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893B1 - 스킨 보습기 - Google Patents

스킨 보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893B1
KR100974893B1 KR1020070128335A KR20070128335A KR100974893B1 KR 100974893 B1 KR100974893 B1 KR 100974893B1 KR 1020070128335 A KR1020070128335 A KR 1020070128335A KR 20070128335 A KR20070128335 A KR 20070128335A KR 100974893 B1 KR100974893 B1 KR 10097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uide
skin
stea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349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7012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8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과 쿨 에어를 이용한 스킨 보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에 송풍방식의 에어 쿨러를 장착한 스킨 보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킨 보습기{skin moistur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과 쿨 에어를 이용한 스킨 보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에 송풍방식의 에어 쿨러를 장착한 스킨 보습기에 관한 것이다.
스킨 보습기는 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스팀을 피부에 분사함으로써 피부의 모공 및 땀구멍을 확장시켜 피부의 분비물과 노폐물이 용이하게 피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유형의 스킨 보습기로서, 특허문헌1(한국등록특허 제501149호) 및 특허문헌2(한국등록특허 제521641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스킨 보습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얼굴 및/또는 피부 표면에 음이온 스팀 샤워기능을 제공하도록 미용기 본체(10)에 음이온 토출구(11)와 스팀 토출구(12)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피시술자의 얼굴 또는 피부 표면에 접촉시켜 모공을 축소시키기 위한 쿨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쿨 패터(13)를 구비한다. 음이온 스팀의 토출로 인한 얼굴 또는 피부 표면의 습도 정도 를 측정하기 위해 습도감지센서(14)와, 상기 습도감지센서(14)에 의해 측정된 습도를 수치화하며 디지털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콤(MICOM;미도시)과, 그리고 상기 마이콤에 의해 환산된 습도값을 사용자 또는 피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15)을 구비한다. 상기 습도감지센서(14)는 보다 정확한 습도 측정을 위해 쿨 패터(13) 상단에 형성된 터치부(16)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미설명된 부호 "19"는 '폐증류수 수거함'을 나타낸다.
그런데, 특허문헌1의 쿨 패터(13)는 피시술자가 손잡이(17)를 잡고 피부에 터치부(16)를 대고 사용한 후 전원 잭을 뺀 후 서랍이나 다른 보관함에 두었다가 사용할 때 다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쿨 패터(13)는 피부에 문지르는 타입이기 때문에, 냉자극 영역이 좁아 오랜 시간이 걸리고, 터치부(16)가 피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열전달에 따른 냉각 정도가 떨어져 모공 축소 기능이 미약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스팀토출구(12)가 본체(10)의 정면에서 피시술자의 스킨 정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을 인가한 직후 스팀이 바로 얼굴로 토출하는 경우 준비되지 않은 피시술자가 깜짝 놀라거나 너무 가까이에 대고 있는 경우 데일 우려가 있다.
또한, 스팀토출구(12)는 사용하거나 하지 않거나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먼지 등이 쌓일 우려가 있다.
또한, 스팀토출구(12)가 고정형이기 때문에, 한쪽 방향으로만 토출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스팀토출구(12)의 주변에 음이온 토출구를 두고 있지만, 아로마테라 피(향기나는 식물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향기요법)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2의 스킨 보습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보조물통(20)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는 외부 케이스(12) 내에 메인 물통(미도시)과, 히터와, 분사구(미도시)를 가진다. 보조 물통(20)은 종래의 급수용 보조 물통 및 드레인 물통을 대체하여 이 둘의 역할을 겸하는 것이다. 즉, 급수시에는 보조 물통(20)을 메인 물통의 급수구에 연결하여 보조 물통(20)의 물을 메인 물통으로 공급하고, 배수시에는 보조 물통(20)을 메인 물통의 배수구(152)에 연결하여 메인 물통에 남아 있는 잔수를 보조 물통(20)으로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메인 물통의 배수구(152)는 종래와 달리 메인 물통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2)의 상면 후부에 보조 물통(20)이 수용되는 수용홈부(16)가 형성된다.
이처럼, 히터탱크인 메인 물통은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있는 반면에 급수탱크인 보조물통은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메인 물통이 케이스(12) 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꺼내기 어려워, 메인 물통의 열판의 세척이 매우 곤란하여 물의 찌꺼기 등이 쌓일 경우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토출구를 막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물통에 남은 물은 배수구(152)를 통해 메인물통으로 드레인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떨어진 상태에서 냉자극 영역을 넓힐 수 있어 쿨 에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공 축소 작용도 신속히 행해질 수 있는 스킨 보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스킨 보습기는,
쿨 에어를 토출하는 스킨 쿨러를 포함하는 스킨 보습기로서, 상기 스킨 쿨러는, 에어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에어흡입부와, 상기 에어흡입부로부터 쿨 에어를 흡입하여 쿨 에어를 토출하는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연풍 송풍방식으로 쿨 에어를 토출하기 때문에, 떨어진 상태에서 냉자극 영역을 넓힐 수 있어 쿨 에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공 축소 작용도 신속히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스킨 보습기는,
상기 에어흡입부는, 에어 흡입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에 수납되는 필터 및 아이스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터와 아이스팩의 보수나 교체 등과 같은 메인터넌스가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스킨 보습기는,
상기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쿨 에어 인렛과 쿨 에어 아웃렛을 갖는 쿨링 가이드와, 상기 쿨링 가이드의 내부에 탑재되는 팬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스킨 보습기는,
상기 쿨링 가이드는 좌우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 가이드의 각각 인렛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인모터의 탑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쿨링 가이드의 인렛이 필터커버를 수용 지지하는 기능을 하여 콤팩트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스킨 보습기는,
스팀을 토출하는 스킨 스티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킨 스티머와 스킨 쿨러는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스킨 스티머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와, 스팀토출어셈블리와, 상기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토출어셈블리로 안내하는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히터탱크와 급수탱크를 하나로 구현하여 열판 내에 쌓이 는 이물질 등의 청소가 쉽고 급수 및 배수도 또한 대단히 편리하다.
본 발명에 관한 스킨 보습기에 의하면, 강제송풍방식으로 쿨 에어를 토출하기 때문에, 떨어진 상태에서 냉자극 영역을 넓힐 수 있어 쿨 에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공 축소 작용도 신속히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한 필터커버에 필터 및 아이스팩이 수납되기 때문에, 필터와 아이스팩의 보수나 교체 등과 같은 메인터넌스가 쉽다.
또한, 히터탱크와 급수탱크를 히터급수탱크 하나로 구현하여, 열판 내에 쌓이는 이물질 등의 청소가 쉽고 급수 및 배수도 대단히 간편히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킨 보습기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팀토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좌측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킨 보습기는 하우징(100), 이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스킨 스티머(300) 및 스킨 쿨러(500)로 구성하여 있다.
하우징(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30)로 구성하여 있다.
베이스(11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어셈블리(9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스위치어셈블리(900)는 마이크로 스위치(910), 스위치 샤프트(930) 및 스위치 홀더(950)로 구성하여 있다.
스위치 샤프트(930)는 베이스(110)의 인출공(111)에 인출되는 인출 샤프트(931)와, 인출 샤프트(9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933)와, 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910)의 단자(911)를 on/off시키는 단자on/off돌기(935)로 구성하여 있다.
스위치 홀더(950)는 베이스(110)의 체결편(113)에 피스(960)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951)과, 가이드 샤프트(933)를 안내하는 안내공(953)이 형성된 평판(955)과, 상기 마아크로 스위치(910)의 지지공(913)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지지돌기(957)가 형성된 수직판(958)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933)에는 스프링(940)이 장착되어, 단자on/off돌기(935)과 평판(955) 사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위치 샤프트(930)가 스프링(940)을 압축한 상태로 위로 올라가 있다가 베이스(110)가 바닥에서 떨어지면, 스위치 샤프트(930)가 스프링(94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면서 단자on/off돌기(935)가 마이크로 스위치(910)의 단자(911)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전원을 off시켜 모든 작동(스팀 또 는/및 냉풍)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잡고 넘어지는 경우 스팀이 얼굴에 가까이 쏘여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93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이 형상의 돌기(933a)가 형성되고, 안내공(953)에는 돌기(933a)가 배치되는 요홈(95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후술될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550)가 장착된다.
케이스(130)는 바디(140)와, 바디(140)의 좌우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150L,150R)로 구성하여 있다.
바디(1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 스티머(300)가 배치 수납될 수납공간부(141)와, 스킨 쿨러(500)가 배치될 배치공간부(146)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바디(1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전면에서 볼 때 전후방으로 개방되고 측면에서 볼 때 산형으로 되어 있다.
수납공간부(141)는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와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330)가 수납되는 수납홈(142)과, 스팀토출어셈블리(35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144)으로 구성하여 있다.
수납홈(142)의 하부(143)의 하면에는 단자인 어댑터(320)가 장착된다. 이 어댑터(320)는 스킨 스티머(300)가 수납홈(143)에 장착되면 히터콘트롤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납홈(142)의 하부(143)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트 홀(14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벤트홀(143a)은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히터콘트롤러(미도시)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디(140)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버튼 어셈블리(800) 및 동작 버튼의 조작을 표시하는 조작표시부 어셈블리(850)가 장착되어 있다.
동작 버튼 어셈블리(800)는 핫 동작 버튼(810)과 쿨 동작 버튼(830), 이들 버튼(810)(830)을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840)로 구성하여 있다.
조작표시부 어셈블리(850)는 LED 인디케이터(851)와 이 인디케이터(851)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PCB(853)로 구성하여 있다.
스킨 스티머(300)는 스팀을 토출하여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스킨 스티머(300)는 케이스(13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140)의 수납공간부(14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스킨 스티머(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와,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를 커버하는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330)와,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330)에 장착되는 스팀토출어셈블리(350)로 구성하여 있다.
본 실시예의 스킨 스티머(300)에서,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는 히터탱크와 급수탱크를 하나로 구현한 구성이다.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는 물을 급수할 수 있는 히터급수탱크바디(311), 상기 히터급수탱크바디(311)의 바닥을 구성하는 열판(313), 상기 열판(313)의 하면 에 장착되는 히터콘트롤러(미도시)로 구성하여 있다. 히터콘트롤러(미도시)는 어댑터(3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장치로서, 커피포트를 어댑터(320) 위에 올려놓으면 커피를 끓일 수 있는 원리와 같은 유형이다.
히터급수탱크바디(311)의 외주면에는 리브(312)가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312)는 사람이 손을 잡을 때 열접촉을 적게 하여 화상 등의 위험을 줄인다. 따라서,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를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330)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다.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330)는 상기 히터급수탱크바디(311)에 체결되는 커버로서, 히터커버(331)와 히터바디커버(333)로 구성하여 있다.
히터커버(331)에는 히터바디커버(333)가 장착될 장착플랜지(3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플랜지(332)는 후술될 히터 어퍼 커버(370)에 장착된다.
히터 어퍼 커버(370)의 배면에는 핸들(373)이 설치되어, 핸들(373)을 잡고 들거나 내려놓으면 스킨 스티머(300)가 손쉽게 바디(140)에 착탈 될 수 있다.
히터커버(331)의 관통부(331a)에는 히터바디커버(333)가 장착된다.
히터바디커버(333)에는 스팀을 스팀토출어셈블리(350)로 안내하는 튜브(335)가 설치된다. 히터바디커버(333)는 발생한 스팀을 수렴하여 튜브(335)로 유동시킨다.
스팀토출어셈블리(350)는 스팀토출구(351), 이 스팀토출구(351)가 형성된 선회관축(353), 이 선회관축(353)의 일단과 튜브(335)를 접속하는 접속관(355)으로 구성하여 있다.
선회관축(353)은 히터 어퍼 이너(340)의 선회홈(341)에 선회 가능하게 놓인다.
접속관(355)은 히터 어퍼 이너(340)에 스크류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히터 어퍼 이너(340)는 히터 어퍼 커버(370)에 스크류 등으로 체결 고정되어, 히터 어퍼 커버(370)의 개구(371)를 막는다.
또한, 히터 어퍼 이너(340)에는 전면도어(380)가 비사용시 수납되는 수납공간(343)을 형성한다.
전면도어(38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토출구(351)가 삽입된 채 선회관축(353)에 장착되어 있다.
전면도어(380)의 상면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탄성날개(3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날개(381)의 자유단은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탄성날개(381)는 전면도어(380)가 개방된 상태에서 히터 어퍼 이너(340)의 수납공간(343)의 벽(345)에 대해 가압하기 때문에 전면도어(380)의 선회한 위치가 흔들리지 않고 잘 잡아준다.
또한, 전면도어(380)가 닫혔을 때 록킹하는 록킹부재(3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재(39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도어(380)의 하면에 형성된 숫록킹부(391)와, 히터 어퍼 이너(340)의 벽(345)에 설치된 암록킹부(393)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전면도어(380)가 닫힌 상태를 그대로 잘 유지한다.
또한, 전면도어(380)가 열려 개방된 경우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어셈블리(700)가 바디(1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원스위치어셈블리(70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40)의 좌측벽(148)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전원스위치어셈블리(700)의 푸쉬버튼(710)은 좌측벽(148)에 형성된 인출공(720)에 인출된 채 고정된다.
한편, 푸쉬버튼(710)과 상호 작용하는 캠부(360)가 선회관축(353)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다.
캠부(36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캠면을 가지며, 히터 어퍼 커버(370)의 측벽에서 바깥으로 인출되어 있다.
캠부(36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버튼(710)의 비작동 캠부(361)와 작동 캠부(363)로 나누어진다.
비작동 캠부(361)는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캠경사면(361)을 가지고, 작동 캠부(363)는 전원인가 가능한 일정한 높이의 캠평면(36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평면은 전면도어(380)가 선회한 위치 결정에서 미끄러지 않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따라서, 전면도어(380)가 선회할 때 캠부(360)도 선회하는데, 비작동 캠부(361) 영역에서의 선회는 푸쉬버튼(710)이 작동되지 않고, 작동 캠부(363) 영역에 들어오면 푸쉬버튼(710)이 작동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이처럼, 전면도 어(380)를 바로 열었을 때 전원을 인가하지 않기 때문에, 스 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도어(380)의 비사용시에는 닫혀있기 때문에, 스팀토출구(35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일 우려가 없다.
또한, 전면도어(380)가 작동 캠부(363)의 영역 내에서 선회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전원스위치어셈블리(700)는 바디(1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사이드 커버(150L)에 의해 마감된다.
따라서, 좌측 사이드 커버(150L)의 착탈에 의해 전원스위치어셈블리(700)의 부품 설치 및 검사가 용이하다.
물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우측 사이드 커버(150R)도 바디(1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550)의 검사가 용이하다.
한편, 전면도어(380)의 전방에는 오일 필터 수용 어셈블리(6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필터 수용 어셈블리(6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을 함유한 필터(660)를 수용하는 수용캡(630)과, 수용캡(630)을 지지한 채 전면도어(380)에 결합되는 지지커버(610)로 구성하여 있다.
오일함유필터(66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로마 등을 침지한 볼을 사용하거나 스펀지가 사용될 수 있다.
수용캡(630)은 오일함유필터(660)가 수용되는 필터수용커버(640)와 이 필터수용커버(640)의 후방을 막는 필터백커버(650)로 구성하여 있다.
필터백커버(650)에는 결합돌기(651)가 형성되고, 필터수용커버(640)에는 결합돌기(651)가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캡(630)의 중심에는 관통공(643)(65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캡(630)의 외주면에는 스팀이 통과할 스팀통과공(645)(655)이 형성되어, 스팀에 오일이 함유한 채 토출하여, 아로마테라핀 효과를 주도록 한다.
지지커버(610)는 수용캡(630)을 수용하는 수용캡수납홈(617)이 형성된 전면판(611)과, 전면판(61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전면도어(380)에 결합되는 결합다리(613)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캡수납홈(617)의 내부에는 중공관(619)이 형성되고, 이 중공관(619)이 수용캡(630)의 관통공(643)(65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 중공관(619)을 통하여 스팀만 토출한다.
수용캡수납홈(617)의 배면에는 스팀분배관(616)이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배관(616)은 외주면에 슬롯(616a)이 형성되어, 스팀분배관(616)의 중심과 슬롯(616a)을 통해 스팀이 토출된다.
스팀분배관(616)의 중심으로 토출되는 스팀은 스팀으로만 토출될 확률이 높고, 스팀분배관(616)의 슬롯(616a)을 통해 토출되는 스팀은 관통공(617a)과 관통공(612)을 거쳐 나가게 된다.
관통공(617a)을 거치는 스팀은 스팀통과공(645)(655)을 향하기 때문에 오일을 함유한 채 토출하고, 관통공(612)을 거치는 스팀은 스팀으로만 토출하되, 넓은 분포로 확산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필터수용커버(640)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연장돌기(614)가 형성되고, 수용캡수납홈(617)에는 후방연장돌기(614)가 삽입 관통되어 지지되는 삽입관통지지공(61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뒤에서 후방연장돌기(641)를 앞으로 밀면 쉽게 빠져나오게 되어 취급이 편리할 뿐 아니라, 후방연장돌기(641)가 좌우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삽입관통지지통(6180)에 가해져 스스로 이탈될 우려를 억제한다.
결합다리(613)에는 결합돌기(615)가 형성되고, 전면도어(380)에는 결합돌기(615)가 걸리는 결합공(38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다리(613)도 후방연장돌기(641)와 마찬가지로 좌우로 벌어지려는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다리(613)를 좌우 안쪽으로 누르면, 결합돌기(615)가 결합공(385)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도어(380)에는 결합다리(613)의 상하를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편(38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도어(380)에는 스토퍼(38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가이드편(383)과 스토퍼(384)의 구성에 의하여, 결합돌기(615)가 결합공(385)에 신속 정확하게 안내한다.
한편, 스팀 사용 후 넓어진 모공을 냉자극으로 축소시키는 스킨 쿨러(500)가 하우징(50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킨 쿨러(500)를 사용할 때 꺼내고 비사용시 별도로 보관하는 등의 불편함을 없앤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 쿨러(500)는 케이스(130)의 배면에 배치되는 에어흡입부(510)와, 케이스(130)의 전면에 형성되는 쿨 에어 토출그릴어셈블리(580)와,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550)로 구성하여 있다.
에어흡입부(510)는 에어 흡입그릴(520a)이 형성된 필터커버(520)와, 흡입되는 에어를 필터링하는 필터(530) 및 흡입된 에어를 시원하게 하는 아이스팩(540)으로 구성하여 있다.
필터커버(520)에는 필터(530) 및 아이스팩(540)이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홈(521)(5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커버(520)는 쿨링 가이드(560)의 인렛(561) 내부에 서랍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필터커버(520)의 좌우 측면에는 가이드(525)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525)에는 결합홈(5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55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되는 쿨링 가이드(560L)(560R)와, 쿨링 가이드(560) 내부에 탑재되는 흡인모터(570)로 구성하여 있다.
쿨링 가이드(560)의 인렛(56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525)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56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563)에는 결합홈(527)이 결합되는 결합돌기(567)가 형성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레일(563)의 도입부(565)는 진입되는 방향으로 수렴되게 경사져 있어, 필터커버(520)를 끼울 때 가이드(525)가 가이드레일(563)에 신속 정확하게 안내한다.
이처럼, 분할 쿨링 가이드(560)의 인렛(561)에 가이드레일(563)을 형성함으로써, 성형이 용이하고 전체적인 부품 수를 줄여 콤팩트화 할 수 있다.
쿨 에어 토출그릴어셈블리(580)는 바디(140)의 배치공간부(146) 상부를 덮는 쿨 바디 커버(581)와, 쿨 바디 커버(581)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그릴(583)으로 구성하여 있다.
토출그릴(583)은 쿨링 가이드(560)의 아웃렛(563L)(563R)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킨 쿨러(500)는 자연 냉풍을 피부에 쬐어주기 때문에, 아이스팩(540)을 거쳐 나온 쿨 에어 자체 온도 그대로 전달되어 냉자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자연 냉풍을 피부에 쬐기 때문에 냉자극 범위가 넓어 빠른 시간에 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핫 동작 버튼(810)을 누른다. 이 상태에서는 스팀이 작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면도어(380)를 누르면 록킹이 풀리면서 앞으로 약간 튀어나온다. 이 튀어나온 전면도어(380)를 위로 일정각도로 선회시키면, 캠부(360)가 비작동영역(361)에서 작동영역(363)으로 바뀌면서 전원스위치버튼(710)을 누르면, 작동표시 램프가 가동되며 어댑터(320)에 전원이 인가된다.
어댑터(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히터콘트롤러(미도시)의 히터를 작동하여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310)의 물을 순간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스팀을 스팀토출어셈블리(350)의 스팀토출구(351)를 통해 분사한다.
이때, 아로마테라피와 같은 향기치료요법을 부가하고자 할 때에는 오일필터어셈블리(600)를 전면도어(380)에 장착하면 된다.
스팀을 다 사용한 후(즉 수분공급효과가 충분히 달성한 후), 전면도어(380)를 반대로 선회시켜 닫으면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핫동작버튼(810)을 off한다.
그 다음 넓어진 모공을 축소하기 위해 쿨 동작 버튼(830)을 on하면, 흡인모터(570)가 작동하여 에어를 에어흡입부(510), 쿨링 가이드(560) 및 토출그릴(583)을 통해 쿨 에어를 분사한다.
이처럼, 스킨 케어를 모두 마친 후에는, 남아있는 물을 배수하거나 열판을 세척하기 위해 스킨 스티머(300)를 들어서 꺼내면 된다. 이때 스킨 스티머(300)가 바디(140)로부터 벗어나면, 장착되기 전까지 핫동작버튼(810)과 전원스위치(700)가 on되더라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별도의 안전스위치(베이스에 있는 안전스위치와 마찬가지로)가 수납홈(142)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 스티머(300)가 꺼내진 후, 히터 어퍼 커버(370)와 히터 바디(312)를 잡고 돌리면 나사가 풀린다.
분리된 히터 바디(312)의 내부에 있는 남은 물을 배수하고, 열판(333)을 세척한 후 다시 조립하여 바디(140)에 장착해두면 된다.
이처럼, 히터탱크와 급수탱크를 하나의 히터급수탱크로 구현하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급수나 열판의 세척 등이 매우 편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과 냉풍으로 피부 미용하는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베이스
130 : 케이스 140 : 바디
150,150L,150R : 사이드 커버 300 : 스킨 스티머
310 :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 311 : 히터급수탱크바디
312 : 리브 313 : 열판
330 :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 350 : 스팀토출어셈블리
351 : 스팀토출구 353 : 선회관축
380 : 전면도어 500 : 스킨 쿨러
510 : 에어흡입부 520 : 필터커버
530 : 필터 540 : 아이스팩
550 :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 560,560L,560R : 쿨링 가이드
570 : 흡인모터 580 : 쿨 에어 토출 그릴 어셈블리
600 : 오일필터어셈블리 700 : 전원스위치어셈블리
800 : 동작버튼어셈블리 900 : 안전스위치어셈블리

Claims (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 스팀을 토출하는 스킨 스티머;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되어 쿨 에어를 토출하는 스킨 쿨러;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안전스위치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스위치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스위치, 스위치 샤프트 및 스위치 홀더로 구성되되,
    상기 스위치 샤프트는 상기 베이스의 인출공에 인출되는 인출 샤프트와, 상기 인출 샤프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인출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단자를 on/off시키는 단자on/off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체결편에 피스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공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평판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지지공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수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단자on/off돌기와 상기 평판 사이에 지지되는 스킨 보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쿨러는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배치되는 에어흡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쿨 에어 토출그릴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탑재되는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흡입부는, 에어 흡입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에 수납되는 필터 및 아이스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보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쿨 에어 인렛과 쿨 에어 아웃렛을 갖는 쿨링 가이드와, 상기 쿨링 가이드의 내부에 탑재되는 팬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보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가이드는 좌우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쿨링 가이드의 각각 쿨 에어 인렛의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보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스티머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와, 스팀토출어셈블리와, 상기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히터급수탱크어셈블리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토출어셈블리로 안내하는 히터급수탱크커버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보습기.
KR1020070128335A 2007-12-11 2007-12-11 스킨 보습기 KR10097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35A KR100974893B1 (ko) 2007-12-11 2007-12-11 스킨 보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35A KR100974893B1 (ko) 2007-12-11 2007-12-11 스킨 보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49A KR20090061349A (ko) 2009-06-16
KR100974893B1 true KR100974893B1 (ko) 2010-08-11

Family

ID=4099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35A KR100974893B1 (ko) 2007-12-11 2007-12-11 스킨 보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570B1 (ko) 2012-06-14 2012-09-10 주식회사 모뉴엘 미용 보습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071A (ko) * 1999-07-07 2001-02-05 김규성 냉온찜질이 가능한 냉온풍 발생 장치
KR20040040630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하나정밀 좌훈 및 안면훈증기
KR20050012037A (ko) * 2003-07-24 2005-01-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이온 스팀 피부미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071A (ko) * 1999-07-07 2001-02-05 김규성 냉온찜질이 가능한 냉온풍 발생 장치
KR20040040630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하나정밀 좌훈 및 안면훈증기
KR20050012037A (ko) * 2003-07-24 2005-01-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이온 스팀 피부미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570B1 (ko) 2012-06-14 2012-09-10 주식회사 모뉴엘 미용 보습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49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4248B2 (en) Device for cleaning a hearing aid
EP1607079A1 (en) Steam generator
GB2059258A (en) Sauna etc devices
KR20080100764A (ko) 체모 처리 기구용 건조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US20050274402A1 (en) Cleaning device for an electrical hair removing apparatus
KR100946298B1 (ko) 스킨 보습기
EP2377421A1 (en) Functional beauty applicator using cold steam
US7930836B2 (en) Drying system for a hair removing device
JP2007167436A (ja) 足浴器
US8209878B2 (en) Drying system for a hair removing device
KR100974893B1 (ko) 스킨 보습기
KR100946296B1 (ko) 스킨 보습기
KR100974896B1 (ko) 스킨 보습기
KR100946297B1 (ko) 스킨 보습기
CN212490829U (zh) 一种侧入式砧板消毒机
CN201226935Y (zh) 干式保健洗头机
KR100663966B1 (ko) 이온 방출형의 다기능 발 건조기
JP2007167535A (ja) 足浴器
JP2007167435A (ja) 足浴器
CN214484342U (zh) 一种方便清洁的蒸汽足浴盆
CN2203574Y (zh) 改进结构的电子蒸笼
JP2004321707A (ja) 食器乾燥機
CN219804094U (zh) 一种美容补水装置
CN216147772U (zh) 一种便携式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