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624B1 - 휴대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624B1
KR100973624B1 KR1020047001603A KR20047001603A KR100973624B1 KR 100973624 B1 KR100973624 B1 KR 100973624B1 KR 1020047001603 A KR1020047001603 A KR 1020047001603A KR 20047001603 A KR20047001603 A KR 20047001603A KR 100973624 B1 KR100973624 B1 KR 10097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ower housing
housing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795A (ko
Inventor
사와무라마사또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61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61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37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36533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00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인체 헤드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손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는 폴더형에 적합한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무선 단말기이다. 상측 하우징(10)과 하측 하우징(20)이 힌지 결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는 하측 하우징(20)의 힌지부 근방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돌출부(30) 내에 내장 안테나를 수납한다. 이 내장 안테나는 선형 혹은 판형의 안테나 엘리먼트(50)를 갖고 있다. 이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시에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덮이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하였다.
하우징,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 안테나 엘리멘트, 폴더형 휴대 무선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무선 단말기{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에 이용되는 휴대 무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및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의 방음구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용 휴대 무선 단말기(본 명세서에서는 단말 장치를 단순히 단말기라 함)는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통화시 단말기에 탑재되는 안테나부가 더 인체에 근접하게 되므로, 안테나 방사 특성의 열화가 우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말기 외부에 설치된 수납 및 신장식 휩 안테나를 채용한 단말기 대신에, 낙하 등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이 낮거나, 혹은 휴대 무선 단말기의 디자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 안테나로서,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소위 내장 안테나를 채용한 단말기가 시장에 출현되고 있다. 당연히 내장 안테나를 채용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도 인체에 의한 특성 열화는 우려 사항으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현저한 경향으로서, 휴대 전화를 음성에 의한 통화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이나, 인터넷에의 접속에서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고, 그것에 수반하여 액정 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으로부터 단말기 중간부에 힌지를 설치한, 소위 폴더형 단말기가 시장에 많이 출회하고 있다. 이 폴더형의 단말기는 리시버부 및 액정 표시부를 상측 하우징부에 설치하고, 키보드부 및 마이크부를 하측 하우징부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경우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는 ① 상측 하우징의 상부, ② 하측 하우징의 상부(즉 힌지부) 중 어느 하나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상측 하우징ㆍ상부 설치」형은, 통상 하측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송수신 회로(무선 회로)부로부터 안테나 급전부까지 힌지 부분을 통해 동축 케이블을 설치해야만 해 그 만큼의 손실이 발생해 버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자인상, 상측 하우징부는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안테나의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나, 통화시 안테나 헤드부간 거리가 짧아져 버려 안테나 특성이 열화되어 버리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힌지부 설치」형 안테나를 채용한 단말기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에서는 통화시 안테나와 인체 헤드부의 거리는 떨어지는 반면, 사용자는 하측 하우징 또는 상하 하우징의 경계부(즉 힌지부 근변)를 파지하여 통화하는 일이 많으므로, 안테나 부분과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근접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키보드부는 하측 하우징부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키보드를 조작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안테나 부분과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도 따르지만,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는 그 안테나 내장 하우징 부분이 돌출되는 경우, 그 돌출부에 손가락을 걸면 손의 안정감이 좋고, 단말기의 사용이 쉽다는 안테나 특성에 있어서는 단점의 부분도 있다.
한편, 휴대 전화기는, 통상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하우징의 배면측에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단말기가 책상 등에 적재되는 경우, 스피커의 방음구가 적재면에 면하게 된다. 이는 스피커를 배치하는 공간적 여유의 문제 및 착신음 등의 소리의 인식으로 인해 스피커의 방음구가 보일 필요가 없는 것 등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도11에 종래의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부를 통해 접속된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한 상태에서 책상 등의 적재면 위에 적재되었을 때에 스피커부는 적재면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그리고, 이 경우, 방음구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방음이 방해되거나, 음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적재면에 접촉 또는 근접함으로써 스피커의 자기에 의한 자성체 물질의 흡착, 방음구에 마련된 다수의 구멍에의 먼지 등의 진입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는 소위 스틱형의 휴대 전화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안테나부 등의 수용으로 인해 하우징의 일부가 융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책상 등에 적재하였을 때 스피커부가 적재면으로부터 부상하는 경우도 있지만, 하우징과 적재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피커로부터의 소리가 전달되는 개방 공간의 크기가 일부의 방향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소리가 반드시 주위로 균형있게 확산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헤드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손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는 폴더형에 적합한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를 구 비한 휴대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면에 면하는 스피커에 대해 단순히 음질 열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위 공간에의 소리의 확산을 확대하여 비교적 균등하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시킬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는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 결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이며, 상기 하측 하우징의 힌지부 근방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수납되어 선형 혹은 판형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갖는 내장 안테나를 갖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에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덮이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휴대 무선 단말기는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의 힌지부 근방의 돌출부에 내장 안테나를 수용하므로, 안테나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화시 안테나 헤드 부분간 거리를 비교적 길게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사용자는 힌지부 근변을 파지하여 통화하는 일이 많으므로, 이 구성에서는 안테나 부분과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근접하게 되지만, 안테나 엘리먼트의 특히 인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안테나 개방 단부를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덮이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시의 안테나 특성 열화를 대폭으로 억제한다.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그 일형태로서 기단부측이 급전점에 접속되는 제1 엘리먼트 부분과, 제1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메인면을 갖는 제2 엘리먼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엘리먼트 부분은 상기 제1 엘리먼트 부분의 선단부측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 단부측의 일부를 구성한다. 양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단일의 안테나 엘리먼트가 다른 각도의 면을 갖는 것이 된다. 이 구성은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의 잡는 방법에 상관없이 그 양방의 메인면이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으로 덮이는 상황을 회피한다.
상기 돌출부는 그 일형태로서, 상기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상측 하우징의 외측 메인면과의 사이에서 예각을 이루는 하우징 폭 방향으로 연장된 외면을 갖고, 이 외면의 내벽면에 상기 제2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이 따르도록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가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개방된 상측 하우징의 외측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의 면을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덮이기 어려운 위치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는 또한 상기 하측 하우징의 배면측에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의 방음구를 갖고, 상기 하측 하우징은 그 배면측을 평면형의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스피커의 방음구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측 하우징 중 적어도 양측부측에 대략 균등하게 상기 적재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는 그 일형태로서 또한 상기 하측 하우징의 배면측에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의 방음구를 갖고, 상기 하측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그 배면측을 평면형의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스피커의 방음구 가 상기 적재면으로부터 부상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양측부측에 대략 균등하게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는 다른 견지에 따르면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 결합된 폴더형 휴대 무선 단말기이며, 기단부측이 급전점에 접속되는 평판형의 제1 엘리먼트 부분과 이 엘리먼트 부분의 선단부측의 측부에 연결되는 제1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메인면을 갖는 평판형의 제2 엘리먼트 부분을 갖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이 안테나 엘리먼트가 하우징 내부에 하우징 폭 방향에 따라서 힌지부 근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엘리먼트 부분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의 잡는 방법에 상관없이, 그 양 쪽의 메인면이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으로 덮이는 상황을 회피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 단말기는 또한 다른 견지에 따르면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 결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이며, 하우징 폭 방향에 따라서 힌지부 근방에 배치되는 내장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 내장 안테나는 기단부측이 급전점에 접속되는 평판형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갖고,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이 개방 상태의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의 개방 단부측으로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소정 길이에 걸쳐서 그 메인면이 상기 손 또는 손가락의 표면에 대해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에 있어서, 안테나에 대한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의 영향을 경감하 도록 기능한다.
도1a 내지 도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의 각각 개방된 상태(도1a), 단말기를 폐쇄한(절첩한) 상태(도1b)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2a 내지 도2b는 도1a에 도시한 개방된 상태의 단말기를 외측 상부 방향(①)으로부터 본 단말기의 외관(도2a) 및 동일한 상태의 단말기를 외측 측부 방향(②)으로부터 본 단말기의 외관(도2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3b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사용시의 사용자의 다른 잡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에 손가락이 걸리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5a 내지 도5f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방 단부 손가락 여유부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6a 및 도6b는 돌출부에 엄지손가락을 거는 경우의 설명도이고, 도6c 및 도6d는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을 거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의 안테나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렸을 때의 안테나 방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 방법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a 내지 도8b는 도7의 측정을 기초로 하는 안테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 접음선 그래프이다.
도9는 도7의 측정을 기초로 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평균 PAG치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b는 상기 배면도, 도10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1은 종래의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부를 거쳐서 접속된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12a 내지 도12b는 도10a 내지 도10c에 도시한 폴더형의 단말기 개방시 및 폐쇄시의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이다.
도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3b는 상기 배면도, 도13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4b는 상기 배면도, 도14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5b는 상기 배면도, 도15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6b는 상기 배면도, 도16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7b는 상기 배면도, 도17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8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8b는 상기 배면도, 도18c는 상기 측면도이다.
도19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9b는 상기 배면도, 도19c는 상기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100)의 개략의 측면도이다. 도1a는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 도1b는 단말기를 폐쇄한(절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무선 단말기로서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고, 이하, 단순히 단말기라고도 한다. 단말기(100)는 힌지(15)를 거쳐서 절첩 가능하게 접합된 상측 하우징(10)과 하측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하우징(10)의 내측의 메인면에는 액정 표시부(13)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0)의 내측의 메인면에는 키보드면(17)이 배치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0)의 힌지(15) 근방에는 외측의 경사 상방으로 돌출된 안테나 영역을 구성하는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돌출부의 내부에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다.
도2a는 도1a에 도시한 개방된 상태의 단말기(100)를 외측 상부 방향(①)으로부터 본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2b는 동일한 상태의 단말기(100)를 외측 측부 방향(②)으로부터 본 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모두 사람의 손(왼손)으로 하측 하우징(20)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30)는 단말기(100)의 하우징 폭 방향에 걸쳐서 신장되 어 형성되어 있다.
이 폴더형 단말기에서는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안테나 영역)(30)에 손가락을 걸기 쉬운 구조이므로 사용자에 따라 다르지만, 통화시 도2a 내지 도2b 혹은 도3a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0)를 노출시킨 상태가 아닌 도3b와 같이 돌출부(30)에 손가락을 걸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도6a 및 도6b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에 엄지손가락을 거는 경우도 있으면, 도6c 및 도6d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을 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0)에 손가락(42)이 걸린다고 해도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돌출부(30)에는 손가락이 걸리기 쉬운 면(A)(31)과 걸리기 어려운 면(B)(32)이 형성된다. 이는 도면의 예에서는 면(B)(32)과, 개방된 상태의 상측 하우징(10)의 외측 메인면(44)과의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어 있는 것에 따른다. 환언하면, 이와 같은 예각을 형성하도록 돌출부(30)의 형상 및 배치를 고려하고 있다. 여기서「손가락이 걸린다」라 함은, 그 하우징면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크거나, 또는 접근의 정도가 큰(거리가 작음)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하우징 부분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운지 여부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구조나 배치에 따라서 안테나 엘리먼트의 면이 손가락으로 덮이는 면적의 대소에 관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덮이기 어렵다」라 함은, 이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돌출부의 윤곽 형상을 접음선과 같은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도시와 같은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4b는 양면(31, 32)을 실제 단말기의 외관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a에 이 힌지부 설치 내장 안테나 채용 및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의 통상 생각되는 안테나 엘리먼트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설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모두 돌출부(30) 내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배치 모습을 외부로부터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돌출부(30)에 손가락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도시해 둠].
도5a의 구성에서는, 도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혹은 판형(가는 판형)의 안테나 엘리먼트(52)를 하측 하우징 내의 그랜드(56)로 이루어지도록 분리하기 위해, 안테나 엘리먼트(52)를 도4a 내지 도4b에서 도시한 면(A)(31)의 내벽에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목표가 되는 안테나의 자유 공간 방사 특성 및 대역 폭 등에도 의하지만, 안테나의 Q를 가능한 한 낮게 하여 대역을 버는(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A)(31)은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가장 걸리기 쉽기 때문에, 안테나 부분에 손이나 손가락이 걸려 버렸을 때,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면이 손가락에 덮여 안테나 특성의 대폭적인 열화가 생긴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도5b 및 도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테나 엘리먼트의 구성 및 배치를 채용한다. 즉, 안테나 엘리먼트(50)를 급전점측의 평판형의 엘리먼트 부분(53)과 이 선단부측의 측부에 연결되는 평판형의 엘리먼트 부분(54)으로 이루어지는 크랭크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엘리먼트 부분(54)과 엘리먼트 부분(53)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하고 있다. 「소정 의 각도」는, 본 예에서는 대략 직각이지만, 반드시 직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엘리먼트 부분(53, 54)은 크랭크 형상의 판금(도전성의 판형 부재)의 중간부를 양 부분의 경계에 따라서 절곡한 것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리된 양 엘리먼트 부분(53, 54)을 도전적으로 접합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판금에 상관없이 금속박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급전점측의 엘리먼트 부분(53)은 돌출부(30)의 천정면인 면(A)(31)의 내벽면에 따라서 배치하고, 개방 단부측의 엘리먼트 부분(54)에만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걸리기 어려운 면(B)(32)의 내벽면에 따라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엘리먼트라도 임피던스가 높은 부분의 쪽이 임피던스가 낮은 부분보다도 손이나 손가락으로 덮인 경우의 특성 열화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임피던스부인 안테나 개방 단부 부분을 사용자의 손 및 손가락으로부터 여유있게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여유있다」라 함은, 안테나의 면이 손이나 손가락에 대향하는 정도가 작아지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이 상태가 가장 작아지는 것은 안테나의 메인면이 손이나 손가락의 면과 이루는 각도가 직각 또는 이것에 가까울 때이다. 즉,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이 개방 상태의 하우징 외부로부터 안테나 엘리먼트의 개방 단부측으로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소정 길이에 걸쳐서 그 메인면이 손 또는 손가락의 표면에 대해 직각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경우이다.
또한, 이 구조에 따르면, 안테나 엘리먼트(50)를 면(B)(32)의 전방면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 아닌 면(A)(31)측에도 배치하고 있으므로, 안테나의 고Q화, 즉 안 테나 대역 폭 열화도 억제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도5a, 도5c 및 도5e에 도시한 안테나와, 도5b, 도5d 및 도5f에 도시한 안테나의 단말기 통화시의 안테나 방사 특성 및 PAG(Pattern Average Gain : 패턴 평균화 이득 및 단말기 사용시의 안테나 수평면 방사 패턴 평균 이득)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은 일본의 800 ㎒대 디지털 휴대 전화 시스템을 상정하여 810 내지 960 ㎒ 내에 있어서의 주파수 8 포인트로 행하였다. 또한 도6a 내지 도6d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급전점측에 손가락을 건 경우(도6a, 도6b)와, 안테나 개방 단부측에 손가락을 건 경우(도6c, 도6d)의 2개지의 측정을 행하였다. 도7은 단말기의 통화시의 사용 상태 및 그 때의 측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8a 내지 도8b, 도9에 그 결과를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도8a는 안테나 급전점측 손가락이 걸릴 때의 PAG의 주파수 특성을 접음선 그래프로 나타내고, 도8b는 안테나 개방 단부측 손가락이 걸릴 때의 PAG의 주파수 특성을 접음선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9는 양 손가락이 걸릴 때의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평균 PAG치의 비교 결과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8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 급전점측 손가락 걸림시에는 도5a, 도5c 및 도5e의 구조와 도5b, 도5d 및 도5f의 구조와는 대략 동등한 특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안테나 개방 단부측 손가락 걸림시의 결과는, 도8b 및 도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자에게 4 ㏈ 정도의 차이가 생기고 있다. 게다가 도5b, 도5d 및 도5f의 본 실시 형태의 구조이면, 안테나 급전점측 손가락 걸림시로 부터 1 ㏈의 열화밖에 보이지 않지 않는 데 반해, 도5a, 도5c 및 도5e의 구조에서는 대폭으로 열화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안테나 개방 단부측에 손가락이 걸렸을 때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임피던스부인 안테나 개방 단부 부분의, 사용자의 사용자 손 및 손가락으로부터의 여유부 구조에 의해, 안테나 설치 부분에 손가락이 걸린 경우의 안테나 방사 특성 열화를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무선 단말기를 왼손으로 파지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지만, 오른손으로 파지한 경우에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테나 개방 단부 손가락 여유부 구조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부분이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걸리기 쉬운 위치에 있는 휴대 무선 단말기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휩 안테나는 갖지 않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휩 안테나와 내장 안테나를 병용하는 단말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적재면에 면하는 스피커의 배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a 내지 도10c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10a는 절첩하여 적재면(40) 상에 적재한 상태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0b는 그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0c는 그 상태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는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0)과 하측 하우징(20)이 힌지(15)를 거쳐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전방으로 본 도면」이라 함은, 힌지(15)의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20)의 전단 부, 즉 힌지(15)측에 돌출부(30)를 갖는다. 이 돌출부(30)는,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폭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30)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선형으로 적재면(40)에 접촉하고 있다. 하측 하우징(20)의 후단부측도 하단부가 선형으로 적재면(40)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는 평면형의 적재면(40) 상에 안정되게 적재된다. 도10c의 측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휴대 전화기가 적재면(4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하측 하우징(20)과 적재면(4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하우징의 양측부측에 좌우 대칭적인, 즉 동등한 사이즈 및 형상의 개구부(63)를 형성한다.
그 결과, 공간부에 방음구를 갖는 스피커부(18)로부터 방출되는 소리는 양측의 개구부(63)를 거쳐서 좌우로 균등하게 확산될 수 있다.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은 반드시 소리의 확산이 균등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이 구성에 의해 종래에 비해 보다 균등하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피커부(18)의 방음구와 적재면(4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자기에 의한 자성체 물질의 흡착이나, 방음구에 설치된 다수의 구멍에의 먼지 등의 진입 등이 경감된다.
도12a 내지 도12b는 도10a 내지 도10c에 도시한 폴더형의 휴대 전화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12a는 상측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2b는 그것을 폐쇄한(절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측 하우징(10)의 내측의 메인면에는 액정 표시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하우징(20)의 내측의 메인면에는 키보드면(17)이 배치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0)의 힌지(15) 근방에서 외측의 경사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0) 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다.
도13a 내지 도1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하측 하우징(20)의 힌지측 단부에 있어서의 돌출부(61)가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적재면(40) 상에 개구부(62)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돌출부(30)가 적재면(40)과 선형으로 접촉한 것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각 돌출부(61)는 적재면(40)과 말하자면 점형으로 접촉한다. 하측 하우징(20)의 힌지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돌출부없이 직접 적재면에 접촉하고 있다. 양측부에 대칭인 개구부(63)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측 하우징(10)의 외측의 메인면에는 서브 표시부나 착신 LED 등의 요소(16)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이 요소(16)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의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테나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돌출부가 이분되어 있으므로, 그 적어도 한 쪽에, 예를 들어 헤리컬 안테나와 같은 안테나 부재를 고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의 점유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돌출부의 형태에 의해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각의 안테나를 돌출부에 수용 또는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피커부(18)의 하부의 공간이 전반 및 좌우 3 방향으로 개방(개구)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에 비교해 더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4a 내지 도1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하측 하우징(20)의 힌지측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도 2분된 돌출부(64)를 갖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적재부(40) 상에서 양측부에 대칭인 개구부(65)를 형성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에도 대략 대칭인 개구부(62)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피커부(18)의 하부의 공간이 전후 좌우의 4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2 실시 형태에 비해서도 더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5a 내지 도15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하측 하우징(20)의 힌지측 단부와 반대측의 양쪽의 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81, 82)를 갖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적재부(40) 상에서 양측부에 대칭인 개구부(84)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피커부(18)의 하부의 공간이 좌우의 2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6a 내지 도16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하측 하우징(20)의 힌지측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81)를 갖는 것이다. 하측 하우징(20)의 힌지부측의 단부는 돌출부없이 직접 적재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적재부(40) 상에서 양측부에 대칭인 개구 부(94)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피커부(18)의 하부의 공간이 좌우의 2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7a 내지 도17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하측 하우징(20)의 힌지측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2개로 분리된 돌출부(101)를 갖는 것이다. 하측 하우징(20)의 힌지부측의 단부는 돌출부없이 직접 적재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적재부(40) 상에서 양측부에 대칭인 개구부(63)를 형성하는 동시에, 후방부측에 개구부(62)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피커부(18)의 하부의 공간이 좌우의 3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5 실시 형태에 비해서도 더욱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8a 내지 도18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휩 안테나(114)를 수용하는 돌출부(116)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이고, 이 돌출부에 대응하는 동등한 사이즈의 돌출부(111)를 반대측의 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돌출부(11l)에는, 안테나는 수용하지 않는다. 또한, 안테나(114)는 연장시킬 수 없는 고정의 안테나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휴대 전화기를 적재면(40) 상에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적재면(40) 상에서 스피커부(18)가 면하는 공간이 주위에 연결되는 양측의 대칭인 개구부(112) 및 전방의 개구부(62)가 형성된다. 즉, 스피커부(18)가 면하는 공간은 개구부(62)와 2개의 개구부(112)의 3개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충분히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9a 내지 도19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는 폴더형이 아닌 소위 스틱형의 휴대 전화기이다. 하우징의 후단부측, 즉 액정 표시부(13)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측에 있어서 2분된 돌출부(113)를 갖는다. 이 돌출부(113)는 적재면(40) 상에서 후방부측으로 개방된 개구부(62)와 양측부측에 대칭으로 개방된 개구부(105)를 형성하고 있다. 즉, 스피커부(18)가 면하는 공간은 개구부(62)와 2개의 개구부(105)의 3개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충분히 균형있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출부(113)를 하우징의 폭 방향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도 기술적인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형 휴대 무선 단말기의 힌지부 근방의 하우징 돌출부에 내장 안테나를 배치하였으므로 통화 사용시에 내장 안테나와 사용자 헤드부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는 등의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개방 상태의 상측 하우징의 외측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의 면을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배치에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힌지부 설치형 안테나의 결점인 안테나 부분과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근접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를, 기단부측이 급전점에 접속되는 평판형의 제1 엘리먼트 부분과 이 엘리먼트 부분의 선단부측의 측부에 연결되는 제1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메인면을 갖는 평판형의 제2 엘리먼트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자유 공간 방사 특성도 고려하여 안테나의 고Q화, 즉 안테나 대역 폭 열화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돌출부의 존재에 의해 장치를 안정되게 적재면 위에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면에 면하는 스피커에 대해 단순히 음질 열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위 공간에의 소리의 확산을 확대하여 비교적 균등하게 주위로 소리를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힌지 결합된 폴더형의 휴대 무선 단말기이며,
    상기 하측 하우징의 힌지부 근방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수납되어 선형 혹은 판형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갖는 내장 안테나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상측 하우징의 외측 메인면과의 사이에서 예각을 이루는 하우징 폭 방향으로 연장된 외면을 갖고,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 중 적어도 개방 단부측의 일부는 상기 외면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기단부측이 급전점에 접속되는 제1 엘리먼트 부분과, 제1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메인면을 갖는 제2 엘리먼트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엘리먼트 부분은 상기 제1 엘리먼트 부분의 선단부측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방 단부측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엘리먼트는 크랭크 형상의 도전성의 판형 부재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 부분의 메인면은 상기 외면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하우징의 배면측에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의 방음구를 갖고,
    상기 하측 하우징은 그 배면측을 평면형의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스피커의 방음구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측 하우징 중 적어도 양측부측에 균등하게 상기 적재면으로부터 부상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하우징의 배면측에 착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의 방음구를 갖고,
    상기 하측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에 의해 그 배면측을 평면형의 적재면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스피커의 방음구가 상기 적재면으로부터 부상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양측부측에 균등하게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단말기.
KR1020047001603A 2002-06-03 2003-06-03 휴대 무선 단말기 KR100973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1078A JP4266100B2 (ja) 2002-06-03 2002-06-03 携帯無線端末
JPJP-P-2002-00161078 2002-06-03
JPJP-P-2002-00237969 2002-08-19
JP2002237969A JP4136533B2 (ja) 2002-08-19 2002-08-19 携帯通信端末装置
PCT/JP2003/007022 WO2003103173A1 (ja) 2002-06-03 2003-06-03 携帯無線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95A KR20050002795A (ko) 2005-01-10
KR100973624B1 true KR100973624B1 (ko) 2010-08-02

Family

ID=2971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603A KR100973624B1 (ko) 2002-06-03 2003-06-03 휴대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82324B2 (ko)
EP (1) EP1511183B1 (ko)
KR (1) KR100973624B1 (ko)
CN (1) CN1543713B (ko)
DE (1) DE60323833D1 (ko)
WO (1) WO2003103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75B1 (ko) * 2015-11-20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1762B2 (en) * 2000-12-28 2006-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including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n antenna
US7082324B2 (en) * 2002-06-03 2006-07-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Built-in antenna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units
EP1445821A1 (en) * 2003-02-06 2004-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boom portion
FI115573B (fi) * 2003-06-11 2005-05-31 Filtronic Lk Oy Taitettavan radiolaitteen antenni
JP2005303542A (ja) * 2004-04-08 2005-10-27 Fujitsu Ltd 無線通信装置
TWI239751B (en) * 2004-05-28 2005-09-11 Benq Corp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8633864B2 (en) 2004-06-21 2014-01-21 Motorola Mobility Llc Antenna having an antenna to radome relation which minimizes user loading effect
JP4159533B2 (ja) * 2004-10-28 2008-10-0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製造方法
KR100671302B1 (ko) 2005-03-08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US20060276135A1 (en) * 2005-06-03 2006-12-07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Antenna control method and system
US8363012B2 (en) 2007-07-31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for interface with a graphical display
US20100053084A1 (en) * 2008-08-27 2010-03-04 Microsoft Corporation Collapsible mouse with pinch-risk solution
TWI390942B (zh) 2009-05-26 2013-03-21 Htc Corp 行動通訊裝置
CN101909093B (zh) * 2009-06-04 2013-09-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移动通讯装置
CN102457787B (zh) * 2010-10-21 2016-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20120321117A1 (en) * 2010-10-21 2012-12-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ound emission holes aligned with speaker at recess of rear cover
US9407984B2 (en) * 2011-02-24 2016-08-02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quality
CN106067593B (zh) * 2016-08-19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天线控制方法
US11165144B2 (en) 2017-04-20 2021-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antenn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059A (ko) * 1998-02-20 2001-05-15 러셀 비. 밀러 안테나와 컨덕터들 사이의 에너지 결합을 방지하는 요소를결합하는 기판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713A (ja) * 1992-07-28 1994-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
US6285327B1 (en) * 1998-04-21 2001-09-04 Qualcomm Incorporated Parasitic element for a substrate antenna
GB2344969B (en) * 1998-12-19 2003-02-26 Nec Technologies Mobile phone with incorporated antenna
JP2001274717A (ja) * 2000-03-24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
JP2001284934A (ja) 2000-03-28 2001-10-12 Kyocera Corp 携帯無線機
JP3642261B2 (ja) * 2000-05-16 2005-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
JP4782970B2 (ja) * 2000-06-30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機
GB2368999B (en) * 2000-07-14 2004-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portable radio device
JP2002125021A (ja) * 2000-10-13 2002-04-26 Nec Saitama Ltd 携帯無線端末
JP2002141987A (ja) * 2000-10-31 2002-05-17 Kyocera Corp 折畳式携帯無線通信装置
US7082324B2 (en) * 2002-06-03 2006-07-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Built-in antenna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uni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059A (ko) * 1998-02-20 2001-05-15 러셀 비. 밀러 안테나와 컨덕터들 사이의 에너지 결합을 방지하는 요소를결합하는 기판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75B1 (ko) * 2015-11-20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3833D1 (de) 2008-11-13
WO2003103173A1 (ja) 2003-12-11
EP1511183A4 (en) 2005-08-31
EP1511183A1 (en) 2005-03-02
US20060217164A1 (en) 2006-09-28
US7082324B2 (en) 2006-07-25
US7266399B2 (en) 2007-09-04
US20050176475A1 (en) 2005-08-11
CN1543713B (zh) 2010-05-12
CN1543713A (zh) 2004-11-03
EP1511183B1 (en) 2008-10-01
KR20050002795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24B1 (ko) 휴대 무선 단말기
KR100417248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EP1292042A2 (en) Foldable portable phone with metal casing, shieldings and second antenna to control radiation
US7408514B2 (en)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sonance space
JP2004134975A (ja) 通信端末
KR10070331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7840243B2 (en) Antenna arrangement in a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4134976A (ja) 通信端末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KR101139100B1 (ko) 휴대전화기
KR100838248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확장 안테나 지지체
US20030228884A1 (en) Two folding mobile telephone and mobile telephone
KR20080100207A (ko) 휴대 무선기
US20030092415A1 (en) Antenna for portable radio telephone
JP4266100B2 (ja) 携帯無線端末
JP2003143274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US71839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 radiation pattern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with a built-in antenna
JP2003298454A (ja) 移動通信端末
JP4136533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678190B1 (ko) 안테나 장치가 구비된 폴더
JP3441271B2 (ja) 無線機
KR20000021662A (ko)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장치
KR200295337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14209U (ko) 휴대폰의 송화음 전달구조
KR20030065678A (ko) 플립-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