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834B1 -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 Google Patents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834B1
KR100975834B1 KR1020087002999A KR20087002999A KR100975834B1 KR 100975834 B1 KR100975834 B1 KR 100975834B1 KR 1020087002999 A KR1020087002999 A KR 1020087002999A KR 20087002999 A KR20087002999 A KR 20087002999A KR 100975834 B1 KR100975834 B1 KR 10097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length
signal
discontinuou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143A (ko
Inventor
안나-마리 빔파리
에사 말카마키
주카 나우하
카리 란타-아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3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18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B2201/70724UM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명세서 및 도면들은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 (DPCCH)을 사용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예를 들어,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 시스템, 장치 및 소프트웨어 생성물을 제시한다. 프리앰블 길이는 (예를 들어, DPCCH 상에서 전송되는) 불연속 제어 신호 내 또는 예를 들어, 개선된 전용 채널(E-DCH) 상에서 전송되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 전송 갭 길이(예를 들어, 변경될 수 있음), 및/또는 불연속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 간격(TTI)의 길이에 종속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Preamble length for discontinuous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본 출원은 2005년 8월 5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제60/705,831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들, 및 자세히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것에 관련된다.
업링크(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방향)에서, 어떤 전용 채널들(DCH : dedicated channel)들 및 어떤 대응하는 전용 물리적 데이터 채널(DPDCH :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들도 설정되지 않을 때, 모든 데이터는 개선된 전용 물리적 데이터 채널(E-DPDCH :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에 맵핑되는 개선된 전용 채널(E-DCH : enhanced dedicated channel) 상에서 전송된다. E-DCH와 연관된 제어 시그널링은 개선된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E-DPCCH) 상에서 전송된다. E-DPDCH 및 E-DPCCH는 불연속일 수 있고 전송될 데이터가 있고 전송이 네트워크에 의해 승인되었을 때만 전송된다. 업링크에서, E-DPDCH 및 E-DPCCH에 부가하여, 연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PCCH) 및 가능하게는, HS- DSCH(고속 다운링크 공용 채널)을 위한 연속 또는 불연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예를 들어, 업 링크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 HS-DPCCH)이 전송된다.
패킷 서비스 세션은 TSI standard, TR 101 112, UMTS 30.03 "Selection procedures for the choice of radio transmission technologies of the UMTS", version 3.2.0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종속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패킷 호(call)들을 포함한다. 패킷 서비스 세션은 비실시간(NRT : non-real time) 무선 액세스 베어러 지속기간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패킷 호는 패킷 데이터 전송의 활성화 기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패킷 호 동안 다수의 패킷들이 생성될 수 있고, 이것은 패킷 호가 패킷들의 버스트한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버스트정도(burstiness)는 패킷 전송의 특유한 특징이다.
세션 설정들의 네트워크로의 도달은 포아송(Poisson) 프로세스로서 모델링될 수 있다. 리딩(reading) 타임은 패킷 호의 최종 패킷이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수신되었을 때 시작하고 사용자가 다음 패킷 호에 대해 요청을 할 때 종결한다. 업링크에서 E-DCH 전송은 리딩 시간 동안 불연속이어서, 리딩 시간의 대부분 동안 어떤 E-DCH 전송도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것들 중) 패킷 도달 간격들에 종속하여, 패킷 호 동안 E-DCH 전송에서 갭들이 있을 수 있으나 E-DCH 전송은 또한 패킷 호 동안 연속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라. 따라서 E- DCH 상에서 패킷 호 동안 몇몇 비활동성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UE)로부터 네트워크로의 업링크 방향에서,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HS-DPCCH) 상의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HS-DPCCH 신호는 정보를 보고하는 채널 품질 인디케이터(channel quality indicator : CQI)를 갖는 2개의 슬롯들 및 HSDPA에 대한 ACK/NACK 정보를 갖는 1개의 슬롯을 전형적으로 전달한다. CQI 전송은 전형적으로 주기적이고 일반적으로 HS-DSCH 전송 활동과 독립적이다. CQI 보고 기간은 0, 2, 4, 8, 10, 20, 40, 80, 및 160 ms의 가능한 값들을 갖고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CK/NACK는 (E-DCH와 유사하게)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할 때만 전송되고 패킷 호 동안 리딩 시간과 패킷 도달 시간들에 종속되는, HS- DSCH 상의 패킷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서만 전송된다.
E-DCH 전송에서, 승인(grant)이 필요하다 : 즉 비-스케줄된 MAC-d(MAC은 매체 액세스 제어를 나타냄) 흐름(flow)들에 대한 비-스케줄된 승인과 스케줄된 전송을 위한 서빙 승인( 및 허용된 활성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HARQ) 프로세스)이다. 스케줄된 MAC-d 흐름들의 경우에, 노드 B는 사용자 장치(UE)가 송신하도록 허용되는 때를 제어하고 따라서 노드 B는 UE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때를 알고 있다. 비스케줄된 MAC-d 흐름들의 경우에, 네트워크는 주어진 MAC-d 흐름들을 위해 MAC-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 PDU)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수의 비트들을 허용할 수 있다. 2ms E-DCH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ing interval : TTI)의 경우에, 각 비-스케줄된 승인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에 의해 표시된 HARQ 프로세스들의 특정 세트에 적용가능하고, RRC는 스케줄된 승인들이 적용 가능한 그 HARQ 프로세스들의 세트를 또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된) 최소 세트를 제외하고, 의도된 신뢰성 있는 전송에 필요한 전력 레벨을 갖는 의도된 수의 비트들을 전송하기 위해 UE에서 이용 가능한 충분한 전송 전력이 존재하여야 하고, 그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된) 최소 세트는 의도된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전송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TTI 내의 E-D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 비트들의 수를 정의한다.(이런 E-DCH를 위한 최소 세트는 연결을 위한 어떤 DCH도 구성되지 않을 때만 존재할 수 있음).
UL DPCCH는 계층 1(물리적 계층)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계층 1의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한 채널 추정, 전용 물리적 채널(dedicated physical channel : DL DPCH)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TPC), 선택적 피드백 정보(FBI) 및 선택적 전송 포맷 조합 인디케이터(TFCI)를 지원하는 알려진 파일럿 비트들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시간 주기들 동안 전송될 어떤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전형적으로 UL DPCCH은 연속으로 전송되고, 각 무선 링크에 대해 하나의 UL DPCCH가 존재한다. 연속 전송은 전형적으로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회선 교환 서비스들에 있는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버스트한 패킷 서비스들의 경우, 연속 DPCCH 전송은 상당한 오버헤드를 일으킨다.
업링크 용량은 제어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제어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있음직한 일은 UL DPCCH 게이팅(gating) (또는 불연속 전송), 즉 DPCCH 상에서 신호들을 항상 전송하지는 것이다.
게이팅을 사용하는 원리는 (비록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아래를 포함한다.
ㆍ 사용자 장치(UE)에게 전력 절약들 및 더 긴 배터리 수명을 제공하고;
ㆍ 간섭 감소를 제공하고;
ㆍ 더 고 용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사용자 신호들 간의 전력 불균형 및 빠른 페이딩(fading)을 퇴치하기 위해 모든 업링크 신호들에 대한 빠른 폐루프 전력 제어가 존재한다. 노드 B는 예를 들어 UE에 의해 전송되는 DPCCH의 신호 대 간섭 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 SIR)를 연속으로 추정하고 추정을 타겟 값과 비교하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하는 전송 전력 제어(TPC) 명령들을 UE에게 다운링크에서 전송한다. 전력 제어로 서로 다른 UE들로부터의 신호들이 변경되는 조건들에서 요청된 품질로 수신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갭 동안 UL 전력 제어는 일반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데, 왜냐면 노드 B가 수신된 신호 품질를 추정해서 적절한 TPC 명령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SIR은 극도로 낮을 것이고, 일반적으로 생성된 TPC 명령어들은 UE에게 UL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알릴 것이다). 따라서 갭 이후에 사용되는 전송 전력은 추정되거나 미리 정의될 필요가 있다. 전파 조건(propagation condition)들에서 사용자 움직임 또는 변경(페이딩) 때문에, 전송 갭이 긴 경우에, 갭 전에 사용되는 전력이 적합한 통신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HARQ의 사용을 증가시키거나 너무 과도해서 UL 전력 제어 및 UL 용량의 스케줄링을 (예를 들어,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의 경우에) 더 어렵게 만들기 쉽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와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정의하는, 정의 단계로서, 프리앰블의 길이는, a)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b)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정의 단계; 및 제어 채널 상의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일 수 있고 제어 채널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일 수 있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노드 B일 수 있고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사용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은 네트워크 엘러먼트에 의해 사용자 장치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일 수 있고 데이터 채널은 개선된 전용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정의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방법은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전력의 시간 종속성(dependence)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정의 단계 동안에, 프리앰블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그 이전에 전송 갭 길이가 추가의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는 전송 갭이 미리 정의된 문턱 값을 초과할 때만 비제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제어 채널 상에서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데이터 신호 전에 또는 데이터 신호와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상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내부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구체화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구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 장치 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되고 있을 때 지시되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양상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장치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로서,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a)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b)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제어 채널 상에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신/송신/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일 수 있고 제어 채널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채널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일 수 있고 데이터 채널은 개선된 전용 채널일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이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사용자 장치에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의하는 것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이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 장치는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전력의 시간 종속성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정의하는 동안에, 프리앰블 길이는 전송 갭 길이가 추가의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된 이후에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는 전송 갭이 미리 정의된 문턱 값을 초과할 때만 비제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제어 채널 상에서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데이터 신호 전에 또는 데이터 신호와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상에 따라, 집적 회로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수신/송신/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장치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생성 수단으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a) 불연속 제어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d)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신호 생성 수단; 및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수신 및 송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양상에 따라, 신호 생성 수단이 불연속 제어 신호의 스케줄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양상에 따라, 제어 채널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로서,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a)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b)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제어 채널 상에서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양상에 따라,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양상에 따라,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a)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b)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고, 또한 제어 채널 상에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및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에 응답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양상에 따라,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일 수 있고 제어 채널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양상에 따라, 정의하는 것은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a)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불연속 제어 신호에 대한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프리앰블 정의 신호, b)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명령 신호, 및 c) 업링크에서 프리앰블 내에 전력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프리앰블 블록으로,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a)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업링크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b)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프리앰블 블록; 프리앰블 정의 신호, 프리앰블 명령 신호 및 프리앰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장치에게로 송신하는, 송신기 블록; 및 업링크 불연속 제어 및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양상에 따라,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PCCH)을 사용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해 전력 제어 프리앰플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L에서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예들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PCCH)을 사용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 (DPCCH)을 사용 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예를 들어,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생성물이 제시된다. 프리앰블은 전송 갭 이후의 최초(initial) 전력 설정을 위한 정확성 요청을 감소시키고 채널 추정 및 동기화를 또한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는 불연속 제어 채널(예를 들어, DPCCH) 상에서 전송되는 불연속 제어 신호(예를 들어, DPCCH 신호)에서 또는 예를 들어, 개선된 전용 채널(E-DCH)과 같은 데이터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 전송 갭 길이(예를 들어, 변경될 수 있음), 및/또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TTI)의 길이에 종속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 프리앰블(또는 프리앰블) 내 전력은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때를 맞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엘리먼트(예를 들어, RNC)는 예를 들어, 0에서 30개의 슬롯들까지, 프리앰블의 길이에 대한 제한을 설정한다. 이 제한 내에서, 프리앰블의 길이는 DPCCH 전송 갭 길이 및 E-DCH TTI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전송 갭 길이가 더 짧을수록 프리앰블의 길이가 더 짧아지고, TTI 길이가 더 길어질수록 프리앰블의 길이가 더 짧아진다(예를 들어, 2ms E-DCH TTI의 경우, 동일한 프리앰블 길이가 필요할 수 있고 10ms E-DCH TTI 보다 더 짧은 전송 갭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의 길이가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피드백과 함께 또는 피드백 없이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25.214에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은 피드백 없이 정의되고, 3GPP TS25.211 과 3GPP TS25.214 내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PRACH) 프리앰블은 피드백과 함께 정의된다). 프리앰블이 피드백과 함께 사용된다면(예를 들어 전력 램핑(power ramping) 유형의 프리앰블), 최대 프리앰블의 길이는 동적일 수 있고, 그 후에 네트워크 엘리먼트(예를 들어, 노드 B)로부터의 프리앰블 종결 피드백 없이도 E-DCH 전송이 시작될 수 있다. 최소 프리앰블은 DL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 TPC) 오류들에 대해 보호될 것이지만, 최소 프리앰블의 길이는 동적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 전력 시간 종속성이 (비록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래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추가의 기준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즉, 전력 단계 크기를 사용하고, 피드백이 네트워크 엘리먼트(예를 들어 노드 B)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더 높은 전력 제어 단계 크기들을 사용하는 전력 램핑 등이다.
위에서 언급된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서,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규칙들은 예를 들어, 두 배된 전송 갭을 위해 프리앰블의 길이를 두 배로 하는 것, 전송 갭이 추가의 미리 선택된 값(예를 들어, 추가의 미리 선택된 수의 슬롯들)으로 변경된 이후에 프리앰블의 길이를 미리 선택된 값(예를 들어, 미리 선택된 수의 슬롯들)으로 증가시키는 것, 또는 긴 E-DCH 비활동 동안에 매 갭에 대해 미리 선택된 값으로 프리앰블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정의된 최대 프리앰블의 길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규칙들은 TTI 길이들의 함 수와 유사한 다양한 종속성들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을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 및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은 (비록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래의 사항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
ㆍ 어떤 E-DCH 또는 HS-DPCCH 전송 없이 DPCCH 채널 상에서만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ㆍ 프리앰블을 위한 서로 다른 채널 구조들(예를 들어 파일럿만임) 및/또는 전력 제어 행동(behavior) (예를 들어, 더 높은 단계 크기들 및/또는 전송 갭 이전 보다 더 낮은 전력 레벨에서 시작하고 피드백의 일부가 노드 B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전력을 증가시킴)을 구비하고;
ㆍ 프리앰블 전력 제어 행동에 대해 피드백 정의 중지(feedback defined stop)가 사용된다면, 전송 갭 이후에 E-DCH 또는 HS-DPCCH 상에서의 전송들과 부분적으로 동시에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이다.
제어 채널은 예를 들어 UL DPCCH에 대해 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들은 예를 들어 채널 추정 및 전력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는 (예를 들어, 파일럿 및/또는 전력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UL 내 임의의 L1 제어 채널 그리고 또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UE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인용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별도로, 결합되어, 또는 선택적으 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 (DPCCH)을 사용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나타내는 여러 예들 중 한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 장치(10)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12) 및 송신기/수신기/프로세싱 모듈(14)을 포함한다. 프리앰블을 정의하는 것에 관련된 사용자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은 모듈(12)에 의해 조정되고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는 무선 장치, 휴대용 장치, 이동 통신 장치, 이동 전화, 등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16)(예를 들어, 노드 B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RNC)는 송신기 블록(18), 프리앰블 블록(20) 및 수신기 블록(22)을 포함한다. 프리앰블 블록(20)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 장치(10)에게로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미리 정의된 임계값 및/또는 업링크 프리앰블 상에서 전력 제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피드백 또는 명령 신호들(34, 34a ,36)을 참조), 또는 대안적으로는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기 위해( 신호들(35, 35a, 35b)을 참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듈(12)(블록(20)에 동일하게 적용됨)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듈(12)은 별도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사용자 장치(10)의 어떤 다른 표준 블록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그 기능성에 따라 다수의 블록들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송신기/수신기/프로세싱 블록(14)은 복수의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송신기, 수신기,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4)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모듈(12)과 네트워크 엘리먼트(16)의 효율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10)의 모든 또는 선택된 모듈들은 집적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엘리먼트(16)의 모든 또는 선택된 블록들 및/또는 모듈들 또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듈(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데이터/보고/제어/프리앰블 신호(30)를 제공하고, 그 신호(30)는 그런 다음에 네트워크 엘리먼트(16)의 수신기 블록(22)으로 전달된다(신호들(32a, 32b, 32c, 32d), 여기서 신호들(32c, 32d)은 모두 DPCCH 상에서 전송됨). 자세히 보면, 모듈(12)은 불연속 제어 신호(예를 들어, DPCCH 신호(32c)) 및 채널 품질 인디케이터(CQI) 보고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신호(예를 들어, HS-DPCCH 신호(32b)) 및 불연속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E-DCH 신호(32a))를 제공한다. 또한 모듈(12)은 불연속 DPCCH 신호(32c) 또는 불연속 E-DCH 신호(32a)에서의 전송 갭 길이, 및/또는 E-DCH 신호(32a)의 전송 타이밍 간격(TTI)의 길이에 종속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프리앰블 길이를 최적화시킨다(또한 전력 제어 프리앰블에서의 전력 종속성(dependence)은 모듈(12)에 의한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엘리먼트(16)가 전력 제어 피드백(프리앰블 피드백 신호(34))을 증명하기 위해 수신된 프리앰블 신호(32d)(대안적으로는 특별한 포맷의 DPCCH 신호라고 정의될 수 있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도 1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 길이를 제어하는 것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네트워크 엘리먼트(16)에 의해(예를 들어 블록(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실시 예를 또한 설명한다(신호들(35, 35a, 35b)을 참조). 프리앰블의 길이는 네트워크 엘리먼트(16)에 의해 또한 알려진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 및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장치(10)에서 정의된다.
도 1의 예는 UL 방향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설명한다. 동일한 원리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L 방향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런 배열을 설명하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엘리먼트(27)의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21)은 도 1의 모듈(12)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 또는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DL 전송에 대한 프리앰블을 정의하고, 따라서 후에 송신기 블록(18)에 의해 다운링크로 전송되는(프리앰블 신호(23a)), 프리앰블 신호(23)를 제공한다. UL의 경우와 유사하게 전력 피드백(신호들(25, 25a))은 수신기 블록(22)을 사용하여 블록(21)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이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들(16, 27)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서 네트워크 엘리먼트(16)가 노드 B 및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에 기인하는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자세히 보면, 모듈(20) 또는 모듈(21)은 RNC에 위치하거나(그런 다음에 RNC로부터의 시그널링이 노드 B에 의해 사용자 장치로 전달됨) 또는 노드 B에 위치할 수 있고, 반면에 블록(22)은 노드 B에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프리앰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을 나타 내는 다이어그램의 여러 예들 중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하나의 슬롯은 2ms로 간주된다는 것에 주목하라.
패킷 시퀀스(40)는 DL 활동을 도시하는 HS-SCCH(HS-DSCH를 위한 고속 공용 제어 채널) 신호를 보여준다(HS-DSCH 신호는 도시되지 않았음).
패킷 시퀀스(40)는 (HS-DPCCH 채널 상에 전송되는) 40ms CQI 보고 기간 및 10ms E-DCH TTI에 대한 동적 프리앰블 길이를 나타낸다. 2 ms 길이를 갖는 슬롯(40a) 내 프리앰블은 슬롯(40b) (TTI=10ms) 내 제2 E-DCH 신호에 선행하는데, 이 때 프리앰블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TTI 길이 및 전송 갭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다.
패킷 시퀀스(42)는 (HS-DPCCH 채널 상에 전송되는) 40ms CQI 보고 기간 및 2ms E-DCH TTI에 대한 동적 프리앰블 길이를 나타낸다. 각각 2, 4 및 2 ms 길이를 갖는 슬롯들(42a, 42b, 42c) 내 프리앰블은 각각 슬롯들(42d, 42e, 42f) (TTI=2 ms) 내 제2, 제3, 및 제4 E-DCH 신호들에 선행하는데, 이때 프리앰블의 길이와 그 주파수는 위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TTI 길이 및/또는 전송 갭에 기초하여 정의된 것과 같다. 패킷 시퀀스(40)와 비교하여 패킷 시퀀스(42) 내 프리앰블의 (예를 들어 슬롯(42b)에서) 더 긴 길이 및 더 빈번한 사용은 패킷 시퀀스(42) 내 E-DCH 신호들 간의 전송 갭이 패킷 시퀀스(40)와 비교하여 더 작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더 짧은 TTI 길이 때문이다.
(패킷 시퀀스(40)와 비교될) 패킷 시퀀스(44)는 다시 (HS-DPCCH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40ms CQI 보고 기간 및 10ms E-DCH TTI에 대한 동적 프리앰블 길이를 나 타낸다. 4 ms의 길이를 갖는 슬롯(44a) 내 프리앰블은 슬롯(44b) (TTI=10ms) 내 제2 E-DCH 신호에 선행하는데, 이때 프리앰블의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TTI 길이 및 전송 갭에 기초하여 정의된 것과 같다. 패킷 시퀀스(40)와의 차이점은 프리앰블(44a)이 패킷 시퀀스(44) 내 E- DCH 신호들 간의 더 큰 전송 갭 때문에 더 긴 길이를 갖는다는 것이다.
(패킷 시퀀스(44)와 비교될) 패킷 시퀀스(46)는 (HS-DPCCH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40ms CQI 보고 기간 및 2ms E-DCH TTI에 대한 동적 프리앰블 길이를 나타낸다. 6ms 길이를 갖는 슬롯들(46a) 내 프리앰블은 슬롯(46b) (TTI=2 ms) 내 제2 E-DCH 신호들에 선행하는데, 이때 프리앰블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TTI 길이 및/또는 전송 갭에 기초하여 정의된 것과 같다. 패킷 시퀀스(44)와의 차이점은 (예를 들어 슬롯(44a) 내에 있는) 패킷 시퀀스(44) 내 프리앰블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슬롯(46a) 내에 있는) 패킷 시퀀스(46) 내 프리앰블의 더 긴 길이가 패킷 시퀀스(46) 내 더 짧은 TTI 길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패킷 시퀀스(46)와 비교될) 패킷 시퀀스(48)는(HS-DPCCH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40ms CQI 보고 기간 및 2ms E-DCH TTI에 대한 동적 프리앰블 길이를 20 ms의 주기를 갖는 DPCCH 제어 신호들(48c, 48d, 48e)과 함께 나타낸다. 4ms 길이를 갖는 슬롯들(48a) 내 프리앰블은 슬롯들(48b) (TTI=2 ms) 내 제2 E-DCH 신호들에 선행하는데, 이때 프리앰블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된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TTI 길이 및/또는 전송 갭에 기초하여 정의된 것과 같다. 패킷 시퀀스(44)와의 차이점은 (예를 들어 슬롯(46a) 내에 있는) 패킷 시퀀스(46) 내 프리앰 블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슬롯(48a) 내에 있는) 패킷 시퀀스(48) 내 프리앰블의 더 짧은 길이는 패킷 시퀀스(48) 내 DPCCH 신호의 더 짧은 전송 갭 때문이라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DPCCH를 사용하는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 정의 흐름도의 예이다.
도 4의 흐름도는 여러 가능한 시나리오들 중 하나의 가능한 시나리오를 나타낼 뿐이다. 도 4에 보여지는 단계들의 순서는 절대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아니어서, 일반적으로 순서에 상관없이 다양한 단계들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단계(50)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16)는 사용자 장치(10)에게 프리앰블의 길이에 대한 제한들(예를 들어, 최소 및/또는 최대 값들)을 제공한다(이 단계는 선택적임). 다음 단계(52)에서, 사용자 장치(10)는 불연속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E-DCH 신호)(32a) 및 불연속 제어 신호(예를 들어, DPCCH 신호)(32c)를 제공한다. 다음 단계(54)에서, (예를 들어,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12)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10)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그 길이 및 전력 행동을 정의함으로써) 정의한다. 즉, 프리앰블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된 추가의 미리 결정된 기준은 뿐만 아니라 DPCCH 신호(32c) 또는 E-DCH 신호(32a) 내 전송 갭 및 E-DCH 신호(32a)의 TTI 길이에 종속된다.
다음 단계(56)에서, 사용자 장치(10)는 프리앰블 신호(32d)(대안적으로 특별한 포맷의 DPCCH로 정의될 수 있음)를 네트워크 엘리먼트(16)로 전송하고, 이후에 또는 동시에 E-DCH 신호(32a)가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다음 단계(58)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16)는 전력 조정 또는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중단시키기 위해, 피드백(신호들(34, 34a, 36))을 사용자 장치(10)에게로 제공한다(이 단계는 선택적임).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모듈들로 구성된 상응하는 장치 및 방법 모두를 제공한다.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경우에,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즉,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저장하고 구체화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구조 내에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배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만 이해되어 한다. 다양한 변경들 및 대안적인 배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고, 첨부된 청구항들이 이런 변경들 및 배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다.

Claims (37)

  1.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와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정의하는 정의 단계로서, 상기 프리앰블의 길이는,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정의 단계; 및
    상기 제어 채널 상의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이고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노드 B이고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상기 사용 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은 상기 네트워크 엘러먼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 제공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개선된 전용 채널(E-DCH)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피드백이 수신될 때까지 증가하는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전력의 시간에의 의존 관계 (time dependence)를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의 단계 동안에,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상기 전송 갭 길이가 추가의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된 이후에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상기 전송 갭이 미리 정의된 문턱 값을 초과할 때만 비제로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 전에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와 동시에 시작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변경 가능한 방법.
  13. 컴퓨터 프로세서에 따라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청구항 1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사용자 장치로서,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로,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상기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수신/송신/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한 사용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이고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인 사용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개선된 전용 채널 (E-DCH)인 사용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이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되는 사용자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의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되는, 사용자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 장치는 피드백이 수신될 때까지 증가하는 전력을 사용해서 상기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전력의 시간에의 의존관계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상기 전송 갭 길이가 추가의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된 이후에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미리 선택된 값에 의해 변경되는 사용자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상기 전송 갭이 미리 정의된 문턱 값을 초과할 때만 비제로인 사용자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상기 전송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 신호 전에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와 동시에 시작하는 사용자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변경 가능한 사용자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는 업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수신/송신/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7. 사용자 장치로서,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생성 수단으로, 전력 제어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신호 생성 수단; 및
    상기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수신 및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신호 생성 수단이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의 스케줄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인 사용자 장치.
  30.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및 신호 생성 모듈; 및
    상기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블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한 네트워크 엘리먼트.
  32. 통신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채널 상에서 불연속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채널 상에서 불연속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고,
    또한 상기 제어 채널 상의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신호에 응답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한 통신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전력 제어 프리앰블이고 상기 제어 채널은 상기 전력 제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상기 프리앰블 신호를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전송하는 업링크 채널인 통신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36.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불연속 제어 신호에 대한 프리앰블의 프리앰블 길이를 정의하는 프리앰블 정의 신호,
    상기 프리앰블 길이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값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명령 신호, 및
    업링크에서 상기 프리앰블 내에 전력에 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리앰블 블록으로,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길이는, 미리 결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업링크 불연속 제어 신호 또는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 내의 전송 갭 길이, 및
    상기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의 전송 타이밍 간격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하는, 프리앰블 블록;
    상기 프리앰블 정의 신호, 상기 프리앰블 명령 신호 및 상기 프리앰블 피드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게로 전송하는, 송신기 블록; 및
    상기 업링크 불연속 제어 및 상기 업링크 불연속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블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갭 길이는 변경 가능한 네트워크 엘리먼트.
KR1020087002999A 2005-08-05 2006-08-04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KR100975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583105P 2005-08-05 2005-08-05
US60/705,831 2005-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143A KR20080034143A (ko) 2008-04-18
KR100975834B1 true KR100975834B1 (ko) 2010-08-13

Family

ID=3783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999A KR100975834B1 (ko) 2005-08-05 2006-08-04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521205B2 (ko)
EP (1) EP1911170B1 (ko)
JP (1) JP4880687B2 (ko)
KR (1) KR100975834B1 (ko)
CN (1) CN101238647B (ko)
AP (1) AP2430A (ko)
AT (1) ATE535062T1 (ko)
BR (1) BRPI0614784B1 (ko)
MX (1) MX2008001524A (ko)
PL (1) PL1911170T3 (ko)
RU (1) RU2385534C2 (ko)
WO (1) WO2007029067A2 (ko)
ZA (1) ZA200801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34B1 (ko) 2005-08-05 2010-08-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KR20080103559A (ko) * 2006-02-13 2008-11-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연결성 전송을 지속하기 위한 적응형 프리앰블 길이
WO2008023225A2 (en) * 2006-08-21 2008-02-28 Nokia Corporation Gap and preamble parameter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US8437792B2 (en) * 2007-02-14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US7986959B2 (en) 2007-02-14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based uplink power control for LTE
CN101360106B (zh) 2007-08-02 2012-07-25 创新音速有限公司 无线通讯系统改善连续封包连通功能的方法及其相关装置
EP2176961A2 (en) * 2007-08-10 201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dedicated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046011B2 (ja) * 2007-08-20 2012-10-10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EP2191600B1 (en) * 2007-08-22 2018-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dependent gating
TWI527485B (zh) 2007-12-31 2016-03-2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cell_fach及待機模式中無線鏈結同步化及功率控制之方法及裝置
CN101217790B (zh) * 2008-01-10 2012-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随机接入信道构造方法和装置
US8838160B2 (en) * 2008-06-02 2014-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ating control loop technique for optimizing perform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64788B2 (en) * 2008-06-0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825480B2 (en) * 2008-06-05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non-speech data embedded in vocoder packet
US8958441B2 (en) 2008-06-05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083521B2 (en) * 2008-06-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780875B2 (en) * 2008-06-0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s
US8725502B2 (en) * 2008-06-05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503517B2 (en) * 2008-06-05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494572B2 (en) 2008-06-24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first data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procedure of FDMA communication system
JP5109856B2 (ja) * 2008-07-30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US7903597B2 (en) * 2008-10-29 2011-03-08 Cisco Technology, Inc. Power management of a network device
US9066301B2 (en) * 2009-04-08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 reverse link transmission power level setpoint during periods of inactivity on the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743864B2 (en) * 2009-06-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US8855100B2 (en) * 2009-06-16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CN101605358B (zh) * 2009-06-29 2011-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速率控制方法和系统
US9408187B2 (en) * 2010-08-18 2016-08-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s
CN102056028A (zh) * 2010-12-30 2011-05-11 大唐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数字对讲机功耗的方法及装置
US9197981B2 (en) * 2011-04-08 2015-11-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ordination amongst heterogeneous wireless devices
EP2618624A3 (de) * 2012-01-23 2016-11-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Datennetz und Netzknoten zur drahtlosen Datenübertragung in einem Datennetz
WO2015120616A1 (zh) 2014-02-14 2015-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Preamble发送方法、功率控制方法、终端及设备
CA2962300A1 (en) * 2014-09-24 2016-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s device and discontinuous transmission method
US11057914B2 (en) 2015-07-24 2021-07-06 Lg Electronics In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06914254B (zh) 2015-12-27 2019-08-2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碱性电化学能量转换反应用催化剂组合物及其用途
BR112019006306A2 (pt) * 2016-09-30 2019-07-02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dispositivo sem fio e nó de rede para realizar controle de potência,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programa de computador, e, portadora.
US11510150B2 (en) 2016-11-14 2022-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riving configured output power for consecutiv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TTIS) in shortened TTI patterns
US11271617B2 (en) * 2018-10-03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Null data packet-based implicit sounding and calibr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183A (ko) * 1999-08-17 2001-03-0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억세스 통신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533A (en) * 1981-08-20 1985-03-05 Stanford University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a round robin access scheme with improved channel utilization
US4755792A (en) * 1985-06-13 1988-07-05 Black & Decker Inc. Security control system
US4730307A (en) * 1986-11-24 1988-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 area networks
US5272728A (en) * 1990-03-20 1993-12-21 Fumio Ogawa Preamble length adjustment method in communication network and independent synchronization type serial data communication device
US6334219B1 (en) *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AT410875B (de) * 1996-01-10 2003-08-25 Frequentis Nachrichtentechnik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übertragung von daten
US6785550B1 (en) * 2000-11-28 2004-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location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232881B1 (ko) * 1997-10-08 1999-12-01 윤종용 리시버 전원제어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호출 수신기
ES2233919T3 (es) * 1998-06-30 2005-06-16 Siemens Ag Interfaz aerea para sistemas de telecomunicaciones con telecomunicacion inalambrica entre aparatos de emision/recepcion moviles y/o estacionarios.
US6731948B1 (en) * 1999-05-12 2004-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a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i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375635B1 (en) * 1999-05-18 2002-04-23 Hydrocision, Inc. Fluid jet surgical instruments
AU759741B2 (en) * 1999-06-28 200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ward link power when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443667B1 (en) * 1999-07-07 200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ass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on packet channel in a W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S2237058T3 (es) * 1999-07-13 2005-07-16 Alcatel Metodo para mejorar las caracteristicas de funcionamiento de un sistema movil de radiocomunicacion que utiliza un algoritmo de control de potencia.
US6868075B1 (en) * 1999-09-28 2005-03-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mode communications over a radio interface
US6735635B1 (en) 2000-05-18 2004-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preamble configuration on a shared bus
GB0012258D0 (en) * 2000-05-19 2000-07-12 Fujitsu Ltd Transmission rate chang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DE60041875D1 (de) * 2000-09-20 2009-05-07 Lucent Technologies Inc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mit variablen Trainingsmittel
BR0107355A (pt) 2000-10-20 2002-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determinar uma velocidade de dados de pacote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US7006464B1 (en) * 2000-11-17 2006-02-28 Lucent Technologies Inc. Downlink and uplink channel structures for downlink shared channel system
KR100819267B1 (ko) 2001-11-06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GB2382746B (en) * 2001-11-20 2005-12-14 Ericsson Telefon Ab L M Establishing radio communication channels
KR100487245B1 (ko) * 2001-11-28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압축 모드에 따른 전송 불능 구간을 최소화하는장치 및 방법
GB2384650B (en) * 2002-01-28 2003-12-24 Lucent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transferring or adding at least one other uplink channel for user data into a call connection
US7142865B2 (en) * 2002-05-31 2006-11-28 Telefonaktie 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based on virtual decoding
US7231211B2 (en) * 2002-07-24 2007-06-12 Signal Intelligenc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U2003264965B2 (en) * 2002-09-23 2006-06-15 Lg Electronics Inc. Radio communication scheme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MBMS)
JP3717472B2 (ja) 2002-11-08 2005-1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JP4472692B2 (ja) * 2003-02-19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マルチキャリア伝送用受信装置及び方法
US7848649B2 (en) * 2003-02-28 2010-12-0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frame and format optical control and data bursts in WDM-based photonic burst switched networks
JP4197266B2 (ja) * 2003-04-10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制御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CN1553607A (zh) * 2003-05-27 2004-12-08 深圳市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 一种前导搜索器及其实现方法
US20050147022A1 (en) * 2003-12-22 2005-07-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amble transmit power tailoring system, a method of tailoring preamble transmit power and an OFDM transmitter employing the same
US7408956B2 (en) * 2004-07-27 2008-08-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60256709A1 (en) 2005-05-10 2006-11-16 Yunsong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975834B1 (ko) 2005-08-05 2010-08-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183A (ko) * 1999-08-17 2001-03-0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억세스 통신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04054A (ja) 2009-01-29
US20070030829A1 (en) 2007-02-08
MX2008001524A (es) 2008-02-15
US8521205B2 (en) 2013-08-27
RU2385534C2 (ru) 2010-03-27
WO2007029067A2 (en) 2007-03-15
BRPI0614784B1 (pt) 2019-07-09
EP1911170B1 (en) 2011-11-23
BRPI0614784A2 (pt) 2011-04-12
ATE535062T1 (de) 2011-12-15
JP4880687B2 (ja) 2012-02-22
EP1911170A4 (en) 2010-03-31
EP1911170A2 (en) 2008-04-16
KR20080034143A (ko) 2008-04-18
PL1911170T3 (pl) 2012-04-30
ZA200801092B (en) 2009-01-28
WO2007029067A3 (en) 2007-05-03
RU2008103498A (ru) 2009-09-10
AP2430A (en) 2012-08-31
CN101238647B (zh) 2011-09-07
CN101238647A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834B1 (ko) 불연속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 길이
JP5192377B2 (ja) 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をチャネル品質表示報告でゲーティングする協調方法
US7787430B2 (en) Power control for gated uplink control channel
KR101172521B1 (ko) 용량 증대를 위한 동적 업링크 제어 채널 게이팅
US8514817B2 (en) Adaptive preamble length for continuous connectivity transmission
KR100923972B1 (ko)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ul dpcch 게이팅 및 향상된ul dch를 조합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소프트웨어생성물
US20080043681A1 (en) Gap and preamble parameter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