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312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312B1
KR100993312B1 KR1020080112163A KR20080112163A KR100993312B1 KR 100993312 B1 KR100993312 B1 KR 100993312B1 KR 1020080112163 A KR1020080112163 A KR 1020080112163A KR 20080112163 A KR20080112163 A KR 20080112163A KR 100993312 B1 KR100993312 B1 KR 10099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p context
mobile communication
support node
packe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163A (ko
Inventor
이장원
황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SGSN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생성하는 GGSN 및 GGSN과 연결되고, G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으면 제1 과금정보(내정된 PCC-Rule)이 아닌 제2과금정보(서비스제한 PCC-Rule)로 변경하며, 제2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GGSN으로 전송하는 PCRF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만 과금이 이뤄질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PDP context, IMS, packet, PCRF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Method for restricting packe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는 물론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패킷(Packet)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이른바 3세대(3G, 3rd 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과 다른 망과의 연동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는 로밍서비스(roaming service)에 의하여 외국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즉, 한국에서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외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한국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로밍서 비스에 의하여 당해 사용자는 한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패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로밍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해외에서 사용자의 설정 또는 서비스의 성질 등에 의하여 이용이 금지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한국의 이동통신망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당해 서비스의 이용 자체는 제한되나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요청이 최종 만료될 때까지 사용자는 장시간 기다려야 하고, 해외에서 해당서비스의 금지사실을 사용자가 모를 경우는 반복적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요청을 시도하게 되므로 당해 서비스 이용을 위한 반복적인 접근 시도트래픽(Traffic)에 대해 과금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는 로밍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로밍서비스가 금지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PDP context 설정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을 한 경우에도 당해 서비스를 위한 세션(또는 PDP context)은 설정이 된 후에 서비스가 금지되기 때문이다. 즉, 세션(또는 PDP context)이 설정되면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에 의하여 과금정보인 PCC-Rule(Policy Charging Control Rule)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의하여 세션(또는 PDP context)이 설정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청한 패킷이 GGSN에 전송되면 당해 패킷을 분석하여 서비스가 금지된 패킷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서비스가 금지된 패킷이라면 GGSN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세션(또는 PDP context)을 삭제한다. 이때, 서비스가 금지된 패킷이라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전송된 것이므로 당해 패킷에 상응하는 과금이 이뤄지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은 국내의 일정한 패킷 서비스 제한 지역에서 제한된 패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PDP context 설정요청을 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했으나, 서비스를 위한 접속에 따른 과금이 이루어지는 불합리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이 불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PDP context 설정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세션(또는 PDP context) 설정이 이뤄지지 않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만 과금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데이터망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생성하는 GGSN 및 상기 GGSN과 연결되고,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으면 제1 과금정보(내정된 PCC-Rule)이 아닌 제2과금정보(서비스제한 PCC-Rule)로 변경하며, 제2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GGSN으로 전송하는 PCRF를 포함하되, 상기 GGSN은 상기 제2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가 수신되면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전송한 다음, 단말로부터 제한서비스에 대한 사용요청이 수신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 안내트래픽을 전송하고, PDP 컨텍스트 삭제응답신호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SGSN, GGSN 및 PCRF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GGSN이 상기 SGS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생성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상기 PCRF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PCRF가 상기 GGSN으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CRF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으면 제1 과금정보(내정된 PCC-Rule)이 아닌 제2과금정보(서비스제한 PCC-Rule)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PCRF가 상기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GGSN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GGSN이 상기 제2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하면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전송한 다음, 단말로부터 제한서비스에 대한 사용요청이 수신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 안내트래픽을 전송하고, PDP 컨텍스트 삭제응답신호를 상기 SGSN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지역에서 이용이 불가능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접근 시도할 경우 해당 요청이 만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안내트래픽 수신을 통해 이용 불가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 시도를 예방함으로써 불필요한 과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만 과금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100)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Node-B(120), 무선망제어기(이하, RNC(Radio Network Controller)라 칭함)(130), 패킷교환지원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140), 패킷교환관문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150) 및 PCC구조(160)를 포함하며, GGSN(150)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과 연결된다. 또한, PCC구조(160)는 과금정책처리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60-1), 가입자정보저장장치(이하,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이라 칭함)(160-2) 및 응용장치(이하, AF(Application Function)(160-3)라 칭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망(100)은 WCDMA 이동통신망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100)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이동통신망(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Node-B(120)라는 기지국을 통하여 이동통신망(100)과 연결되며, 여러 개의 Node-B(120)는 RNC(130)에서 관리된다. RNC(130)와 SGSN(140)간에는 I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세션(또는 PDP context) 생성(Generate)/수정(Modify)/삭제(Remove) 등과 같은 제어 메시지는 RANAP 프로토콜이 이용되며, 생성된 세션(또는 PDP context)을 통해 송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에는 GTP-U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SGSN(140)은 HLR(Home Location Resister)(미도시)과 M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GGSN(150)과 HLR(미도시)간에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M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SGSN(140)과 GGSN(150)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Gn 인터페이스는 GTP-C 프로토콜에 의해서 세션(또는 PDP context) 생성/수정/삭제 등과 같은 세션(또는 PDP context) 관리를 하며, 또한 GTP-U 프로토콜이 이용되어 사용자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GGSN(150)에서 IP 망(170)(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 등)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Gi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Gi 인터페이스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GTP-U 메시지를 가공하여 IP 망(170)으로 전송하며, G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IP 망(170)으로부터 들어온 IP 데이터를 각 세션(또는 PDP context) 정보에 알맞은 GTP-U 메시지로 가공하여 Gn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PCC구조(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60-1),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160-2) 및 AF(Application Function)(160-3)을 포함하며, PCRF(160-1)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GGSN(150)과 연결되며, SPR(160-2)에서 기초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정보(Subscription Profile)(이하, 가입자정보라 칭함)를 제공받고, AF(160-3)에서 제공되는 패킷 서비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공되는 당해 서비스 패킷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요금에 관한 정보 등)를 제공받아 과금정보(PCC-Rule, 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를 생성하여 GGSN(15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자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로서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시간당 과금에 관한 정보 및/또는 과금할인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PCRF(160-1)는 당해 가입자정보 및/또는 패킷 서비스 정보 등을 이용하여 당해 패킷 서비스에 대한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CRF(160-1)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당 및/또는 단위패킷당 과금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과금정보(PCC-Rule)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PCRF(160- 1)가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인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GGSN(15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과금을 할 수 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과금은 GGSN (150)에 포함된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SPR(160-2)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가입자정보가 저장되는 장치로서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AF(160-3)은 IMS의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100)의 일반적인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과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이 제한된 패킷 서비스에 대하여 과금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고, 로밍서비스(Roaming service)를 이용하여 국내의 이동통신 시스템(110)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요청하는 패킷 서비스는 해외에서는 이용될 수 없는 서비스인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SGSN(130)에게 PDP context 활성 요청(Activate PDP context Request)을 전송한다. 또한, SGSN(150)은 GGSN(150)에게 PDP context 생성을 요청 한다(Create PDP context request). 이후, GGSN(150)은 PCC구조(160) 내의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PDP context 설정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PDP context 설정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한다(CCR : Credit Control Request). 여기서, GGSN(150)으로부터 PCRF(160-1)로 전송하는 메시지인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 의하여 PCRF(160-1)는 PCC-Rule을 결정한다.
이에, PCRF(160-1)는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패킷 서비스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위치정보라 칭함)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PCRF(160-1)는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가 국내인지 해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PCRF(160-1)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PCRF와 GGSN 간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SGSN의 국가 코드 및 네트워크 코드에 대한 AV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GGSN(150)과 PCRF(160-1)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에 대한 파라미터 AVP(Attribute Value Pair) 중 일부가 도시된다. GGSN(150)과 PCRF(160-1)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데,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 되는 메시지는 Gx 프로토콜(Protocol)에 정의된 AVP 형식을 가진다. 따라서, GGSN(150)는 PCRF(160-1)로 전송하는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 위치 정보의 일 예시예인 3GPP-SGSN-MCC-MN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분석하여 PCRF(160-1)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3GPP-SGSN-MCC-MNC에는 SGSN(140)가 위치한 국가에 대한 정보(Mobile Country Code, MCC)(이하, 국가정보라 칭함) 및/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Mobile Network Code, MNC)(이하, 네트워크정보라 칭함)가 포함된다. 즉, 위치정보는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 포함되는 3GPP-SGSN-MCC-MNC일 수 있고, 여기에는 국가정보(MCC)와 네트워크정보(MNC)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PCRF(160-1)는 GGSN(150)가 전송하는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 포함된 3GPP-SGSN-MCC-MNC를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즉,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기 내정된 제1 PCC-Rule이 아닌 서비스 제한용의 제2 PCC-Rule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2 PCC-Rule은 서비스 제한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PDP context 활성 요청이 있을 경우에 PCRF(160-1)가 결정하도록 미리 설정된 PCC-Rule이며, 이후, PCRF(160-1)는 결정한 제2 PCC-Rule을 반영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CCA : Credit Control Answer)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
반면,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국내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 되면(즉,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비스 제한지역이 아닌 곳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가입자에 대해 기 내정된 제1 PCC-Rule을 변경없이 그대로 선택한다. 여기서, 제1 PCC-Rule은 서비스 제한지역이 아닌 곳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한 PDP context 활성 요청이 있을 경우에 PCRF(160-1)가 결정하도록 미리 설정된 PCC-Rule이며, 이후, PCRF(160-1)는 결정한 제1 PCC-Rule을 반영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CCA : Credit Control Answer)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
PCRF(160-1)가 PCC-Rule을 GGSN(150)으로 전송하는 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PCRF(160-1)가 PCC-Rule을 생성하여 GGSN(150)으로 제공하는 방식과 모든 가입자에 대한 PCC-Rule은 GGSN(15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고, PCRF(160-1)는 제한되는 서비스에 해당되는 PCC-Rule의 명칭(reference)만 지정해서 GGSN(150)으로 전송하면 GGSN(150)이 당해 PCC-Rule의 명칭을 보고 상응하는 PCC-Rule을 활성화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중 후자의 방법이 적용되며, , GGSN(150)은 서비스제한용의 제2 PCC-Rule을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해당 서비스 사용요청이 수신될 경우 PDP context를 삭제하는 절차를 수행하면 된다.
또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한 GGSN(150)은 포함된 PDP context에 따라 상응하는 신호를 SGSN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GGSN(150)이 제2 PCC-Rule이 포함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전송한 다음, 단말로부터 제한서비스에 대한 사용요청이 수신될 경우 안내트래픽을 단말로 전송하고,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Delete PDP context respond)를 SGSN으로 전송한다. 물론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단말이 시도할 경우는 GGSN은 호종료를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GGSN(150)이 제1 PCC-Rule이 포함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는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 불가능한 제한서비스가 없는 경우이므로, GGSN(150)은 요청된 PDP context 생성요청신호에 대하여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Create PDP context respond)를 전송한 다음, 단말로부터의 실제 트래픽에 대해 차단(호종료)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 SGSN(140)은 수신된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 또는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에 상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활성화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SGSN(140)은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비활성응답신호를 전송한다(Deactivate PDP context respond). 반면, SGSN(140)은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활성응답신호를 전송한다(Deactivate PDP context respond).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특정지역에서 이용이 불가능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접근 시도할 경우 해당 요청이 만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안내트래픽 전송을 통해 이용 불가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 시도를 예방함으로써 불필요한 과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만 과금이 이뤄질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100)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통신망(100)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과정을 상세히 보여준다. 여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고, 로밍서비스(Roaming service)를 이용하여 국내의 이동통신 시스템(110)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요청하는 패킷 서비스는 해외에서는 이용될 수 없는 서비스인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계 3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SGSN(130)에게 PDP context 활성요청신호(Activate PDP context Request)를 전송한다.
또한, 단계 320에서 SGSN(150)은 GGSN(150)에게 PDP context 생성요청신호를 전송한다(Create PDP context request).
단계 330에서, GGSN(150)은 PCC구조(160) 내의 PCRF(160-1)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PDP context 설정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PDP context 설정요청알림신호를 전송한다(CCR : Credit Control Request). 여기서, GGSN(150)으로부터 PCRF(160-1)로 전송하는 메시지인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 의하여 PCRF(160-1)는 PCC-Rule을 결정한다.
단계 340에서, PCRF(160-1)는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패킷 서비스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PDP context 생성요청알림신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위치정보라 칭함)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PCRF(160-1)는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가 국내인지 해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PCRF(160-1)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비스제한지역인 해외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바,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50에서,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즉,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서비스제한용의 제2 PCC-Rule을 결정한다. 반면, PCRF(160-1)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국내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즉,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비스 제한지역이 아닌 곳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기 내정된 제1 PCC-Rule을 결정한다(단계 360).
단계 370에서, PCRF(160-1)는 결정한 PCC-Rule을 반영하여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 즉, PCRF(160-1)는 제2 PCC-Rule을 결정한 경우에는 제2 PCC-Rule을 반영하여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GGSN(150)으로 전송하고, 제1 PCC-Rule을 결정한 경우에는 제1 PCC-Rule을 반영한 반영하여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GGSN(150)으로 전송한다.
단계 380에서, GGSN(150)은 포함된 PDP context에 따라 상응하는 신호를 SGSN(14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GGSN(150)이 제2 PCC-Rule이 포함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하면 SGSN으로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전송한 다음, 단말로부터 제한서비스에 대한 사용요청이 수신될 경우 요청된 패킷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으므로, GGSN(150)은 안내트래픽을 단말로 전송하고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Delete PDP context respond)를 SGSN(140)전송한다. 또한, GGSN(150)이 제1 PCC-Rule이 포함된 PDP context 생성인식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면,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해당위치에서의 서비스제한사항이 없으므로, GGSN(150)은 요청된 PDP context 생성요청신호에 대하여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Create PDP context respond)를 SGSN(140)으로 전송하고 트래픽을 수용한다.
단계 390에서, SGSN(140)은 수신된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 또는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에 상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활성화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SGSN(140)은 PDP context 삭제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비활성응답신호를 전송한다(Deactivate PDP context respond). 반면, SGSN(140)은 PDP context 생성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PDP context 활성응답신호를 전송한다(Deactivate PDP context respond).
상술한 바와 같이, PCRF(160-1)가 제2 PCC-Rule가 반영된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GGSN(150)으로 전송하면, 이용이 불가능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접근 시도할 경우 해당 요청이 만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종료 처리함으로써 사용 자로 하여금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안내트래픽 전송을 통해 이용 불가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 시도를 예방함으로써 불필요한 과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류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PCRF와 GGSN 간의 통신을 위한 Gx 인터페이스 파라미터 AVP 중 SGSN의 국가 코드 및 네트워크 코드에 대한 AVP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Node-B
130 : RNC(Radio Network Controller)
140 :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150 :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160 : PCC구조
160-1 :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160-2 :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
160-3 : AF(Application Function)
170 : IP 망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 패킷교환지원노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부터 PDP 컨텍스트 생성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생성하는 패킷관문지원노드; 및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으면 내정된 제1 과금정보를 제2과금정보로 변경하며, 상기 제2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 전송하는 과금정책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는 상기 제2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가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삭제응답신호를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과금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 전송하 며,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는 상기 제1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가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Gx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정보는 국가 코드 또는 네트워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2 과금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이동통신 단말기, 패킷교환지원노드, 패킷관문지원노드, 과금정책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가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부터 PDP 컨텍스트(PDP context) 생성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부터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으면 내정된 제1 과금정보를 제2과금정보로 변경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가 상기 제2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가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삭제응답신호를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알림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제한지역에 있지 않으면 제1 과금정보(내정된 PCC-Rule)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제1 과금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를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가 상기 제1 과금정보가 반영된 상기 PDP 컨텍스트 생성인식신호가 수신되면 PDP 컨텍스트 생성응답신호를 상기 패킷교환지원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관문지원노드와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는 Gx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위치정보는 국가 코드 또는 네트워크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제2 과금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과금정책처리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외에 위치되어 있다면 상기 제2 과금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1020080112163A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10099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63A KR100993312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163A KR100993312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63A KR20100053163A (ko) 2010-05-20
KR100993312B1 true KR100993312B1 (ko) 2010-11-10

Family

ID=4227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63A KR100993312B1 (ko) 2008-11-12 2008-1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1552B (zh) * 2015-12-04 2020-04-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小区的计费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428A1 (en) 2003-12-19 2005-06-23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100800086B1 (ko) * 2006-11-01 2008-01-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W―cdma 망에서 존 베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428A1 (en) 2003-12-19 2005-06-23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100800086B1 (ko) * 2006-11-01 2008-01-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W―cdma 망에서 존 베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163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9413B1 (en) A default subscription profile for a roaming terminal device in a packet dat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893640B (zh) 用于在策略和计费规则功能与服务节点之间传输策略信息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JP5759064B2 (ja) 加入者を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間で誘導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899667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metadata based policy control
US7525938B2 (en) Sess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382943B2 (en) Data servic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in roaming scenario
JP6429866B2 (ja) Pcrf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9547221B (zh) 大数据分析服务提供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92088B2 (en) Blocked device checking in roaming scenarios
JP5581444B2 (ja) 性能向上のためのサービス提供ゲートウェイの管理
EP2817985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metadata based policy control
JP2014155096A (ja) 通信ポリシルール動的変更システムおよび通信ポリシルールの動的変更方法
KR10102428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별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KR1009933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한 방법
CN109921993B (zh) 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以及通信系统
WO2012088997A1 (zh) 识别方法及装置
KR1009868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간 우선순위 조정 방법
KR1009746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존모드의 세션 관리 방법
KR1009811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24283B1 (ko) Wcdma 데이터호 인증방법
KR2009010242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데이터서비스 불가 알림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1000577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시간대별 차등과금 제공 방법
KR102072343B1 (ko) 패킷 기반의 음성 통화 서비스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769450B1 (ko) Pcrf-pcef 간 베어러 id 유효성 확인을 통한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5209402A (zh) 一种无线能力开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