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275B1 -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275B1
KR100977275B1 KR1020080019176A KR20080019176A KR100977275B1 KR 100977275 B1 KR100977275 B1 KR 100977275B1 KR 1020080019176 A KR1020080019176 A KR 1020080019176A KR 20080019176 A KR20080019176 A KR 20080019176A KR 100977275 B1 KR100977275 B1 KR 10097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eam
formwork
pillar
colum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579A (ko
Inventor
김형근
강지연
강석준
정병석
남순우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공사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에스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공사,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에스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공사
Priority to KR102008001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2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그 사이마다 y형 강판이 접합되는 무거푸집 기둥과,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 및 하부철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봉 부재로 구성되는 데크빔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빔의 하부철판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무거푸집 기둥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무거푸집 기둥이 데크빔을 관통하게 연결함으로써 연결 부위의 일체성을 강화하며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인 성능이 대폭 개선됨에 따라 공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거푸집 기둥, 데크빔, 수직동바리, 수평동바리, 멍에

Description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CONNECTING STRUCTURE FOR FORM-LESS COLUMN AND DECK BEAM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이 연결되는 부위의 일체성을 강화하여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킨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빔은 공장에서 기계화 작업을 통하여 대량 생산함으로써 공사비의 증가 및 공기의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합성보의 일종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빔(30)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31)과, 상기 하부철판(31)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32 ~ 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32 ~ 36)는 하부철판(31)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하현재(32)와, 상기 하현재(32)로부터 상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상현재(33)와, 상기 하현재(32) 및 상현재(33)의 양측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경사재(34)와, 상기 하현재(32)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의 중앙보강재(35)와, 상기 중앙보강재(35)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의 간격재(36)로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데크빔이 연결되는 기둥으로는 강관 속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 기둥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CFT 기둥의 소재인 양질의 강관은 특별한 제작설비를 갖춘 대형 공장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므로 공사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대형 다층 건물에만 적용하거나 대형 다층 건물이더라도 저층부에만 적용하고 고층부에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그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 즉 무거푸집 기둥(form-less column)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CFT 기둥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연결 부위의 일체성을 강화하여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킨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그 사이마다 y형 강판이 접합되 는 무거푸집 기둥과,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 및 하부철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봉 부재로 구성되는 데크빔으로 포함하되, 상기 데크빔의 하부철판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무거푸집 기둥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시공방법은 무거푸집 기둥을 시공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이 관통되도록 데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의 주위에 수직 및 수평동바리를 설치하는 단계, 수직동바리의 상단에 멍에를 설치하여 데크빔을 지지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의 내부 및 데크빔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하부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무거푸집 기둥이 데크빔을 관통하게 연결함으로써 연결 부위의 일체성을 강화하며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이 용이하고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여 현장작업을 감소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는 무거푸집 기둥(100)과,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에 결합되는 데크빔(200)을 포함한다.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은 ㄱ형강(110)이 각 모서리마다 위치되는 사각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ㄱ형강(110)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y형 강판(120)이 용접된다.
상기 ㄱ형강(110)은 일반적인 형강으로 그 중단에는 무거푸집 기둥(100)과 데크빔(2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스의 스터드 볼트(112)가 마련된다. 즉, 상기 데크빔(200)이 연결되는 ㄱ형강(110)의 중단에 스터드 볼트(112)가 마련되고, 데크빔(2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양생되므로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y형 강판(120)은 냉연강판으로, 그 일면에는 L자 형상의 돌기(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기(122)가 형성된 상기 y형 강판(1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반 강판에 비하여 단면계수와 단면2차모멘트가 높다. 이때, 상기 돌기(122)는 콘크리트 충전시 그 하부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만한 곡면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데크빔(200)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210)과, 상기 하부철판(2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22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하부철판(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철판(21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현재(221) 및 하현재(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 기 상현재(221) 및 하현재(222)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철판(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엇갈리도록 접합되는 삼각형상의 경사재(223)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철판(21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중앙보강재(224) 및 간격재(22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크빔(200)의 중앙에는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30)의 상부에는 어떠한 수평부재(220)도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데크빔(200)은 관통공(230)을 통해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에 결합되고, 도 4에 도시된 수직동바리(310)의 상단에 설치된 멍에(330)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데크빔의 시공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데크빔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무거푸집 기둥(100)은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한 뒤 현장으로 옮겨 시공되고,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데크빔(200)의 관통공(230)을 통해 무거푸집 기둥(100)이 관통되도록 데크빔(200)을 설치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의 주위에 수직동바리(310)와 수평동바리(320)를 설치하고 수직동바리(310)의 상단에 멍에(330)를 설치하여 상기 데크빔(200)을 지지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무거푸집 기둥(100)과 데크빔(200)이 연결되면 무거푸집 기둥(100)의 내부와 데크빔(200)의 하부철판(210)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수직동바리(310), 수평동바리(320) 및 멍에(330)를 제거한 후 무거푸집 기둥(100)과 데크빔(200)의 외부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무거푸집 기둥이 데크빔을 관통하게 연결함으로써 연결 부위의 일체성을 강화하며 구조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인 성능이 대폭 개선됨에 따라 공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데크빔의 시공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빔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거푸집 기둥 110: ㄱ형강
120: y형 강판 200: 데크빔
210: 하부철판 220: 수평부재
230: 관통공 310: 수직동바리
320: 수평동바리 330: 멍에

Claims (5)

  1.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그 사이마다 y형 강판이 접합되는 무거푸집 기둥; 및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과, 하부철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데크빔으로 포함하되, 상기 데크빔의 하부철판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무거푸집 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빔이 연결되는 무거푸집 기둥의 중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스터드볼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5. 제 4 항에 따른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시공방법에 있어서,
    무거푸집 기둥을 시공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이 관통되도록 데크빔을 설치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의 주위에 수직 및 수평동바리를 설치하는 단계;
    수직동바리의 상단에 멍에를 설치하여 데크빔을 지지하는 단계;
    무거푸집 기둥의 내부 및 데크빔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하부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20080019176A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77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76A KR100977275B1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76A KR100977275B1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79A KR20090093579A (ko) 2009-09-02
KR100977275B1 true KR100977275B1 (ko) 2010-08-23

Family

ID=4130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76A KR100977275B1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48B1 (ko) * 2015-04-21 2016-09-22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101965791B1 (ko) * 2017-03-20 2019-04-04 (주)센벡스 웨브 연결형 강합성콘크리트 기둥-보 접합 구조
CN110861201B (zh) * 2018-08-27 2021-07-16 润弘精密工程事业股份有限公司 用于制造预铸梁柱结构的定位模具及使用所述定位模具制造预铸梁柱结构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28A (ja) * 1993-12-31 1995-08-01 Jiyuuken Sangyo:Kk 柱と梁の接合方法
KR100631363B1 (ko) 2005-01-28 2006-10-11 이창남 고력 인장볼트로 보강한 y형띠기둥 패널존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28A (ja) * 1993-12-31 1995-08-01 Jiyuuken Sangyo:Kk 柱と梁の接合方法
KR100631363B1 (ko) 2005-01-28 2006-10-11 이창남 고력 인장볼트로 보강한 y형띠기둥 패널존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79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US5588272A (en) Reinforced monolithic concrete wall structure for spanning spaced-apart footings and the like
KR101050956B1 (ko) 철근 선조립 기둥공법
KR20090093561A (ko) 무거푸집 기둥과 tsc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CN109339229B (zh) 一种穿孔浆锚预制装配式钢管混凝土框架结构
KR20180109766A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100977275B1 (ko)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2429153B1 (ko) Pc모듈러 구조물간 접합구조를 갖는 분리형 pc모듈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직 접합구조,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평 접합구조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21946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KR20090093524A (ko) 무거푸집 기둥과 iTECH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그 시공방법
CN112681514A (zh) 一种装配式节点套筒及其安装方法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CN203129322U (zh) 一种砼空腔型装配式房屋
KR101311207B1 (ko)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JP5207078B2 (ja) 制震間柱の施工方法
WO2015051551A1 (zh) 一种建筑物及其施工方法
KR20090093599A (ko) 무거푸집 기둥과 슬림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100456192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
KR20090093585A (ko) 무거푸집 기둥과 mhs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