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714B1 -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714B1
KR100977714B1 KR1020100040728A KR20100040728A KR100977714B1 KR 100977714 B1 KR100977714 B1 KR 100977714B1 KR 1020100040728 A KR1020100040728 A KR 1020100040728A KR 20100040728 A KR20100040728 A KR 20100040728A KR 100977714 B1 KR100977714 B1 KR 10097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control
voltag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울아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울아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울아이씨텍
Priority to KR102010004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14B1/ko
Priority to PCT/KR2011/001545 priority patent/WO201113647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293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current or power
    • H02M5/293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current or power using whole cycle control, i.e. switching an integer number of whole or half cycles of the AC input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 구동부와;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점과 동기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에지를 갖는 영점 신호를 출력하는 영점 검출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전력 제어 패턴을 상기 영점 신호의 반사이클을 하나의 비트 단위로 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C 전원에 직접 연결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에너지를 분산하여 공급하는 영점 제어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 전원에 직접 연결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전원과 부하 사이에 스위치 하나만 연결하고 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 에너지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이 높고 경제적이다. 왜냐하면, 전력 제어를 위해 추가되는 부품이 단지 스위치 하나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스위치에 의해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위상 제어 방식과 영점 제어(또는, 주기 제어, 제로 크로싱 제어) 방식이 있는데, 위상 제어는 제어의 주기가 짧아 제어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높은 전원 전압에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조파 노이즈 발생, 역률 저하, 스위치를 포함한 부품의 내구성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여 현재는 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기나 낮은 용량의 AC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와 같은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반면, 영점 제어 방식은 AC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 파형의 영점에 맞춰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위상 제어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고, 더욱 부하의 용량이나 성격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점 제어 방식은 제어의 주기가 길기 때문에 제어 품질이 열악하므로, 입력되는 전력에 대한 응답 속도가 느린 히터 계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 에너지를 조절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는, 부하를 둘 또는 셋으로 나누어 각각에 스위치를 연결한 후 스위치 조작을 통해 전력 에너지가 전달되어 동작하는 부하의 개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장치의 가장 흔한 예는 강/중/약과 같은 3단계 또는 강/약과 같은 2단계의 온도 또는 속도 조절 기능이 있는 전기 히터 또는 선풍기이다.
3단계 온도 조절 기능이 있는 히터의 경우 보통 동일한 용량을 갖는 히터 부하를 3개 설치하고 각각에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연결한 후, 약일 경우 하나, 중일 경우 둘, 강일 경우 세 개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시키는 방식으로 온도 조절을 행한다.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사용하는 이러한 방식은, 장치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현재 시장에서 보급형 제품의 대부분을 이룬다.
선풍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동기의 고정자에 코일을 감을 때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3개 권선을 하나의 권선처럼 취급하여 동시에 감은 후, 강/중/약에 따라 서로 다른 권선을 선택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바람의 세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방법은 엄밀히 말하면, 부하의 각각에 있어서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복수의 부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또는 모두)의 부하 자체를 온오프하는 스위치 동작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미리 형성된 부하의 개수 및 그의 온오프에 따른 둘 또는 세 종류의 조절밖에 불가능하다.
또한,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력을 스위칭하게 되면 스위칭 동작시점에 발생하는 순간적인 고압 스파크로 인해 스위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파크는 화재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 에너지 제어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어 현재도 흔하게 사용하고 있다.
반면, 히터를 부하로 사용하는 경우, 부하를 복수 개로 나누지 않고 바이메탈 방식의 온도 조절기에 의해 설정한 온도 근처에서의 바이메탈의 온오프에 의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적용된 부하가 열과 함께 빛을 방출하는 적외선 계열의 히터인 경우 발열체의 깜박임 현상이 눈에 거슬릴 정도로 나타나게 되며, 히터의 응답 속도가 바이메탈의 응답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설정한 온도에 대한 온도 변동률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C 전원(10)과 부하(20) 사이에 스위칭부(30)를 설치하고, 이 스위칭부(30)를 전력 제어부(50)에 의해 온오프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의 스위칭 시점을 영점 검출부(40)가 AC 전원(10)의 전압 파형에서 영점을 검출하여 출력한 영점 신호에 의해 설정하는 영점 제어(제로 크로싱 제어)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서의 스위칭부(30)는, 양방향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트라이악(TRIAC)을 1개 사용하거나 단방향 소자인 사이리스터(SCR), 전력 트랜지스터(POWER BJT), 파워 MOSFET, IGBT 등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2개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영점 검출부(40)는, 교류 전압의 위상이 0전위와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항 1개와 다이오드 또는 광 결합 소자(포토 커플러)를 조합하여 구성하거나, 광 결합 소자와 트랜지스터 또는 연산증폭기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회로 구성 또는 기술 내용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력 제어부(50)는, 일반적으로 메모리와 주변 제어 회로가 중앙처리장치와 일체화되어 집적된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MCU)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와 같은 디지털 제어기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특정 범위의 제어만 요구된다면, 트랜지스터, 저항 또는 콘덴서 등을 사용한 아날로그 회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부(50)가 전력 공급량을 제어할 때에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PWM 제어 방식은, 영점 검출부(40)에서 검출한 영점과 동기하여, 논리 "1"이 출력되어 전력 등이 공급되게 되는 시간 대 논리 "0"이 출력되어 전력 등의 공급이 정지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듀티(duty)비를 조정함으로써, 물리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MCU나 디지털 신호 처리기 등에는 기본적으로 PWM 제어를 위한 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서, 장치를 구성할 때 추가적 부품의 적용 및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PWM 제어 방식에서는, 미리 정의된 시간 구간에 대해 논리 1이 출력되는 시간을 제어입력에 따라 가변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도 5는, 이와 같은 전형적인 PWM 제어에 의한 파형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례의 파형에서는, 공급되는 전압 파형의 50 사이클을 1주기구간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부하로 전달되는 교류 전압을 온오프하는 시간이 제어입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a)에서는 제어입력이 40%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b)에서는 제어입력이 80%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5(a)에서는, 교류 전압의 50 사이클에 해당하는 1 주기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중, 20 사이클에 해당하는 온 구간은 전력 제어부에서 논리 1을 출력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교류 전압의 30 사이클의 시간에 대응하는 오프 구간은 전력 제어부에서 논리 0을 출력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5(b)에서는, 40 사이클에 해당하는 온 구간은 전력 제어부에서 논리 1을 출력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교류 전압의 10 사이클의 시간에 대응하는 오프 구간은 전력 제어부에서 논리 0을 출력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면, 50 사이클 동안의 1 주기구간 중 교류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를 100%로 했을 때에 대하여, 임의로 온 구간 및 오프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양의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주기구간을 50 사이클로 고정한 고정 주기형 영점 제어 방식은, 파형 분포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온과 오프의 합으로 구성된 제어 주기가 길다(전압 파형의 50 사이클을 1 주기구간으로 하고 있기 때문)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부하의 관점에서 보면 전력 에너지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므로 부하에서의 출력하는 에너지의 변동률이 상당히 크다는 문제를 나타낸다.
여기에 덧붙여, 이러한 제어를 받는 부하의 용량이 크다면 전원선의 전기 저항과 부하로 흐르는 큰 전류로 인해 온사이클이 연속되는 구간에서는 부하에 연결된 전선의 전압이 낮아지고, 오프 사이클이 연속되는 구간에서는 부하로 흐르는 전류가 없어져서 원래의 전원 전압 수준으로 복귀하는 동작이 반복되어, 부하와 같은 전선에 연결된 다른 부하에는 심한 변동이 포함된 전원이 공급되는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큰 용량의 전열기와 전등이 같은 전선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전열기를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할 경우, 전압 파형을 온오프하는 주기 구간에 따라 전등에 깜박거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다른 제어 방식으로는, 부하에 온도 센서를 장착한 후 설정한 온도와 부하의 온도 차이를 비교하여 부하 온도가 더 낮으면 스위치를 켜서 부하에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고 부하 온도가 설정한 온도보다 높으면 스위치를 꺼서 전력 에너지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일종의 되먹임(feedback) 제어 체계를 이용한 제어 방식이 있으며, 전기 레인지나 고급형 히터 등을 중심으로 적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가변 주기를 갖는 영점 제어 방식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데, 주변 온도나 부하가 구동하는 환경 등에 따라 동일한 온도가 설정되더라도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주기구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식 역시 전력 에너지가 공급될 때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공급되고 차단되는 밀집된 형태로 인가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제어 방식에서 나타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 에너지를 에너지 공급 구간에 있어서 일정 구간에 치우쳐 공급되지 않도록 평탄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영점 제어 패턴에 의해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위상 제어 방식에 버금가는 제어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 구동부와;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점과 동기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에지를 갖는 영점 신호를 출력하는 영점 검출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교류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전력 제어 패턴을 상기 영점 신호의 반사이클을 하나의 비트 단위로 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전력 제어 패턴은, 소정의 제어입력에 따라 에너지 공급 구간 전체에 걸쳐서 전압을 공급하는 구간과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구간이 고르게 분포된 형태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패턴은,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 중 0전위 위쪽 패턴과 0전위 아래쪽 패턴의 개수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의 감지는, 전력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전파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조작을 입력받아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서로 다른 온오프 패턴을 갖는 스위칭 제어 신호 중에서 상기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에 따라 도통되는 포토 트라이악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상기 포토 트라이악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트라이악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상기 전력 제어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로 공급할 전력량을 제어하고자 할 때, 상기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전력 제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전력 제어 패턴에 따른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부하에서 출력하는 에너지의 출력량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감지 수단에서 감지한 상기 부하에서 출력하는 에너지의 출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제어 패턴을 변경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라이악 소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으로서: 원하는 교류 전력량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에 따른 교류 전력량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점과 동기하여 상기 전력 제어 패턴에 따라 상기 트라이악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은,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파형을 전파 정류하는 회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제어입력에 가장 적합한 제어 출력 파형을 생성한 후 디지털 제어 패턴 데이터로 정의하여 표에 기록하고, 소정의 제어입력이 선택될 때, 표로부터 선택된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어 패턴을 전력 공급을 스위칭하는 신호로써 출력하는 테이블 룩업(table lookup)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 에너지를 모든 구간에서 평탄화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위상 제어 방식에 버금가는 제어 품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가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가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동작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서의 고정 주기구간을 갖는 전력 제어 패턴에 의한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의한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한 전압 파형의 일례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스위칭부(130)와 스위칭 구동부(135)와, 영점 검출부(140)와, 전력 제어부(150)와, 조작부(180)와, 표시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칭부(130)는, 1개의 제어 트라이악(132)을 설치하고, 이 제어 트라이악(132)을 스위칭 구동부(135)에 의해 온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스위칭 구동부(135)는, 외부 신호(즉, 전력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과 동기하여 온오프될 수 있도록 광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포토 트라이악(1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포토 트라이악(137)이 온(도통)되어 포토 트라이악(137)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이 전류는 스위칭부(130)에 구비된 제어 트라이악(132)을 온시키기 위한 온오프 신호로 이용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및 포토 트라이악(137)을 이용한 구성에 의하면, 교류 전원(110)으로부터의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다른 회로에 대하여 절연시킬 수 있게 된다.
영점 검출부(140)는, 교류 전압의 위상이 0전위와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전력 파형의 온오프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과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간단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영점 검출부(140)는, 교류 전원(110)의 전압 파형이 0전위가 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상승하는 에지 또는 하강하는 에지를 갖는 구형파 신호(영점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영점 신호는 전력 제어부(150)로 입력된다.
즉, 교류 전원(110)으로부터 브리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파 정류하고, 정류된 파형에서 전압이 0이 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0전위 시점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영점 검출부(140)는 구비한 다이오드의 장벽 전압 또는 항복 전압에 의한 신호의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력 제어부(150)는, 영점 검출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영점 신호에 동기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 구동부(135)로 출력한다. 이때, 스위칭 제어 신호는 조작부(180)에 의해 선택된 전력량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에 맞추어 하이/로우 값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이 스위칭 제어 신호는 스위칭 구동부(135)에서 발광 다이오드를 온오프하게 된다.
전력 제어부(150)는, 메모리(154)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메모리(154)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메모리(154)에는 후술하는 전력 제어 패턴에 대한 표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메모리(154)는 전력 제어부(15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제어부(150)는, 조작부(180)로부터 전력 공급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의한 제어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조절하고자 하는 전력 공급량에 대응된 전력 제어 패턴을 전력 제어 패턴 테이블로부터 독출하고, 독출한 전력 제어 패턴을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전력 제어부(150)는, 더욱,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전력 공급량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계적 스위치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90)는, 출력되는 표시 신호를 LED나 LCD 등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 방식에 따른 출력 파형(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 파형 중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에너지가 각각 40%인 경우(a)와 80%인 경우(b)에 있어서 부하로 공급되는 전압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영점 제어 방식에 있어서는, 전압 파형의 온 구간과 오프 구간이 비교적 긴 시간 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즉, 50 사이클을 1 주기구간으로 하고, 이 주기구간 내의 사이클을 일정 시간동안 온제어하고 나머지의 시간동안 오프제어함으로써 전력 에너지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식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공급하는 온 구간과 오프 구간이 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방식에 의하면, 열 관성이 큰 히터 부하에 대해서도 작은 온도 변동률로 정밀하게 온도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종래의 영점 제어 방식으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열관성이 작고 응답이 빠른 히터 부하의 온도 제어나 선풍기와 같은 소용량 AC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 등을 원하는 정도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가 기본적으로 큰 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전체적인 전원 전압의 낮아지고 높아지는 현상을 제외하면, 전원 공급에 있어서 전압 파형의 1 사이클 단위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전원 전압의 변동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또다른 부하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에서 사용하는 최대 출력 1800W의 히터 부하를 9단계로 온도 제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의 [표 1]은, 다양한 제어입력과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전자적으로 전력을 제어할 경우 보통 제어입력의 단계를 표시하기 위해 7-segment 부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 부품 한 개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숫자는 0에서 9까지의 10단계이다. 따라서, 전력 제어도 10단계로 제어하게 되는데, 보통 0단계는 실제적으로 부하가 꺼진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어입력은 9단계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표 1]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전력 제어의 단계를 나타내는 제어입력과, 해당 제어입력에 따라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패턴에 대한 16진수 데이터와, 이러한 전력 제어 패턴에 의해 나타나는 구형 파형에 의해 이론적으로 산출된 전력 에너지의 전달 비율과, 전력 제어 패턴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어 트라이악을 통해 실제로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이 나타나있다.
[표 1]은 부하 전력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의 전력 제어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입력 전력 제어 패턴
(16진수 코드)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 부하전력
1 8040 2010 0 H 11.1% 200W
2 9084 2121 0842 1210 84 H 22.2% 400W
3 924 H 33.3% 600W
4 A952 A954 AA55 2A95 52 H 44.4% 800W
5 D55A AD55 AB56 AD55 AA H 55.5% 1001W
6 DB6 H 66.6% 1201W
7 F77B BDDE E H 77.7% 1400W
8 FF&F BFDF E H 88.8% 1600W
9 F H 99.9% 1800W
전력 제어 패턴의 16진수 코드를 2진수로 변환했을 때 나타나는 각각의 비트의 1 또는 0은 스위칭 구동부(135)의 포토 트라이악(137)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나타내며, 이 스위칭 제어 신호의 각각의 비트는 부하(120)로 공급되는 전압 파형의 반 사이클마다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표 1]에의 전력 패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 패턴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패턴들을 조합함으로써 임의의 전력 에너지 공급량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임의의 전력 에너지 공급량을 정의하고, 정의된 공급량에 최적으로 에너지 분산된 제어 패턴을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 제어 패턴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 1]의 전력 제어 패턴에서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은 전체 패턴 비트 개수에서 논리 1이 출력되고 있는 비트의 개수에 대한 비율로 정의할 수 있는데, 3단계 제어 입력을 예로 들면, 전력 제어 패턴의 데이터 길이는 12 비트이고, 16진수 924H를 2진수로 표현하면 1001_0010_0100으로 1의 개수가 4개이므로 (4/12)*100%를 계산하면 대략 33.3%가 된다. 따라서 부하(120)로 전달되는 전력은 1800W의 33%인 약 594W가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제어입력에 대해서도 부하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 9단계는 AC 전원(110)이 모두 부하로 전달되므로 패턴이 모두 논리 1로 나타나는 형태가 되는데, 16진수 표현으로는 모든 비트가 1인 FH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전력 제어 패턴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입력에 대해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력이 지수함수 형태를 따르는 관계를 만들 수도 있다. 즉, 제어입력이 낮은 단계에서는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량이 적으며 천천히 변화하고 어느 이상의 단계가 높아지면 제어입력에 따른 전력의 변화량이 매우 커지는 형태로 제어되며, 제어할 부하 특성이나 적용할 제품의 특성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는 제어 패턴이다.
[표 2]는, 제어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량이 지수 함수의 형태로 제어되는 전력 제어 패턴을 나타낸다.
제어입력 전력 제어 패턴
(16진수 코드)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 부하전력
1 8000 0000 0400 0000 00 H 2.8% 50W
2 8000 1000 0200 0100 00 H 5.6% 101W
3 8004 00 H 8.3% 149W
4 8040 2010 0 H 11.1% 200W
5 810 H 16.7% 300W
6 9212 4248 4909 2124 24 H 27.8% 500W
7 A952 A954 AA55 2A95 52 H 44.4% 800W
8 DB6 H 66.7% 1201W
9 F H 100% 1800W
전력 제어 패턴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어입력에 따라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력이 로그함수 형태를 따르는 관계를 만들 수 있다. 즉, 제어입력이 낮은 단계에서는 전력 변화량이 매우 크고 어느 이상의 단계가 높아지면 제어입력에 따른 전력 변화량이 작게 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표 3]을 참조할 수 있다.
제어입력 전력 제어 패턴
(16진수 코드)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 부하전력
1 8040 2010 00 H 11.1% 200W
2 A5 H 50% 900W
3 EDB6 EDB7 6DBB 6EDB 76 H 69.4% 1249W
4 F77B BDDE E H 77.8% 1400W
5 FDFB F7EF DFBF 7EFD FB H 86.1% 1550W
6 FFEF FDFF BFFD FFFB FD H 91.7% 1650W
7 FFF7 FFBF FF7F FFBF FF H 94.4% 1669W
8 FFFF FF7F FFFF BFFF FF H 97.2% 1750W
9 F H 100% 1800W
제어입력과 부하(120)에 공급되는 전력 사이의 관계는 [표 1], [표 2] 및 [표 3]에 예시한 관계들뿐만 아니라, 제품의 특성 또는 적용된 부하에 따라 요구하는 임의의 형태의 관계도 만들 수 있다. 상술한 선형 관계, 지수 관계, 로그 관계인 전력 제어 패턴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전력 제어 패턴은, 원하는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에 따라서, 또한 전력 에너지를 최대한 분산하는 형태로 하여 임의로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형 관계를 갖는 전력 제어 패턴의 경우도 [표 1]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제어입력에 따른 전력 에너지 전달 비율 및 부하 전력의 상승하는 기울기와 시작점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제어 패턴에 있어서 완전한 전력 에너지 분산이 어느 정도 희생되더라도 AC 전원(110)의 전압 패턴 중 0전위 위쪽 패턴의 개수와 0전위 아래쪽 패턴의 개수가 같아지는 형태의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제어 구간에서 부하(120)에 DC 오프셋 없이 완전한 AC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력 제어 패턴은 적용하려는 부하와 응용 제품, 제어 목적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제어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각 제어 단계마다에 최적의 상태로 설정된 전력 제어 패턴에 따른 전력 에너지를 부하(120)에 공급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력 제어 패턴은, 부하(120)에 서로 다른 전력량(예를 들어 0%, 30%, 50%, 70%, 100%)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 전력 에너지, 즉 전력이 밀집된 형태를 나타내지 않고, 최적으로 분산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적용되는 장치 또는 부하에 맞추어 설정하려는 제어 입력 단계별로 전력 에너지의 공급량에 최적인 무작위 패턴(random pattern)이 미리 정의된다.
만약, 부하에 30% 전력을 공급하고자 한다면, 전압 파형의 10개 파형 중(반파 기준) 3개만 공급하면 되는데, 전체 10개 중 3개만 1이 되는 디지털 패턴(전력 제어 패턴)을 만들어보면, 1000100100_0100100010_0100010010_0010010001_00... 와 같이 1과 1 사이에 0이 3개인 경우와 2개인 경우가 계속 반복될 때 가장 분산된 형태가 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을 16진수로 나타내면 8_9_1_2_2_4_4_8_9_1... 와 같이 되는데, '8912 244'가 반복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30%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패턴을 표현하는 데이터는 16진수로 8912 244가 되며, 이것을 표에 기록하여 전력 제어부(150)의 메모리(154)에 저장하여 두고, 이후 부하 전력을 30%로 설정하는 제어입력이 들어오면 이 데이터 패턴으로 스위칭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부하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 패턴은, 부하(120)에 공급할 전력 에너지의 전달 형태, 다시 말해 [표 1]과 같은 선형 공급인지 아니면 [표 2], [표 3]과 같이 지수형 또는 로그형인지를 먼저 결정하고, 제어 입력 단계를 몇 단계로 할 것인지(3 단계인지, 5 단계인지,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9 단계인지, 아니면 더욱 정밀하게 20 단계인지 등)가 정의되면,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공급 전력의 비율을 정의하고, 각각의 정의된 비율에 맞추어 스위칭부(130)의 제어 트라이악(132)을 도통 상태로 하여 전압 파형을 통과시키기 위한 어느 하나의 온 제어와 인접하게 되는 다른 온 제어가 가능한 밀집되어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어느 하나의 오프 제어와 인접한 다른 오프 제어가 가능한 밀집되어 나타나지 않도록 고르게 분포할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디지털 온오프 신호 파형을 설계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각각의 제어입력에 대해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이 정의된 상태에서 이 제어 패턴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 제어 장치가 부하(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의 일례를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 내지 [표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가, 전력 제어부(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표의 내용 중 제어입력과 그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 제어부(150)가 동작을 시작하면, 먼저 각각의 제어입력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한다(S12).
만일, 전력 제어부(150)에 내장된 메모리(154)에 전력 제어 패턴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중에 이 데이터에 임의로 접근할 수 있다면, 이러한 설정 과정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반면에, 전력 제어 패턴이, 외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거나, 내부 메모리(154)에 저장되어 있을지라도 전력 제어부(150)가 직접 접근할 수 없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면, 원활한 동작을 위해 데이터에 임의로 접근할 수 있도록 버퍼 메모리와 같은 장치로 데이터를 옮기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력량에 대한 제어입력(선택 신호)이 입력되면, 이 제어입력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을 메모리(154)에서 선택하고(S13), 영점 검출부(140)의 출력인 영점 신호를 기다린다. 영점 검출부(140)로부터 영점 신호가 출력되면(S14), 영점 신호의 각 에지에 맞춰 선택된 전력 제어 패턴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출력한다(S15).
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패턴의 첫번째 비트에 해당하는 패턴을 첫번째 영점 신호의 에지에 맞추어 출력했다면, 바로 이어지는 그 다음 영점 신호의 에지에서는 두번째 비트에 해당하는 패턴을 출력하고, 그 다음 영점 신호에서는 세번째 비트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때, 정의된 전력 제어 패턴이 끝나면, 그 다음 영점 신호의 에지로부터는 해당 전력 제어 패턴의 첫번째 비트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동작을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전력 제어 패턴의 마지막 비트부터 시작하여 거꾸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임시 이동 버퍼(shift buffer)를 정의한 후, 현재 선택한 비트를 출력한 후 이 임시 이동 버퍼의 비트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일관되게 1비트씩 이동시키는데, 이때 현재 출력한 비트를 이동하는 버퍼의 입력에 되먹임시켜 마치 영점 신호를 클록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논리 1이 하나만 있으면서 영점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일관되게 1자리씩 이동하는 마스크 패턴을 정의하고, 이 마스크와 선택한 제어 패턴 데이터에 논리곱(AND) 연산을 하여 그 결과를 스위칭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실제 구현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모든 방법들에 있어서의 핵심은 미리 정의된 전력 제어 패턴 중 제어입력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영점 신호에 맞춰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한편, 영점 신호에 맞추어 어느 하나의 비트에 하나의 패턴이 스위칭 제어 신호로서 출력되었으면, 제어입력에 변동이 있는지 조사한다(S16). 조사 결과 제어입력에 변동이 없으면 이어서 입력되는 영점 신호에 맞춰 전력 제어 패턴의 다음번 비트에 따른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제어입력에 변동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변동된 제어입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전력 제어 패턴으로 변환하고 영점 신호와 동기하여 새로운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도 3과 같은 제어 동작의 흐름은 통상 MCU나 DSP와 같은 디지털 제어기에 프로그램 형태로 입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지만, 패턴 메모리, 시프트 레지스터 또는 간단한 상태 기계(state machine)를 사용하는 논리 회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개별 반도체 소자를 PCB 기판에 조립하여 제어 동작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FPGA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IC 제품의 내부에 하나의 제어 회로 블록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가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제어를 수행하는 또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인 제어 동작은 도 3과 같지만, 영점 신호 점검 단계와 제어입력의 변동을 점검하는 단계의 위치가 바뀌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제어 흐름이 바뀌었다.
먼저, 전력 제어부(150)가 동작을 시작하면 각각의 제어입력에 상응하는 고유의 제어 패턴 데이터를 설정한다(S22).
전력 제어 패턴 데이터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 후, 조작부(180)로부터 제어입력을 받아들여 현재 선택된 제어입력의 값과 차이가 있는지 점검한다(S23). 이때, 제어입력이 바뀐 것으로 판단되면 바뀐 제어입력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을 선택하고(S24), 이후 영점 신호를 기다리다가(S25) 영점 신호가 발생하면 영점 신호에 맞춰 선택한 전력 제어 패턴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스위칭 제어 신호로 출력한다(S26).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에는 다시 제어입력이 바뀌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S23)로 되돌아가 이어지는 동작을 반복한다.
도 3과 도 4의 제어 흐름에서 가장 큰 차이는 제어입력을 점검하는 횟수이다. 도 3의 경우 영점 신호를 기다리다가 영점 신호가 발생하면 전력 제어 패턴에 해당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후에 제어입력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어지는 영점 신호가 감지될 때까지 제어입력의 변동을 점검하지 않는다. 즉, 영점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마다 한번씩만 제어입력의 상태를 확인하는 반면, 도 4에서는 영점 신호를 점검한 후 영점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바로 이어서 제어입력의 상태를 확인한다. 그 이후 제어입력의 상태에 따라 해당 동작을 처리하고 다시 영점 신호의 상태를 점검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도 4의 제어 흐름에서는 제어입력의 상태가 전력 제어부(150)에 즉시 반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외부 제어입력의 상태 변화를 바로 반영해야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4의 제어 흐름도가 더 적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하에 대하여 부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소정의 감지 수단을 부가하고, 이 감지 수단으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부하의 동작 상태에 맞추어 제어 입력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부하가 히터인 경우에는 감지 수단으로서 디지털 온도 센서 또는 바이메탈을 적용할 수 있으며, 부하가 전동기인 경우에는 감지 수단으로서 회전 속도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히터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의 온도를 설정하였다면,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설정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으로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게 되고, 이러한 전력 에너지 공급에 의해 히터가 동작하면 온도 센서가 감지한 히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력 제어 패턴을 현재의 설정된 제어입력보다 높은 제어입력의 전력 제어 패턴 또는 낮은 제어입력의 전력 제어 패턴으로 적절하게 변경하는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면, 인가되는 전력 에너지에 의한 부하의 동작 상태를 실제적으로 감지하고 자동으로 전력 에너지 공급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부하를 배치하고, 이에 공급되는 전력 제어 패턴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복수의 부하를 병렬로 배치하고, 각각의 부하에 개별적으로 전력 제어 패턴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면, 서로 다른 출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부하를 조합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출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110 : AC 전원
120 : 부하
130 : 스위칭부
135 : 스위칭 제어부
140 : 영점 검출부
150 : 전력 제어부
154 : 메모리

Claims (11)

  1.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 구동부와;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점과 동기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에지를 갖는 영점 신호를 출력하는 영점 검출부와;
    상기 교류 전압의 반사이클마다에 대응하는 파형 중 0전위 위쪽 패턴 또는 0전위 아래쪽 패턴을 통과시켜 상기 부하를 구동시키는 전압 공급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영점 신호의 반사이클 단위마다에 대응하는 하이(high) 비트와 상기 교류 전압 파형을 차단하여 상기 부하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영점 신호의 반사이클 단위마다에 대응하는 로우(low) 비트를 가지며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교류 전압을 소정의 전력량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로우 비트 당 상기 하이 비트의 출현 비율이 결정되고 상기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출현 비율에 따라 상기 로우 비트 중에 상기 하이 비트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하이 비트와 상기 로우 비트의 반복되는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전력량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패턴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부하에 상기 전력량으로 상기 교류 전압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전력 제어 패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상기 하이 비트 또는 상기 로우 비트를 상기 영점 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의 감지는, 전력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전파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전력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조작을 입력받아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서로 다른 온오프 패턴을 갖는 스위칭 제어 신호 중에서 상기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에 따라 도통되는 포토 트라이악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상기 포토 트라이악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트라이악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상기 전력 제어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에 공급할 상기 전력량을 제어하고자 할 때, 상기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 종류의 전력 제어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전력 제어 패턴에 따른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서 출력하는 에너지의 출력량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감지 수단에서 감지한 상기 부하에서 출력하는 에너지의 출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제어 패턴을 변경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0.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트라이악 소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전력량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력량을 판단하고, 상기 교류 전압의 반사이클마다에 대응하는 파형 중 0전위 위쪽 패턴 또는 0전위 아래쪽 패턴을 통과시켜 상기 부하를 구동시키는 전압 공급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교류 전압의 반사이클 단위마다에 대응하는 하이(high) 비트와 상기 교류 전압 파형을 차단하여 상기 부하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교류 전압의 반사이클 단위마다에 대응하는 로우(low) 비트를 가지며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교류 전압을 소정의 전력량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로우 비트 당 상기 하이 비트의 출현 비율이 결정되고 상기 교류 전압이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출현 비율에 따라 상기 로우 비트 중 상기 하이 비트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력량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하이 비트와 상기 로우 비트의 반복되는 패턴인 전력 제어 패턴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점과 동기하여 상기 독출한 전력 제어 패턴에 의해 상기 하이 비트와 상기 로우 비트를 생성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트라이악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파형이 0전위를 교차하는 시점은, 상기 교류 전원의 전압 파형을 전파 정류하는 회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1020100040728A 2010-04-30 2010-04-30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28A KR100977714B1 (ko) 2010-04-30 2010-04-30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1545 WO2011136471A2 (ko) 2010-04-30 2011-03-07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28A KR100977714B1 (ko) 2010-04-30 2010-04-30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714B1 true KR100977714B1 (ko) 2010-08-24

Family

ID=427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728A KR100977714B1 (ko) 2010-04-30 2010-04-30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7714B1 (ko)
WO (1) WO201113647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725B1 (ko) 2012-09-05 2012-11-12 (주) 파라이엔티 파형손실 보상 방법 및 파형손실 보상을 구현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KR101405243B1 (ko) 2013-11-08 2014-06-10 (주) 파라이엔티 피크 전력 분배가 가능한 전력 조정기 및 이를 이용한 피크 전력 분배 방법
KR101608033B1 (ko) * 2014-03-27 2016-04-11 주식회사 빛담 에너지 분산 방식 전력공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4543B (zh) * 2021-04-19 2022-07-22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直流有刷电机转速的控制方法及系统、存储介质、吹风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75Y1 (ko)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성완전기 히터부하의 다기능 전력제어장치
KR20010077935A (ko) * 2000-01-26 2001-08-20 이마이 기요스케 교류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00035668A (ko) * 2008-09-27 2010-04-06 주식회사 오토닉스 위상 제어 및 제로크로스 사이클 제어 기능을 갖는 온도조절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45B1 (ko) * 2004-04-27 2006-11-23 (주)기술이야기 조광장치의 위상조절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935A (ko) * 2000-01-26 2001-08-20 이마이 기요스케 교류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231775Y1 (ko) 2001-02-22 2001-07-19 주식회사 성완전기 히터부하의 다기능 전력제어장치
KR20100035668A (ko) * 2008-09-27 2010-04-06 주식회사 오토닉스 위상 제어 및 제로크로스 사이클 제어 기능을 갖는 온도조절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상진 외 2명, 전력전자제어회로, 도서출판 북스힐, 출판일 2001.08.0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725B1 (ko) 2012-09-05 2012-11-12 (주) 파라이엔티 파형손실 보상 방법 및 파형손실 보상을 구현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KR101405243B1 (ko) 2013-11-08 2014-06-10 (주) 파라이엔티 피크 전력 분배가 가능한 전력 조정기 및 이를 이용한 피크 전력 분배 방법
KR101608033B1 (ko) * 2014-03-27 2016-04-11 주식회사 빛담 에너지 분산 방식 전력공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471A2 (ko) 2011-11-03
WO2011136471A3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457B2 (en) Lighting device, luminaire, and lighting system
US7888886B2 (en) Universal line voltage dimming method and system
ES2338057T5 (es) Método de control para una placa de cocina de inducción y placa de cocina de inducción adaptada para llevar a cabo dicho método
JP5530596B2 (ja) 力率補正回路
EP2765697B1 (en) A method of operating switch mode power converters, and controllers and lighting systems using such a method
CA2710997C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induction cooking zones of an induction cooking hob having a plurality of power converters, and induction cooking hob using such method
KR100977714B1 (ko) 에너지 분산 공급 방식의 전력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20421A (ko) Led 디머,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및 led 조명장치의 디밍 제어 방법
CA319162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nd power via phase-cut ac waveforms
JPH071469B2 (ja) 電熱装置の定電力供給装置
JP5694368B2 (ja) ソリッド・ステート・ランプのためのドライバ
JP4305308B2 (ja) 調光装置
CN105050228A (zh) 照明系统及照明器具
JP5430639B2 (ja) Led駆動回路およびled駆動方法
JP201906180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点灯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11061B2 (ja) 光源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照明器具
US10813188B1 (en) Dimmer with zero crossing det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mmer
KR101608033B1 (ko) 에너지 분산 방식 전력공급 제어방법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JP32849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0157041B1 (ko) 전열 기구의 정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865478B1 (ja) 調光システム
TWI568312B (zh)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oad by changing the AC voltage conduction angle as a control command
JP2014067256A (ja) 交流負荷電力制御方式
JP2019133948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