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660B1 -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660B1
KR100974660B1 KR1020080046478A KR20080046478A KR100974660B1 KR 100974660 B1 KR100974660 B1 KR 100974660B1 KR 1020080046478 A KR1020080046478 A KR 1020080046478A KR 20080046478 A KR20080046478 A KR 20080046478A KR 100974660 B1 KR100974660 B1 KR 10097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keypad
touch input
touch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594A (ko
Inventor
정윤필
하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4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6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키패드의 변위에 의하여 키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입력부,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전부 또는 일부가 중첩되고, 터치에 의하여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패드 입력부가 중첩되어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키패드 입력과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각각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46478
키패드 입력부, 터치 입력부, 중첩영역, 입력모드 판단부

Description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input mode}
본 발명은 터치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형태에 따라 터치 스크린 모드 또는 터치 키패드 모드를 구분할 수 있는 터치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PDA, PDP,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기계적인 변위에 의하여 ON/OFF 방식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통적인 기계식 키패드 또는 스위치뿐 만 아니라 일반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우스와 같이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볼(Ball) 타입의 고정형 마우스 또는 동작인식 입력부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의 편의와 감도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부로 가장 빨리 진입하고 있는 것은 터치 센서이다. 터치 센서는 사람의 손이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기계식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접촉(터치)에 의해서만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하다. 또한 터치 스크린과 같이 투명한 유리기판에 터치 회로를 인쇄하거나 실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PDA, PDP,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경우 기계식 키패드는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계층이 다양하여 터치 입력에 익숙하지 않거나 터치 입력을 기피하는 사용자가 많다.
또한, 전통적인 키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압력에 의하여 기계식 변위를 발생시켜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반응이 즉각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기계식 변위가 피드백을 주게 되어 더 선호된다.
그러나 동영상, MP3, 인터넷,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키패드의 입력만으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많은 휴대용 기기에는 기계식 키 패드와 터치 패드 등이 병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입력부가 소형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조작에 어려움이 있고, 오동작의 우려가 크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키패드 입력과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각각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외의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모드 인식단말에 있어서, 키패드의 변위에 의하여 키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입력부;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전부 또는 일부가 중첩되고, 터치에 의하여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 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모두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입력모드 인식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패드 입력부가 중첩되어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키패드 입력과 터치 입력을 구분하여 각각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터치 입력부(110)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 디스플레이 패널(130),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일체의 논리연산장치로서 도 1에서 도시된 터치 처리회로(140), 키패드 처리회로(150), 입력모드 판단부(160), 디스플레이 제어부(180), 호스트 프로세서(17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미도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상술한 터치 처리회로(140), 키패드 처리회로(150), 입력모드 판단부(160) 등이 각각의 독립된 논리연산장치로써 각각의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기능에 따라서 별도의 논리연상장 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치 입력부(110)는 박막, 필름 또는 기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100) 또는 스타일러스(미도시)가 터치 입력부(110)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경우 해당 좌표에서 전기전자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터치 입력부(110)의 종류로는 터치 입력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서 저항 방식, 정전용량 방식, 압력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에서는 어떠한 터치 입력부도 적용될 수 있다.
저항방식은 필름형식의 기판위에 가변저항을 격자형으로 설치하여 좌표를 구성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면, 손가락의 접촉만으로도 해당 좌표의 저항이 변화하여 해당 부분에서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가 가변됨으로써 이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비유전율이 300 이상인 사용자의 손가락(100)이 터치 입력부에 접근하면, 유전율이 변화하여 전기신호의 주파수 등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광학방식 이나 초음파 방식의 경우도 단말의 둘레에 광원 또는 초음파 방사부를 미리 설정된 각격으로 설치하여 해당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사용자의 손가락(100) 등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이미지 등을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터치 입력부(11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이 밖에도 다양하나,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터치 입력부(100)의 구성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터치 입력부(110)는 좌표값을 갖는 평면 필름 타입의 저항방식의 필름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100)으로 접촉한 좌표에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 입력부는 이를 구분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는 전통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되는 기계식 스위치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키패드에 형성된 각 키를 누름으로써 패드의 기계식 변위가 발생하고 기계식 변위에 따라 해당 부위가 키패드 배면의 회로장치와 접속되어 신호가 발생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키패드 입력부(120)는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엘라스토머(Elastomer), 박막형 메탈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계적 변위가 발생하여 패드 후면의 접속부가 회로에 닿을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경우에는 모두 본 발명의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는 상술한 터치 입력부와 중첩되어 설치된다. 다만 터치 입력부(110)의 크기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의 크기가 동일하고 완전히 겹쳐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면적 중 일부가 중첩되더라도 본 발명의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키패드 입력부(120)가 터치 입력부(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터치 입력부(1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와 터치 입력부(110)가 각각의 필름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필름이 터치 입력부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경우에도 상술한 중첩에 해당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키패드 입력부상에 저항식 터치 입력부에 사용되는 격자형 회로 패턴을 인쇄하여 터치 처리회로(140)와 연결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일한 패드에 기계식 변위를 발생시키거나 혹은 접촉만을 하는 경우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필름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태양(접촉 또는 기계식 변위를 발생시키는 압력)에 따라 터치 입력신호와 키패드 입력신호를 각각 생성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입력부(110)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가 각각의 필름 형태 또는 보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부(110)와 상기 키패드 입력부(120)를 중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내부에 배치함으로 인하여 각각의 입력부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양 입력부(110, 120)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100)으로 양 입력부(110, 120)의 중첩된 영역에 접촉하거나 혹은 눌러서 키패드 입력부(120)의 변위를 발생시킨 경우, 어떠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구동시킬 것인지 를 판단하여야 한다.
즉, 상술한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에 사용자가 손가락(100)을 이용하여 A 지점(점선으로 표시됨)을 누르거나 혹은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상기 키패드 입력부의 숫자 1을 누른 것인지, 아니면 터치 입력부로써 마우스 클릭을 의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중첩영역에서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가 모두 발생한 경우 이를 키패드 입력신호로 인식한다.
즉, 손가락(100)이 중첩영역 A에서 누름으로써 키패드 입력부(120)의 기계식 변위가 생겨 키패드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는 그 중첩구조 때문에 터치 입력부(110)에서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영역 A는 터치 입력부의 좌표상 X=1, Y=7(도면에서 격자형 무늬의 좌표의 좌하단을 X=0, Y=0이라고 가정함)에 해당하고, 키패드의 위치상 "1"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각각의 신호는 키패드 처리회로(150), 터치 처리회로(140)로 전달되고, 키패드 처리회로(150)는 해당 키인 "1", 터치 처리회로(140)는 "X=1, Y=7"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모드 판단부(160)로 전달한다.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가 모두 전달된 경우 입력모드 판단부(160)는 키패드 입력신호만을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 경우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키패드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30)에는 숫자 "1"이 표시된다.
그러나 중첩영역에서 터치 입력신호만이 발생하여 "X=1, Y=7"에 해당하는 신호만이 터치 처리회로(140)로부터 입력모드 판단부(160)로 전달된 경우, 입력모드 판단부(160)는 이를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디스플레이 패널(130)상에서 "X=1, Y=7"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한다. 포인터는 손가락 또는 화살표 등의 지시용 아이콘을 의미한다.
터치 입력부(110)로부터 발생한"X=1, Y=7"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X=2, Y=7"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손가락이 접촉한 채로 이동한 것이므로 상술한 포인터가 "X=2, Y=7"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즉, 입력모드 판단부(160)는 "X=2, Y=7"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신호를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에 전달하여 포인터가 이동되도록 한다.
다만, "X=2, Y=7"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신호와 "2"에 해당하는 키패드 입력신호가 동시에 발생되어 입력모드 판단부(160)로 전달된 경우에도 입력모드 판단부(160)는 "X=2, Y=7"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신호만을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즉, 이 경우 "2"에 해당하는 키패드 입력신호는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 "X=2, Y=7"에서 무리 한 힘이 가해져 키패드의 기계적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마우스 포인터가 정상적으로 이동(드래그)되도록 한다.
"X=1, Y=7"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X=1, Y=7"에 해당하는 신호가 독립적으로 다시 발생하고 입력모드 판단부(160)가 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터치 입력신호를 호스트 프로세서(17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호스트 프로세서(170)는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의하여 이를 마우스 클릭 동작으로 인식하고 "X=1, Y=7"의 위치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또는 터치 처리회로(140)가 미리 프로그램된 바에 의하여 클릭 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30)상의 "X=1, Y=7"에 상응하는 위치에 MP3 아이콘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우스 포인터가 MP3 아이콘 위에 위치된 후 "X=1, Y=7"에서 터치 신호가 다시 발생하게 되면, MP3 플레이어가 구동될 수 있다. 즉, 마우스를 "더블 클릭"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는,"X=1, Y=7"에 해당되는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유지되면서, 예를 들어"5"과 같이 터치 입력부(110)의 "X=1, Y=7"에서 이격된 거리의 키패드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술한 "더블 클릭"과 동일하게 MP3 플레이어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입력모드를 판단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모드 인식단말에 제어부는중첩 영역에서 발생한 키패드 입력신호 및 터치 입력신호를 동시에 모두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 단계 S200의 판단결과 키패드 입력신호 및 터치입력신호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80). 키패드 입력신호는 발생한 신호에 따라 "1" 등의 숫자 또는 한글 또는 영문의 문자가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 키패드 입력신호와 동시에 수신된 터치 입력신호는 무시된다.
상기 단계 S200의 판단결과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가 모두 수신된 경우가 아니면, 단계 S210로 진행하여 터치입력신호만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단계 S210의 판단결과,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가 아니라면, 키패드 입력신호만이 발생하여 수신된 경우이므로 제어부는 단계 S280와 같이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미도시).
그러나 단계 S210의 판단결과,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디스프플레이 패널상의 해당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한 좌표와 대응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20).
이 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터치 입력신호의 좌표이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230). 제어부는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좌표의 이동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출력된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240). 즉, 제어 부는 마우스 드래그(Drag)동작으로 인식하여 포인터를 화면상에서 이동시킨다.
그러나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단계 S200에서 수신한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한 좌표와 동일한 좌표에서 터치 입력신호를 재수신한 경우, 즉 동일한 좌표에서 터치 입력신호를 2회 이상 연속으로 수신한 경우, 단계 S250의 판단을 거쳐 포인터가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도록 제어한다(S27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이를 더블클릭으로 인식하여 MP3 플레이어가 작동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단계 S200에서의 터치 입력신호가 계속 입력되고, 다른 좌표의 키패드 입력신호가 발생하여 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단계 S260의 판단을 거쳐 포인터가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도록 한다(S270).
상술한 알고리즘에 의하면 터치 입력부(110)와 키패드 입력부(120)가 중첩되어 있거나 하나의 필름에 동시에 구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입력형태에 따라 키패드 입력인지 터치 입력인지를 인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가락을 접촉만을 시켜 키패드의 기계적 변위 를 발생시키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우측으로 이동(100에서 101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포인터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가락이 우측으로 이동되는 중 키패드의 "2" 또는 "3"부분에 기계적인 변위가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도 2에서 설명한 단계 S240의 수행에 의하여 포인터가 이동할 뿐 디스플레이 패널에 "2" 나 "3"이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손가락(110)을 좌측 상단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 중앙의 5부분에 기계적 변위가 생기게 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MP3)가 동작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별도의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을 구비한다.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의 위치는 단말의 측면이나 전면 등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사용자의 입력 태양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바에 의하여 터치 입력신호로 처리할 것인지, 키패드 입력신호로 처리할 것인지를 인식하였으나, 사용자에 따라서 이를 수동모드로 전환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홀드 키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사이드 키나 별도의 모드 변경키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별도의 버튼식 키뿐만이 아니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 메뉴를 통하여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용하여"환경설정" 메뉴내의 "입력모드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출력시킨다. 이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포인터가 "키패드 모드 전환"을 가리키는 지점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2회 이상의 접촉이 생기면(더블 클릭) 이후 키패드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키패드 입력모드로 구동되는 상태에서도 환경설정" 메뉴내의 "입력모드설정" 메뉴로 진입하여 "터치 모드 전환"을 선택하여 사용자가"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터치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의 홀드 키(400) 또는 도 5에서 설명한 소프트 메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신호의 발생을 홀드 시키거나 키패드 모드로 전환시킨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의 기계적 변위가 생겨 키패드 입력신호가 발생될 정도로 누르지 않고 접촉만 한 경우엣도 터치 입력신호에 반응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홀드 키(400) 또는 도 5에서 설명한 소프트 메뉴를 이용하여 키패드 입력신호를 홀드 시키거나 터치 입력 모드로 전환시킨 경우, 반대로 기계적 변위가 생기도록 키패드를 누르더라도,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여 동작하지 않는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단계 S200에서 단계 S280로 진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키패드 입력신호를 홀드 시킨 경우에도 키패드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을 누르게 되면 홀드 키를 이용하여 키패드 입력신호의 홀드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키패드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술한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의 입력형태에 따라서 입력모드가 일시적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입력에 따라 키패드 입력신호만이 처리되도록 설정된 상태를 가정하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터치 입력신호를 통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키패드 및 터치패드 중첩영역에 접촉시키거나 중첩영역을 누르게 되면, 일시적으로 키패드 입력신호가 아닌 터치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입력모드가 하나의 입력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입력모드 전환버튼(400)을 누름과 동시에 중첩영역에 접촉이나 압력을 가하면 일시적으로 다른 입력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반 PC의 키보드 입력 중 "Shift"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특수기호 등의 입력으로 인식되도록 설정된 것과 동일한 원리가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를 인식하는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입력모드를 판단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모드 인식단말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을 나타낸 도면.

Claims (12)

  1. 입력모드 인식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키패드의 변위에 의하여 키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입력부;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전부 또는 일부가 중첩되고, 터치에 의하여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상기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신호와 구분되는 제2 터치 입력신호 및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를 동시에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동일 좌표에서 터치 입력신호를 2회 이상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상기 좌표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로부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키패드 좌표값을산출하는 키패드 처리회로; 및
    상기 터치 입력부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터치 처리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키패드 처리회로 및 상기 터치 처리회로로부터 상기 키패드 좌표값 또는 상기 터치 좌표값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 또는 상기 터치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에만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모드 전환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이 일시적으로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 또는 상기 터치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에만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입력모드 입력모드 전환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 인식단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되는 소프트 메뉴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 또는 상기 터치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에만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모드전환 버튼에 의하여 상기 키패드 입력부가 홀드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키로부터 키패드 입력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키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단말.
  11.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에 있어서,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한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방법.
  12. 입력모드 인식단말의 입력모드 인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에 있어서,
    키패드 입력부와 터치 입력부의 중첩된 영역에서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한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이전 터치 입력신호가 발생된 좌표와 상이한 좌표에서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 입력신호와 터치 입력신호를 모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터치 입력신호만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터치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모드 인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046478A 2008-05-20 2008-05-20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KR10097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78A KR100974660B1 (ko) 2008-05-20 2008-05-20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478A KR100974660B1 (ko) 2008-05-20 2008-05-20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94A KR20090120594A (ko) 2009-11-25
KR100974660B1 true KR100974660B1 (ko) 2010-08-09

Family

ID=4160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478A KR100974660B1 (ko) 2008-05-20 2008-05-20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8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325998Y1 (ko) 2003-06-27 2003-09-13 조요섭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1174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8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325998Y1 (ko) 2003-06-27 2003-09-13 조요섭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1174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594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2174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JP7248640B2 (ja) 複合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が備えられた電子機器
US9891732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JP5295328B2 (ja) スクリーンパッドによる入力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390430B (zh) 用於多輸入的裝置
US20160018911A1 (en) Touch pen
US20090303175A1 (en) Haptic user interface
JP2002123363A (ja) 入力装置
TWI390427B (zh) Electronic device, symbol input module and its symbol selection method
JP2008517363A (ja) バックカバーキーパッドを有する電子ハンドヘルド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関する方法
JP2008517363A5 (ko)
JP6194355B2 (ja) コンピュータと共に用いるデバイスの改良
JP5358392B2 (ja) 入力処理装置
TWI401585B (zh) 具指標器之電子裝置及指標器操作方法
JP2011134258A (ja) 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装置を備えた入力制御装置
KR100974660B1 (ko) 입력모드 인식방법 및 장치
US10338692B1 (en) Dual touchpad system
EP3547091A1 (en)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method,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system and floating touch control electronic device
CN114840075A (zh) 手写笔及终端设备
CN215932596U (zh) 触控感测装置以及电子设备
CN103777783A (zh) 触控鼠标以及使用在触控鼠标中的方法
JP2018180740A (ja) 入力処理装置
KR101715394B1 (ko) 터치 윈도우 유닛을 구비한 장치
JP5758956B2 (ja) 情報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