KR 1020100006367 A KR1020100006367 A KR 1020100006367A KR 20100006367 A KR20100006367 A KR 20100006367A KR 100978077 B1 KR100978077 B1 KR 10097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ay clutch
outer shaft
crankshaft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영
Original Assignee
송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강영 filed Critical 송강영
Priority to KR102010000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5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crank shafts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6Tensioning or adjusting equipment for chains, be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는 자전거에 장착된 구동모터(990)와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590)이 관통하는 외축(580)을 가진다. 상기 외축(580)은 외축 결합자(18)를 통하여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과 결합된다. 상기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는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와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를 가진다.

Description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Power driving mechanism of electrical bicycle}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간단한 구조로 모터의 힘 또는 자전거 사용자가 페달을 밟는 힘 각각으로 그리고 필요한 경우 그 합력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동력전달시 발생하는 동력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며, 모터의 힘과 페달의 힘을 필요할 때 이용하여 자전거를 가장 편리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터를,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중심으로,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통상적인 전기자전거는 허보모터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후륜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허브모터를 이용한 전기 자전거는, 모터의 구동부와 허브의 마찰면적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동력전달의 효율성이 좋지 못한데, 특히, 모터의 전원을 끄고 자전거 사용자의 페달을 밟는 힘만으로 후륜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 자전거와는 달리 많은 힘이 들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 배터리가 소모된 경우, 또는 자전거 운전자가 스스로 페달을 밟아 움직이고 싶은 경우 그 운행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직접적으로 모터의 동력이 연결되어 자전거의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자전거를 구동시키는 방식이 동력전달의 효율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 0332831호의 전기자전거는 모터의 동력을 크랭크축으로 연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보인다.
이 경우는 3개의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의 동력과 페달을 밟는 힘을 크랭크축으로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동력전달기구와 관련되어서, 관련부품이 최소화될수록 간단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설치와 수리 교체에 있어서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으로, 일반적인 자전거에 대하여 그 동력전달기구의 설치만으로 이를 전기자전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결국, 전기자전거와 관련되어 허브모터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자전거의 크랭크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이때 적은 부품으로 상호간에 간섭 없이 모터의 동력과 자전거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 각각으로 운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간단한 설치만으로 일반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모터는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것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등의 기구가 같은 편에 설치되는 경우, 좁은 공간에 밀집되는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품으로, 상호간에 간섭 없이 모터의 동력과 자전거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을 자전거의 크랭크로 전달하여 운행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설치만으로 일반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반대편에 모터의 설치가 가능한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권리범위가 반드시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모터가 설치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단순히 두 개의 일방향 클러치를 사용하며 또한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외축을 제공하여 위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자전거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결합되는 외축과; 상기 외축에 내륜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외륜이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외륜과 내륜은 상기 외륜의 정방향회전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기고, 상기 내륜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와;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내륜이 장착되고,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외륜이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외륜과 내륜은 상기 내륜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기며, 상기 외륜의 정방향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외축은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장착된 외축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축과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는 상호간에 비접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외축은 상기 외축에 장착된 외축 결합자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외축과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는 그 외륜에 장착된 페달결합자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바깥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외축이 상기 크랭크축하우징을 관통하여 그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 각각에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와 상기 외축결합자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크랭크축이 상기 외축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두 개의 일방향클러치를 제공하고 또한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외축을 제공하여, 모터의 동력과 페달을 밟는 동력을 상호간에 간섭 없이 구동스프라켓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운행하며 이에 따라 모터만으로, 페달을 밟는 힘만으로 또는 이들의 합력으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의 동력을 운행시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쉬거나 역방향으로 페달을 밟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은 구동스프라켓으로 전달되는 것으로서 동력전달효율이 높아 전기가 적게 소모되며, 페달을 밟을 때 힘이 많이 들지 않는다.
또한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다른 편에 설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전달기구의 설치를 용이하고 편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를 장착한 자전거를 보이는 도면;
도 2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를 보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에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에서 모터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가 설치된 전기자전거(1000)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는 일반 자전거에 대하여 설치하면 일반 자전거가 전기자전거가 되는 것으로서, 간단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우선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중심으로 자전거의 프레임(10)(20)(30)이 보이고 있다.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에 대하여 크랭크축(590)이 설치되는데, 상기 크랭크축(590)에 구동스프라켓(50)이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축(590)의 크랭크 아암(530)에 페달(530)이 설치된다. (도 2 참조)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은 체인(850)을 통하여 후륜(800)의 허브와 결합된 허브 스프라켓(80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이 회전하면 상기 후륜(800)도 회전하여 자전거는 전진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50)에 페달 결합자(38)가 설치된 것이 보이는데, 상기 페달 결합자(38)는 상기 크랭크축(590)에 장착된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외륜(23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의 바깥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이 설치된 쪽에는 배터리(90)가 설치되며 그 반대쪽에는 구동모터(99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990)의 스프라켓(993)에 체인(930)이 장착되어 있는데, 후술하듯이, 상기 체인(930)은 구동모터연결 일방향 클러치(300)의 외륜(330)과 연결된다.
도 2에서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외축(580)이 제공된다. 상기 외축(580)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축(590)이 관통한다.
상기 외축(580)은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과 상기 외축(580) 사이에는 베어링(58)(58')이 설치되어 상기 외축(580)이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외축(580)과 상기 크랭크축(590)의 사이에는 슬리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크랭크축(590)이 상기 외축(580)의 내부에서 원활히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외축(580)은 그 외주를 둘러 돌출부(582)(581)가 설치되어 상기 외축(580)에 끼워지는 베어링(58)(58')이 각각 안착되도록 하고 또한 이렇게 설치된 베어링(58)(58')이 원위치에 유지되도록 조임부재(61)(61')를 그 양측에 각각 설치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로,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의 관통부(500s)의 양측내면에는 나사부(586)(58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582)(581)에 베어링(58)(58')이 안착된 외축(580)이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의 관통부(500S)에 놓이고, 이러한 크랭크축 하우징(500)의 관통부(500s)의 양측에서 상기 조임부재(61)(61')를 죄어 이들의 나사부(616)(616')가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 양측내면의 나사부(586)(586')와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58)(58')을 죄어 이들 베어링(58)(58')이 원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재(61)(61')의 관통부(61S)(61'S)와 상기 외축(580)의 중공인 관통부(580S)를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축(590)이 관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는 내륜(360)과 외륜(330)을 가지는데, 내륜(360)은 상기 외축(580)에 장착되고, 외륜(330)은 상기 구동모터(99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99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외륜(330)과 내륜(360)은 상기 외륜(330)의 정방향회전(도면상 + 방향으로서 자전거가 전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겨 같이 회전을 이루며, 상기 내륜(360)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어 내륜(360)은 공회전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외륜(330)에는 모터연결스프라켓(339)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990)의 스프라켓(993)에 체인(930)으로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내륜(360)의 관통부의 내면에는 나사부(368)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외축(580)의 일단의 외주에는 대응나사부(568)가 형성되어, 이들 나사부(368)(568)가 결합되어 상기 외축(580)에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구동모터(990)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는 같은 편에 설치되는데, 이들은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중심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0)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외축(580)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축(580)은 상기 외축(580)에 장착된 외축 결합자(18)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에 결합되어 상기 외축(580)과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5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외축(580)에서 상기 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가 장착되는 일측의 반대측에는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518)가 형성되고 여기에 외축 결합자(18)의 관통부 내면의 나사부가 결합되며, 이러한 외축 결합자(18)는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의 일면에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외축(580)은 상기 구동스프라켓(50)과 결합된다.
도 3과 4를 참고로, 상기 외축(580)은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관통하여 그 양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들 각각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나사부(568)(518)가 형성되어 각각에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와 상기 외축결합자(18)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또한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가 제공된다.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는 외륜(230)과 내륜(260)을 가지는데, 내륜(260)은 상기 크랭크축(590)에 장착되고 외륜(230)은 구동스프라켓(50)과 결합된다.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외륜(230)과 내륜(260)은 상기 내륜(2630)의 정방향회전(도면상 + 방향으로서 자전거가 전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겨 같이 회전을 이루며, 상기 외륜(230)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어 외륜(230)은 공회전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랭크축(590)의 페달(530)측단에는 나사부(59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내륜(260)의 관통부의 내면에는 대응나사부(2698)가 형성되고, 이들 나사부(598)(2698)가 결합되어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는 상기 크랭크축(59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외륜(23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나사부(238)에 페달 결합자(38)의 관통부 내면의 대응 나사부(388)가 결합되며, 상기 페달 결합자(38)는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의 바깥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 클러치(200)의 외륜(230)은 구동스프라켓(50)과 결합된다.
도 3과 4를 참고로,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관통한 외축(580)을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크랭크축(590)의 돌출부에 상기 나사부(598)가 형성되고 있으며 여기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대응나사부(2698)가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590)의 내륜(260)이 장착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에 설치되는 외축(580)과 크랭크축(590)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의 관통부(500S)를 관통하여 상기 외축(580)이 놓이며, 상기 외축(580)의 관통부(580S)를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축(590)이 놓인다.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과 상기 외축(580) 사이에는 베어링(58)(58')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베어링(58)(58')에 대하여 조임부재(61)(61')가 설치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축(580)은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관통하여 그 양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들 각각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나사부(568)(518)가 형성되어 각각에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와 상기 외축결합자(18)가 장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500)을 관통한 외축(58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크랭크축(590)의 돌출부에 상기 나사부(598)가 형성되고 있으며 여기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대응나사부(2698)가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590)의 내륜(260)이 장착된다.
상기 크랭크축(590)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가 장착된 외축(580)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있으며, 상기 크랭크축(590)과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는 상호간에 비접촉을 이루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1000)에 배터리(90)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90)는 그 일측면에 돌출부(903)를 가지며, 이에 대응한 홈부(193)가 형성된 배터리 장착 브라켓(19)이 제공되며 이러한 배터리 장착 브라켓(19)이 자전거의 후륜(800)에서 후륜(800)을 양 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1000)에서 구동모터(990)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장착 브라켓(905)이 자전거의 후륜(800)에서 후륜(800)을 양 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4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이러한 브라켓(905)에 구동모터(99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990)에 스프라켓(993)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 스프라켓(993)과 전술한 구동모터 연결 일방향 클러치(300)의 외륜(330)의 스프라켓(339)에 걸쳐 체인(930)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990)의 동력이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외륜(330)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990)는 자전거의 후륜(800)쪽에 배치되었지만,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 사이에서 프레임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배터리(9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5000)에 따를 경우 다음과 같이 동력이 전달되어 모터만의 동력으로, 페달을 밟는 힘에 따른 동력으로, 또는 이들 모터동력과 페달을 밟는 힘의 동력의 합력으로 자전거가 운행되게 된다. 또한 자전거 운전자는 페달을 역으로 돌리거나 편하게 페달위에 얹고 있을 수 있다. 이들에 대하여 분설한다.
모터만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경우:
이 경우, 모터(990)의 동력은 체인(930)을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외륜(33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외륜(330)과 내륜(360)은 상호간에 잠기며 이에 따라 상기 외륜(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륜(360)이 회전하고, 그러면, 상기 내륜(360)이 장착된 외축(580)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외축(580)에 결합된 외축 결합자(18)와 결합된 구동스프라켓(50)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200)와 크랭크축(10)은 비접촉되어 있고 또한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의 정방향(+)회전으로 크랭크축(590)와 결합된 페달 결합자(38)가 회전을 이루어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외륜(230)은 회전을 이루지만 그 회전력은 내륜(260)으로 전달되지 못하며 상기 외륜(230)은 상기 내륜(260)에 대하여 공회전을 이룰 뿐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10)으로 동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의 회전은 후륜(800)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모터(990)의 동력전달은 상기 페달(530)(530')과 연결된 크랭크축(59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을 회전시켜 후륜(800)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편하게 쉴 수 있다.
만일 상기 페달(530)(530')을 역으로 돌리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590)과 결합된 내륜(260)은 잠금이 해제되어 공회전을 이루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편하게 쉬거나 역으로 페달을 돌릴 수도 있는 것이다.
페달을 밟는 힘만으로 주행하는 경우:
이 경우, 페달(530)(530')을 정방향(+)으로 밟으면 상기 크랭크축(590)이 회전하면서 상기 페달측연결 일방향클러치(200)의 내륜(26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내륜(260)과 외륜(230)은 상호간에 잠기고 상기 내륜(260)의 회전에 따라 외륜(230)도 일체로 회전되어 이와 결합된 페달 결합자(3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륜(800)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와 크랭크축(590)은 비접촉되어 있고, 한편 상기 구동스프라켓(50)이 회전하여 상기 외축(580)이 회전하여 상기 외축(580)에 장착된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내륜(360)이 회전하여도, 이때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300)의 내륜(360)과 외륜(330)은 그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내륜(360)은 공회전을 일으킬 뿐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590)의 회전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 클러치(300)로 동력을 전달시키지 않고 모터(99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모터의 동력과 페달을 밟는 힘의 합력으로 주행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990)의 정방향의 동력전달은 구동스프라켓(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크랭크축(590)의 회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페달(530)(530')의 정방향회전은 구동스프라켓(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모터(99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들 페달의 회전과 모터의 회전은 상호간에 간섭이 없이 구동스프라켓(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들 각각이 작동하는 경우 합력으로서 구동스프라켓(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륜(800)을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모터의 동력만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이때 운전자는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편하게 쉬거나 또는 페달을 역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페달의 힘만으로 직접 크랭크축을 돌려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이들 모터와 페달을 밟는 힘의 합력으로서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두 개의 일방향클러치를 제공하고 또한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외축을 제공하여, 모터의 동력과 페달을 밟는 동력을 상호간에 간섭 없이 구동스프라켓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운행하며 이에 따라 모터만으로, 페달을 밟는 힘만으로 또는 이들의 합력으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의 동력을 운행시 페달에 발을 올려놓고 쉬거나 역방향으로 페달을 밟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은 구동스프라켓으로 전달되는 것으로서 동력전달효율이 높아 전기가 적게 소모되며, 페달을 밟을 때 힘이 많이 들지 않는다.
또한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다른 편에 설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전달기구의 설치를 용이하고 편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8)

  1. (a) 자전거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b)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결합되는 외축과; 이때,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중공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c) 상기 외축에 내륜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외륜이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외륜과 내륜은 상기 외륜의 정방향회전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기고, 상기 내륜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와;
    (d)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에 내륜이 장착되고,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외륜이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외륜과 내륜은 상기 내륜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상호간에 잠기며, 상기 외륜의 정방향회전에 대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은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는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 하우징을 중심으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은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장착된 외축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축과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는 상호간에 비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은 상기 외축에 장착된 외축 결합자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외축과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는 그 외륜에 장착된 페달결합자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의 바깥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이 상기 크랭크축하우징을 관통하여 그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 각각에 상기 구동모터연결 일방향클러치와 상기 외축결합자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이 상기 외축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상기 페달연결 일방향클러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KR1020100006367A 2010-01-25 2010-01-25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KR10097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67A KR100978077B1 (ko) 2010-01-25 2010-01-25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67A KR100978077B1 (ko) 2010-01-25 2010-01-25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549A Division KR100944657B1 (ko) 2009-04-13 2009-05-11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077B1 true KR100978077B1 (ko) 2010-08-25

Family

ID=4276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367A KR100978077B1 (ko) 2010-01-25 2010-01-25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1633A (ja) *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シマノ 人力駆動車用駆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826A (ko) * 1999-06-26 1999-09-06 황병덕 전기자전거
KR100584842B1 (ko) 2005-03-21 2006-05-29 피에이치 유 도날드 전기 자전거용 보조 전력 유닛 시동 장치
KR20060115946A (ko) * 2005-05-07 2006-11-13 윤석원 자전거 및 스쿠터 등을 포함하는 운송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826A (ko) * 1999-06-26 1999-09-06 황병덕 전기자전거
KR100584842B1 (ko) 2005-03-21 2006-05-29 피에이치 유 도날드 전기 자전거용 보조 전력 유닛 시동 장치
KR20060115946A (ko) * 2005-05-07 2006-11-13 윤석원 자전거 및 스쿠터 등을 포함하는 운송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1633A (ja) * 2018-06-29 2020-01-09 株式会社シマノ 人力駆動車用駆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2000B2 (en) Clutch type driving mechanism for hybrid powered vehicle
US8657047B2 (en) Bicycle hub with integrated motor
US9415691B2 (en) Electric vehicle
US5937964A (en) Unitary power module for electric bicycles, bicycle combinations and vehicles
WO2010120071A2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KR20160074765A (ko) 허브 모터 구조체
US6836037B1 (en) Motor-assisted drive unit for motor-assisted vehicle
KR100978077B1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CN111433491B (zh) 用于交通工具的传动系统
KR100944657B1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RU1604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торизации велосипеда
JP6254495B2 (ja) モータ内蔵ハブ構造及び自転車
KR100932895B1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KR101224144B1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기구
JP2003164095A (ja) 電動駆動装置の筐体構造
RU1793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торизации велосипеда
KR101417284B1 (ko)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JP2003156077A (ja) 電動駆動装置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構造
WO2024057822A1 (ja) 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電動車両
WO2023236047A1 (en) Power-assisted drive assembly
KR200250475Y1 (ko) 전기자전거의 스프로켓 직구동장치
WO2023236046A1 (en) Power-assisted drive assembly
GB2489450A (en) Propulsion system for bicycles and similar vehicles
KR102062360B1 (ko) 전기자전거 변환용 조립 키트
KR20170061532A (ko) 전기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