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818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818B1
KR100971818B1 KR1020030031275A KR20030031275A KR100971818B1 KR 100971818 B1 KR100971818 B1 KR 100971818B1 KR 1020030031275 A KR1020030031275 A KR 1020030031275A KR 20030031275 A KR20030031275 A KR 20030031275A KR 100971818 B1 KR100971818 B1 KR 10097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gistered
min2
receiving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942A (ko
Inventor
김용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8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로 호신호를 발신하기 전에 그 단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통화를 할 때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호신호가 송신되고, 그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을 알기까지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도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고, 시간이 쓸데없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송신하면 기지국에서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리스트의 단말기가 HLR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여 호신호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저장된 결과 데이터를 통해 수신측의 단말기의 MIN2값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그 MIN2값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호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도를 거치지 않고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때문에 쓸데없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ST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홈 위치 레지스터(HL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로 호신호를 발신하기 전에 그 단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면 그 단말기에서 발신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등록(registration)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때, 등록 절차를 거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는 MIN2(Mobile Identification Number) 값을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기 교환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 MSC)와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 HLR)에 등록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그 오프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 오프에 대한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단말기에 대한 오프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MSC와 HLR에 등록된 단말기의 MIN2 값이 삭제된다.
따라서, HLR에 단말기의 MIN2 값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단말기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어있는지 알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발신을 하게 되면, 기지국에서 송신측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에 포함된 수신측 단말기의 MIN2 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수신측 단말기의 MIN2 값이 HLR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수신측 단말기와 송신측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한다.
반면, HLR에 수신측 단말기의 MIN2 값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즉,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송신측 단말기로 기 설정된 문구, 예를 들어, "고객님의 단말기 전원이 꺼져있어 음성사서함으로 연결합니다."와 같은 문구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음성사서함에 진입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종료버튼 을 눌러 연결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통화를 할 때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호신호가 송신되고, 그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을 알기까지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도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고, 시간이 쓸데없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송신하면 기지국에서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리스트의 단말기가 HLR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여 호신호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저장된 결과 데이터를 통해 수신측의 단말기의 MIN2값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그 MIN2값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호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도를 거치지 않고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때문에 쓸데없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MIN2 list)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 단 말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신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 결과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 전화번호에 대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때 그 수신측 단말기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측 단말기가 오프 상태이면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된 전화번호 리스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은 그 수신된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각 전화번호(MIN2)가 홈 위치 레지스터(HLR)에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을 통해 수신된 전화번호 리스트와 그 전화번호 각각에 대한 등록 여부 데이터가 포함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온된 단말기의 전화번호(MIN2)를 저장하고 있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30)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이하, MIN2 list)를 송신하고, 그 MIN2 list가 상기 HLR(30)에 등록되어 있는지에 대한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 전화번호의 등록여부에 대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에서 송신한 MIN2 list를 수신하여 상기 HLR(30)에 저장된 MIN2 값들과 비교하고, 그 MIN2 list의 등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로 송신하는 기지국(20)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 MIN2 list에 대한 송신은 기 설정된 메뉴 선택 또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에 상태 설정 메뉴(Status Setting Menu)를 구성하고, 그 메뉴를 통해 기지국으로 MIN2 list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시간 간격도 설정할 수 있도록 시간 설정 항목을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메뉴 구성없이 사업자에 의해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단말기(10)에 저장된 MIN2 list를 송신하고, 그 결과 데이터의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또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은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은 단말기 서비스 신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단말기에 상태 설정 메뉴가 구성되어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그럼, 이러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MIN2 list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MIN2 list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20)에 서 단말기(10)에서 송신한 상기 MIN2 list를 수신하고, 그 MIN2 list에 포함된 MIN2 값들이 HLR(30)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등록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MIN2 list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MIN2 값에 대해 HLR(30) 등록 여부에 대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플래그 값이 설정된 후 MIN2 list에 포함된 단말기로 통화가 시도되면, 그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측 단말기가 오프되어 있으면 발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 또는 음성을 출력하고, 수신측 단말기로 발신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단말기(10)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MIN2 list에 대한 전원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기 구성된 메뉴, 예를 들어, "상태 설정 메뉴"로 진입하고, 그 메뉴에 구성된 소정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지국(20)으로 상태 정보 요청을 한다. 또한, 상기 메뉴에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구성하여 그 설정 시간 간격으로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 MIN2 list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 MIN2 list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20)은 상기 MIN2 list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리스트에 포함된 MIN2 값들과 HLR(30)에 등록된 MIN2 값들을 비교하고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이 때, 단말기(10)로 송신되는 결과 데이터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MIN2 list와 그에 대한 등록 여부 데이터가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 MIN2 list에 대한 단말기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은 단말기(10)에서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MIN2 list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 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MIN2 값에 대한 상태 정보 플래그 값을 설정한다. 예컨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MIN2)의 단말기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면, 즉, HLR(3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MIN2 값의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 전원이 온된 상태, 즉 HLR(30)에 등록되어 있으면 그 MIN2 값의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플래그 값은 전화번호부 테이블의 기 할당된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에 단말기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하고, 그 영역에 그 단말기의 전화번호(MIN2)에 대한 수신된 결과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MIN2 값이 HLR(3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플래그 값이 '1',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플래그 값이 '0'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 MIN2 값에 대한 플래그 값이 설정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MIN2)로 통화를 시도하면, 발신하기 전에 그 통화 시도된 단말기, 즉 수신측 단말기가 HLR(30)에 등록되어있는지를 먼저 체크한다. 즉, 수신 측 단말기 전화번호에 대한 플래그 값을 이용하여 HLR(30)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HLR(30)에 등록되어 있으면, 즉, 그 수신측 전화번호의 플래그 값이 '1'이면, 그 수신측 단말기로 발신을 시도하여 통화 시도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하고, 기지국(20)에서 그 데이터에 포함된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그 수신측 단말기로 통화를 연결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수신측 단말기가 HLR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즉, 수신측 전화번호의 플래그 값이 '0'이면, 그 수신측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지 않고, 기 설정된 문구, 예를 들어,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문구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통화를 시도할 것인가에 대한 소정의 문구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 선택을 유도한다. 즉, 수신측 단말기가 HLR(30)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도 통화를 시도하여 음성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기거나 종료 버튼을 입력하여 통화를 시도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송신하면 기지국에서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 리스트의 단말기가 HLR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 고,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여 호신호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저장된 결과 데이터를 통해 수신측의 단말기의 MIN2값 등록여부를 판단하여 그 MIN2값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호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도를 거치지 않고 수신측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때문에 쓸데없이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그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신한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에 포함된 각 단말기 전화번호의 홈 위치 레지스터 등록 여부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 결과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의 각 단말기 전화번호에 대한 플래그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단말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때 그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플래그 값을 확인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측 단말기가 오프 상태이면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전화번호 리스트(MIN2 list)에 대한 단말기 온/오프 상태 정보 요청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오프 상태일 때 출력하는 소정의 데이터는 기 설정된 소정의 문구이거나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오프 상태일 때 기 설정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수신측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KR1020030031275A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KR10097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75A KR100971818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75A KR100971818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42A KR20040098942A (ko) 2004-11-26
KR100971818B1 true KR100971818B1 (ko) 2010-07-22

Family

ID=3737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275A KR100971818B1 (ko) 2003-05-16 2003-05-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8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80A (ko) * 2001-06-13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상태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80A (ko) * 2001-06-13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상태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42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69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warning a user of a low-voltage state of the same
US60320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and retrieval of voicemai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94509B2 (en)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KR980007169A (ko) 전자메일시스템, 컴퓨터 및 착신통지방법
US2003002758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EP1231798A2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45552A1 (en) Telephone apparatus having e-mail transmitting function
KR1003656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JPH05327762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KR10097181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검출 방법
KR10034620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호 연결 방법
US7177629B1 (en) Annuncia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annunciating message termination at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9742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508970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일정 설정 방법
KR100312219B1 (ko) 지에스엠단말기에서발신자를확인하는방법
KR1006187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호출 방법
KR20020021835A (ko)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020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JP2002344578A (ja) 移動無線端末
JP2004120243A (ja) 移動通信端末とその制御回路及び着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40092294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one-touch call operation using a wireless mobile terminal
JPH09261145A (ja) 携帯端末を用いた緊急信号通信方法及び緊急信号通信システム
KR2006006887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모드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64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과금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