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65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659B1
KR100974659B1 KR1020080112159A KR20080112159A KR100974659B1 KR 100974659 B1 KR100974659 B1 KR 100974659B1 KR 1020080112159 A KR1020080112159 A KR 1020080112159A KR 20080112159 A KR20080112159 A KR 20080112159A KR 100974659 B1 KR100974659 B1 KR 10097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p context
mobile communication
signal
update request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160A (ko
Inventor
이장원
황성호
박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6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면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SGSN,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는 GGSN, G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IMS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GGSN으로 전송하는 PCR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세션에 대해서는 PCRF가 관리하지 않을 수 있다.
PCRF, IMS, APN, Preserva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Session management method during preservation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는 물론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패킷(Packet)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이른바 3세대(3G, 3rd 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과 다른 망과의 연동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3세대 이동통신망에 관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PCC 표준 구조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라는 과금정책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PCRF는 QoS(Quality of Service) 관리/제공을 위한 정책과 과금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PCRF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으로부터 PDP context가 생성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PCC-Rule(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을 생성하여 GGSN으로 전송한다. 이후, GGSN은 수신한 PCC-Rule을 이용하여 트래픽(traffic)에 대한 자원 할당 및 FBC(Flow Based Charging) 기능(Service Data Flow별 차등과금)을 수행한다.
이러한 PCC-Rule 정보는 PCRF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부에서 제공받은 가입자에게 허가된 서비스의 종류, 가입자에게 허가된 서비스 품질 정보, 가입자의 과금 정보, 가입자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와, 응용장치(AF ; Application Function)로부터 제공받은 휴대용 단말기의 IP 주소, 미디어 타입과 대역폭, 응용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응용장치의 기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 및 GGSN으로부터 요청 받은 휴대용 단말기의 IP 주소, 가입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SGSN 및 GGSN을 통하여 형성된 세션(Session)(또는 PDP context)를 이용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와 호스트 서버(Host server)와의 트래픽(traffic)을 위한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진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로 진입하면 세션은 유지되나, 무선자원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존모드의 경우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이 불필요한 비IMS세션에 대해서는 PCC-Rule이 제공될 필요가 없고, PCRF가 당해 세션(또는 PDP context)을 관리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PCRF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세션 설정 당시에 제공된 PCC-Rule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당해 세션(또는 PDP context)을 관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하여 PCRF가 관리해야 하는 세션(또는 PDP context) 중 불필요한 세션이 존재하여 정작 관리를 필요로 하는 세션의 관리가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특히, IMS 단말기(IP Multimedia Subsystem terminal)의 경우에는 항상 동작 상태(Always-on)를 가정하므로 보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어 더욱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존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세션에 대해서는 PCRF가 관리하지 않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존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세션을 PCRF가 관리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PCRF의 증설과 유사한 용량 증대 효과가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PS망 간에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면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SGSN; 상기 SGSN으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는 GGSN;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IMS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GGSN으로 전송하는 PCRF를 포함하되, 상기 GGSN은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PCC-Rule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SGSN, GGSN 및 PCRF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PS망 간에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패킷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SGSN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면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상기 G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GGSN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PCRF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PCRF가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PCRF가 상기 세션 내에 상기 IMS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G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GGSN이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SDF(Service Data Flow)에 대응되는 PCC-Rule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세션에 대해서는 PCRF가 관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모드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세션을 PCRF가 관리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PCRF의 증설과 유사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100)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Node-B(120), 무선망제어기(이하, RNC(Radio Network Controller)라 칭함)(130), 패킷교환지원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140), 패킷교환관문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150) 및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구조(160)를 포함하며, GGSN(150)은 IP망과 연결된다. 또한, PCC구조(160)는 과금정책처리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60-1), 가입자정보저장장치(이하,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이라 칭함)(160-2) 및 응용장치(이하, AF(Application Function)(160-3)라 칭함)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망(100)은 WCDMA 이동통신망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100)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이동통신망(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Node-B(120)라는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통신망(100)과 연결되며, 여러 개의 Node-B(120)는 RNC(130)에서 관리된다. RNC(130)와 SGSN(140)간에는 I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세션(또는 PDP context) 생성(Generate)/수정(Modify)/삭제(Remove) 등과 같은 제어 메시지는 RANAP 프로토콜이 이용되며, 생성된 세션(또는 PDP context)을 통해 송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에는 GTP-U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SGSN(140)은 HLR(Home Location Resister)(미도시)과 M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GGSN(160)과 HLR(미도시)간에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M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GGSN(150)은 이동통신 시스템(100)과 IP망(170)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패킷 교환을 지원하는 노드인 SGSN(140)으로부터 오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형식(예: IP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그 역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GGSN(150)은 가입자에게 패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문 역할 을 수행한다.
SGSN(140)과 GGSN(150)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Gn 인터페이스는 GTP-C 프로토콜에 의해서 세션(또는 PDP context) 생성/수정/삭제 등과 같은 세션(또는 PDP context) 관리를 하며, 또한 GTP-U 프로토콜이 이용되어 사용자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GGSN(150)에서 IP망(170)(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 등)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Gi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Gi 인터페이스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GTP-U 메시지를 가공하여 IP망(170)으로 전송하며, G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P망(170)으로부터 들어온 IP 데이터를 각 세션(또는 PDP context) 정보에 알맞은 GTP-U 메시지로 가공하여 Gn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PCC구조(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60-1),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160-2) 및 AF(Application Function)(160-3)을 포함하며, PCRF(160-1)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GGSN(150)과 연결되며, SPR(160-2)에서 기초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정보(Subscription Profile)(이하, 가입자정보라 칭함)를 제공받고, AF(160-3)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 서비스에 대한 정보(이하, 어플리케이션정보라 칭함)를 제공받아 과금정보(PCC-Rule, 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를 생성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자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로서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시간당 및/또는 패킷당 과금에 관한 정보, 및/또는 과금할인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PCC-Rule은 SPR(160-2)에서 제공받은 가입자에게 허가된 서비스의 종류, 가입자에게 허가된 서비스 품질 정보, 가입자의 과금 정보, 가입자 카테고리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정보와, AF(160-3)로부터 제공받은 휴대용 단말기의 IP 주소, 미디어 타입과 대역폭, 응용장치의 기록 정보 및 GGSN(150)으로부터 요청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IP 주소, 가입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정보 등이 이용되어 PCRF(160-1)에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PCRF(160-1)는 당해 가입자정보 및/또는 패킷 서비스 정보 등을 이용하여 당해 패킷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CRF(160-1)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및/또는 단위패킷당 과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과금정보(PCC-Rule)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GGSN(15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을 할 수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과금은 GGSN(150)에 포함된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PCEF(미도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는 패킷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과금내역을 생성할 수 있고, 과금내역에 의하여 실질적인 과금이 이뤄질 수 있다.
SPR(160-2)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정보가 저장되는 장치로서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제공한다.
AF(160-3)은 IMS의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패 킷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일반적인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과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IP망(170) 간에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또는 PDP context)이 설정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패킷이 전송되는 트래픽(traffic) 상태인 것을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패킷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면 RNC(130)는 SGSN(140)으로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되어야 함을 알린다. 여기서, 보존모드는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은 유지되나, 무선자원이 해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후, SGSN(140)은 RNS(130)로 무선자원 해제를 요청하며, GGSN(150)으로 당해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SGSN(140)은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상태임을 알리는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또한, RNC(130)는 SGSN(140)으로부터 무선자원 해제를 요청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한다.
또한,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에 포함된 보존모드알림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임을 인식한다. 이후, GGSN(150)은 PCRF(160-1)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임을 알리는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킨다. 이하, 도 2를 참 조하여, GGSN(150)에서 보존모드발생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PCRF와 GGSN 간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에 대한 AV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GGSN(150)과 PCRF(160-1)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에 대한 파라미터 AVP(Attribute Value Pair) 중 일부가 도시된다. GGSN(150)과 PCRF(160-1)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데,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 되는 메시지는 Gx 프로토콜(Protocol)에 정의된 AVP 형식을 가진다.
Gx 프로토콜에 정의된 바에 따르면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Event Trigger에는 SGSN CHANGE(0) 내지 NO EVENT TRIGGER(14)의 15가지 내용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Event Trigger에는 PRESERVATION CHANGED(즉, 보존모드발생)(15)(210) 및/또는 REACTIVATED CHANGED(즉, 재활성화발생)(16)(220)가 새로 정의된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운영자는 Event Trigger에 PRESERVATION CHANGED(15)(210) 및/또는 REACTIVATED CHANGED(16)(220)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GGSN(150)은 SGSN(140)으로부터 보존모드알림신호가 포함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CCR : Credit Control Request)에 PRESERVATION CHANGED(15)(210)를 내용으로 하는 Event trigger를 포함하여 PCRF(160-1)로 전송할 수 있다. 즉, PRESERVATION CHANGED(15)(210)를 내용으로 하는 Event trigger는 보존모드발생신호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GGSN(150)으로부터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의하여 PCRF(160-1)는 PCC-Rule 삭제 여부를 판단한다.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보존모드발생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관리가 불필요한 세션을 불활성화하기 위한 PCC-Rule 삭제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PCRF(160-1)는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할당된 세션(Session 또는 IP CAN session) 내에 포함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 내 Called-Station-ID AVP값이 IMS 접속포인트정보(예를 들어, IMS APN(Access Point Name)(즉, IP 기반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GGSN의 명칭에 대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PDP context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되더라도 후속될 수 있는 패킷 착신을 위하여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GGSN(150)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하여 Primary PDP context 및 Secondary PDP context를 합하여 총 11개의 PDP context를 지원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세션(Session 또는 IP CAN session) 내에는 복수개(11개 이하)의 PDP context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3GPP release 7 기반의 IMS에서 GGSN(150)은 이동통신 단말기(즉, IMS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IMS APN 여부에 따라서 Primary PDP context 또는 Secondary PDP context가 IMS 전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PCRF(160-1)는 GGSN(150)에서 송달되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 내 Called-Station-ID AVP값이 IMS APN인지 여부에 따라서 Primary PDP context 또는 Secondary PDP context가 IMS 전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세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하더라도 계속 유지되어야 하므로,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GGSN(150)으로 확인응답만을 전송한다.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알림신호에 대응하여 PDP context 업데이트인식신호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
반면, PCRF(160-1)는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IMS호(즉, IMS 서비스를 위한 PDP context)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즉, PCRF(160-1)는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IM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PDP context(이하, IMS호라 칭함)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별도로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PCRF(160-1)가 당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RF(160-1)는 AF(160-3)에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당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PCRF(160-1)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PCC-Rule을 결정(또는 생성)하므로 당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PCRF(160-1)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 IP망(17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라면 당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PCRF(160-1)가 당해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판단 결과, 당해 세션에 IMS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세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하더라도 계속 유지되어야 하므로,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확인응답만을 GGSN(150)으로 전송한다.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PDP context 업데이트인식신호에 긍정신호를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CCA : Credit Control Answer).
반면, 당해 세션에 IMS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세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더 이상 유지될 필요가 없으므로,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당해 세션에 대응되는 PCC-Rule을 모두 삭제하도록 하는 명령(이하, PCC-Rule 삭제명령이라 칭함)을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PDP context 업데이트인식신호에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CCA : Credit Control Answer).
이후,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CCA)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긍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PCC- Rule은 삭제되지 않는다. 반면,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PCC-Rule 삭제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보존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모든 PCC-Rule을 삭제한다.
이에 의하여 보존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위한 세션 중 IMS호가 존재하지 않는 세션은 PCRF(160-1)가 관리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은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에서 다시 활성화되면(Reactivate), RNC(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다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SGSN(140)은 GGSN(150)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시 활성화 모드(Reactivate mode)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GGSN(150)은 해당 PDP context를 실제로 삭제한 상태는 아니지만 기존에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CCR(cc-request-type=termination)으로 전송하였으므로 이번에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CCR(cc-request-type=initial)로 하고 REACTIVATED CHANGED(16)(220)를 내용으로 하는 Event trigger를 포함하여 PCRF(16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시 활성화 모드로 동작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원하는 서비스를 다시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최초 세션 설정의 경우이므로 PCRF(160-1)는 GGSN으로 PCC-Rule 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통신 시스템0(100)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과정을 상세히 보여준다. 여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진입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RNC(130)는 SGSN(140)로부터의 무선 자원 해제 요청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제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계 310에서, SGSN(140)은 GGSN(150)으로 당해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SGSN(140)은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에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상태임을 알리는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단계 320에서,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에 포함된 보존모드알림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임을 인식하고, PCRF(160-1)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임을 알리는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GGSN(150)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30에서, PCRF(160-1)는 PCC-Rule 삭제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33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 중 PCRF에서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PCRF(160-1)는 GGSN(150)으로부터 보존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알리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즉, 보존모드발생신호가 포함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PCRF(160-1)는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할당된 세션 내에 포함된 PDP context에 IMS APN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420).
단계 430에서, PCRF(160-1)는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즉, PCRF(160-1)는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있으면 IMS가 당해 세션 내에 있다고 바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상술한 판단 결과,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지 않고, IMS호도 존재하지 않으면,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당해 세션에 대응되는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PCC-Rule 삭제명령을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CCA : Credit Control Answer).
반면, 상술한 판단 결과,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당해 세션에 IMS APN을 포함하는 PDP context가 존재하지는 않으나 IMS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세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로 동작하더라도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 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확인응답(CCA)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단계 450). 즉, PCRF(160-1)는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에 대응하여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긍정신호를 포함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CCA : Credit Control Answ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50에서,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CCA)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PCC-Rule 삭제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면, 보존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PCC-Rule을 삭제한다. 반면, GGSN(150)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긍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GGSN(150)은 수신된 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에 긍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PCC-Rule을 삭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보존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위한 세션 중 IMS호가 존재하지 않는 세션은 PCRF(160-1)가 관리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은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보존모드에서 다시 활성화되면(Reactivate), RNC(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다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SGSN(140)은 GGSN(150)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시 활성화 모드(Reactivate mode)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GGSN(150)는 PDP context 업데이트알림 신호에 REACTIVATED CHANGED(16)(220)를 내용으로 하는 Event trigger를 포함하여 PCRF(16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시 활성화 모드로 동작됨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원하는 서비스를 다시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최초의 세션 설정 당시에 제공된 PCC-Rule가 변경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PCRF(160-1)가 별도의 PCC-Rule을 결정할 필요가 없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PCRF와 GGSN 간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트리거에 대한 AVP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인 경우의 세션 관리 방법 중 PCRF에서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Node-B
130 : RNC(Radio Network Controller)
140 : SGSN(Serving GPRS Service Node)
150 : GGSN(Gateway GPRS Service Node)
160 :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구조
160-1 :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160-2 :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160-3 : AF(Application Function)
170 : IP 망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와 IMS망 간에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면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전송하는 패킷교환지원노드;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는 패킷교환관문노드; 및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IMS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과금정보삭제명령을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는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과금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상기 세션에 IMS 접속포인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세션 내에 상기 IMS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되,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상기 세션에 상기 IMS호가 존재하면 긍정신호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는 상기 긍정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과금정보를 삭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존모드발생신호는 상기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미리 설정된 보존모드발생(PRESERVATION CHANGED)을 내용으로 하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이동통신 단말기, 패킷교환지원노드, 패킷교환관문노드 및 과금정책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IMS망 간에 패킷 서비스를 위한 세션이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패킷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존모드(Preservation mode)로 동작하면 보존모드알림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업데이트요청신호를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세션 내에 상기 IMS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과금정보삭제명령을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모든 과금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세션 내에 IMS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세션에 IMS 접속포인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세션 내에 상기 IMS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세션에 상기 IMS호가 존재하면 긍정신호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긍정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인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과금정보를 삭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를 연결하는 Gx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 AVP 중 미리 설정된 보존모드발생(PRESERVATION CHANGED)을 내용으로 하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를 상기 보존모드발생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교환관문노드가 상기 보존모드발생신호를 포함시켜 상기 PDP 컨텍스트 업데이트요청알림신호를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KR1020080112159A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KR10097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59A KR100974659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59A KR100974659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60A KR20100053160A (ko) 2010-05-20
KR100974659B1 true KR100974659B1 (ko) 2010-08-09

Family

ID=4227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59A KR100974659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0526B (zh) * 2014-01-14 2019-02-26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上网业务的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976A2 (en) 2006-06-02 2007-12-13 Lucent Technologies Inc. Alerting for long duration se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WO2007149020A1 (en) 2006-06-20 2007-1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ss of signalling bearer trans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976A2 (en) 2006-06-02 2007-12-13 Lucent Technologies Inc. Alerting for long duration sess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WO2007149020A1 (en) 2006-06-20 2007-1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ss of signalling bearer trans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60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3640B (zh) 用于在策略和计费规则功能与服务节点之间传输策略信息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JP5622933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コネクティビティ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セッションの管理
US8923121B2 (en) Control method, system and function entity for reporting bearer event of signaling IP flow
EP2499858B1 (en) Service event trigger
EP2898653B1 (en) Method and node for controlling resources for a media service as well as a correspond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201001860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apabilities of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KR101425327B1 (ko) 다이어미터 세션 검사
EP2997695B1 (en) Advanced policy and charging control methods, network nodes and computer programs for sponsored data connectivity by peers
JP5312576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テザリングされたユーザデバイ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034553A (ko) 이동 통신망에서 과금 시행 처리 장치 및 과금 정책 규칙 설정 방법
JP5581444B2 (ja) 性能向上のためのサービス提供ゲートウェイの管理
JP2014155096A (ja) 通信ポリシルール動的変更システムおよび通信ポリシルールの動的変更方法
KR101051023B1 (ko) 복수 pcrf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46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KR101007369B1 (ko) Pcrf 연동 없는 호 처리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68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간 우선순위 조정 방법
JP2016537853A (ja) データ接続のためのオンデマンドQoS
KR1009933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1009811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577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시간대별 차등과금 제공 방법
KR101769450B1 (ko) Pcrf-pcef 간 베어러 id 유효성 확인을 통한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6206071A1 (zh) 承载绑定的方法和相关设备
KR101024283B1 (ko) Wcdma 데이터호 인증방법
JP2016154389A (ja) 移動パケットコ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セッション終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