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16B1 - 창문형 광고수단 - Google Patents

창문형 광고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16B1
KR100973716B1 KR1020090075553A KR20090075553A KR100973716B1 KR 100973716 B1 KR100973716 B1 KR 100973716B1 KR 1020090075553 A KR1020090075553 A KR 1020090075553A KR 20090075553 A KR20090075553 A KR 20090075553A KR 100973716 B1 KR100973716 B1 KR 10097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main body
winding
blind por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이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형 filed Critical 이지형
Priority to KR102009007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8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belts, chains, or the like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창틀기능을 하는 본체 내에 감김롤러에 의해 감김과 풀어지는 블라인드부를 구비하되 블라인트 표면상에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발광하는 LED형 발광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주간에는 블라인드부를 통해 실내차단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태양전지가 태양광을 이용해 축전하고, 야간에는 감김롤러를 이용해 블라인드부를 감거나 풀어 발광부재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전된 전기를 이용해 발광하여 광고기능을 하도록 하는 창문형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블라인드구조를 통해 창문기능과 광고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항시 노출된 상태로 특정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간판형 발광 광고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고판 설치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 작동만으로 발광에 필요한 전력을 자체충전 할 수 있음으로 전력소비에 따른 비용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창문, 블라인드, LED, 광고, 태양전지

Description

창문형 광고수단{A means of the advertising in the window type}
본 발명은 창문의 창틀에 블라인드구조를 구비시키되 블라인드부재 상에 광고용 발광부재와 태양전지를 동시에 구비시킴에 따라, 블라인드부재를 감는 과정에서 발광부재와 태양전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창문기능과 광고판기능 및 축전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형 광고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이나, 회사, 각종기관 등에서 그 상호나 판매상품등을 표시하여 사람에게 광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단순히 광고문구가 인쇄 또는 부착된 아크릴판을 간판프레임 전면에 구비시킨 상태에서 간판프레임 내부에 형광등을 구비시켜 내부빛이 아크릴판을 투과하면서 광고문구가 부각되도록 하는 사인보드형 간판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 외에 최근에는 간판프레임 내에 LED를 설치하고 특정 LED의 발광으로 인해 광고문구가 표현되도록 하는 LED형 간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간판들은 모두 전용 프레임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건물의 외벽 상에 별도 설치면적을 마련하여 거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해당 건물의 구조에 따라 간판의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LED를 이용한 거치형 발광 간판은 광고효율이 떨어지는 시간대에도 굳이 전력을 사용해 발광이 이루어지고 있음으로,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일반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거치형 간판들은 항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판에 의해 건물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도심재정비 정책으로 인해 이러한 거치형 간판이 갖고 있는 외관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치형 간판의 규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고 무분별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거치형 간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전용 거치공간을 구비시키지 않고 창문에 광고기능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창문형 광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고수단이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기존 노출형 간판에 의한 건물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창문형 광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광고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창문기능과 더불어 태양광을 이용해 광고수단의 필요전력을 축전할 수 있어 전력소비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창문형 광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관통부가 형성된 창틀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 2감김롤러와, 상기 제1, 2감김롤러에 각 감김롤러에 감기고 풀리는 블라인드부와, 상기 블라인드부 표면에 배열되는 태양전지 및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감김롤러에는 각 감김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있는 점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부는 일단부가 제1, 2감김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표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되는 제1블라인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2감김롤러 중 제1블라인드부가 연결되지 않은 감김롤러에 연결되어 표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된 제2블라인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블라인드부와 제2블라인드부 사이에는 별도의 투명필름이 구비되어 상기 투명필름을 통해 제1블라인드부와 제2블라인드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는 전면본체와 후면본체로 나뉘어져 상호 분리 결합되어 내부 설치공간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창틀기능을 하는 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블라인드 상에 태양전지와 광고용 발광부재을 동시에 구비시킴에 따라, 블라인드의 기본기능인 실내차단기능은 물론 광고기능 및 발광부재의 자체 전력공급구조가 동시에 구비됨으로써,
광고수단, 즉 기존 간판 설치를 위해 건물상에 별도로 거치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공간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의 작동과정에서 발광부재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광고수단이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블라인드를 작동시켜 발광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태양전지가 노출되도록 하여 태양광을 이용해 발광부재 사용에 필요한 전력을 축전할 수 있음으로 전력소비에 따른 비용부담을 없앨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창문형 광고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감김수단(200), 블라인드부(300), 태양전지(400) 및 발광부재(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상기 타 구성요소들의 설치기능과 더불어 창틀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 함체형태를 띠되, 중간이 종방향으로 구획되어 전면본체(110)와 후면본체(120)로 나뉘어진다.
상기 전면본체(110)는 타 구성요소들의 설치기능은 갖고 있지 않고 본체(100)의 커버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에는 후술하는 블라인드부(300)가 노출되는 제1관통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부(112) 양측테두리 근처에는 제1가이드판(114)이 제1관통부(112)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전면본체(110)의 전면 하측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600)의 작동제어를 위한 버튼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면본체(110)와 함께 본체(100)를 구성하는 후면본체(120)는 타 구성요소들의 실질적인 설치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전면본체(110)와 대칭구조를 갖는다.
즉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112)과 동일한 면적의 제2관통공(122)이 형성되며, 제2관통공(122) 양측테두리 에는 상기 제1가이드판(114)과 동일한 길이을 갖는 제2가이드판(124)이 구비된다.
이때 제1, 2가이드판(114)(124)은 [도 3]처럼 전면본체(110)가 닫혀져 서로 마주보게 될 때, 서로 맞닿지 않고 단부간에 약간의 간극(H)이 형성되도록 하여 간극(H)내에 블라인드부(300)의 양단부가 끼워진 채로 상하 감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후면본체(120)의 양측벽 내측에는 감김수단(2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프레임(126)이 양측벽과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전후면본체(110)(120)는 경첩(700)등을 통해 상호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내부의 감김수단(200)이나 구동수단(600)의 수리 등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26)에 설치되는 감김수단(200)은 후술하는 블라인드부(300)의 감김과 풀림을 위한 것으로, 다시 제1감김롤러(210)와 제2감김롤러(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감김롤러(210)는 후술하는 블라인드부(300)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단순 원통형태를 띠며 좌우 양단축이 각 설치프레임(126)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2감김롤러(220)는 블라인드부(300)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감김 롤러(2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단축이 각 설치프레임(126)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1감김롤러(210)와 제2감김롤러(220)는 별도의 구동수단(600)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수단(600)은 일반적인 구동모터 형태로, 제1감김롤러(210)의 한쪽 축에 연결되어 블라인드부를 위쪽으로 감아올리기 위한 제1구동수단(610)과 제2감김롤러(220)의 한쪽 축에 연결되어 블라인드부를 아래쪽으로 감아내리기 위한 제2구동수단(620)으로 나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각 구동수단(610)(620)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 및 버튼부(13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감김롤러(210)(220)중 어느 하나에만 구동수단을 구비시키고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타 감김롤러의 회전축을 체인이나 벨트등을 통해 연결시켜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타 감김롤러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김수단(200)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부(300)는 본 발명의 핵심구조인 발광부재(500)와 태양전지(4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 4]와 같이 다시 제1블라인드부(310)와 투명필름(320), 제2블라인드부(330)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제1블라인드부(310)는 후술하는 태양전지(400)가 부착되는 부분으로, 단순 판재형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제1감김롤러(2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투명필름(320)은 투시창, 즉 기존 창문의 유리창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플렉시블한 투명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자외선이 차단될 수 있도록 표면에 UV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필름(320)은 상단이 제1블라인드부(310)의 하단에 본딩이나 재봉을 등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2블라인드부(330)는 본 발명의 핵심구조인 발광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제1블라인드부(310) 처럼 단순 판형 직물재이며 하단은 제2감김롤러(220)에 고정되고 상단은 투명필름(320)의 하단에 본딩이나 재봉 등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각 블라인드부(310)(330) 및 투명필름(320)의 길이는 제1, 2블라인드(310)(330)가 상하로 감기는 과정에서 태양전지(400)와 투명필름(320)이 본체(100)의 제1관통부(112)에 노출되면 발광부재(500)은 본체 하단에 위치되어 보이지 않도록 설정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이러한 블라인드부(300)에 광고용 발광부재(500) 및 태양전지(400)를 구비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상기 태양전지(400)는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도 4]내지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전지셀(410)들이 제1블라인드부(310) 표면상에 부착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하나의 전지모듈을 이룬다.
참고로 상기 태양전지의 원리를 설명하면, 각 전지셀(410)은 [도 5]처럼 N형 반도체(412) 주위를 P형 반도체(414)가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태양광이 비추면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이러한 전하가 P 및 N극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며, 이 때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지셀(410)을 여러개 구비시켜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태양전지(400)는 실리콘 반도체 형태나 화합물 반도체 형태로 구분되는데, 상대적으로 태양광의 전기 변환효율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실리콘 반도체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전지(400)는 별도의 충전지(420)와 연결되어 생성된 전기가 충전지(420)에 축전된다. 상기 충전지(420)는 후면본체(120) 내부에 설치되되, 제1블라인드부(310)의 감김과 풀림과정에서 태양전지(400)와의 연결에 방해되지 않을 위치에 적절히 설치된다.
그리고 투명필름(320) 표면에 설치되는 발광부재(500)은 일반적인 박판형LED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LED(510)가 PCB기판(520) 상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에서 PCB기판이 제2블라인드부(330) 표면에 부착된 형태이다.
이 상태에서 PCB기판(520)은 상기 충전지(420)와 연결되어 충전지(420)에 보관된 전기를 이용해 LED가 발광되도록 한다.
이러한 발광부재(500)은 도면과 같이 제2블라인드부(330) 상에 하나만 구비되거나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개 구비할 경우 제2블라인드부(330)와 함께 제2감김롤러(220)에 감겨야 함으로 PCB기판(520)을 플렉시블 동박적층판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사용하여 감김 과정에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주간에 발광부를 통한 광고가 필요 없을 경우 [도 4] 및 [도 6]과 같이 버튼부(130)를 통해 제2구동수단(620)을 작동시키면 제2감김롤러(220)가 회전하여 제2블라인드부(330) 하단이 제2감김롤러(220)에 감긴다.
따라서 발광부재(500)이 제2블라인드부(330)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본체(100)의 제1관통부(112) 아래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2블라인드부(330)가 제2감김롤러(220)에 감김에 따라 이에 연결된 투명필름(320)와 제1블라인드부(310)도 함께 따라 내려오며, 이때 제1감김롤러(210)는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제1블라인드부(310)가 제1감김롤러(210)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제1블라인드(310)의 태양전지(400)가 본체(100)의 관통제1관통부(112)를 통해 모두 노출되면 제2감김롤러(220)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태양전지(400)가 노출되면 각 전지셀(410)들은 태양광을 전기로 바꾸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는 충전지(420)에 축전된다.
이처럼 태양전지(400)가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시기는 대부분 주간이기 때문에 이렇게 태양전지(400)가 노출된 상태에서는 아래쪽에 투명필름(320)도 함께 노출되도록 하여 투명필름(320)을 통해 실내로 햇빛이 충분이 들어올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어, 즉 창문의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주간동안 태양전지(400)를 통해 충전지(420)에 축전이 지속되다가 광고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버튼부(130)를 눌러 제1구동수단(610)을 작동시키면 제1감김롤러(210)가 회전되면서 제1블라인드부(310)가 제1감김롤러(210)에 감겨 올라가고, 투명필름(320)과 제2블라인드부(330)도 함께 다라서 올라간다.
이렇게 제1,2블라인드(310)(330) 및 투명필름(320)이 올라감에 따라 태양전지(400)는 제1감김롤러(210) 상에 감겨 않보이게 되고, 아래에 있던 발광부재(500)은 상승하여 본체(100)의 제1관통부(112)상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지(420)와 발광부재(500)을 연결시키면 충전지(420)에 축전된 전기를 이용해 각 LED들이 발광하게 되고, 각 LED들의 발광순서 등을 컨트롤하여 LED를 통해 광고문구를 표현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창문구조에 블라인드구조를 구비시키고 블라인드부 상에 태양전지와 투시창 및 광고용 발광부재을 동시에 구비시킴에 따라, 블라인드를 작동시켜 주간에는 광고 간판기능과 기본 창문기능 및 자체 발전기능을 동시에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태양전지를 굳이 구비시키지 않고 일반전력을 사용하는 구조로 구현하더라도 블라인드를 통한 광고판의 노출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만으로도 충분히 특징을 갖는다.
또한 투시창도 구비시키지 않고 각 블라인드부의 재직밀도를 낮춰 블라인드 자체적으로 어느정도 투시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상하 감기는 블라인드부 상에 광고판을 구비시켜 블라인드부 작동에 따라 광고판이 노출되거나 감춰지도록 함에 따라 , 간판의 설치에 따른 공간의 낭비와 항상 노출됨에 따른 외관상 좋지않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일측면도로 블라인드부를 아래쪽으로 감아 내렸을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태양광을 비추어 전지셀에서 전류가 흐르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정면도로 태양전지를 아래쪽으로 내렸을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일측면도로 블라인드부를 위쪽으로 감아 오렸을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광고수단의 정면도로 태양전지를 아래쪽으로 내리고, 발광부재을 위쪽으로 올렸을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본체 110 : 전면본체
112: 제 1관통부 114 : 제 1가이드판
120 : 후면본체 122 : 제 2관통부
124 : 제 2가이드판 126 : 설치프레임
130 : 버튼부 200 : 감김수단
210 : 제 1감김롤러 220 : 제 2감김롤러
300 : 블라인드부 310 : 제 1블라인드부
320 : 투명필름 330 : 제 2블라인드부
400 : 태양전지 410 : 전지셀
412 : N형 반도체 414 : P형 반도체
420 : 충전지 500 : 발광부재
510 : LED 520 : PCB
600 : 구동수단 610 : 제 1구동수단
620 : 제 2구동수단 700 : 경첩

Claims (6)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관통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는 감김수단과,
    상기 감김수단에 연결되어 감김수단의 작동에 따라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는 블라인드부와,
    상기 블라인드부 표면상에 구비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김수단은,
    본체의 설치공간 상측에 설치되는 제1감김롤러와,
    본체의 설치공간 하측에 설치되는 제2감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블라인드부의 상단은 제1감김롤러에 연결되고 하단은 제2감김롤러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라인드부는 일단부가 제1, 2감김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표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되는 제1블라인드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 2감김롤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표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된 제2블라인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블라인드부와 제2블라인드부 사이에는 별도의 투명필름이 구비되어 상기 투명필름을 통해 제1블라인드부와 제2블라인드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광고수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본체와 후면본체로 나뉘어져 상호 분리결합되어 내부 설치공간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광고수단.
KR1020090075553A 2009-08-17 2009-08-17 창문형 광고수단 KR10097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53A KR100973716B1 (ko) 2009-08-17 2009-08-17 창문형 광고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53A KR100973716B1 (ko) 2009-08-17 2009-08-17 창문형 광고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716B1 true KR100973716B1 (ko) 2010-08-04

Family

ID=4275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553A KR100973716B1 (ko) 2009-08-17 2009-08-17 창문형 광고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9B1 (ko) 2011-02-17 2011-06-09 에스오태양에너지주식회사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슬라이드타입의 야간발광판넬장치
KR101720059B1 (ko) 2017-02-17 2017-03-27 김지일 가변형 창문 광고 장치
KR20180123830A (ko) 2017-05-10 2018-11-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led 조명 창
WO2023128038A1 (ko) * 2022-01-03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지털 블라인드과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10A (ko) * 2002-11-28 2004-06-05 지엘시스텍주식회사 옥외용 회전광고판
KR100545869B1 (ko) 2003-10-13 2006-01-24 주식회사 한국싸인 블라인드 날개형 전광판의 고정구조
KR20070000325A (ko) * 2005-10-31 2007-01-02 박진완 자동차앞유리 혹은 뒷유리 차양장치 및 차양막을 이용한광고
KR20080098384A (ko) * 2006-02-02 2008-11-07 브래드 프로이제 조명식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10A (ko) * 2002-11-28 2004-06-05 지엘시스텍주식회사 옥외용 회전광고판
KR100545869B1 (ko) 2003-10-13 2006-01-24 주식회사 한국싸인 블라인드 날개형 전광판의 고정구조
KR20070000325A (ko) * 2005-10-31 2007-01-02 박진완 자동차앞유리 혹은 뒷유리 차양장치 및 차양막을 이용한광고
KR20080098384A (ko) * 2006-02-02 2008-11-07 브래드 프로이제 조명식 윈도우 블라인드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9B1 (ko) 2011-02-17 2011-06-09 에스오태양에너지주식회사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슬라이드타입의 야간발광판넬장치
KR101720059B1 (ko) 2017-02-17 2017-03-27 김지일 가변형 창문 광고 장치
KR20180123830A (ko) 2017-05-10 2018-11-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범 기능을 제공하는 led 조명 창
WO2023128038A1 (ko) * 2022-01-03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지털 블라인드과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308B2 (en) Internal illumination based sign device
AU2002321789A1 (en) Internal illumination based sign device
KR101350773B1 (ko) 태양광 및 led를 이용한 자가충전식 led 간판
KR100973716B1 (ko) 창문형 광고수단
JP3189696U (ja) ソーラーサインパネル装置
KR101970991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액자형 광고 장치
US20110007498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 solar cell
CN110100273B (zh) 显示单元、包括至少一个显示单元的显示装置以及显示单元和显示装置的使用
US20110048503A1 (en) Solar cell device, method for producing, and use
KR101157094B1 (ko) 광고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8853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광고장치
KR102065937B1 (ko) 엘이디광고장치
WO2011074376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285608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간판
KR102243854B1 (ko)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led 광고판
KR20130038739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간판
KR20130027723A (ko) 솔라셀을 이용한 엘이디 간판 조명장치
TWM351425U (en) Optoelectronic billboard
CN209980714U (zh) 一种太阳能广告灯箱
KR102255869B1 (ko) 자체충전발광 전등
KR20110125061A (ko) 모자이크로 이루어지는 광고 건물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
KR20180003057U (ko)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를 이용한 스마트 조명 장치
CN112002826B (zh) 玻璃组件
US20240136970A1 (en) Energy harvesting system and indicator using same
CN220856058U (zh) 一种教育用宣传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