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469B1 -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469B1
KR100977469B1 KR1020080099327A KR20080099327A KR100977469B1 KR 100977469 B1 KR100977469 B1 KR 100977469B1 KR 1020080099327 A KR1020080099327 A KR 1020080099327A KR 20080099327 A KR20080099327 A KR 20080099327A KR 100977469 B1 KR100977469 B1 KR 10097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phases
phase
signals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204A (ko
Inventor
강동식
윤영우
황돈하
이상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4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부분방전 신호 측정시 유입된 인접상 부분방전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측정된 부분방전 신호의 파형을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파형의 지연시간 및 극성 변환 특성을 이용해 인접상으로부터 혼입된 파형을 찾아 제거함으로써, 부분방전 신호에 대한 측정 정확도록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절연 진단 결과를 도출시킬 수 있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은, (i) 부분방전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두 상에서 동시에 일정주기 동안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수신된 두 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에 맞게 정렬하는 단계; (iii) 정렬된 두상의 신호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iv) 추출된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에 대해서 두 상의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기기, 파형 분석, 부분방전, 인접상 유도 잡음, 잡음 제거,

Description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A/Djacent induction noise included in partial discharge}
본 발명은 부분방전 신호에 혼입된 인접상 유도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검출에 있어서 부분방전 신호 외에 검출되어진 불필요한 외부 잡음 신호 중 인접상에서 발생한 부분방전 신호가 유도에 의해 혼입된 성분을 파형 분석을 통해 잡음으로 처리하고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 중 고압 회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운전 중에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 이외에 많은 외부 잡음과 인접한 상으로부터 유도되는 인접상 유도 잡음이 함께 측정된다는 것이다.
상기의 부분방전 신호는 특성상 전압 곡선(사인파) 중 상승부위에 집중적으로 존재할 확률이 높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잡음은 전체 위상에 걸쳐 비슷한 크 기로 나타날 확률이 높고, 인접상 유도 잡음은 크기가 큰 타상 신호가 인접상 유도 잡음의 발생원이 되어 인접한 상의 특정 위상에 집중적으로 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다.
한편, 부분방전 측정센서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운전 중 센서에서 측정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전형적인 파형(60 Hz 주기)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기기의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시에는 부분방전 신호 외에 불필요한 잡음 신호도 동시에 측정된다. 고압 전력기기 절연물의 결함부위에서는 수십 kHz에서 수 GHz 대역까지 분포하는 부분방전 펄스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운전 중 부분방전 검출기법은 최대값 검출기법 및 풀(Full) A/D 변환기법이 있으며, 도 2는 풀 A/D 변환기법을 적용한 온-라인(on-line)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풀 A/D 변환기법은 센서를 통해 측정된 1주기 전체의 부분방전 신호를 고속 A/D 변환기(11)에 의해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서, 샘플링 속도(sampling rate)가 높아지면 부분방전 파형에 대한 정보의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분방전 신호의 원파형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한 풀 A/D 변환기법도 부분방전 검출시에는 도 3에 나타난 최대값 검출기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외부 잡음의 제거에 이용되는 기법에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한 필터링(filtering) 기법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동기법 등이 있으나, 측정되어진 잡음 신호의 원파형 분석을 통한 외부 잡음 제거기법은 개 발되지 못하였다.
풀 A/D 변환기법을 이용한 시스템은 최대값 검출기법에 비해 고가이며, 신호 처리에도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풀 A/D 기반의 부분방전 분석방법이 활성화되지 못하였고, 현재까지 부분방전 신호의 원파형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도출하여 적용한 기술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도 4는 종래의 부분방전 차동 증폭방법을 이용한 잡음 제거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부분방전 신호에 혼재되어 있는 외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각 상에 2개의 센서(21,22)를 설치하고 신호의 시간 지연을 발생시켜 부분방전 신호를 외부 잡음과 구분하는 종래의 차동기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분방전 신호에 혼재되어 있는 외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각 상에 2개의 센서(21,22)를 설치하는데, 두 센서(21,22) 간의 거리 L1은 부분방전 신호와 외부 잡음의 신호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센서의 출력 라인의 길이 L2는 L1의 길이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 잡음의 시간 지연을 보상할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이 기법은 기기 외부에서 유입되는 잡음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접상 유도 잡음은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잡음 제거방법은 특정 위상 또는 전 위상에서 발생하는 백색 잡음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인접상 유도 잡음이 나타날 경우 이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기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잡음 성분은 부분방전 신호를 이용한 진단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최근 인접상 유도잡음 제거를 위한 기술의 하나로, 본원출원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8-73369호(2008.7.28)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가 가능한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풀(Full) A/D 변환기법 적용 유무와 관련 없이 측정된 최대값 검출기법에 이용되는 기술이며, 이는 잡음 제거의 간편성은 높으나 잡음 제거의 효과는 일부 부족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 상의 부분방전 신호는 최대한 유지하면서 타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인접상 유도 잡음 성분을 정확하게 파형으로 구분하여 제거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 부분방전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두 상에서 동시에 일정주기 동안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수신된 두 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에 맞게 정렬하는 단계; (iii) 정렬된 두 상의 신호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 계; 및 (iv) 추출된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에 대해서 두 상의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iii) 단계에서는, 상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함에 있어서, 두 상의 신호에서 초기 피크(peak)가 발생한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A/D 변환기의 샘플링 속도가 250 MS/s(채널별)이고 대역폭이 125 MHz일 때 초기 피크가 발생한 시간차가 5 샘플 또는 20ns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iv) 단계에서는 동일 시간대 및 반대 극성을 갖는 두 상의 신호 파형을 웨이브 쉐이핑 회로를 통해 변환한 뒤 변환된 두 상의 파형 크기를 비교하여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웨이브 쉐이핑 회로를 거친 두 상의 파형에서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은, 두 상의 신호 파형 중 크기가 큰 상의 신호를 보존하고 잡음이 되는 크기가 작은 상의 신호를 제거하되, 두 상의 파형 구간에서 피크 값들을 추출한 뒤 두 상 간의 피크 값을 더해서, 0보다 크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며, 0보다 작으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은, 부분방전 신호에 의해 고압 전력기기의 절연상태를 진단함에 있어서 부분방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잡음 제거 기술로서, 이를 이용하면 3상 부분방전 신호 측정시 유입되는 인접상 부분방전 신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에 의하면, 풀(Full) A/D 변환기법을 적용하여 부분방전 신호의 원파형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잡음 제거기법보다 인접상 유도 잡음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부분방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고압 전력기기의 절연상태를 진단하여 판단하는 기술에 기여하는 효과가 매우 높다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고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검출방법에 있어서 풀(Full) A/D 변환기법을 이용한 방법의 적용이 활성화되지 못한 원인은, 최대값 검출기법에 비해 고가인데 반하여 신호 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면서도 부분방전 신호의 원파형 분석을 이용한 정확한 잡음 제거기법이 개발되지 못한 점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분석을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 부분방전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두 상에서 동시에 일정주기 동안 수신하는 단계(S11), (ii) 상기 수신된 두 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에 맞게 정렬하는 단계(S12), (iii) 정렬된 두상의 신호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계(S13), 및 (iv) 추출된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에 대해서 두 상의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단계(S14,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i) 단계에서는 부분방전 및 잡음이 포함된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을 통해 두 상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것으로, 일정주기 동안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6a는 B상과 동시에 측정된 A상의 120주기 최대 크기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A상과 동시에 측정된 B상의 120주기 최대 크기값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6a와 도 6b는 A상과 B상에 대해 동시에 동일한 트리거(trigger) 지점에서 측정된 120주기 누적 신호의 최대 크기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B상과 동시에 측정된 A상 1주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 A상과 동시에 측정된 B상 1주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6a와 도 6b의 그래프는 각각 도 7a와 도 7b에 나타낸 동시 측정된 각상 1주기 측정 결과의 120주기 누적 결과가 된다.
다음으로 (ii) 단계에서는 수신된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된 순서에 맞게 측정 결과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대로 정렬하게 된다.
이후 (iii) 단계에서는 동일 시간대 측정신호를 구분하는 단계로, 초기 피크(peak)가 발생한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기준 시간차 값, 예를 들어 5 샘플 또는 20ns)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 단계는 측정시 이용된 A/D 변환기(converter)의 샘플링 속도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D 변환기의 샘플링 속도는 250 MS/s(채널별)인 것을 이용하였고, 이때의 대역폭은 125 MHz였으며, 초기 피크(peak)가 발생한 시간차가 5 샘플(또는 20ns)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로 간주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도 8a와 도 8b는 2개의 상에 나타난 측정신호가 동일 시간대에 측정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상 트리그(trig) 신호 기점으로 77.08도 부근에서 나타난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도 8a는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77.0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도 8b는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77.0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iv) 단계는 동일 시간대역으로 들어온 2개 상의 신호 파형으로부터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추출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8a와 도 8b의 예를 참조하면, 피크가 발생한 시간차가 기준 시간차 값 5 샘플(20ns) 이내인 3 샘플(또는 12ns)이므로 동일 시간대역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초기 피크의 극성이 반대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부분방전 신호 가 인접상으로 유기되어 잡음으로 나타나는 신호는 극성이 반대이며, 동일 시간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기되는 신호의 초기 피크는 전송 과정에서 감쇠되어 그 크기가 원래의 부분방전 신호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를 이용하여 인접상 유도 여부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정기준에 따르면, 도 8b에 나타난 B상의 파형이 A상으로부터 유입된 파형으로 잡음 파형에 해당되며, 도 8a에 나타난 A상 기준 77.08도에 해당되는 피크는 부분방전 발생 위상에 해당되므로 부분방전 발생 파형이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9a와 도 9b는 도 8a 및 도 8b와 다른 위상영역에서 2개 상에 나타난 측정신호가 동일 시간대에 측정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A상 트리그(trig) 신호 기점으로 261.58도 부근에서 나타난 파형이다. 도 9a는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261.5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도 9b는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261.5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a와 도 9b에서의 피크가 발생한 시간차는 5 샘플(또는 20ns) 이내이므로 동일 시간대역으로 산정되며, 이때 초기 피크의 극성은 반대임을 알 수 있다. 앞선 설명과 같은 선정기준에 따르면, 도 9a에 나타난 A상의 파형이 B상에서 유입된 파형으로 잡음 파형에 해당되며, 도 9b에 나타난 B상 기준 261.58도에 해당되는 피크는 부분방전 발생 위상에 해당되므로 부분방전 발생 파형이 된다.
상기 (iv) 단계에서 동일 시간대 및 반대 극성을 갖는 두 상의 크기를 비교 하여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된 파형의 변형이 필요하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웨이브 쉐이핑(wave shaping) 회로를 이용하여 초기 피크 이후의 데이터를 없앨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양도 확연히 줄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웨이브 쉐이핑 회로와 관련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회로 구성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의 웨이브 쉐이핑(wave shaping) 회로를 통과한 도 8a 및 도 8b의 파형, 그리고 도 9a 및 도 9b의 파형은 도 11a 및 도 11b, 도 12a 및 도 12b에서 푸른색으로 나타낸 파형으로 각각 변환된다.
웨이브 쉐이핑 회로를 거친 두 상의 파형에서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은 두 가지 신호 중 크기가 큰 상의 신호는 보존하고 크기가 작은 신호는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1a와 도 11b의 푸른색으로 나타낸 파형끼리, 그리고 도 12a와 도 12b의 푸른색으로 나타낸 파형끼리 비교하여 크기가 큰 상의 신호는 보존하되, 크기가 작은 상의 신호는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도 11a와 도 11b의 푸른색 파형 구간, 그리고 도 12a와 도 12b의 푸른색 파형 구간에서, 각 파형에 대해 피크 값들을 추출하는데, 이때 추출된 피크 값은 도 11a와 도 12a의 파형과 같이 + 피크이면 양수가 되고, 도 11b와 도 12b의 파형과 같이 - 피크이면 음수가 된다.
이어 추출된 도 11a의 피크 값과 도 11b의 피크 값을 더해서, 0보다 크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며, 0보다 작으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제거하는 쪽은 파형 구간의 값을 모두 0으로 하고, 보존하는 쪽에서는 피크 값 위치의 포인트(피크 값)만을 남기고 모두 0으로 해주는 바, 결국 크기가 큰 쪽은 부분방전 발생 파형으로 남게 되고, 작은 쪽은 인접상 유도 잡음으로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 과정은 부분방전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두 상에서 동시에 일정주기 동안 수신하고, 수신된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에 맞게 정렬하며, 동일 시간대역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한 다음,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추출 및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면, 풀 A/D 변환기법을 적용하여 부분방전 신호의 원파형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잡음 제거기법보다 인접상 유도 잡음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부분방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 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축정된 부분방전 신호의 일 예(60 Hz 주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풀(Full) A/D 변환방식의 온-라인(on-line)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풀 A/D 변환에 의한 부분방전 최대값 검출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부분방전 차동 증폭방법을 이용한 잡음 제거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 분석에 의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에서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120주기 최대 크기값 그래프,
도 6b은 본 발명에서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120주기 최대 크기값 그래프,
도 7a는 본 발명에서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1주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b은 본 발명에서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1주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서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77.0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서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77.0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서 B상과 동시 측정된 A상의 261.5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9b는 본 발명에서 A상과 동시 측정된 B상의 261.58도 부근 측정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웨이브 쉐이핑(Wave Shaping) 회로의 회로도,
도 11a은 도 8a의 파형이 웨이브 쉐이핑된 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도 8b의 파형이 웨이브 쉐이핑된 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2a는 도 9a의 파형이 웨이브 쉐이핑된 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2b는 도 9b의 파형이 웨이브 쉐이핑된 후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고속 A/D 변환기 21 : 센서 1
22 : 센서 2

Claims (5)

  1. (i) 부분방전 신호를 풀(full) A/D 측정기법으로 두 상에서 동시에 일정주기 동안 수신하는 단계;
    (ii) 상기 수신된 두 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시간 순서 및 주기 순서에 맞게 정렬하는 단계;
    (iii) 정렬된 두 상의 신호로부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iv) 추출된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에 대해서 두 상의 극성 및 크기 비교에 의해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동일 시간대의 측정신호를 구분하여 추출함에 있어서, 두 상의 신호에서 초기 피크(peak)가 발생한 시간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A/D 변환기의 샘플링 속도가 250 MS/s(채널별)이고 대역폭이 125 MHz일 때 초기 피크가 발생한 시간차가 5 샘플 또는 20ns 이내인 경우에 동일 시간대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v) 단계에서는 동일 시간대 및 반대 극성을 갖는 두 상의 신호 파형을 웨이브 쉐이핑 회로를 통해 변환한 뒤 변환된 두 상의 파형 크기를 비교하여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 쉐이핑 회로를 거친 두 상의 파형에서 인접상 유도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은,
    두 상의 신호 파형 중 크기가 큰 상의 신호를 보존하고 잡음이 되는 크기가 작은 상의 신호를 제거하되,
    두 상의 파형 구간에서 피크 값들을 추출한 뒤 두 상 간의 피크 값을 더해서, 0보다 크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며, 0보다 작으면 - 피크 값을 보존하고 + 피크 값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 방법.
KR1020080099327A 2008-10-09 2008-10-09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KR100977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7A KR100977469B1 (ko) 2008-10-09 2008-10-09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327A KR100977469B1 (ko) 2008-10-09 2008-10-09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04A KR20100040204A (ko) 2010-04-19
KR100977469B1 true KR100977469B1 (ko) 2010-08-23

Family

ID=4221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327A KR100977469B1 (ko) 2008-10-09 2008-10-09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482B1 (ko) * 2021-11-23 2024-05-29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고압 회전기기의 절연진단을 위한 부분방전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8228B2 (en) 2011-09-28 2017-12-0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Device for removing partial discharge noise and method of diagnosing the same
KR101945543B1 (ko) * 2012-09-20 2019-02-07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 신호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887A (ja) * 1992-05-06 1993-11-26 Toshiba Corp 電気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JP2000329833A (ja) 1999-05-24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異常検出装置
JP2005274440A (ja) 2004-03-25 2005-10-0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20060040443A (ko) * 2004-11-05 2006-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분방전 측정신호의 잡음 제거 및 정량화 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887A (ja) * 1992-05-06 1993-11-26 Toshiba Corp 電気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JP2000329833A (ja) 1999-05-24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異常検出装置
JP2005274440A (ja) 2004-03-25 2005-10-06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20060040443A (ko) * 2004-11-05 2006-05-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부분방전 측정신호의 잡음 제거 및 정량화 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482B1 (ko) * 2021-11-23 2024-05-29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고압 회전기기의 절연진단을 위한 부분방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04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Optimised Spectral Kurtosis for bearing diagnostics und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KR102037103B1 (ko) 부분 방전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847825B1 (ko) 전력케이블의 부분 방전 측정 시스템
JP5249499B2 (ja) トリガ発生器及びトリガ発生方法
CN107831404B (zh) 基于高频脉冲电流法定位xlpe电缆局放位置的方法及系统
CN109855874B (zh) 一种声音辅助振动微弱信号增强检测的随机共振滤波器
CN103389446B (zh) 电力变压器局部放电电气定位方法
CN105071830B (zh) 一种直扩信号的检测识别方法
US72250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riggers based on predetermined trigger waveform and a measurement signal
KR100977469B1 (ko) 부분방전 신호에 혼합된 인접상 유도 잡음 제거방법
CN107528646B (zh) 一种基于宽带频谱的干扰信号识别及提取方法
CN109596354B (zh) 基于自适应共振频带识别的带通滤波方法
JP6215992B2 (ja) 電力ケーブル絶縁劣化位置推定方法及び推定システム
JP5436477B2 (ja) エンコーダ解析装置
CN105807204A (zh) 基于频谱细化的硬件木马检测方法
JP2007292700A (ja) 静止誘導機器の部分放電位置特定方法
Hua et al. Matching linear Chirplet strategy-based synchroextracting transform and its application to rotating machinery fault diagnosis
KR101579896B1 (ko) 다중 대역 신호를 이용한 케이블 상태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2016206078A (ja) 電磁流量計の空状態判定方法
US6853933B2 (en) Method of identifying spectral impulses for Rj Dj separation
Huang et al. Short-time kurtogram for bearing fault feature extraction under time-varying speed conditions
US7064556B2 (en) Frequency rectification tool for shorter waveforms
JP2012177653A (ja) 音響診断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Elizarov et al. Nonthreshold acoustic emission data registration principles
KR101214444B1 (ko) 고전압 회전기기의 부분방전 측정 장치 및 그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