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01B1 -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01B1
KR100664101B1 KR1020030045749A KR20030045749A KR100664101B1 KR 100664101 B1 KR100664101 B1 KR 100664101B1 KR 1020030045749 A KR1020030045749 A KR 1020030045749A KR 20030045749 A KR20030045749 A KR 20030045749A KR 100664101 B1 KR100664101 B1 KR 100664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pam
received
mobile terminal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853A (ko
Inventor
강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발신자 번호로부터 수신되거나 지정된 문구가 포함되는 문자메시지를 구분 관리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기지국과 접속하고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하향변환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하여 메시지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기저대역부와, 상기 기저대역부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스팸 메시지와 수신할 메시지로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고, 스팸함에 기록저장된 스팸 메시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수신할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수신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상기 스팸 메시지를 기록저장하는 스팸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팸함에 기록저장된 스팸 메시지 중 저장이 필요한 메시지를 상기 수신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SPAM MESSAGE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종래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방법 순서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고주파부
120 : 기저대역부 130 : 제어부
140 : 수신함 150 : 스팸함
160 : 표시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수신된 스팸 문자메시지를 분리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원하지 않는 특정 발신자 번호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와 지정된 문구가 포함되는 문자메시지를 구분 관리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즉시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한다는 것과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통신한다는 등의 장점에 의하여, 보급이 확산되고 있으며, 초기의 음성급 신호를 이용한 통신으로부터, 기호와 문자와 부호 등을 통신에 이용하는 데이터급 통신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급 통신을 일반적으로 문자통신 또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라고 하며, 상기 메시지 서비스는,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문자의 크기 또는 숫자에 의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장문메시지 서비스(LMS: LONG MESSAGE SERVICE) 등으로 구분되고, 상기 단문메시지(SMS)의 경우 한글기준 약 80자 이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장문메시지의 경우는 약 200자 이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는 통신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며, 수신자의 수신의사에 관계없이 전송되고, 의사전달을 위한 메시지 내용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며,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에 장기간 보관 저장하여 발신자 의사를 계속 반복 확인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서비스 장점을 역이용하여, 개인 영업을 위한 광고 메시지, 음란성 메시지 등을,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무차별 전송하므로, 상대방에게 혐오감과 시간낭비 등의 불편한 해를 주 는 것을 스팸(SPAM) 문자메시지라고 하며, 상기와 같은 스팸 문자메시지를 별도 관리하거나 차단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관리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되고 등록된 것으로 해당 서비스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즉시 통신하는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스위칭을 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연결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이동교환국(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20)은 일정한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서비스 영역 안에서 다수의 휴대단말기(10)와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기지국(20)이 다수 인접상태로 연결되어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전국을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다수 기지국(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음성급 통신을 비롯하여, 문자와 기호 등을 이용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이동교환국(30)은 기지국(20)을 통하여 인가되는 휴대단말기(10)의 호접속 요청 신호인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고, 스위칭(SWITCHING)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통신경로 연결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통신경로가 설정된 휴대단말기(10)는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거나 데이터급 신호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상기 음성급 통신을 위하여서는 음성급 채널을 실시간 점유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통신비용이 많이 들고, 주변 잡음 등에 의하여 음성신호의 명확한 인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데이터급 신호인 문자메시지는 전송하는 각각의 문자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잡음 대비 인식능력이 좋고,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며,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짧은 문자 메시지로 정확하며 신속하게 의사전달하며 통신비용이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자메시지는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이므로, 별도의 수신함(INBOX)을 할당하여 기록저장하고, 수시로 필요할 때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장치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1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으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복조하며 하향변조하여 기저대역신호로 출력하는 고주파부(40)와; 상기 고주파부(4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기저대역부(50)와; 상기 기저대역부(5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문자메시지를 검출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여 운용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메시지 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수신함(INBOX)(70)과;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8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 상대방이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는, 이동교환국(30)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20)을 통하고 무선으로 전송되어 휴대단말기(10)의 고주파부(40)에서 수신하여 검출되는 동시에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되며, 기저대역부(50)에 의하여 디지털 데이터 신호가 검출되어 제어부(6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60)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해당 분석을 하므로, 문자메시지 신호를 분리 검출하고, 상기와 같이 분리검출된 문자메시지 신호는 수신함(70)에 저장하는 동시에 목록(LIST)을 구성하며, 상기 표시부(80)에 수신된 문자메시지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부(80) 확인에 의하여 선택된 목록의 문자메시지는 상기 수신함(70)으로부터 읽혀져 표시부(80)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함에 기록저장된 문자메시지는, 삭제를 하지 않는 경우, 언제고 필요한 경우에 다시 읽어 해당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문자메시지의 특징은, 디지털 신호로 전송되므로, 신호대잡음비(SNR)가 좋고, 내용이 간단하고 짧으면서도 의사 표현을 정확하며 신속하게 전달하고, 상대방의 수신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즉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수신 검출된 모든 문자메시지 신호를 별도의 여과 없이 수신함에 기록저장하고 목록을 작성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영업 목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원하지 않는 문자메시지의 경우에도 수신함에 기록저장되므로,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낭비하고, 정작 필요한 메시지의 저장을 어렵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모든 문자메시지와 목록을 수신함(INBOX)에 저장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목록을 확인하고, 문자메시지 내용을 표시부에 표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하여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 선택된 목록의 문자메시지 내용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4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것으로, 종래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기지국(20)을 통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고(S10), 수신되는 문자메시지가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별도 할당된 수신함(INBOX)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목록(LIST)을 작성한다(S20).
상기와 같이 수신되어 수신함에 기록저장된 문자메시지 목록 중에서 특정 문자메시지를 선택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S30),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함으로부터 읽어 표시부에 표시한다(S40).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자메시지 관리방법은, 수신된 모든 문자메시지를 무조건 해당 수신함에 기록저장하고, 특히, 불필요한 스팸(SPAM) 문자메시지 까지도 수신함에 저장하므로, 소형화되는 휴대단말기의 한정된 메모리 자원을 낭비하는 동시에, 기록저장할 필요가 있는 문자메시지를 기록저장하지 못하므로, 개인적으로 중요한 기회를 손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발신자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내용 또는 문구가 포함되는 문자메시지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분리 저장하고, 수신할 필요가 있는 정상적인 문자메시지만이 수신함에 기록저장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문자메시지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하향변환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하여 문자메시지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기저대역부와; 상기 기저대역부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스팸 문자메시지와 수신할 문자메시지로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수신할 문자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수신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스팸 문자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스팸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출력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메시지용 스팸 발신번호 또는 스팸 문구를 지정입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스팸 발신번호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인지 또는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스팸 발신번호와 스팸 문구가 아닌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지정된 발신번호이거나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를 스팸함에 저장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스팸 문자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100)의 스팸(SPAM) 문자메시지 관리장치는, 문자메시지 신호를 무선수신하고 기저대역신호(BASE BAND SIGNAL)로 하향변환(DOWN CONVERTING)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110)와;
상기 고주파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문자메시지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기저대역부(120)와;
상기 기저대역부(120)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메시지 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스팸 문자메시지와 수신할 문자메시지로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으로,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발신자번호를 검색하여 스팸 발신자로 지정된 것이면, 해당 문자메시지를 스팸함(150)에 저장하고,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문구를 검색하여 스팸 내용의 문구로 지정된 것이 포함되면, 해당 문자메시지를 스팸함(150)에 저장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분류된 수신 문자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수신함(INBOX)(140)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분류된 스팸 문자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및 분류에 의하여 지정된 스팸 발신자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와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해당 목록과 함께 저장하는 스팸함(150)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문자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엘시디(LCD)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6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가청신호를 이용하고 실시간 접속으로 음성급 통신하는 방식과, 기호 및 문자 등을 이용하고 비실시간 접속으로 데이터급 통신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데이터급 통신을 하는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데이터 신호는, 고주파부(110)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고주파(RF) 신호를 하향변환(DOWN CONVERTING)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부(120)에서 입력하고 복조(DEMODULATION) 처리된 문자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즉,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 번호를 분석하여, 사전 입력된 스팸 발신자번호와 같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와 같은 경우, 해당 문자메시지를 스팸함(15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해당 목록을 작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분석한 문자메시지 내용으로부터 스팸 문구가 검출되면 해당 문자메시지를 스팸함(15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해당 목록을 작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석하고 판단하여,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가 아니며, 내용에서도 스팸(SPAM) 문구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함(INBOX)(14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해당 목록을 작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스팸함(150) 및 수신함(140)에 각각 기록저장된 문자메시지의 목록(LIST)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60)에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팸함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는, 확인하지 않고 삭제하거나, 확인하여 일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휴대단말기에 문자메시지용 스팸 발신번호와 스팸 문구를 지정입력하고,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에 메시지용 스팸 발신번호 또는 스팸 문구를 지정입력하는 제1 과정(S100)과,
상기 제1 과정(S100)의 휴대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2 과정(S110)과,
상기 제2 과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스팸 발신번호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인지 또는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과정(S110)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된 발신자 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로 지정된 것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지정된 스팸 발신자 번호와 같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스팸 발신번호와 스팸 문구가 아닌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함에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제3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스팸 문구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를 수신함(INBOX)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기록저장된 메시지를 검색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에서 확인된 메시지를 삭제할 것인지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제4 과정과,
삭제
상기 제4 과정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6 과정(S170)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지정된 발신번호이거나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를 스팸함에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제3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지정된 스팸 발신자 번호로부터 수신되거나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것이면, 해당 메시지를 스팸함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S180)에서 기록 저장된 메시지를 검색하여 선택된 스팸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S190); 상기 과정(S190)에서 확인되는 스팸 메시지 내용을 삭제할 것인지 아니면 수신함으로 이동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신함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상기 제4 과정(S140)으로 진행하고, 삭제하는 경우는, 상기 제6 과정(S170)으로 진행하여 삭제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지는 제5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문자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는 상대방 또는 스팸 문자메시지를 자주 전송하는 상대방의 발신자 번호를 지정하여 입력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수신되는 스팸 문자메시지에 통상적이고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문구를 선택하여 지정하여 입력하므로, 스팸 문자메시지 관리기준을 설정한다(S100).
상기 과정(S100)에 의한 휴대단말기(100)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10), 상기 판단(S110)에서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발신자 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로 지정 설정한 것과 동일한지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에서 스팸 발신자 번호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문자메시지 인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S130)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지정 설정된 스팸(SPAM) 문구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함(INBOX)(140)에 저장하는 동시에 해당 목록(LIST)을 작성하고(S140), 해당 사용자가 목록 검색과 문자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며(S150), 확인이 완료된 문자메시지를 삭제 할 것인지 또는 저장 할 것인지를 판단하며(S160), 상기 판단(S160)에서 저장하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고, 삭제하는 경우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삭제하고 종료로 진행한다(S170).
또한, 상기 제3 과정에서,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번호가 상기 지정 설정한 스팸 발신자 번호로 판단(S120)되거나, 문자메시지의 내용 중에서 상기 지정 설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S130)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는 스팸 문자메시지로 분류되므로, 별도 할당된 스팸함(150)에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해당 목록을 작성한다(S180).
상기 과정(S180)에 의하여 스팸함(150)에 기록저장된 스팸 문자메시지의 목록을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하고 해당 내용을 확인하며(S190), 상기와 같이 확인을 통하여 삭제를 할 것인지 또는 보관의 필요가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와 같이 스팸 문자메시지로 분류된 것을 다시 확인하는 것은, 정상적이거나 유용한 내용의 문자메시지가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판단(S200)에서 정상적이거나 유용한 내용의 문자메시지이므로 저장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함(140)으로 이동하고 기록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제4 과정(S140)으로 진행하고, 스팸 문자메시지로 판단되어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는 제6 과정(S170)으로 진행하여 해당 스팸 문자메시지를 삭제한다.
또한, 상기 스팸함(150)에 기록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지 않고 모두 삭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스팸(SPAM)으로 분류된 문자메시지를 별도 할당된 스팸함(150)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검색 확인하므로, 수신함(140)에 저장된 정상적인 문자메시지만 확인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팸 문자메시지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무차별적 수신되는 스팸 문자메시지를 필터링하여 별도 보관하므로, 스팸 문자메시지를 자동 차단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스팸 발신자 번호와 스팸 문구를 임의 지정 설정하므로, 스팸 문자메시지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팸 문자메시지를 별도 할당된 스팸함에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내용 확인하여 삭제 및 저장하며,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모두 삭제되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 기지국과 접속하고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하향변환 출력하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복조하여 메시지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기저대역부와,
    상기 기저대역부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여 스팸 메시지와 수신할 메시지로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고, 스팸함에 기록저장된 스팸 메시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수신할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수신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분리된 것으로, 상기 스팸 메시지를 기록저장하는 스팸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팸함에 기록저장된 스팸 메시지 중 저장이 필요한 메시지를 상기 수신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부로 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검출된 발신자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로 지정된 것이면, 해당 메시지를 상기 스팸함에 저장하고,
    상기 스팸 발신자 번호에 포함되지 않는 메시지의 문구를 분석하여 스팸 내용의 문구가 포함된 것이면, 해당 메시지를 상기 스팸함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팸 발신자번호 또는 스팸 문구 정보를 사전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수정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지정된 스팸 발신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와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메시지를 기록 저장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5. 휴대단말기에 메시지용 스팸 발신번호 또는 스팸 문구를 지정입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휴대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스팸 발신번호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인지 또는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스팸 발신번호와 스팸 문구가 아닌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함에 저장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지정된 발신번호이거나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된 메시지이면 해당 메시지를 스팸함에 저장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스팸함에 저장된 메시지 중 저장이 필요한 메시지를 상기 수신함으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6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제2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된 발신자 번호가 스팸 발신자 번호로 지정된 것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지정된 스팸 발신자 번호와 같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지정된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은,
    상기 제3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지정된 스팸 발신자 번호로부터 수신되거나 스팸 문구가 포함되는 것이면, 해당 메시지를 스팸함에 기록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기록 저장된 메시지를 검색하여 선택된 스팸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확인되는 스팸 메시지 내용을 삭제할 것인지 아니면 수신함으로 이동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신함에 이동하는 경우는, 상기 제4 과정으로 진행하고, 삭제하는 경우는, 상기 제6 과정으로 진행하여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함에 저장된 메시지 내용은 확인하지 않고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저장된 메시지를 검색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확인된 메시지를 삭제할 것인지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방법.
KR1020030045749A 2003-07-07 2003-07-07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66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49A KR100664101B1 (ko) 2003-07-07 2003-07-07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49A KR100664101B1 (ko) 2003-07-07 2003-07-07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853A KR20050005853A (ko) 2005-01-15
KR100664101B1 true KR100664101B1 (ko) 2007-01-04

Family

ID=3721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749A KR100664101B1 (ko) 2003-07-07 2003-07-07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23B1 (ko) 2012-04-10 2014-02-05 주식회사 블랙스톤 휴대폰을 이용한 학교폭력 사전감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077B1 (ko) * 2005-05-06 2012-04-19 주식회사 팬택 메시지 삭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 휴대단말기
KR100851404B1 (ko) * 2007-02-14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차단 방법
CN102572745A (zh) * 2010-12-24 2012-07-11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垃圾短消息确定方法及装置
CN113505277A (zh) * 2021-06-23 2021-10-15 杭州天宽科技有限公司 基于安卓平台的垃圾短信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23B1 (ko) 2012-04-10 2014-02-05 주식회사 블랙스톤 휴대폰을 이용한 학교폭력 사전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853A (ko) 200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KR1006635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삭제하는 장치 및방법
KR1006177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EP0763958A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64101B1 (ko) 휴대단말기의 스팸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8630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CN100391284C (zh) 便携终端的对方位置显示装置及方法
KR100724964B1 (ko) 이동통신단말기내 미디어 데이터를 삭제/재전송하는 방법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US80413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82956A (ko) 전화 장치, 원격 통신 시스템, 및 호출자 식별 방법
KR10031231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549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40045164A (ko) 문자메시지 자동분류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556841B1 (ko) 단문메시지 발신자 자동 호출장치 및 방법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1008799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50010370A (ko) 휴대단말기의 수신메시지 폰북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0000105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화번호 제공방법
KR101020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04516B1 (ko) 일기예보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181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