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38B1 -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38B1
KR100975338B1 KR1020090123782A KR20090123782A KR100975338B1 KR 100975338 B1 KR100975338 B1 KR 100975338B1 KR 1020090123782 A KR1020090123782 A KR 1020090123782A KR 20090123782 A KR20090123782 A KR 20090123782A KR 100975338 B1 KR100975338 B1 KR 10097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ndle
base plate
forming step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모
Original Assignee
(주)대명가로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가로등 filed Critical (주)대명가로등
Priority to KR102009012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은 긴 길이의 직각 사각형 단면을 보유한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판재를 형성하는 묶음판재준비단계,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연결판재를 형성하되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묶음연결판재가 접착제와 양끝못에 의해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 부착 고정되어 각형지주를 형성하는 각형지주형성단계,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의 각형지주를 절삭하여 초기지주로 형성하는 초기지주형성단계, 상기 초기지주형성단계의 초기지주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 또는 사포질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초기지주의 표면에 락커로 코팅 또는 도포한 뒤에 건조하는 것을 반복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목재지주는 긴 길이의 목재 판재인 다수의 기초판재를 접착제로 접착함과 더불어 양끝못 등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형성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지주, 목재지주,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양끝못

Description

목재지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OODEN POLE}
본 발명은 가로등, 신호등, 표시판 등에 사용되는 나무 재질의 지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견고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목재지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신호등, 표시판 등에 사용되는 지주는 나무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바, 금속 재질의 지주는 우수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나 매우 딱딱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나무 재질의 지주를 많이 사용한다.
예컨대 통나무를 그대로 절삭한 나무 재질은 나무 내의 수분이 마르면 나무의 갈라짐이 발생되어 외관을 오히려 해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443167호로 출원된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가로등용 절연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이 앵커에 의하여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측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지주, 상기 지주의 외관을 감싸는 절연체 재질로 된 것으로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대향되는 한쌍의 길이홈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외장커버, 상호 접하는 외장커버와 다 른 외장커버의 길이홈에 끼어지는 연결핀,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장커버들의 상단을 감싸는 상부캡, 지주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장커버들의 하단을 감싸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절연 재질의 외장커버가 나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분할된 외장커버가 연결핀에 의해서만 상호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외장커버 사이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다수의 외장커버에 의해 구성된 내부 공간에 반드시 금속 재질의 지주를 설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절연 재질 자체를 지주로 사용하기에 매우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예로서 종래의 목재지주는 긴 길이의 분할나무체의 다수 개를 부착한 뒤에 지주 형상으로 절삭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주 외관의 미려함과 지주의 방수 처리 등이 미흡하며, 접착제로 단순 부착한 것이어서 각각의 분할나무체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긴 길이의 다수의 목재 판재를 부착함과 더불어 부착 부위를 고정수단인 못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견고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목재지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재지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긴 길이의 직각 사각형 단면을 보유한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판재를 형성하는 묶음판재준비단계,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연결판재를 형성하되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묶음연결판재가 접착제와 양끝못에 의해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 부착 고정되어 각형지주를 형성하는 각형지주형성단계,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의 각형지주를 절삭하여 초기지주로 형성하는 초기지주형성단계, 상기 초기지주형성단계의 초기지주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 또는 사포질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초기지주의 표면에 락커로 코팅 또는 도포한 뒤에 건조하는 것을 반복하는 마무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의 양끝못의 한쪽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양끝못의 다른쪽 단부가 무디게 형성되어,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와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 사이사이를 부착할 때, 양끝못의 무딘 부위를 박아놓은 뒤에 양끝못의 뾰족한 부위를 박히게 하며,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의 양단부에 ㄷ자 형상의 못 또는 스테플러를 박아서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 사이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목재지주는 긴 길이의 목재 판재인 다수의 기초판재를 접착제로 접착함과 더불어 양끝못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형성되고, 다수의 기초판재의 한쪽 측면을 ㄷ자 형상의 못 등으로 한번더 고정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목재지주를 형성할 수 있으며, 목재로 제조된 지주이므로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긴 길이의 직각 사각형 단면을 보유한 다수의 기초판재(1)를 이용하여 묶음판재준비단계, 각형지주형성단계, 초기지주형성단계, 표면처리단계, 마무리단계를 차례로 거쳐서 최종 제품인 목재지주(10)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우선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에서는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2)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1)로 묶음판재(1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기초판재(1)는 접착제로 접착됨과 동시에 양끝못(2)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묶음판재(11)를 제조할 때에 지그(미도시)로 가압한 상태에서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24시간동안 양생하게 된다.
그러면 접착제가 가압된 상태에서 굳기 때문에,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접착제는 2액형 에폭시 접착제 또는 2액형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2액형 에폭시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에폭시계로 반응하고, 경화형의 강력한 접착력과 내수성이 탁월하며, 주제는 에폭시 수지이고, 경화제는 경화제의 구체적인 성분 및 첨가량에 따라 가사시간, 경화 시간, 경화 후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폴리아미드 수지이며, 혼합 후 가사시간(pot-life)은 약 20분으로 짧으나, 접착 강도 및 초기 접착력이 뛰어나고, 상온 또는 가열(121.2℃ 정도)에 의해 경화시키며, 솔벤트를 사용하지 않아 휘발성이 없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간편하며, 전기 절연성이 높고, 습윤성은 낮으며(수분 흡수율 0.02%/중량, 30일 기준), 고온 안정성 양호, 접착력 탁월하며, 수축성 낮은, 내화학성과 자외선에 대한 탁월한 저항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2액형 우레탄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로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 트를 사용 직전에 배합하여 사용하며, 구성물질의 분자량, 경화제의 구체적인 성분 및 첨가량에 따라 가사시간, 경화 시간, 경화 후의 물성에 영향을 받으며, 경화 형태에 따라 용제형과 습기 경화형으로 분류되지만, 본 발명은 습기 경화형을 사용함으로써 용제 미사용에 의한 환경 친화적이며, 사슬확장제로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등을 첨가하여 점도를 조정할 수 있고, 접착력이 강하면서 반응시에 부생성물이 없고, 상온에서 경화하며, 유연성이 좋으므로 내충격성 탁월하고,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혼합 후 가사시간(pot-life)이 습기 경화형의 경우 약 1~2시간이라고 알려져 있다.
아무튼 상기와 같이 준비된 묶음판재(11)를 두 개 준비한 뒤, 두 개의 묶음판재(11) 사이의 가장자리부에 묶음연결판재(12)를 이용하여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각형지주(13)를 제조하게 된다.
즉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2)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1)로 묶음연결판재(12)를 형성하되, 두 개의 묶음판재(11)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묶음연결판재(12)가 접착제와 양끝못(2)에 의해 두 개의 묶음판재(11) 사이에 부착 고정되어 각형지주(13)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와 같이 각형지주(13)도 가압한 상태에서 접착제가 굳을 때까지 양생하여 접착제에 의해 모든 구성요소가 접착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형지주(13)를 형성한 뒤, 초기지주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각형 지주(13)를 절삭하여 초기지주(10a)로 형성한다.
초기지주(10a)는 표면을 처리하지 않은 목재지주(10)로서 목재지주(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와 같이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의 양끝못(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다른쪽 단부가 무디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1) 사이사이와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 사이사이를 부착할 때, 아래쪽 기초판재(1)에 양끝못(2)의 무딘 부위를 박아놓은 뒤에 위쪽 기초판재(1)를 아래로 눌러서 양끝못(2)의 뾰족한 부위를 박게 된다.
특히 다수의 기초판재(1)를 더욱 견고하게 상호 고정하여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1)의 한쪽 측면에 ㄷ자 형상의 다수의 못(3) 또는 스테플러(미도시)를 박아서 각각의 기초판재(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는 ㄷ자 형상의 못 등의 방식 이외에도 다수의 기초판재(1)를 더욱 견고하게 상호 고정하여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1)의 한쪽 측면에 다수의 보강판체(4)를 배치한 뒤, 상기 보강 판체(4)를 통하여 다수의 기초판재(1)의 측면에 일반적인 못(5)을 각각 박아서 다수의 기초판재(1)의 측면에 다수의 보강판체(4)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 사이에는 접착제와 양끝못(2)에 의하여 접착 고정되는 것이어서,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의 양단부에 ㄷ자 형상의 못(3) 또는 스테플러를 박아서 묶음판재(11)와 묶음연결판재(12) 사이의 양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못(3,5)이나 보강판체(4)는 초기지주(10a) 등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표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초기지주형성단계의 초기지주(10a)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초기지주(10a)의 표면을 연마 또는 사포질하며, 마무리단계에서는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초기지주의 표면에 락커로 코팅 또는 도포한 뒤에 건조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락커는 건조 속도가 빠르고, 경도, 내유성, 내구성이 우수한 니트로셀룰로스(NC) 락커(Nitrocellulose Lacquer)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락커는 1회 도장으로 얻는 도막 두께가 얇아서 락커칠과 건조를 다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말레인산 수지를 사용하게 되고, 가소제로는 푸탈산디부틸과 푸탈산디옥틸을 사용하고, 용제로는 케톤, 에스테르,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다수의 기초목재(1)로 완성된 목재지주(10)를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각형지주의 제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기초판재의 부착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지주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다수의 기초판재 등을 한층더 견고하게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초판재 2 : 양끝못
3,5 : 못 4 : 보강판체
10 : 목재지주 10a : 초기지주
11 : 묶음판재 12 : 묶음연결판재
13 : 각형지주

Claims (3)

  1. 목재지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긴 길이의 직각 사각형 단면을 보유한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판재를 형성하는 묶음판재준비단계;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아울러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에 다수의 양끝못으로 적층 고정하여 다수의 기초판재로 묶음연결판재를 형성하되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서 상호 이격 설치되는 두 개의 묶음연결판재가 접착제와 양끝못에 의해 두 개의 묶음판재 사이에 부착 고정되어 각형지주를 형성하는 각형지주형성단계;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의 각형지주를 절삭하여 초기지주로 형성하는 초기지주형성단계; 상기 초기지주형성단계의 초기지주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 또는 사포질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표면 처리된 초기지주의 표면에 락커로 코팅 또는 도포한 뒤에 건조하는 것을 반복하는 마무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의 양끝못의 한쪽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양끝못의 다른쪽 단부가 무디게 형성되어,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 사이사이와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 사이사이를 부착할 때, 양끝못의 무딘 부위를 박아놓은 뒤에 양끝못의 뾰족한 부위를 박히게 하며,
    상기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의 양단부에 ㄷ자 형상의 못 또는 스테플러를 박아서 묶음판재와 묶음연결판재 사이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의 한쪽 측면에 다수의 보강판체를 배치한 뒤, 상기 보강판체를 통하여 다수의 기초판재의 측면에 못을 각각 박아서, 상기 묶음판재를 구성하는 기초판재 또는 상기 묶음연결판재를 구성하는 기초판재를 보강판체로 각각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판재준비단계와 각형지주형성단계에서 다수의 기초판재의 한쪽 측면에 ㄷ자 형상의 다수의 못 또는 스테플러를 박아서 각각의 기초판재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090123782A 2009-12-14 2009-12-14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KR10097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82A KR100975338B1 (ko) 2009-12-14 2009-12-14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782A KR100975338B1 (ko) 2009-12-14 2009-12-14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38B1 true KR100975338B1 (ko) 2010-08-12

Family

ID=4275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782A KR100975338B1 (ko) 2009-12-14 2009-12-14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048A (ko) 2016-05-17 2016-06-07 이남희 난간용 목재 지주
KR20160064049A (ko) 2016-05-17 2016-06-07 이남희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296389B1 (ko) 2021-05-04 2021-09-02 우리산업 주식회사 건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목재데크난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606A (ja) * 2005-05-02 2006-11-09 Masao Masuda 木質系の柱又は梁等の構造材
KR20080088280A (ko) * 2007-03-29 2008-10-02 백한기 천연나무소재의 가로등지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606A (ja) * 2005-05-02 2006-11-09 Masao Masuda 木質系の柱又は梁等の構造材
KR20080088280A (ko) * 2007-03-29 2008-10-02 백한기 천연나무소재의 가로등지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048A (ko) 2016-05-17 2016-06-07 이남희 난간용 목재 지주
KR20160064049A (ko) 2016-05-17 2016-06-07 이남희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296389B1 (ko) 2021-05-04 2021-09-02 우리산업 주식회사 건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목재데크난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940102C2 (de) Verfahren zum Beschichten mit dünnen Natursteinschichten
US20120011793A1 (en) Adhesion Enhanced Insulated Framing Member
KR100975338B1 (ko) 목재지주의 제조방법
Jang et al. Lateral resistance of CLT wall panels composed of square timber larch core and plywood cross bands
KR20160074980A (ko) 박형 강판을 적층한 보강 교차집성판
DE413437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selbsttragender natursteinverbundplatten
EP1546483B1 (en) Wood strand board
JP2000160766A (ja) 建築物用構造材
KR100367680B1 (ko) 원통형 구조용 집성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5157414A (ja) 木質化粧単板の製造方法
US20050202226A1 (en) Wooden eleme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2072913B1 (ko) 수직격막부재용 다중접합 구조용 집성판,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집성판의 접합방법
US20120237720A1 (en) Bamboo composite timbers
AU2016200381B2 (en) Method of assembling a building component
KR102183842B1 (ko) 단판적층재를 사용한 조경재의 제조방법
JP2011140219A (ja) 集合材による柱・梁・土台・外構用角材
AU2019283793A1 (en) A Structural Laminated Post
KR20130021264A (ko) 구조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NZ760241B2 (en) A Structural Laminated Post
NZ771690B2 (en) A Structural Laminated Post
US20240149558A1 (en) Hempcrete Wallboard Panel
NZ760241A (en) A Structural Laminated Post
KR20210064877A (ko) 내부 중공부를 갖는 구조용 목재지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
FI57640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ytbaerande byggelement foeretraedesvis byggblock
RU26480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