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445B1 -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445B1
KR100976445B1 KR1020090027735A KR20090027735A KR100976445B1 KR 100976445 B1 KR100976445 B1 KR 100976445B1 KR 1020090027735 A KR1020090027735 A KR 1020090027735A KR 20090027735 A KR20090027735 A KR 20090027735A KR 100976445 B1 KR100976445 B1 KR 100976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nutrient composition
bioactive
plant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교
방승준
Original Assignee
신림산업 주식회사
정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7597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64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림산업 주식회사, 정용교 filed Critical 신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to enhance the stick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2Acetobac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65Azotobac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수간주사 또는 뿌리주사 등의 방법에 의해 식물 내에 주입되어 임해지역, 건조지역, 한랭지역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하여 생태복원이 어려운 지역에 식재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생장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목에 공급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과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추출물; 내염성 식물 추출물; 무기양분; 및 생장조절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뿌리단근, 가지치기 등과 같은 수목의 자체환경 또는 염해지 및 유해물질의 존재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하여 쇠약해진 수목에 대하여 생리활성을 촉진 및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간 및 엽면으로 흡수되어 신속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목 영양제, 내생균 미생물, 미생물 추출물, 염해지, 토코페롤, 무기양분, 생장조절물질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using micro organisms for trees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에 수간주사 또는 뿌리주사 등의 방법에 의해 식물내에 주입되어 임해지역, 건조지역, 한랭지역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하여 생태복원이 어려운 지역에 식재된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생장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목에 공급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과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염분에 노출되면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칼륨이온(K+)과 칼슘이온(Ca2+)의 이동이 저해되고, 아포플라스트에서 고농도의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은 이온의 역학적 균형을 바꾸게 되어 과삼투압과 이온의 불균형 및 독소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식물의 삼투압 조절은 식물세포의 염 스트레스와 수분 부족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켜준다는 점에서 중요하 게 여겨지는 것이다. 또한, 생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광합성에 관련된 세포에 해가 발생하면 잎에서 가스의 교환율이 감소하고, 이 때문에 탄소합성이 저해되는 결과가 나타나 수세약화가 가속된다.
이처럼 염에서 비롯된 피해는 삼투압 및 산화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흡수할 수 있는 양분의 불균형에 의한 것이 많다. 특히, 나트륨함량이 크게 증가되어 칼륨 또는 칼슘의 함량 비율이 감소되어 양분의 균형이 불균일해진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가를 매립 조성하는 염류토양이나 해안사방 등의 목적으로 수목이 식재되고 있으며, 도심지에서도 고속도로변이나 도로가의 제빙염의 사용으로 식재된 수목이 염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 최근 토양오염지역을 생태복원하기 위하여 식물식재에 의한 파이토레미데이션(Phytoremedation)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가장 문제되는 것은 심각한 오염지역에서 수목의 생육이 급격히 불량해지거나 고사한다는 것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근수목 이식방법의 경우 수목의 환경에 대한 적응기간이 짧고, 양분 및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뿌리의 기능이 약화되어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이식 초기에 내성을 증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해지역, 건조지역, 한랭지역 등의 열악한 환경에 식재된 수목에 공급하여 식재된 수목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식재된 수목에 공급하기 위한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생균 미생물로부터 추출되며 식물생장을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추출물;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내염성 식물 추출물; 질산칼륨, 황산마그네슘, 질산칼슘, 제1인산칼륨, 염화제2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양분; 및 키네틴, 피리독신, 티아민, 니아신, 인돌부티르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장조절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 추출물, 내염성 식물 추출물, 무기양분 및 생장조절물질은 식물 내에 직접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생균 미생물은 메틸로박테리움 종(Methylobacterium sp.), 바실러스 종(Bacillus sp.), 아조토박터 종(Azotobactor sp.), 아세토박터 종(Acetobacter sp.),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 스트렙토마이시스 종(Streptomyces sp.), 또는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다.
또한, 상기 내염성 식물 추출물은 프롤린, 글리신 베타인, 발린, 알라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비타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메틸로박테리움 종(Methylobacterium sp.), 바실러스 종(Bacillus sp.), 아조토박터 종(Azotobactor sp.), 아세토박터 종(Acetobacter sp.),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 스트렙토마이시스 종(Streptomyces sp.), 또는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내생균 미생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타민은 토코페롤 또는 콜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벤토나이트, 탈크, 카올린, 다이아라이트, 칼슘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붕해제와 증점제 및 유기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왕겨, 락토즈(Lactose), 글루코스(Glucose), 셀룰로즈(Cellulose)를 더 포함하여 제형화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수목의 뿌리 또는 생장점 부위에 도포되거나 수간주사, 뿌리주사, 엽면시비, 토양관주, 토양관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뿌리단근, 가지치기 등과 같은 수목의 자체환경 또는 염해지 및 유해물질의 존재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하여 쇠약해진 수목에 대하여 생리활성을 촉진 및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간 및 엽면으로 흡수되어 신속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내생균 미생물, 미생물 추출물, 내염성 식물 추출물, 무기양분, 생장조절물질을 포함한다.
내생균 미생물은 식물 조직 내에 내생하거나, 식물과 공생관계에 있는 미생물일 수 있다. 이러한 내생균 미생물은 메틸로박테리움 종(Methylobacterium sp.), 바실러스 종(Bacillus sp.), 아조토박터 종(Azotobactor sp.), 아세토박터 종(Acetobacter sp.),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 스트렙토마이시스 종(Streptomyces sp.), 또는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메틸로박테리움 종은 매우 기능적인 메탄올자화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분홍색 착색성 메틸로박테리움 속의 일종이다. 메틸로박테리움 종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로서 탄소화합물뿐만 아니라 메탄올과 메틸아민에서도 생장할 수 있으며, 토양뿐만 아니라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 등의 기관에 분포하고 있다. 또한, 메틸박테리움 종은 식물의 기공에서 방출되는 메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틸로박테리움 종은 식물에서 생성되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식생성장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생성함으로써 식물과 공생관계를 이룬다. 더 상세하게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거나 식물호르몬 생산과 관련하여 식물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하며, 특히 시토키닌과 제아틴을 생산하여 방출하고, 인돌 아세트산(IAA) 류의 식물호르몬, 시토키닌, 에틸렌의 생성을 조절하는 ACC 디아미나제를 생산한다.
또한, 메틸로박테리움 종은 식물 내에서 독성 유기 화학물질과 독성 폭발성 물질을 대사시키며, 식물이 카드뮴, 크롬, 수은 및 납과 같은 높은 농도의 중금속에 내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실러스 종은 식물조직 내에 내생하면서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식물이 강한 항균력을 갖도록 한다. 일례로 식물조직 내에 내생하는 바실러스 중 CY22 는 여러 식물에 기생하여 고사시키는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및 피티움 울티멈(Phythium ultimum)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은 바실러스 속 균주들은 이투린(iturin), 펜기신(fengycin), 미코서브튤린(mycosubtulin)과 같은 항균물질을 분 비한다.
식물 내생균 중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은 식물에 필요한 비타민류의 화합물을 생산하고, 토양과 혼합처리 할 경우 식물의 생장 증진 및 환경적응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미생물 추출물은 상기 열거한 내생균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양된 내생균 미생물을 원심분리하여 식물생장에 유효한 물질들을 분리시킨 후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배양된 내생균 미생물을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식물 생장에 유효한 성분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성분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생물 추출물은 식물의 생리활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효 성분들을 추출한 것이기 때문에 내생균 미생물을 직접 사용할 경우에 비해 의욕하고자 하는 효과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생물 추출물은 보관이 용이하고, 유효기간에 대한 확인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내염성 식물 추출물은 프롤린(prol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베타인(betaine), 발린(valine), 알라닌(alanine)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염성 식물 추출물은 식물에 축적되어 식물의 내염성, 내건조성, 내냉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프롤린은 식물이 고염 스트레스나 건조 스트레스 등의 수분 스트레스(물을 흡수하기 어려운 상태)를 받을 때, 식물의 세포질 내에 축적되는데, 축적된 프롤린 은 식물 세포질의 삼투압조절이나 스트레스에 의한 기능성 단백질의 변성(degradation)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베타인은 하나의 분자 중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동시에 갖는 양극성의 화합물을 말한다. 베타인의 종류에는 글리신베타인, 아미노낙산베타인, 아미노산 베타인 등이 있으며, 이러한 베타인은 삼투압조절, 엽록소유지 및 사이토키닌(식물성장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한다.
한편, 고농도의 염분과 같은 환경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생체학적 시스템은 유기체의 삼투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롤린, 베타인, 발린, 글리신, 알라닌 등의 물질들을 합성하기도 하고, 외부에서 흡수하기도 하면서 환경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내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물질은 환경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세포내에 축적되어 효소의 작용 교란, 단백질 구조변성, 수분부족 등에 의한 탈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염해지의 개척식물인 퉁퉁마디(Saliconia herbacea L)는 염분 농도가 높은 갯벌이나 염전 등의 환경에서 생육하며 염분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하여 베타인(betaine)이나, 프롤린(proline) 등과 같은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무기양분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무기물질의 양분으로서 질산칼륨(KNO3), 황산마그네슘(MgSO4), 질산칼슘(Ca(NO3)2), 제1인산칼륨(KH2PO4), 염화제2철(FeCl3·6H2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첨가될 수 있다.
생장조절물질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키네 틴(kinetin), 피리독신(pyridoxine), 티아민(thiamine), 니아신(niacin), 인돌부티르산(IBA)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혼합되어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식물체 내에서 효소의 반응에 필수적인 비타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타민은 비타민 A, B, E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E인 토코페롤이 포함되는 것이 가장 좋은데, 토코페롤은 식물의 광산화 과정에서 엽록체 막을 보호하고, 광합성기작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 B로서는 콜린(choline)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콜린은 식물의 세포조직을 형성 및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제형화하기 위한 부형제(diluent)로서 왕겨, 락토즈(Lactose), 글루코스(Glucose), 셀룰로즈(Cellul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를 혼합하면 액상의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주성분을 분의(粉衣)처리 또는 토양 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형화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제재는 107~9 cfu/g 이상의 고농도로 생산하는데, 액상의 미생물제재를 보관할 경우 유통기한을 3개월 이상 보증하기 어려우며, 미생물의 보관방법에 따라 활성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생물제재를 입상으로 제형화하면 액상일때의 경우에 비해 활성 보증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에 상기 열거한 왕겨, 락토즈(Lactose), 글루코스(Glucose), 셀룰로즈(Cellulose)를 제형화제로 첨가하고 동결 건조하여 입상화 한 후, 사용시 용해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에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를 요약하였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1
상기 [표 1]에서 참조1은 무기양분의 배합비로서 하기 [표 2]와 같고, 참조2는 생장조절제의 배합비로서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2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3
상기 [표 1]과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함량에 따라 각각의 물질을 계량 및 혼합하여 A~G와 같은 7종의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중 E~F에는 벤토나이트(325#)가 함유되는데 벤토나이트는 식물 영양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백 종의 영양(Minerals)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 및 양이온 교환능력(CEC : Cation Exchangeable Capacity)이 높아 친환경 농자재로 적합하다.
한편,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수목의 뿌리에 도포하여 식물에 투여할 경우에는 벤토나이트를 비롯한 탈크, 카올린, 다이아라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등의 붕해제와, 카복시 메틸셀룰로즈(CMC : carboxymethyl cellulose) 등의 증점제, 폴리비닐알코올(PVA : Poly Vinyl Alcohol) 등의 유기접착제를 첨가하여 수목의 뿌리 또는 생장점에 용이하게 도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식물에 공급하여 하기의 실험예와 같이 다양한 식물의 생육효과를 시험하였다.
[실험예 1]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가 단근(뿌리가 절단된)수목의 이식 후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임해매립지의 식재기반 조성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소재 준설토 매립지반에서 2008년 6월에 조성하였으며, 수목식재 후 수목생육평가 는 잎의 변색이 발생하기 전 9월 중순과 월동 후 생육이 왕성해지는 다음해 5월 2번에 걸쳐 실시하였다. 식생지반은 지반 처리를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인산퇴비 1종을 선정하여 근권부 토양과 20vol% 혼합 개량한 후 지반을 조성하였고, 임해매립지용 토양개량제 1종[품명 : 바이오매직소일]을 선정하여 수목의 근권부 토양과 7 대 3 비율로 혼합 한 후 느티나무, 해송, 이팝나무, 마가목, 이팝나무를 식재하였다. 수목식재가 완료된 후 수간(나무줄기) 지상부 15cm 부위에 3~4mm 구멍을 뚫은 후 조제된 액상 영양제를 주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준설토 토양의 특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4
준설토는 pH는 8.1, EC(염류농도)는 3.75mS/cm(dS/m), 유기물함량이 0.9%, 전질소함량이 0.01%, 유효인산이 7.2mg/kg인 토양으로 pH, EC 및 Na(나트륨) 함량이 식물생육하기에 높게 나타났고, 유기물함량이 부족하였다. 또한 나트륨(Na) 염에 의하여 pH와 EC가 증가하였다.
이식한 나무가 제대로 활착했는지를 판단하는 데에는 미국에서 개발한 샤이고메타(Shigometer)를 이용하였다. 샤이고메타는 형성층의 수분 함량을 전기전도도로 바꾸어 측정함으로서 형성층의 세포가 살아 있는 정도(수목활력도)를 감별해 내는 기계이며, 나무청진기라고도 불린다. 건강한 나무일수록 형성층의 수분 함량이 높아서 전기를 많이 전도시키는 반면, 활착이 안 된 나무일수록 형성층의 수분 함량이 낮아서 전기를 전도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건강한 나무는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즉 건강한 나무는 여름철에 10이하의 수치를 보이며, 불량한 나무는 20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죽은 나무는 50이상의 수치를 보인다. 본 실험에서는 이 기계를 이용해서 수목의 형성층의 활력도를 측정했다.
[표 5]는 상기 토양에 수목들을 이식하고 3개월 경과한 후의 1차 수목활력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5
1 : 대조구는 다른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건강한 수목에서 측정한 결과임.
2 : 수목활력도는 전기저항치(kΩ)로 표시되며, 측정수치가 낮을수록 건강한 수목임.
한편, 상기 표에서 구분된 1~5의 시험구에 대한 처리내역은 다음과 같다.
1. 무처리
2. 제조 A액 10mL 수간주입한 시험구
3. 제조 B액 10mL 수간주입한 시험구
4. 제조 C액 10mL 수간주입한 시험구
5. 제조 D액 10mL 수간주입한 시험구
식재된 수종은 해송, 소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마가목의 5개 수종이었는데, 6월에 이식 한 후 3개월 경과 후의 활력도를 측정하였다. 위의 5개 수종을 대상으로 해서 임해 매립지 주변과 서울대학교 교정에서 건강하게 자라는 개체를 선정하여 비교한 수치가 표에 함께 표시되어 있다. 즉 비교로 조사한 다른 지역의 건강한 나무들의 평균치는 11.5㏀이었다. 즉 본 실험에서 조사된 나무들의 건강은 약간 나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수종별로 보면, 해송의 건강은 나쁜 반면에 소나무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였다. 느티나무와 이팝나무도 정상적은 아니었으나, 활착이 어느 정도 잘 된 상태였다. 마가목의 건강은 약간 나쁜 상태였다.
형성층의 건강도를 기초로 활착 상태가 좋지 않아서 시험구간 차이는 작았다.
[표 6]은 [표 5]의 수종들의 이식 후 12개월이 경과하여 2차 수목활력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6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수종에서 전기저항치의 값은 대조구, 즉 건전한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수종의 값이 낮게 나타났다. 각 시험구의 식재 수종의 수목활력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불량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처리별로 수목활력도의 차이가 있었다. 특히 마가목과 해송의 활력이 낮게 나타났다.
느티나무 수목활력도 측정결과, 1 시험구 > 2 시험구> 3 시험구 > 4 시험구 > 5 시험구 순으로 전기저항치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해송, 마가목, 이팝나무, 소나무 등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메틸로박테리움 종을 포함하는 제조실시예 B와 C를 수간주입한 처리구 3, 4에서 수목의 전기저항치 값이 낮아진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가 단근(뿌리가 절단된) 수목의 이식 후 뿌리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처리내역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이식 수목의 뿌리활력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준설토 지반에서 수목을 1년 2개월간 생육시킨 후 뿌리를 굴취하여 뿌리의 활력도를 조사하였다. 뿌리의 활력도 조사에서는 뿌리활력이 뿌리 내 살아있는 세포의 숫자에 비례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살아있는 세포내에 있는 호흡에 관련하는 효소를 검증하는 것으로 종자내의 산화효소 중의 한가지인 디히드로게나아제(Dehydrogenase) 효소가 2, 3, 4,-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를 붉은색의 triphenyl- formazan(TPF)로 바꾸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뿌리시료는 생중량 측정 후 활성이 높은 수근 또는 백근을 채취하여 냉장보관 한 후 2㎝ 길이로 절단하여 37℃에서 4시간동안 TTC 용액과 반응시킨 후 붉게 염색된 뿌리조직을 파쇄기로파쇄하여 추출한 후 상기 추출액을 비색계(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 470nm에서 측정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뿌리의 활력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7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 수목의 뿌리활력도에 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8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주입한 2~5시험구에서 뿌리활력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메틸로박테리움을 포함하는 제조실시예 B와 C를 주입한 3, 4 시험구와 내염성 식물 추출물을 고르게 함유하고 있는 제조실시예 D를 주입한 5 시험구에서 뿌리활력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가 단근(뿌리가 절단된)수목의 이식 후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처리내역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수목의 엽록소함량을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Chlorophyll meter[SPAD-502 :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상 수종은 가능한 활엽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엽록소함량의 측정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09
엽록소함량을 측정한 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수간 주입한 수목에서 엽록소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예 4]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가 단근(뿌리가 절단된)수목의 이식 후 나트륨함량에 미치는 영향
식물이 염분에 노출되었을 때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칼륨이온(K+)과 칼슘이온(Ca2+)의 이동이 저해된다. 아포플라스트(Apoplast)에서 고온도의 나트륨이온(Na+)과 염소이온(Cl-)은 이온의 역학적 균형을 바꾸게 되어 과삼투압과 이온의 불균형 및 독소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수목에서 고농도 염분에 대한 내성은 나트륨의 과다유입을 차단하는 기작을 가진다. 따라서 수목의 스트레스를 평가하기 위하여 성숙한 잎의 나트륨함량을 측정하였다.
처리내역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나트륨함량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준설토 지반에 식재된 수목의 성숙한 잎을 채취하여 나트륨 이온의 축적량을 평가하였다. 식물체의 엽분석방법은 약 0.5g 의 건조된 잎을 켈달 분해관에 넣고 과염소산 10㎖와 황산 1㎖ 를 넣은 후 310~400℃에서 시료액의 색상이 투명해 질 때까지 분해시킨 후 100㎖로 정량화한 후 ICP를 이용하여 Na함량을 측정하고,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계산한 성숙한 잎의 나트륨 함량에 대한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성분량(㎎/㎏) = ICP 측정치(㎍/㎖) × 희석액량(100㎖) ÷ 엽무게(g)
Figure 112009019512685-pat00010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주입한 2~5 시험구에서 나트륨의 함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화분시험
[실험예 5]에서는 조경수로 주로 식재되는 수종을 위주로 하여 염분 스트레스 환경에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온실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토양은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부속농장 부지내의 토양을 사용하였으며, 보수성은 다소 양호하나 투수성과 ,유기물함량, 질소함량 등이 불량한 산 흙을 사용하였다. 실험기간은 비닐온실에서 2008년 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조경수종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 Zucc),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L. et P),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owicz),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를 각각 사용하였다. 묘목은 뿌리가 절단되어 근분이 형성된 것인데, 2년생으로 수고가 30~50cm 가량 되었으며, 식재 시에 지상부를 50cm 높이에서 절단하여 균일한 크기로 조제하였다.
시험묘목은 일반 포장에서 1개월가량 활착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분시험용 화분에 식재하여 약 2개월가량 관리하여 생육을 활성화시켰다. 시험에 사용된 플라스틱 화분은 아래의 직경이 13.5, 위의 직경이 24cm, 높이가 27cm되는 포트(용량 약 20ℓ)와 아래의 직경이 7.0, 위의 직경이 20cm, 높이가 20cm인 화분(용량 약 15ℓ)을 사용하였는데, 근권부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염분(NaCl)의 농도는 동일하게 1%(10g/ℓ) 농도로 바닥면에서 5㎝ 채웠으며, 3일에 한 번씩 손실된 용액을 보충해 주었다.
각 수종에 대한 처리내역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무처리
2. 제조예 F를 500 배 희석하여 근권부(토양부피의 30%)에 살수
3. 제조예 F를 500 배 희석하여 엽면시비
4. 제조예 F를 20 배 희석하여 뿌리분에 도포
생육측정은 엽록소함량, 수목활력도, 뿌리활력도, 나트륨함량을 측정하였는데, 엽록소함량은 Chlorophyll meter[SPAD-502 ;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간이 측정하였고, 수목활력도는 샤이고메타(Shigometer)[MODEL OZ-93]을 이용하여 형성층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또한, 수목을 1년 2개월간 생육시킨 후 뿌리를 굴취하여 뿌리의 활력도를 조사하였다.
[엽록소 함량]
시험구별 엽록소 함량의 측정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팝나무, 산수유 활엽수의 엽록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시험구 4의 엽록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시험구 2, 시험구3, 시험구 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수종 시험구에서 엽록소함량의 순차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동일 토양 처리시험구에서 수종별 엽록소함량은 이팝나무, 산수유 순이었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11
[뿌리활력도]
뿌리활력도는 근권부에서 백근(흰색뿌리)만을 채취하여 측정하는 것이므로 수종의 뿌리발근 특성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있다.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구별로 뿌리활력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수종에서 4 시험구, 2시험구, 3 시험구, 1시험구 순으로 뿌리활력도가 높게 나타났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12
[수목활력도]
하기 [표 12]는 상기 각 실험구에 대한 수목활력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13
1 : 대조구는 다른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건강한 수목에서 측정한 결과임.
2 : 수목활력도는 전기저항치(kΩ)로 표시되며, 측정수치가 낮을수록 건강한 수목임.
상기 평균 저항치 값을 통해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생육효과를 검토해보면, 4 시험구의 전기저항치가 16.1 ㏀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이 3, 2, 1 시험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비교로 조사한 다른 지역의 건강한 나무들의 평균치는 10.6㏀이었으며, 본 실험에서 조사된 나무들의 건강상태는 건강하게 자란 개체에 비하여 불량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종별로 전기저항치를 비교해보면, 산수유나무가 가장 낮은 전기저항치를 나타내었고, 전나무, 잣나무, 이팝나무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기저항치는 수종별로 평균값이 다르기 때문에 전기저항치를 이용한 수종의 생육판정은 대조구(건강한 개체)와의 수치차이를 통해 평가해야만 한다.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처리한 시험구 중 가장 생육이 우수한 4 시험구의 전기저항치를 대조구와 비교해보면, 각 저항치의 차는 산수유나무가 6.4㏀, 잣나무가 6.4㏀, 전나무는 5.4㏀, 이팝나무는 3.9㏀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팝나무 > 전나무 > 잣나무, 산수유나무 순으로 저항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나트륨함량]
식물체의 엽 성분은 토양환경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므로 잎에 축적된 나트륨(Na)함량 비교를 통해 나트륨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이에 대한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3]과 같다.
Figure 112009019512685-pat00014
엽분석을 통해 식물체내에 축적된 나트륨(Na)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처리구별로 전체 수종에서 1, 3, 2, 4의 시험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토양내에서 수목으로 나트륨의 이동량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험예 5]를 살펴볼 때,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과는 제조예 F를 20 배 희석하여 뿌리분에 도포한 4 시험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1 시험구에 대해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제조실시예 F)를 근권부에 살수한 2 시험구 및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제조실시예 F)을 엽면시비한 3 시험구가 염해환경에서 더욱 잘 생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구의 모식도이다.

Claims (9)

  1. 내생균 미생물로부터 추출되며 식물생장을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추출물;
    프롤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고 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내염성 식물 추출물;
    질산칼륨, 황산마그네슘, 질산칼슘, 제1인산칼륨, 염화제2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양분;
    니아신, 피리독신 및 티아민을 포함하고 키네틴 또는 인돌부티르산을 더 포함하는 생장조절물질; 및
    토코페롤 또는 콜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타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생균 미생물은 메틸로박테리움 종(Methylobacterium sp.), 바실러스 종(Bacillus sp.), 아조토박터 종(Azotobactor sp.), 아세토박터 종(Acetobacter sp.),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 스트렙토마이시스 종(Streptomyces sp.), 또는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염성 식물 추출물은
    글리신, 발린, 또는 알라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메틸로박테리움 종(Methylobacterium sp.), 바실러스 종(Bacillus sp.), 아조토박터 종(Azotobactor sp.), 아세토박터 종(Acetobacter sp.), 아조스피릴리움 종(Azospirillum sp.), 스트렙토마이시스 종(Streptomyces sp.), 또는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내생균 미생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벤토나이트, 탈크, 카올린, 다이아라이트, 및 칼슘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붕해제와, 증점제, 및 유기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은 왕겨, 락토즈(Lactose), 글루코스(Glucose), 및 셀룰로즈(Cellulose)를 더 포함하여 제형화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을
    수목의 뿌리 또는 생장점 부위에 도포하거나 수간주사, 뿌리주사, 엽면시비, 토양관주, 또는 토양관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20090027735A 2009-03-31 2009-03-31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976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735A KR100976445B1 (ko) 2009-03-31 2009-03-31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735A KR100976445B1 (ko) 2009-03-31 2009-03-31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445B1 true KR100976445B1 (ko) 2010-08-17

Family

ID=4275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735A KR100976445B1 (ko) 2009-03-31 2009-03-31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4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9599A (zh) * 2011-04-15 2011-10-19 广东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一种可降低蔬菜硝酸盐含量的组合物
KR20190093179A (ko) 2019-04-25 2019-08-08 전일조경주식회사 염분 내성이 있는 미생물 배양방법
KR20190092761A (ko) 2018-01-31 2019-08-08 전일조경주식회사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KR102474086B1 (ko) * 2021-12-02 2022-1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친환경유기농사관학교 토양 수용성 과잉 이온 저감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317A (ja) * 1994-12-05 1996-06-18 Mitsui Toatsu Chem Inc 植物の耐乾燥性または耐塩性を増加させる方法
JP2006151881A (ja) * 2004-11-30 2006-06-15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植物環境ストレス耐性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317A (ja) * 1994-12-05 1996-06-18 Mitsui Toatsu Chem Inc 植物の耐乾燥性または耐塩性を増加させる方法
JP2006151881A (ja) * 2004-11-30 2006-06-15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植物環境ストレス耐性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02005624 A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9599A (zh) * 2011-04-15 2011-10-19 广东省农业科学院土壤肥料研究所 一种可降低蔬菜硝酸盐含量的组合物
KR20190092761A (ko) 2018-01-31 2019-08-08 전일조경주식회사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KR20190093179A (ko) 2019-04-25 2019-08-08 전일조경주식회사 염분 내성이 있는 미생물 배양방법
KR102474086B1 (ko) * 2021-12-02 2022-1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친환경유기농사관학교 토양 수용성 과잉 이온 저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Demonstration of growth improvement i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by the use of organic fertilizers under saline conditions
Wang et al. Role of Epichloë endophytes in improving host grass resistance ability and soil properties
JP2017534671A (ja) 微生物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Lian et al. Carbon input from 13 C-labelled soybean residues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fractions in a Mollisol
CN107980058A (zh) 植物生长促进微生物、组合物和用途
Yogev et al. Suppression of bacterial canker of tomato by composts
Wang et al. Intercropping perennial aquatic plants with rice improved paddy field soil microbial biomass, biomass carbon and biomass nitrogen to facilitate soil sustainability
CN102174431B (zh) 防治西瓜细菌性果斑病生防菌株
Debode et al. Has compost with biochar added during the process added value over biochar or compost to increase disease suppression?
KR100976445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수목 생리활성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Nacoon et al. Promoting growth and production of sunchoke (Helianthus tuberosus) by co-inoculation with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under drought
Narayanasamy et al. Frankia
Díaz-Pereira et al. Effects of drought and water pulses on microbial functionality and the role of Cyanoprokaryota in the rhizospheres of gypsophytes
TWI726335B (zh) 提高植物抵抗病害能力之組合物
KR101867896B1 (ko) 복합비료 조성물
CN103814756A (zh) 一种适用于南方景观大树移植快速生根成活的方法
Yongguang et al. Effects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oat (Avena sativa) seedlings
Schisler et al. Influence of humic-rich organic amendments to coniferous nursery soils on Douglas-fir growth, damping-off and associated soil microorganisms
Celis et al. Biological activity in a degraded alfisol amended with sewage sludge and cropped with yellow serradela (Ornithopus compressus L.)
Sabeti et al. Investig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application method on alleviation of salt stress effects on root morphology of sweet corn
Li et al. Reed-mushroom-fertilizer ecological agriculture in wetlands: Harvesting reed to cultivate mushroom and returning waste substrates to restore saline-alkaline marshes
Fuskhah et al. Test of the resistance of rhizobium bacteria to salinity for the development of food legume plants in coastal areas
Wang et al. Microbial biomass in subtropical forest soils: effect of conversion of natural secondary broad-leaved forest to Cunninghamia lanceolata plantation
Chang The use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and an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AMF) to improve plant growth in saline soils for phytoremediation
Hamaiel et al. Mitigating of salinity stress and amelioration productiv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using soil conditioners and foliar application of osmoprotect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10

Effective date: 201211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