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60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601B1
KR100976601B1 KR1020030088616A KR20030088616A KR100976601B1 KR 100976601 B1 KR100976601 B1 KR 100976601B1 KR 1020030088616 A KR1020030088616 A KR 1020030088616A KR 20030088616 A KR20030088616 A KR 20030088616A KR 100976601 B1 KR100976601 B1 KR 10097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jection
spam message
spam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408A (ko
Inventor
한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6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33Message receiving aspects
    • H04M3/5335Message type or catagory, e.g. prior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참조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독하여, 스팸 메시지가 아니라 판단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받은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고,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일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거부의사를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팸 메시지(Spam Messag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Spam message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메시지 관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110 : 메시지 수신부
120 : 스팸 메시지 판독부 130 : 정상 메시지 처리부
140 : 스팸 메시지 처리부 141 :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
142 : 거부의사 표시처리부 143 :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
150 : 스팸 메시지 정보 등록부 160 : 거부기능 설정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Spam Message) 관리 기술은 수신된 메시지가 사용자가 등록한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스팸 메시지일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 스팸 메시지 보관함이 가득차면 FIFO(First In First Out)방식으로 가장 오래된 스팸 메시지를 삭제하고, 새로이 수신되는 스팸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스팸 메시지를 저장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는 광고성 메시지 등의 스팸 메시지가 계속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자동으로 저장되게 되어, 사용자가 스팸 메시지 보관함내의 스팸 메시지를 전체 삭제하여 초기화하기 전에는 스팸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점유하게 되어 메모리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 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참조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독하여, 스팸 메시지가 아니라 판단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받은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고,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일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무분별하게 수신되는 각종 광고성 메시지 등의 스팸 메시지를 사용자 편의에 맞게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시지 수신부(110)와,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와, 정상 메시지 처리부(130)와,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11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도면 도시 생략)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사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수신하는 것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는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독한다.
예컨데, 사용자가 수신되는 메시지내에 '광고'와 같은 특정 단어를 가진 메시지일 경우 이를 스팸 메시지로 규정하도록 하는 등의 스팸 메시지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였다면,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는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에 '광고'란 특정 단어가 포함되었는지 검색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한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에 관련된 기술 역시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상 메시지 처리부(130)는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가 아니라 판단된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받은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은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가 아니라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메시지 처리부(130)가 수신한 메시지를 데이타베이스의 받은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는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일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일 경우에는 거부의사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은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를 통해 데이타베이스내에 저장된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한 스팸 메시지가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일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일 경우에는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가 해당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거부의사를 표시한다.
따라서,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가 거부의 사 표시여부 판단부(141)와,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143)를 더 포함하는 구체적인 구성을 가진다.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141)는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141)에 의해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에는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전화번호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한다.
상기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143)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141)에 의해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거부기능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스팸 메시지에 대한 자동거부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로 수신된 스팸 메시지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요청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스팸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140)는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스팸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거부의사를 표시했는지를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141)를 통해 판단하고,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일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일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를 통해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전화번호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한다.
이 때, 상기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143)를 통해 스팸 메시지에 대한 자동거부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로 수신된 스팸 메시지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요청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스팸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하게 수신되는 각종 광고성 메시지 등의 스팸 메시지를 사용자 자동거부 설정에 따라 효과적으로 거부하거나 스팸 메시지 보관함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가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해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142)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해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겠습니다' 등과 같은 기등록된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전송하여 스팸 메시지 거부의사를 표시한다.
만일, 상기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일반 전화번호일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거부하는 통화를 연결하시겠습니까?' 등과 같은 사용자 동의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동의가 있을 경우 해당 일반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여 스팸 메시지 거부의사를 표시하고, 동의가 없을 경우에는 거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지 않는 것과 같은 처리를 통해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이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15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150)는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에 의해 참조될 스팸 메시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여 등록한다.
즉,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은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150)를 통해 수신을 거부할 스팸 메시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다.
예컨데, 메시지 내용중에 특정 단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스팸 메시지로 판단한다고 한다면, 상기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은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150)를 통해 특정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특정 단어로 '광고'를 선택했다면 상기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150)는 수신된 메시지 내용중에 선택된 '광고'를 포함하는 단어가 포함된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로 규정한다는 스팸 메시지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한 스팸 메시지 정보 등록에 관련된 기술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아웃룩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 등에서와 같이,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 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이 거부기능 설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거부기능 설정부(160)는 상기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143)에 의해 참조될 거부기능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데이타베이스에 거부기능 설정정보로 저장한다.
즉, 상기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이 상기 거부기능 설정부(160)를 통해 스팸 메시지에 대한 자동거부 설정기능을 온/오프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이를 거부기능 설정정보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수신된 스팸 메시지에 대한 자동 거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메시지 관리 절차를 알아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메시지 관리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계 S110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100)이 상기 메시지 수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단계 S120 에서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12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
그 후, 단계 S130 에서 스팸 메시지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정상 메시지 처리부(130)를 통해 받은 메시지 보관함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스팸 메시지일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141)를 통해 거부의사를 표시한 스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다음, 단계 S140 에서 거부의사를 표시한 스팸 메시지일 경우에는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스팸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143)를 통해 자동 거부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50 에서 자동 거부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를 통해 해당 스팸 메시지를 발송한 전화번호로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한 거부의사 표시 메시지 전송이나, 직접 전화통화를 통해 거부의사를 표시하고, 자동 거부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스팸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거부의사를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거부의사 표시를 한 스팸 메시지에 대해서 수신을 거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필요한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이 거부의사 표시정보 및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자체의 스팸 메시지 필터링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전송되는 스팸 메시지를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Claims (6)

  1.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스팸 메시지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스팸 메시지인지를 판독하는 스팸 메시지 판독부와;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에 의해 스팸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와,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에 의해 거부의사를 표시한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에는 메시지를 저장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에는 스펨 메시지라 판단된 메시지를 전송한 전화번호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처리하고,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거부의사 표시처리부를 포함하는 스팸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거부의사 표시여부 판단부에 의해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메시지라 판단된 경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거부기능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스팸 메시지에 대한 자동거부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로 수신된 스팸 메시지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도록 요청하고, 자동거부 가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된 스팸 메시지를 스팸 메시지 보관함에 저장하는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부의사 표시처리부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해 스팸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거부의사 표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이:
    상기 스팸 메시지 판독부에 의해 참조될 스팸 메시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여 등록하는 스팸 메시지 정보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이:
    상기 거부기능 설정여부 판단부에 의해 참조될 거부기능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데이타베이스에 거부기능 설정정보로 저장하는 거부기능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KR1020030088616A 2003-12-08 2003-12-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KR10097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616A KR100976601B1 (ko) 2003-12-08 2003-12-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616A KR100976601B1 (ko) 2003-12-08 2003-12-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408A KR20050055408A (ko) 2005-06-13
KR100976601B1 true KR100976601B1 (ko) 2010-08-18

Family

ID=3725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616A KR100976601B1 (ko) 2003-12-08 2003-12-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2135B (zh) * 2011-02-28 2014-12-10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管理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55A (ko) * 2001-03-31 200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40949A (ko) * 2001-11-17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955A (ko) * 2001-03-31 200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40949A (ko) * 2001-11-17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408A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530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viewing short messages on a wireless device
KR100651841B1 (ko) 수신 차단 방법
KR1006635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방법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15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55484A (ko) 수신측 문자메시지 삭제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문자메시지 전송 및 삭제 방법
US20080182601A1 (en) Method of process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JP2012054967A (ja) 移動無線メッセージ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KR1009766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시스템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5000832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팸 메일 차단 방법
EP1406428A1 (en) Message manag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KR100619850B1 (ko) 멀티미디어 메세지 서비스의 광고 메세지 차단 방법
KR100664101B1 (ko)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30020530A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59721A (ko)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66902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551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100508970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일정 설정 방법
KR20000044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JP2004234336A (ja) 端末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100636307B1 (ko) 메시지의 선택적 허용 방법
CA2485791C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viewing short messages on a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